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이 리조트 이미지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연구=

        조주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Experts around the world anticipate the dawn of a new era in sustainable business practices, as social value has emerged as a new standar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Globally, corporations are focusing on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activities, seeking to establish eco-friendly environmental policies and activities,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ives, and transparent governance structures. Previous research in the tourism industry has primarily focused on hotels and specific resorts regarding ESG, but studies on ESG activities of resort companies have been very limited. Most research in this field has concentrated on tourism images such as city images and regional imag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on resort image and place attachment among tourists who have experienced these activities. The study involved a survey of 350 tourists who have stayed at or plan to stay at domestic resorts engaged in ESG activities in 2023, with 300 valid sample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showed 115 males (35.8%) and 185 females (61.7%), with the majority of respondents in their 40s (33.7%) and 30s (32.7%).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high, with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ll above 0.7. The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s eco-friendly, socially responsible, and transparent governance, while the resort image was divided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images, and place attachment into place dependence and place identit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ESG activities of resort companies have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ort image. Secondly,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sort image and place attachment. Thirdly, there is a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SG activities of resort companies and place attachment.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empirical study results include: fir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detailed examin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resort image, and place attachment. Secondly, the study explored the impact of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on image, finding tha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ransparent governance significantly influence cognitive image, and transparent governance alone affects affective image. Thus, the ESG activities of resort companies have a partial impact on the image. Thirdly, the study clarifies that the resort image significantly influences place attachment, affecting both affective and cognitive imag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and place attachment is partially significant. ESG activities, particularly eco-friendly and transparent governance, significantly influence place dependence, while only transparent governance affects place identity. From a policy and practical perspective,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systematic marketing strategies that emphasize eco-friendly activities and social responsibility for each tourist region's resorts. There is also a need for systematic research and development to enable tourists to experience a true sense of self. The study also implies that resort companies should engage in visible and positive ESG activities to encourage repeat visits and recommendations by tourists. Moreover, proactive marketing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components of ESG activities that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Given that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e main customers of resorts as housewives and family-oriented tourists in their 40s and 50s, tailored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these groups are necessary. Lastly, an importan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eco-friendly activities among resort companies' ESG actions do not mostly influence resort image and place attachment. This suggests the need for more activities that can be directly experienced at the resorts and wider awareness through various media. This research serves as a significant precursor in the study of the tourism industry in the resort sector, hoping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ESG tourism industry. Keywords: Resort Companies, ESG Activities, Resort Image, Place Attachment 전 세계 전문가들은 사회적 가치가 국제사회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지속가능한 새로운 경영 활동 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 세계 각 기업은 ESG 경영활동을 화두로 하여 친환경(Environment) 정책 및 활동과 사회적(Soical) 책임활동 및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를 구축하는 것이 공통적인 관심사로 자리 잡고 있다. 그간의 관광업계 연구에서는 주로 호텔, 특정 리조트를 대상으로 ESG가 연구되었지만 리조트 기업을 대상으로 한 ESG 활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ESG 활동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분야에서는 도시이미지, 지역이미지 등 관광이미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을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리조트 이미지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리조트 ESG 관광산업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23년도 기간 중 ESG 활동을 하는 국내 리조트에서 숙박 경험이 있거나 이용 계획이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350부를 설문조사를 하여 유효표본 300부로 실증분석하였다. 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에서는 남성 115명(35.8%),여성 185명(61.7%)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전체 응답자 중 40대(33.7%)와 30대(32.7%)가 차지하는 비중이 66.4%로 조사되었다. 측정변수의 신뢰도 검증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크론바흐 알파 계수 모두 0.7 이상으로 전체적인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은 친환경,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 이미지는 인지적 이미지(Cognitive image), 정서적 이미지(Affective image) 그리고 장소애착은 장소의존성(Place dependence), 장소정체성(Place identity)으로 명명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은 리조트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리조트 이미지와 장소애착 간 영향관계에서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과 장소애착 간의 영향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실증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 리조트 이미지, 장소애착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체계화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변수 간의 영향관계를 실질적으로 검증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 중 사회적 책임활동, 투명한 지배구조가 인지적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투명한 지배구조만 정서적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은 이미지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리조트 이미지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규명하였다. 이미지는 정서적 이미지, 인지적 이미지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이 장소애착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부분적인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장소의존성에는 ESG 활동 중 친환경과 투명한 지배구조가 유의하였고, 장소정체성에는 투명만 지배구조만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ESG 경영활동을 하는 리조트를 경험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진행한 리조트 이미지, 장소애착과 관련한 정책 및 실무적 시사점은 첫째, 전국의 관광 지역 리조트별로 친환경적인 활동과 사회적 책임활동의 특징을 확보한 마케팅전략을 체계적으로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관광 대상물을 점검하고 개선해 나갈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관광객이 자신에 대한 진정한 자아를 찾는 느낌이 들도록 체계적인 연구 및 발전의 필요성이 있다. 둘째, 기존 관광객이 재방문하고 추천 의도와 같은 행동을 위해 관광객이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긍정적인 ESG 경영활동 중인 리조트 기업으로 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시사한다. 이를 위해 관광객 니즈를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프로그램에 참여시키는 등 세분화된 고객관리가 필요하다. 셋째,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이 장소애착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유의한 연구 결과가 나타남에 따라 유의하지 않은 구성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마케팅전략이 필요하다. 넷째,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리조트의 주 고객은 40∼50대 주부, 가족 중심형 관광객으로 도출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타켓층에 맞는 프로그램을 확보하여 마케팅 추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연구 결과는 리조트 기업의 ESG 활동 중 친환경이 리조트 이미지와 장소애착에 대부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관광객이 친환경에 대한 인지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힐 수 있도록 다양한 매체를 통한 알림과 리조트에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많은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리조트 분야 관광산업의 연구에서 중요한 선행연구 자료가 되어 이론적 토대를 넓이고, 정책 및 실무적으로 활용되어 ESG 관광산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정공수송체 적용을 위한 구리 기반 delafossite 나노 결정 합성

        조주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리 기반 delafossite 구조를 갖는 금속 산화물은 p형 투명 전도 산화물(TCO) 물질로 알려져 있다. delafossite구조는 ABO2 (A = Ag, Cu/B = Cr, Al, Ga, Fe) 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 수열 합성법을 이용하여 delafossite 구조를 갖는 CuCrO2을 기반으로 하는 정공 수송체를 합성하였다. 전하 수송능력을 더욱 증가시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Cr 자리에 Mg, Ga를 도핑 하여 CuCrO2을 정공수송체로 이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perovskite solar cell, PSC)의 단점을 보안하였다. 여기서는 CuCrO2, CuGaO2, CuCr1- xGaxO2, CuCr1-yMgyO2 나노 크리스탈을 준비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장치의 정공수송체 물질로 적용하였다. 6각형 나노 디스크의 형태를 갖는 CuCr1-xGaxO2와 CuCr1-yMgyO2의 나노 결정들은 수용성 금속 질산염을 전구체로 사용하였다. Cr3+ (0.52Ω)와 Ga3+ (0.62Ω) 사이의 이온반경의 차이가 매우 작기 때문에 넓은 범위에서 CuCrO2와 CuGaO2의 효율적인 도핑을 통해 ~ 20 nm 크기의 균일한 나노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우리는 또한 Mg 2+를 Cr 3+자리에 도핑 하여 CuCrO2 기반의 태양전지 소자의 단점인 기판의 핀홀을 메워 향상된 광전환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uCrO2의 밴드 갭에 새로운 상태를 도입하여 상승된 효율을 얻을 수 있다. Delafossite 나노 크리스탈의 분산용액은 용매를 Ethanol를 사용하기 때문에 FTO 기판위에 정공수송체를 스핀 코팅하는 inverted 방식을 사용하여 페로브스카이트층이 손상되지 않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Ga, Mg 도핑 양에 따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하 수송능력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장치의 광변환 효율과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Metal oxides with copper-based delafossite structures are known as ptype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materials. The delafossite structure consists of ABO2 (A = Ag, Cu / B = Cr, Al, Ga, Fe), and in this study, we synthesize a constant carrier based on CuCrO2 with delafossite structure using a sequence synthesis method. To further increase the charge carrying capacity and improve efficiency, Mg and Ga were doped to Cr site. it is used as a perovskite solar cell to protect the disadvantages of CuCrO2 by doping Mg and Ga in Cr. Here, CuCrO2, CuGaO2, CuCr1-xGaxO2, CuCr1-yMgyO2 nanocrystal is prepared and applied as a porous transport material in the Perovskite solar cell device. Nanocrystals of CuCr1-xGaxO2 and CuCr1-yMgyO2 in the form of hexagonal nanodisces used soluble metal nitrates as precursors. Due to the small difference in ion radius between Cr3+ (0.52 Ohms) and Ga3+ (0.62 Ohms) efficient doping of CuCrO2 and CuGaO2 over a wide range resulted in uniform nanoparticles of ~ 20nm. We were also able to obtain improved photo-transition efficiency by doping Mg2+ into Cr3+ digits to fill the pinhole of the substrate, which is a disadvantage of CuCrO2 based solar cell devices. Furthermore, a new state can be introduced in the band gap of CuCrO2 to obtain increased efficiency. Since the distributed solution of delafossite nanocrystals uses ethanol for solvents, Perovskite solar cells are produced using the inverted type, which spins directly onto the FTO substrate and does not damage the perovskite layer. In addition, we analyze the charge carrying capac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a and Mg doping, and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perovskite solar cells.

      • 低 코킹토크와 누설자속 특성을 갖는 EV용 스포크구조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설계

        조주희 군산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력 소비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대표적인 에너지 다소비 기기인 전동기의 고효율화에 대한 요구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가격이 높은 구동시스템의 저가격화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전동기의 저가격화를 위하여 가격이 저렴한 페라이트 영구자석을 적용하면서 출력밀도를 높이기 위한 스포크 구조 전동기의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低 코깅토크와 누설자속 특성을 갖는 EV용 스포크 구조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누설자속을 저감하는 회전자 구조를 도출하기 위하여 4가지 구조로 대표되는 기존 스포크 구조 전동기의 누설자속 저감 방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회전 적층 함으로써 코깅토크 및 누설자속을 저감하는 회전자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회전자 구조는 코깅 토크, 쇄교자속, 회전자 응력 분포 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스포크 구조 전동기 설계를 위한 설계 절차를 수립하였다. 기술된 설계 절차에 따라 0.5톤급 전기자동차의 동력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스포크 구조 전동기 설계를 수행하였다. 극수 슬롯 조합 선정, 영구자석과 전기강판 선정, 장하비 결정을 통한 기초 설계 과정을 기술하였다. 또한 스포크 구조 회전자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축방향 누설자속, Ferrite 영구자석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한 감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회전자 구조해석과 열 유동 해석을 통하여 구조적,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스포크 구조 회전자의 착자를 위한 분할 착자 요크를 설계하였다. 착자요크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착자요크 및 스포크 구조 회전자 시작품을 제작하여 착자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95.1% 착자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스포크 구조 전동기 설계 검증을 위하여 전동기 시작품 제작 및 부하시험 설비를 구성하였다. 정격 운전, 최대토크 운전, 최대속도 운전에서 부하시험을 통하여 설계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코깅토크 시험결과는 정격토크의 1% 수준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된 低 코깅토크와 누설자속 특성을 갖는 EV용 스포크 구조 회전자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With the continuous increase in power consumption, the demand for high efficiency of the electric motor, which is a typical energy-consuming device, is increasing. In addition, as the growing demand of electric vehicl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rice of expensive electric motor 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price of the motor,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poke structure motor to increase the power density while using low cost ferrite permanent magnets.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of a spoke structur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for EV with low cogging torque and leakage flux. In order to propose the rotor structure to reduce the leakage flux, the method for reducing the leakage flux of the conventional spoke structure motor represented by four structures was analyzed. Through this, a rotor structure that can reduces cogging torque and leakage flux by rotational stacking is proposed. The proposed spoke structure rotor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gging torque, flux linkage and rotor stress distribution. The design process was established for the design of a spoke structure motor. According to the described design process, a spoke structure motor was designed to satis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0.5 ton class electric vehicle. The basic design process of pole/slot combination, permanent magnet, electrical steel, and loading ratio determination was described. Also, analyzed the axial leakage flux,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a spoke structure rotor, and demagnetization, which requires attention when applying ferrite permanent magnets. Finally, structural and thermal stability were obtained by rotor structural analysis and thermal fluid analysis. Separated magnetizing yoke is designed for magnetization of spoke structure roto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sign of the magnetizing yoke, prototypes of the magnetizing yoke and spoke structure rotor were manufactured and the magnetization test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test, 95.1% magnetization was possible. To verify the design of the spoke structure motor, a prototype of the motor was manufactured and a load test equipment was constructed. The validity of this design is verified through load testing at rated, maximum torque and maximum speed operation. And the cogging torque test result is 1% of the rated torque. This is a good result. Therefor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rotor structure in this paper was verified.

      • 글로벌 SPA브랜드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조주희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SPA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 가격 및 품질이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과정에서 관여도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른 연구와는 차별적으로 SPA브랜드 제품을 이너 웨어와 아우터 웨어로 나누어 제품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총 153부의 설문이 사용되었고, SPSS 25.0을 이용하여 연구 모델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소비자들의 아우터 웨어 제품을 구매할 때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가격 및 품질이 추천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천 및 구매의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너 웨어의 경우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도는 추천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가격 및 품질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 및 구매의도는 브랜드 충성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너 웨어 제품 역시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 결과를 통해 마케팅 실무자들이 글로벌 SPA브랜드 전략을 세우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brand image, brand awareness, price and quality of SPA brand. And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process. In addition, SPA brand products were divided into inner wear and outerwear by differentiating them from other researches. A total of 15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udy and SPSS 25.0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study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rand image, brand awareness, price and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tention when purchasing outer wear products. Also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tention affected brand loyalty when purchasing outerwear. In this process, it appears that there is no control effect of involvement. In the case of inner wear, brand image and brand aware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and purchase intention, but price and quality are not affected. The recommend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ormation of brand loyalty. Inner wear has no control over involvement in this proces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rketing practitioners to establish global SPA brand strategy.

      • Long term results of fluoroscopy-guided placement and manipulation of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조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Percutaneous fluoroscopy-guided insertion and manipulation of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provide accurate results with little waiting time and minimal invasiveness. Limited data suggest that this approach provides similar outcomes compared with more invasive techniques. Therefore, I report my long-term experience with fluoroscopy assisted placement and manipulation of PD catheters. Methods: A Double- center, retrospective review of 401 consecutive PD patients from July 2001 to July 2012. I assessed post procedure pain scores using a 10-point visual analogue pain score scale, time to hospital discharge, complications related to PD catheter insertion, causes of catheter removal and catheter survival. I also reviewed 55 PD patients undergoing fluoroscopic manipulation for failure of their PD catheter and assessed the success rate of fluoroscopic manipulation. Results: I placed 537 PD catheters in 401 patients using fluoroscopy. There were 3 placement failures (0.56%). The average post procedure pain scores were 1.61 and 177 (44.13%) subjects had pain score of zero by 24 hours after procedure. Early complications defined as those occurring within 14 days of catheter insertion. Early complications related to PD catheter insertion occurred in 35 cases (6.51%) included 11 cases of leakage (2.05%) and 8 cases of peritonitis (1.49%).The 1- year catheter survival was 84.10%. 55 patients underwent fluoroscopic manipulation because of mechanical failure of their PD catheter. The success rate of fluoroscopic manipulation was 98.63%. Conclusions: Percutaneous fluoroscopy assisted placement and manipulation of PD catheters are safe and effective. The survival rate of PD catheters placed using fluoroscopy and the success rate of fluoroscopic manipulation were comparable to that of more invasive method. Radiological insertion and manipulation of PD catheters to be available to a large proportion of end stage renal disease patients. 배경: 투시 하 경피적 복막투석도관 삽입술 및 조작은 시술 결과가 정확하고 대기시간이 짧으며 침습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침습적인 다른 기법과 비교해 이와 같은 접근방법이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는 지의 여부에 대해 연구한 논문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투시검사를 이용한 복막투석도관 삽입술 및 조작에 관한 장기간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01년 7월부터 2012년 7월까지 두 기관에서 복막투석을 시작한 401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시술 후의 통증 평가를 위해 시각적 아날로그 통증 스케일을 사용하였으며 재원기간, 복막투석도관 삽입과 관련된 합병증, 복막투석도관 제거 건수 및 제거 이유 그리고 복막투석도관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복막투석도관의 기능부전으로 투시 하 복막투석도관 조작을 시행한 5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의 성공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40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총 537회의 투시 하 복막투석도관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3건(0.56%)의 설치 실패 사례가 있었다. 시술 후 평균 통증점수는 1.61점 이었으며 177명 (44.13%)의 환자는 시술 24시간 후까지 통증점수가 0점이었다. 조기 합병증은 도관삽입 14일 이내에 발생한 합병증으로 정의하였다. 총 35례(6.51%)의 복막투석도관 삽입관련 조기 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 11례(2.05%)의 누출, 8례(1.49%)의 복막염 등이 포함되었다. 도관의 1년 생존율은 84.10%이었다. 55명의 환자는 복막투석도관의 기능부전으로 투시 하 복막투석도관 조작을 시행하였으며 시술의 성공률은 98.63%로 확인되었다. 결론: 투시 하 경피적 복막투석도관 삽입술 및 조작은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투시검사를 이용하여 삽입한 복막투석도관의 생존율과 투시 하 복막투석도관 조작의 성공률은 보다 침습적인 방법으로 삽입한 도관의 생존율 및 시술 성공률과 견줄 만 하다. 다수의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복막투석도관의 방사선학적 삽입술 및 조작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중고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 상황 비교

        조주희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목적은 중고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상황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CAST에서 제시한 보편적 학습설계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윤혜진(2012) 석사논문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수정 및 보완하여 경남에 소재한 특수학급이 설치된 195개 중고등학교 통합학급교사 240명 특수학급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 지역 특수학급이 설치된 중고등학교 195개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총 390부 설문지 배포와 회수를 거쳐 통계 처리하여 정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특수학급교사가 통합학급교사보다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 수준이 높았으며 두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 변인인 지식 네트워크, 정의적 네트워크, 전략 네트워크, 종합적 네트워크 모두 특수학급교사가 통합학급교사보다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 수준에 있어 높은 평균을 보이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고등학교 통합학급교사와 특수학급교사의 배경변인(학교 소재지, 교육경력, 연령, 담임경력)에 따른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 수준은 전반적으로 특수학급교사가 통합학급교사보다 높았으며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교직경력과 담임경력이 적을수록 통합학급교사가 특수학급교사보다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 수준이 낮았다.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에 대한 상황 비교를 알아본 연구로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전체적인 설문문항에 대한 두 집단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낮고, 교직경력과 담임경력이 적을수록 보편적 학습 설계 적용 수준이 통합학급교사가 특수학급교사보다 낮으므로 일반교사의 양성과정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 내용을 교육하고 보편적 학습 설계가 반영된 교육과정 및 교과 자료들을 개발 및 보급하여 모든 교사들이 교수-학습 활동에 보편적 학습 설계를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풍류의 이음성에 관한 연구

        조주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풍류는 영산회상에서 파생되어 민간으로 전승된 대표적 민속악 합주 음악이다. 한국 전통음악 중 합주음악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징은 각 악기의 선율이 각자의 특성을 살려 비슷한 선율을 연주한다는 것인데, 이러한 과정에서 이음성(異音性)이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대풍륲에서 나타나는 이음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대풍류의 편성악기인 피리, 대금, 해금의 선율을 피리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이음성을 나타내는 형태를 유형화 하고, 각 악기 및 악곡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 어거스틴, 칼빈과의 비교를 통한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속사적 성경해석에 관한 연구

        조주희 亞細亞聯合神學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ocus of this thesis is a study in view of bible interpretation for Jonathan Edwards’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with a study in history-theological aspect. The fundamental premise of this study is not viewpoint of historical philosophy like Perry Miller’s insistence, but viewpoint of bible interpretation. In other words, this writer think that Jonathan Edwards was a pastor or preacher than example as philosopher. Therefore, in this thesis, I wish to prove that Jonathan Edwards intended to write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by preaching the sermon series so called “the Redemption Discourse”, and not to argue on historical philosophy but interpret the Old & New Testaments through frame of redemptive history. So the whole structure of this thesis is, according to historical steps, Redemptive Historical Bible Interpretation of St. Augustine(354-430), John Calvin(1509-1564) and Jonathan Edwards(1703-1758). By comparing Edwards with Augustine and Calvin, especially this writer wish to find the continuities of them. Through this study We will find how Edwards tried to unfold his redemptive historic interpretation on base of theological tradition of Church history. That is,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is not a writing that come from unique theological consideration or bible interpretation, but in extension of theological tradition of Augustinus and Calvin, and put root to those. This point warrants theological, historical legitimacy of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In order to prove argument of this study I try to study in next means and extent. A method of study of this thesis is history-theological and Bible interpretational approach for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Our study will be proceeded in historical order of “Augustine -Calvin-Edwards”. I will read analytically the original texts, and arrange each characteristics with four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Four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in this study are 1)ecclesiastical emphasis, 2)emphasis of canonicity, 3)typological interpretation, 4)covenant theology. These viewpoints comes from inductive research for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This point is a base of methodological appropriateness in four frames of interpretation. A study extent of this thesis is following contents. In Chapter 1. Introduction, I wish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and main issue, and here especially throw a following question, “Why does a study of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need, not through a method of history philosophy, in a view of theological approach and Bible interpretation?” In Chapter 2, I wish to study the redemptive history of Augustine who connect ancient times and middle ages, with his books Civitas Dei vol.15-18. In fact they are expository books that interpret main texts and persons in history of The Old & New testament. In the viewpoint of Redemptive Historical Bible Interpretation, Augustine wrote the books. First is the principle of history unfolding in two cities and of ecclesiastical emphasis. The history of two cities had been proceeded by focusing on church called the city of God. In the result, the history of The Old & New Testaments is the history of church conservation. Second, Augustine emphasized historicity and canonicity of Bible. Especially he stressed on canonicity and authority of Septuagint(LXX). Third, He tried to find the predictive meaning of the Old Testament history through typological interpretation. Augustine attempted to do allegorical interpretation for Noah flood event and Ark in Genesis Commentary, and he had opened possibility of allegorical interpretation along with Biblical literal interpretation. In Chapter 3, I wish to study Bible Commentary of John Calvin, and reconstruct his redemptive history in a viewpoint of biblical interpretation. The first study contents are Genesis commentary and redemptive historical interpretation. Calvin warned spiritual and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tried to do typological interpretation in Genesis Commentary. Second are Exodus commentary and redemptive historical interpretation. He focused in the present fulfillment of covenant in redemptive history. Third are Jeremiah commentary and redemptive historical interpretation. Here Calvin treated a restoration of church, final victory as consistency of covenant as final aim of redemptive history. In Chapter 4, I will summarize a historical overview of study on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and observe historical setting around redemption discourse and writing of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First, From the response of the time when Edwards’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was published to these days, this writer summarize a trend of the research with two following position: “Redemptive history is a philosophy of history”, “Redemptive history is a theological system” Then, I will examine a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ological situations when Redemption Discourse preached. And I will analyze concerning Edwards’ Redemptive Historical Bible Interpretation that is subject of this thesis with A History of the Work of Redemption. This writer tried to examine it inductively by classifying through four viewpoints of biblical interpretation. Four viewpoints are main coherences of Redemptive Historical Bible Interpretation that was discovered ahead in mastications of Augustine and Calvin. In this study, I wish to study along with historical order of “Augustinus-Calvin-Edwards” First is viewpoint of ecclesiastical emphasis. Here I will handle to a blessing and conservation of church, which is goal of redemptive history. Second is viewpoint of canonicity emphasis. Here I will research concerning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revelation. The contents are addition of Biblical canon, divine authority and usefulness of The Old Testament, need of The Old Testament study. Th

      • 페닐프로파노이드 대사경로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통한 애기장대 내 시린진의 효과적인 생산

        조주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린진(sinapyl alcohol 4-O-glucoside)은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를 통해 생성되며 식물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생성해내는 다양한 이차대사산물 중 하나인 모노리그놀의 배당체이다. 시린진은 가시오가피의 근피나 수피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증 및 노화예방 등 인체에도 약리적 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모델식물체인 애기장대에서 시린진의 생성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과 대사체 합성경로를 조절하는 대사공학을 시도하였다.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의 전체적 활성을 증가시키는 전사인자 MYB58과 코니페릴 알코올에서 기질인 시나필 알코올로의 전환에 관여하는 F5H(ferulic acid 5- hydroxylase), 마지막으로 시나필 알코올에 당을 붙여 직접적으로 시린진을 생산하는 당전이효소 UGT72E 유전자를 사용하였다. 특히 각각의 유전자들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체를 만들고 교배와 선발을 통해서 유전자들을 축적할 경우에 문제가 되는 유전자공동억제를 극복하고자 기존의 벡터 내에 이들 3종의 유전자들을 병렬로 조합한 새로운 벡터를 제작하였다. 또한 당전이효소 UGT72E는 기존의 UGT72E2와 UGT72E3뿐만 아니라 재조합유전자 UGT72E3/2-1, UGT72E3/2-2를 포함해서 총 4종의 당전이 유전자를 사용하여 각 유전자에 의한 시린진 생성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 4종의 유전자와 조합한 MYB58과 F5H 유전자가 과발현하는 형질전환체는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이 각각 400배와 450배 증가하였다. 이 중 효소활성 및 기질특이성이 높은 UGT72E3/2-1와 MYB58과 F5H 유전자 조합으로 형질전환 식물체들에서 당전이효소 UGT 발현의 차이에 따른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UGT의 발현에 비례하여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량도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해석을 위해서 mRNA-seq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전사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코니페린과 시린진을 대량 생산하는 형질전환체에서는 UGT의 발현뿐만 아니라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과 더 나아가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의 출발 대사체인 페닐알라닌의 생성에 필요한 쉬킴산 합성 등 일차대사산물 합성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도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재배 환경의 차이에 의해서도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상대적 생산 효율이 달랐다. 토양재배한 잎에 비해 수경재배한 잎에선 코니페린은 줄어들고 시린진의 양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도입된 전이 유전자들의 발현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빛에 뿌리가 노출됨에 따라 내생적 유전자들의 발현에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애기장대 식물체 내에서 주된 모노리그놀인 코니페릴 알코올을 시나필 알코올로 완전히 전환시키는 것은 소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페닐프로파노이드 합성경로에서 플라보노이드 합성경로의 대사체 흐름을 조절하는 CHS(Chalcone synthase)의 기능을 억제하여 대사체 흐름을 모노리그놀 합성 경로로 집중되는 CHS KO 돌연변이 애기장대에서 4 종의 UGT72E 유전자와 조합한 MYB58과 F5H 유전자가 과발현하는 형질전환체들을 제작하였고,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량을 조사하였다. 야생형 애기장대에 형질전환한 식물체에 비해서 CHS KO 돌연변이 애기장대에서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량이 약 2배 증가하였고 UGT72E3 및 UGT72E3/2 라인에서 코니페린보다 시린진의 생성량이 증가한 패턴을 보였다. 이와 같은 대사체의 흐름이 모노리그놀로 집중되는 현상은 CHS와 ALDH의 기능이 모두 소실된 이중 돌연변이 애기장대에서도 나타났다. 이에 대한 원인은 규명하지 못했지만 당전이효소의 효율과 기질 모노리그놀의 효율적인 생성을 위한 대사체 흐름의 집중이 코니페린과 시린진의 생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해서 유전자의 발현 조절과 대사 공학이 시린진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유의미함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다른 작물에서 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