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관성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조성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vascular dementia elders's cognitive function, gait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quality of life index and to determine how much vascular dementia elders is influenced by the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with aerobic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in their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Thirty patients with vascular dementia over 65 in B geriatrics hospital, in Ulsan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physical therapy + combined exercise (n=15) / control group: physical therapy (n=15)).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which consists of 30-minutes basic therapy, aerobic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30-minutes of mattress exercise and gait training, which are the basic physical therapy. The program for each group had been conducted 60 minutes a day, 4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measurement for the dependent variables was taken 3 times (pre-exercise, 6 weeks after exercise and 12 weeks after exercise), and cognitive function, gait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dex were measured.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by the scores of MMSE-KC(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ERAD assessment packet) and GDS(global deterioration scale), gait ability were measured by these activities- 3 meter back-and-forth walking, 4 stair walk-up and 4 stair walk-down.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by I-ADL(instrumental-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B-ADL(basic-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dex was measured by GQOL-D(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dementi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compar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at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eriod of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MSE-KC score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exercise and 6 weeks after 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entia magnitude GDS score test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 After comparing the gait a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at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eriod of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UG 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between pre-exercise and 6 weeks after exercise, and between pre-exercise and 12 weeks after 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oth 4 stair walk-up and 4 stair walk-down test. 3. After compar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eriod of exerci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ADL and B-ADL score test of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ng the results of 12 week exercise of the both groups. 4. After comparing quality of life index of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eriod of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QOL-D score test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tween pre-exercise and 6 weeks after exercise, between 6 weeks after exercise and 12 weeks after exercise, and between pre-exercise and 12 weeks after exercis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ng the results of 6 week exercise and 12 week exercise of the both groups. As mentioned above, the 12 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a good influence on vascular dementia elders's cognitive function, gait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dex. I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is done regularly, it will be able to improve vascular dementia elders's cognitive function and the quality of life. Further, studies focusing on a variety of effective exercise programs for the patients' individual traits in other types of dementia as well as vascular dementia are needed to determine prevention and treatment approaches. 본 연구의 목적은 혈관 성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보행능력,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질 지수를 평가하고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포함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혈관 성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울산광역시 ◯◯노인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혈관 성 치매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본적인 물리치료와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함께 적용한 실험 군 15명과 기본적인 물리치료만 시행한 대조군 15명으로 무작위 그룹배정을 하였다. 실험 군은 기본적인 물리치료 30분과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프로그램을 60분간 실시하고 대조 군은 기본적 물리치료인 매트운동과 보행훈련을 30분간 실시하였다. 실험 군은 12주간 주당 4회, 일일 60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종속변인 측정은 운동 전, 운동 6주 후, 운동 12주 후로 총 3회 실시하였으며, 종속변인 측정항목으로는 인지기능, 보행능력, 일상생활 수행능력, 삶의 질 지수를 측정하였다. 인지기능 평가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MMSE-KC) 점수와 치매심각도(GDS) 점수로 평가하였고, 보행능력의 세부적인 측정항목으로는 TUG, 4계단 오르기, 4계단 내려오기로 하였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도구적 일상생활기능(I-ADL)과 기본적 일상생활기능(B-ADL)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삶의 질 지수는 치매노인 삶의 질 척도(GQOL-D)로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기간에 따른 실험 군과 대조 군의 인지기능을 비교한 결과 MMSE-KC 점수 검정에서는 실험 군이 운동 전과 운동 12주 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치매심각도 GDS 점수 검정에서는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운동기간에 따른 실험 군과 대조 군의 보행능력을 비교한 결과 TUG 검정에서는 실험 군이 운동 전과 운동 6주 후, 운동 전과 운동 12주 후 검사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지만, 4계단 오르기와 4계단 내려오기 검정에서는 실험 군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운동기간에 따른 실험 군과 대조 군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한 결과 I-ADL과 B-ADL 점수 검정에서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그룹 간의 비교에서도 운동 12주 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운동기간에 따른 실험 군과 대조 군의 삶의 질 지수를 비교한 결과 GQOL-D 점수 검정에서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운동 전과 운동 6주 후, 운동 6주 후와 운동 12주 후, 운동 전과 운동 12주 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그룹 간의 비교에서도 운동 6주 후, 운동 12주 후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이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포함한 12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은 혈관 성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보행능력의 향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삶의 질 지수에 효과가 있음을 보였으므로, 규칙적인 복합운동프로그램이 혈관 성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치매 예방 및 치료적 접근에 있어서 혈관 성 치매뿐만 아니라 다른 유형의 치매에 관해서도 개별적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치과의사의 감염조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조성현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치과의사의 감염조절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조성현 지도교수: 김병옥 조선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치과의사들도 치과진료실에서의 감염예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치과계에서 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결핵, 매독등으로 국민건강들 저해할 수 있는 여러 전염병에 대한 역학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치과의 감염조절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116명(개원의 56명, 수련의 60명)의 치과의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이 설문지는 치과의사들의 감염에 대한 인지상태, 감염에 대한 기본지식, 감염환자의 인지율, 그리고 치과재료 및 장비에 대한 소독/멸균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학부나 대학원의 교과과정에서 감염조절과 안전에 대한 교육이 보다 더 심도있게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감염에 노출되었을 때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해 숙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ntists towards infection control Cho Seong-Hyeon Advisor : Prof. Kim Byung-Ock D.D.S, M.S.D., PhD. Department of D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Dental clinic is an area with high infectious risk for dentists, dental workers and patient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ntists towards infection control. For the dentists, 56 general practitioners and 60 residents, the affirmativ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a survey, with a questionnaire composed by 52 values with regard to (1) the basic knowledge and risk perception of the dentists to infection, (2) percent perception to infected patients and sterilization to the dental materials and instruments. The significance of each value between general practitioners and residents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 chi square test (SPSS v12.0, U.S.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ractitioners have less the appropriate knowledge and attitudes in managing infection in their clinical settings than the residents (p<0.05). Surprisingly, almost all the dentists have been working, without perceiving whether their patients were infectious or not. Coll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iodic education for dental infection control should the pre- or post-prophylactic protocols used in dental clinics have to be established.

      • V2X 통신 및 응용서비스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 연동 인터페이스 연구

        조성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V2X 통신 기반의 차량 안전 응용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 및 시간과 제약사항을 동반하는 필드 테스트의 상당부분을 대체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시뮬레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V2X 통신 및 응용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가상 주행 및 통신 환경을 재현하는 것이 중요한 기능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주행 및 통신 환경을 재현하기 위한 일부 요소로써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및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WAVE 통신 환경 재현 장비가 연동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하여 제안한다. UC-WinRoad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와 EXata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연동 환경을 구성하고, 구성된 환경을 이용하여 UC-Win/Road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로부터 Vehicle Information을 WAVE 단말로 제공해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EXata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와 WAVE 통신 환경 재현 장비를 연동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 구현된 인터페이스는 시뮬레이터 및 WAVE 통신 환경 재현 장비, WAVE 송/수신 단말과의 연동 운영을 통해 검증하였는데 시뮬레이터에 의한 가상 주행 및 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신측 WAVE 단말 상에서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및 BSM(Basic Safety Message) 내의 Vehicle Information 변화를 각각 확인하였다.

      • 학습플래너와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영문법 지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에 관한 실행연구

        조성현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영문법을 지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이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의 변화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송파구 소재 C고등학교 2학년, 3학년 학생과 J고등학교 3학년 학생 이렇게 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영문법 수업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실시 전과 후의 정의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사전설문과 면담을 통해 참여 학생들의 자기주도력과 정의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업안을 만들었다. 셋째, 학생들과 함께 학습플래너를 제작하였다. 넷째, 수업안에 따라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의 반응과 행동을 일지에 기록하였다. 다섯째, 학생들로 하여금 플래너를 작성하고 목표한 학습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플래너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을 주고받았다. 여섯째,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을 운영하고 다양한 자료들을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등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수업방법을 고민하였다. 일곱째, 학생들이 작성한 플래너와 사후 설문 및 면담을 통해 학생들에게 나타난 변화를 영문법학습, 정의적 태도, 자기주도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아울러 교수자에게 일어난 변화도 살펴보았다. 연구 수행 이후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영문법에 대한 정의적 변화를 이끌어 내고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법은 (1) 수업계획에서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반에 걸쳐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하기, (2) 실제적인 자료의 활용으로 학습자의 학습욕구를 촉진시키기, (3) 보상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4) 수업시간에 플래너를 작성하게 하여 학습자들의 이야기를 담게 하기, (5) 플래너를 교사의 피드백 제공 및 소통의 공간으로 활용하기를 포함하였다. 학습 플래너를 활용한 영문법 지도 프로그램은 참여 학생들의 영문법 학습에 기여하였다. 참여 학생들은 수업이 진행되면서 제시되었던 과제와 평가에서 점수가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다른 분야보다 특히 관계대명사와 시제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사전 ․ 사후설문과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도 변화가 생겼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가 향상 되었고 자신감과 불안감은 상대적으로 향상의 폭이 작았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변화였다. 자기주도성에도 변화가 있었다. 인지조절과 동기조절 측면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두 가지 측면에 비해 행동조절 측면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영문법 지도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학습 플래너 쓰기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둘째, 학생, 교사 그리고 학부모가 함께 하는 협력적 관리체계를 형성하여 꾸준한 사후관리를 하고, 셋째, 플래너를 오답노트, 성찰일지와 같은 다양한 용도를 지닌 효과적인 학습도구로 활용하며, 넷째, 학습자들이 자신의 습관과 생활을 조절하여 성공적인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행동조절 측면의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 Interannual modulation of Kuroshio intensity in the East China Sea Over the Past Three Decades

        조성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westward-migrating mesoscale eddies are a dominant factor that modulate the interannual Kuroshio intensity in the East China Sea (ECS), indicating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extended record of altimetry-based sea level anomalies (SLAs) until 2020, however,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Kuroshio intensity no longer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eddy activity in the subtropical countercurrent (STCC) region since the early 2000s. Our observational analyses showed that the Kuroshio intensity in the ECS can be modulated by the combined effect of westward-migrating mesoscale eddies and westward-propagating oceanic planetary waves from the east. Until the early 2000s,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Kuroshio was mainly affected by eddy migration from the STCC region, associated with oceanic instability driven by large-scale wind patterns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Since then, oceanic planetary waves propagating westward across the Pacific basin have largely modulated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ECS-Kuroshio intensity by superimposing the SLAs related to mesoscale eddies that propagated towards the east of Taiwan.

      • 상담을 접목시킨 성경공부 프로그램

        조성현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구 세계의 역사 속에서 교회가 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학문에 영향력을 행사하였지만, 현대에는 교회가 사회를 따라가고 있다. 개인과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사회의 기관이나 언론들이 먼저 파악하고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가 급격히 변화하는 인간의 필요를 이해하고 돕는 것에 신속하지 못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에 상담적인 기법의 도입은 좋은 현상이라고 본다. 이 연구에서는 성경공부 속에 상담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성경적인 측면인 성령의 임재와 상담의 위로가 적용되기를 원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를 크게 네 가지로 범위로 나누었다. 첫 번째는 교회 안에서의 성경공부에 관한 내용이다. 이 장에서는 성경공부의 근거를 이스라엘 역사와 성경 그리고 세계사와 교회사의 역사를 통하여 살펴보는 기회를 가지려 하며, 더 나아가 한국 교회에 미친 성경공부의 영향과 오늘날 성경공부가 교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등을 살펴보려 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목회상담의 중요성과 역할을 논할 것이다. 교회 속에서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형태를 목회 상담이라고 한다면 목회상담의 신학적 이해나 발전과정 그리고 성경에서 찾아야 하는 부분들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세 번째는 성경공부와 상담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논하려고 한다. 우선 조하리의 창에 나와 있는 인간의 이해를 하고 상담중에서 집단 상담과의 비교를 하려 한다. 교회의 성경공부와 집단상담은 많은 유사점을 같고 있다. 고로 이 단원에서는 집단상담과 성경공부의 유사성과 차이점 그리고 기존의 성경공부와의 비교등을 다루므로써, 교회 속의 상담적 성경공부 프로그램의 방법을 알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집단상담식 성경프로그램의 구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집단상담식 성경공부의 진행은 성경공부의 진행과 유사한 점도 있지만 일방적인 가르침보다는 집단상담식 성경공부를 배우는 사람들의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면에서 성경공부와 차이를 들 수 있다. 이제 지도자의 독단이나 주입하려는 사상은 없어져야 한다. 서로를 이해하고 서로 무엇을 느낄 수 있는지, 나눔을 통하여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여야 한다. 그러기에 상담을 통한 성경공부는 필요한 것이고 그것은 결국 신앙에 많은 발전을 야기 시킬 수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pursues developing a group Bible study program incorporating major principles and processes embedded in some group counseling programs. This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group Bible study programs is necessary to satisfy contemporary congregation's individualistic needs. This thesis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four phases. The first phase is to survey some literatures about group Bible study programs. The original programs have been found in the Israelite history, the Bible, and the Christian church history. And, some programs, that have had strong impacts upon the Korean Christian churches, are selected and analyzed. At its second phase, this thesis discusses the importance of functions of modern pastoral counseling in the Christian churches. And important models to find the Christian context and identity of the modern pastoral counseling in theology, the Bible, the rituals, pastoral accountability, and so on, are analyzed. At its third phase, this thesis discusses the ways how to incorporate group Bible study programs with group counseling programs. By the way of analysis of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Bible study programs an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s, it postulate a model for an incorporated program. In the last phase, it presents the incorporated group Bible study counseling program in detail. Its tenet posits that only clients or group members' experiences matter. It i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the program, to understand, accept, and disclose their own experiences. This program may facilitate to improve efficiencies of group Bible study in a Korean Christian church. And it may have a tiny impact upon pastoral perspective in the Korean Christian church. And it may contribute to expansion of congregation-oriented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 소아에서 Cariview®를 이용한 우식 활성 비색 검사와 치아우식 경험

        조성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태학적 치태 가설에 따르면, 치아우식증 발생에는 특정 세균의 수보다 치태 전체 세균의 산 생산 능력이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Dentocult SM?와 같은 특정 세균 수를 측정하는 우식 활성 검사는 치아우식 예측에 한계점을 가진다. 반면 새로운 우식 활성 비색 검사인 Cariview?는 새로운 pH 지시약을 사용해서 치태 세균의 산 생산 능력을 더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에서 Cariview?와 치아우식 경험(dmft index)과의 상관성을 평가하고, Cariview?를 Dentocult SM?과 비교하는 것이다. 135명의 어린이(만5세 이하, 남자 61명, 여자 74명)가 사전동의 하에 연구에 참여했다. 본 연구는 어린이의 구강관리 습관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후, 구강검사를 통해 치아우식과 치태 지수를 기록했으며, Cariview?와 Dentocult SM? 두 가지 우식 활성 검사를 제조사 지시에 따라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 T검정, 스피어만 상관분석, ROC 곡선분석을 시행하였다(α=0.05). 상관 분석 결과, Cariview?는 어린이 치아우식 경험과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43, p<0.01), Dentocult SM?과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 p<0.01). 치아우식 진단에 있어 Cariview?는 민감도 68.8%, 특이도 69.2%, ROC 곡선 분석의 곡선하면적(AUC)이 0.686으로 Dentocult SM?에 비해 양호한 수치를 보였다. 치아우식이 없는 군과 치아우식이 있는 군을 비교한 결과, Cariview?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어린이의 구강관리 습관태도는 치아우식 경험이나 우식 활성 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치아우식 진단의 정확성과 설명력은 Cariview?가 Dentocult SM?보다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Cariview?는 비협조적인 어린이에게도 시행이 쉽고 편리하며 시각적인 색상으로 교육적 효과도 있다. 따라서, 치아우식에 민감한 어린이를 밝혀내고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Cariview?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설교학적 순환으로서 성경적 설교 이해 : 칼 바르트(Karl Barth) 설교신학의 삼중적 구조를 중심으로

        조성현 계명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콘텍스트(context)와 청중중심으로 경도된 현대설교가 텍스트(text) 우선성을 강조하는 ‘성경적 설교’(biblical preaching)로 중심축이 설교학적으로 ‘순환’(circle)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별히 칼 바르트의 삼중적 설교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에서 행해지는 성경적 설교를 좀더 설교 신학적으로 정확하고 올바로 이해하여 한국교회 강단을 회복하는데 기초석을 만들기 위함이다. 한국교회 강단의 현상학적인 문제들을 세 가지로 요약하면 설교의 중심성(centrality)의 상실, 설교의 순수성(integrity)의 상실, 그리고 설교의 진정성(authenticity)의 상실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설교의 중심성의 상실이란 설교가 설교자의 말이 아니라, 설교의 본질과 권위를 회복하여 ‘하나님의 말씀’(the Word of God) 이어야 하는데 이를 상실했다는 의미이다. 둘째, 설교의 순수성의 상실이란 설교자가 성경본문을 정확하게 주석(exegesis)하지 아니하고, 텍스트(성경본문) 보다는 콘텍스트(상황) 중심으로, 본문의 내용보다는 설교방법론에 치우침으로 설교 본문의 순수성을 상실했다는 점이다. 셋째, 설교의 진정성의 상실이란 성경적 설교의 ‘설교자론’으로, 설교자가 자신의 인격(ethos)과 온전한 삶을 통하여 ‘전령자’(herald)나 ‘증언자’(witness)로 말씀을 선포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올바른 설교정신이 결핍되었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세기 ‘말씀의 신학자’로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끼친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의 교회교의학(Church Dogmatics) Ⅰ/1의 ‘하나님 말씀론’(The Word of God), 제4장 ‘하나님 말씀의 삼중형태’(The Word of God in its Threefold Form)를 중심으로 ‘삼중적 설교신학’을 수립했다. ‘계시된 말씀’(The Word of God Revealed)을 중심성으로, ‘기록된 말씀’(The Word of God Written)을 순수성으로, 그리고 ‘선포된 말씀’(The Word of God Preached)을 진정성의 관점으로 설교 신학적 이론을 제시한다. 본 연구가 제시하고자 하는 성경적 설교는 단순히 성경본문만 주해하는 정도가 아니라, 세 가지의 삼중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첫째, 하나님 말씀으로서 설교의 중심성을 가져야 한다. 계시적 영감과 성경의 권위에 의존하는 설교가 되어야 한다. 둘째, 성경본문 주석으로서의 설교의 순수성이다. 이는 성경을 주된 원천으로 하여 성경본문 중심의 주석설교를 의미한다. 셋째, 말씀 선포자의 증언으로서 설교의 진정성을 가져야 한다. 이는 설교자의 인격과 이토스(ethos)를 강조하는 설교자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교회 강단갱신을 위해서 세가지 설교모델을 제시한다. 하나님께서 말씀하게 하는 성서정과 설교(중심성), 본문이 말하게 하는 원전설교(순수성), 그리고 성령이 이끄는 설교(Spirit-led preaching))인 성령설교(진정성)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setting up a 'homiletic circle' from the context-centered preaching that Korean churches currently use nowadays to text-centered preaching. Especially, this study aims for a renewal in the Korean churches based on an in-depth theology of the threefold structure of biblical preaching. The problem of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es is threefold: (1) The loss of the centrality of preaching; (2) The loss of integrity in preaching; and (3) The loss of authenticity in preaching. First, the loss of the centrality of preaching means that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es lacks the essence and authority of the preaching as the Word of God revealed. Second, the loss of the integrity of preaching means that it lacks its basis in the Word of God written. This means that Korean preachers are more focused on the preaching methods than on the content of the Bible, and are also more focused on their context than the biblical text. The result is that they don't give enough attention to the accurate exegesis of the Bible. Third, the loss of the authenticity of preaching means that the preachers lack the right spirit and attitud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supposed to be witnesses of the Word through both their lives and their preaching. To re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constructs a 'Threefold Preaching Theology' by making use of Karl Barth's doctrine of 'The Word of God in its Threefold Form'. The theological theory for preaching i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Word of God Revealed' as the centrality of preaching, 'The Word of God Written' as the integrity of preaching, and 'The Word of God Preached' as the authenticity of preaching. It is argued that biblical preaching must have a threefold structure, and that preaching is not simply the exposition of the biblical text. First, preaching with centrality should be centered on God's Word. That is, preaching should be based on the inspiration and authority of the Scripture. Second, preaching with integrity should be based on the exegesis of the biblical text. In other words, Preaching is a running commentary on the biblical text. Third, preaching with authenticity means that the preacher's personality and ethos are witnesses to God's Word. Finally, this study presents three models to renew preaching in the Korean churches: The first is lectionary preaching that lets God speak (centrality), The second is text-driven preaching based on the original biblical languages (integrity), The third one is Spirit-led preaching that lets the Spirit speak (authent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