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러 속담 비교 연구 : 의미론적 등가성에 따른 분류를 중심으로

        조금선 선문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의미적 등가성에 따른 분류를 중심으로 한-러 속담을 비교연구하였다. 400여 개 이상의 한-러 속담을 검토하여 공통분모를 찾은 후, 세 가지의 주제(표현방식과 내용면에서 완전한 등가성을 갖는 속담, 표현방식은 다르지만 내용면에서 등가성을 갖는 속담, 표현방식과 내용면에서 등가성을 갖지 않는 속담)로 분류하고 또 다시 여러 개의 하위범주(자연현상과 물질, 동물과 식물 등)로 분류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 첫번째로 하나의 속담이 2개 이상의 분류범주에 속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2.2.2에 있는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라는 속담은 '개'라는 단어 때문에 2.2.2에 속할 수도 있지만 '똥'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2.2.1에 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2.2.3에 있는 '장님 코끼리 코 만지기'라는 속담도 '장님'이라는 단어 때문에 2.2.3에 속할 수 있지만 '코끼리'라는 단어가 있어서 2.2.2에 속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나오는 단어를 가지고 분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두 번째는 어떤 주제어를 가지고 속담을 분류할 것인가의 문제에 봉착했다. 분류 주제를 잘못 선정할 경우 각 범주에 속하는 속담 개수간 차이가 많아질 수 있고, 주제어에 속하지 않는 속담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몇 차례의 시행착오를 통해 현재의 주제어를 선택하여 분류를 시도하였다. 앞서 언급한데로 세 가지 범주로 한-러 속담을 분류해 본 결과 2.1-100개, 2.2-220개, 2.3-70개로 집계되어 2.2에 속하는 속담이 가장 많다는 통계적 자료를 제시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와 러시아어가 비록 언어군과 계통면에서 서로 전혀 상의하지만 언어 외적인 요소인 양 국민의 정서와 문화면에서는 매우 유사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속담 분류를 하면서 또 한가지 흥미로웠던 점은 동물부문에 있어서 한국 속담에는 개와 고양이가 특히 많이 등장하였던 것에 반해서 러시아 속담에는 곰과 늑대, 말 등 야생동물이 많다는 점이었다. 이에 근거해 볼 때, 한국에서는 개와 고양이를 친근하게 느끼는 반면 광활한 영토를 가진 러시아에서는 곰과 늑대, 말 등의 야생동물들이 흔히 볼 수 있는 친근한 동물이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처음에 본고 주제를 정하면서 막연하게나마 이 논문이 국제회의 통·번역사를 지향하는 통·번역 대학원 재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출발하였다. 양국의 속담 자료를 정리하고 논문의 지면을 조금씩 채워 가면서 이러한 주제의 논문의 결과물이 무엇보다 나 자신에게 도움이 많이 되는 과정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나아가 앞으로 본 논문에서 다루지 않은 속담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집행하면서 속담이 지니고 있는 함축적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여 한국 속담뿐만 아니라 러시아 속담의 뜻을 파악하기 위해 사전을 뒤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적인 요소까지도 파악하여 가감 없이 전달해야 하는 통·번역사에게 있어서 속담은 반드시 숙지해야 할 기초 자료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실제 통역 현장과 수 차례에 걸친 번역 과정에서 속담을 대할 때마다 시간과 지면을 아끼면서 가장 함축적이면서도 정확한 대응적 속담을 찾느라 어려움을 겪었던 적도 한 두 번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한-러 속담의 대응관계 분석의 틀을 제시함으로써 속담의 통·번역시 나타날 수 있는 통·번역사들의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조금선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fluences of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Cho Geum Sun Major in Family Therapy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Welfare Counseling Sangmy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nfluences of experience, particularly parent's marital intimacy felt in a period of growth,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husbands and wives (109, respectively) in their thirties to less than sixt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went through t-test and ANOVA to see differences in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paired t-test was analyzed to see differences in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and couple relationship,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influences of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on couple relationship.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marital intimacy by age and occupation. The younger group showed a higher level of marital intimacy; professional occupation was high, while blue-collar occupation was remarkably low.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s was lower in husband-wife family than in nuclear or expanded one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level of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wives were found to recognize marital conflicts more highly than husbands. Third, the higher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higher level of adult children's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their marital intimacy; the lower parent's marital intimacy and the lower level of self differentiation, the higher marital conflicts adult children show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idered objective situations by examining parent's marital intimacy among variables and conducted a research with couples of husband and wife.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가족치료전공 조 금 선 본 연구는 원가족 경험 중 특히 성장기에 느낀 부모의 부부친밀감과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60대 미만의 설문에 응답한 남편과 아내 각각 10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분석 방법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성인자녀의 자기분화 및 부부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 및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성인자녀 부부에 있어서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 자기분화와 부부관계는 부부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가족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으나 부부친밀감은 연령과 직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 부부친밀감 수준은 높았으며, 직업은 전문직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차이를 보였다. 부부갈등은 핵가족과 확대가족에 비해 부부단독 가족의 갈등수준이 낮았다. 둘째,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수준은 부부친밀감에는 통계적으로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에서는 남편에 비해 부인이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과 성인자녀의 자기분화가 부부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성인자녀의 부부친밀감은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이 높을수록,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성인자녀의 부부갈등은 원가족 부모의 부부친밀감이 낮을수록 자기분화 수준이 낮을수록 부부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자녀의 부부관계에서 원가족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한 경험이 영향을 미치며, 이것이 자녀의 자기분화의 정도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히게 된 점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는 가족을 체계적으로 조망해야 함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차후의 가족상담연구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Metabolomics for understanding of pathophysiology and drug action mechanism in metabolic diseases : adolescent obesity and metformin

        조금선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Metabolomics is a high-throughput method for assessing the pathophysiological state and for identifying novel biomarkers to understand molecular mechanisms of the disease. It has allowed the large-scale, simultaneous analysis of huge numbers of metabolites in biofluids particularly of metabolic diseases such as obesity and diabe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iomarkers affected by obesity and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of the anti-diabetic drug. For identifying urinary biomarkers to distinguish metabolomic characteristics between obesity and normal weight in adolescents, adolescent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n-obese (n = 91) and obese (n = 93) group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Untargeted and targeted metabolomic profiling of urine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LC)-quadrupo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S), and LC- and flow injection analysis-MS/MS systems, respectively. For identifying the novel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related to anti-diabetic effect of metformin, fourteen healthy male subjects were orally administered metformin (1000 mg) once. First morning urine sample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to obtain metabolomic data. We then further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mechanism of metformin in vitro and in vivo. In adolescent obesity biomarker study,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clear discrimination between the untargeted metabolomes of nonobese and obese groups. Seven endogenous metabolites were distinguished in the obese group, and inflammation-related metabolite markers showed strong predictive power for group classification. From targeted metabolomics, 45 metabolites mostly related to inflamm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obese group. In underlying mechanism study of metformin, the fluctuation of the metabolite cortisol indicated that the neuroendocrine system was involved i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etformin. And we found that metformin induced AMPK/liver X receptor alpha (LXRalpha) phosphorylation, followed by pro-opiomelanocortin (POMC) suppression in rats. Significantly different metabolome signatures were identified between normal weight and obese adolescents and before and after metformin treatment groups. These metabolomic studies demonstrated that inflammation-driven insulin resistance, ammonia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may represent crucial metabolomic signatures in obese adolescents, and the anti-hyperglycemic effect of metformin is attributed to reduced POMC/adrenocorticotropic hormone (ACTH)/cortisol levels following AMPK/LXRalpha phosphorylation in the pituitaries.

      • 대장암 세포에서 Mad1이 저산소 자극으로 유도되는 Doxorubicin 내성에 미치는 영향

        조금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Cancer cells acquire resistance to chemotherapy under hypoxia. Hypoxia-inducible factors (HIFs) play major roles in altered oxygen milieus, and are known to associate with the hypoxic acquisition of drug resistance. Yet, it is uncertain which molecules mediate such the resistance. We profiled gene expression in colon cancer cells and found the hypoxic induction of MAX dimerization protein 1 (Mad1), which antagonizes the oncogenic action of MYC by competing for MAX binding.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if Mad1 contributes to the hypoxia-induced chemoresistance in colon cancer cells. The Mad1 expression was confirm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The hypoxic induction of Mad1 was attenuated by HIF-1α siRNAs, but less by HIF-2α siRNAs. A hypoxia response element was identified in the proximal region of the Mad1 promoter and its transcriptional activity was dependent on HIF-1α. To investigate how hypoxic cells acquire drug resistance, we treated doxorubicin to HCT116 cells under normoxic or hypoxic conditions, and found that doxorubicin -treated cells in hypoxia survived more than those in normoxia. It is well known that doxorubicin stimulates the generation of mitochondrial ROS, and thereby kills cancer cells. The doxorubicin-induced RO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under hypoxia, which was reversed by Mad1 knock-down. Also, the Mad1 knock-down reactivated the caspase-9/caspase-3/PARP apoptotic pathway in hypoxia. Mad1 inhibits the Myc-driven mitochondrial biogenesis, which was presented as mitochondrial enlargement on electron micrograph. When Mad1 was knocked-down, mitochondria was not enlarged even in hypoxia, suggesting that Mad1 determines the hypoxic suppression of mitochondrial activity. Summarizing, hypoxia-induced Mad1 lowers the doxorubicin production of mitochondrial ROS, and subsequently contributes to the tumor resistance to doxorubicin. Therefore, Mad1 could be a potential target for sensitizing cancer cells to redox-cycling drugs like doxorubicin. 암세포는 저산소 환경에서 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획득한다. 저산소 유도 인자(HIFs)는 저산소 환경에서 세포의 적응과 생존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저산소와 연관된 항암제의 내성의 획득에도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에 저산소 환경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유전자들을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MAX dimerizing protein 1 (Mad1)이라고 불리는 Myc 길항체가 저산소 조건에서 유도됨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Mad1의 발현이 대장암 세포에서 저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항암제 내성에 기여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Mad1의 발현은 RT-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 확인하였다. 저산소 조건에서 증가된 Mad1의 증가는 HIF-1α siRNA에 의해 감소하였고, HIF-2α siRNA에 의해서는 HIF-1α siRNA보다 감소 효과가 적었다. Mad1의 promoter에 저산소 반응 요소(hypoxia response element, HRE)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이 HRE는 HIF-1α에 의해 활성화되었다. 저산소 암세포가 어떻게 항암제 내성을 얻게 되는 지 알아보기 위해, HCT116 대장암 세포에 doxorubicin을 처치하였을 때, 정상 산소 환경보다 저산소 환경에서 생존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doxorubicin에 의한 ROS의 생산은 저산소에 의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Mad1을 감소시켰을 때 다시 이러한 감소가 회복되었다. 특히 Mad1의 억제는 저산소에서 caspase-9/ caspase-3/PARP로 이어지는 세포사멸과정 (apoptotic pathway)을 재활성화시켰다. Mad1이 Myc에 의해 촉진되는 미토콘드리아 생합성을 억제시키고 있음을 전자현미경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크기 증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Mad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경우 저산소 환경에서조차 미토콘드리아 크기가 증가하지 않았고, 이는 저산소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활성의 감소가 Mad1에 의해 결정됨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저산소에 유도되는 Mad1은 doxorubicin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ROS를 낮추고, 결국 doxorubicin에 대한 암세포의 내성을 유도한다. 따라서 Mad1은 doxorubicin과 같이 산화-환원 순환을 이용한 항암제에 대한 저산소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좋은 치료 타겟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