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퓨터포렌식과 안티포렌식에 관한 고찰

        조균희 광운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몇 십년 동안에 우리는 커다란 변화를 경험해 왔다. 사회의 전 부분에 걸친 정보혁명과 컴퓨터 도입은 국가의 안보와 경제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이런 정보화시대(Information Age)는 거대한 새로운 산업들을 창조했으며, 국가의 부(富)를 증대시켰고, 새로운 번영의 시대를 건설할 수 있는 기회를 앞으로도 계속해서 제공해줄 것이다. 컴퓨터의 이용이 확대되면서 누리는 편리함과 정보처리의 비약적 발전 등과 같은 순기능 못지않게 컴퓨터의 남용 및 오용으로 인류에게 피해를 초래하는 역기능적인 측면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컴퓨터범죄이다. 컴퓨터범죄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 제국에서는 1960년대 이후 속출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는 기존의 범죄들에 비하여 엄청나게 크다. 그래서 이들 국가에서는 이러한 신종범죄에 대한 법적 평가와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5년에 형법을 개정하여 컴퓨터범죄 처벌과 관련하여 새로운 조항의 신설 및 기존 법조문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규정만으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컴퓨터범죄를 억제하고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제1장 서론, 제2장 컴퓨터범죄의 실태, 제3장 컴퓨터포렌식과 안티포렌식, 제4장 포렌식 사례분석, 제5장 결론으로 고찰하였다. 컴퓨터범죄의 특징은 행위지와 결과발생지가 다르다는점, 피해의 광범위성,익명성과 국경의 제약으로 인한 범인추적에 어려움이 있으며 대부분의 컴퓨터관련 범죄자들은 고도의 전문성과 기술성을 가지고 있으며 범행의 자동성과 반복성이 수사를 더욱 어렵게하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범죄를 컴퓨터의 데이터처리·보존기능과의 관여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일반적 견해에 따라 컴퓨터 부정조작, 컴퓨터 파괴, 컴퓨터 스파이, 컴퓨터 무권한사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컴퓨터 포렌식은 컴퓨터범죄 수사관들에게 이미 발생한 범죄를 수사하는 과정에 합법적이고 체계적인 범증수립 절차를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법원에 과학적인 증거물을 제출하여 범죄사실 증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컴퓨터범죄 증명을 용이하게 하여 컴퓨터범죄자들의 경각심을 높여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제시된 새로운 영역이다. 더불어 해커들이나 컴퓨터범죄자들의 범죄회피수단으로서의 안티포렌식이 새로이 대두됨에따라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다. 컴퓨터범죄에 관한 대책으로는 범죄가 발생하기 이전에 그것을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컴퓨터에 관한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근원적으로 범죄의 발생을 막는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예방적 조치가 범죄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완전히 그것을 근절시킬 수는 없다고 본다. 따라서 사전예방책과 함께 사후의 규제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하는데 과학적 포렌식 기법의 개발과 더불어 사이버 윤리의식 고취등의 교육도 함께 병행되어야 할것이다.. We have changed a great deal in the last many years. Information revolution and computer invitation through all parts in our society brought on a remarkable change in individual daily life as well as in national security and economic. As this information age created new big industries and increased domestic industries’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 I think that it will provide us with a chance to construct the age of new prosperity. However the use of computer is a convenient, a rapid progress of data processing and so on. But computer is badly damaged by the abuse and the misuse of it. This is the very computer crimes I intend to study in this paper. Computer crimes are occurring in succession in USA, Germany, Japan, and so on since 1960. Compared with the existing crimes, it did great damage to many countries. Thus many countries take some preventive measures and legalization, legal action about a new type of crimes. Our country made an amendment of criminal law in 1995, and mad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current law system in connection with punishment for computer crimes. But I think that there is a limit to control and prevent computer crimes under the present circumstances that establish a new rule. This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1 is preface. Chapter 2 is a situation of computer crimes. Chapter 3 is computer forensics and anti-forensics. Chapter 4 is analysis on forensics cases. And chapter 5 is my conclusion. Features of computer crimes differ from the place of an act and an occurrence, have difficulty in finding a criminal by an extensive damage, an anonymity, and a boundary problem. Also most computer criminals have a high level of speciality, a skill, and is difficult to investigate by an automation and an repetition of a crime. In this thesis, I would classify computer crimes into data processing of computer and pattern of preserved function, and then group illegal operation of computer, computer destruction, computer spy, incompetent use of computer by the common opinion of all. Computer forensics must show legal and produce testimony on trustworthy evidence to an investigator of computer crimes. Therefore it is a means to make evidence of criminal facts easy by bring forward scientific evidence in a law court lastly. Also it is a new field to prevent from computer crimes by facilitate evidence of computer crimes. Moreover in proportion to raise anti-forensic as a means of criminal avoid, prompt measures should be taken to deal with this point. As a countermeasure on computer crimes, prevention is best way dealing with the problem. In order to this prevention, it is requested to rise fundamental crimes by establish a safe method. To prevent an affair from arising, it is fallen off, but we cannot root out crimes perfectly. So I think that we must draw up a regulation plan after events, develop scientific forensics, and teach people in ways of cyber ethical conscious.

      •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조균희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방법이 뇌졸중 환자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시공간적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성인 30명을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으로 10명씩 나누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일 30분씩, 주 3회, 총 6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앉은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관절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은 유의하게 증가했지만(p<.05), 근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 근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누운 자세에서 발목관절 가동범위는 세 군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에서 마비측 안·가쪽 장딴지근은 세 군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5), 마비측 앞정강근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발목관절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변화는 그룹 간 비교에서 세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보행변수의 변화에서 보행율, 보행속도, 보폭은 근수용기 자극 군,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p<.05), 관절수용기 자극 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결합 군이 관절수용기 자극 군보다 변화량이 컸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뇌졸중 환자에게 발목관절에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을 함께 실시할 경우 발목관절 가동범위, 근긴장도 및 뻣뻣함, 보행변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관절과 근수용기 자극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on the ankle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tone, stiffness, and spatio-temporal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30 adult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joint receptor,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synchronously for 30 min a day, thrice a week, for 6 weeks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In the sitting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joint receptor and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 the supine positio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among three groups.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change, the paretic mediolateral calf muscl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three groups (p<.05), and the paretic anterior tibial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nkle joint muscle tone and stiffness among the three groups. In gait ability change, cadence,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uscle receptor and the joints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The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gait ability change compared with the joint receptor stimulation group,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joint and muscle receptor stimulation can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range of motion, muscle tone and stiffness, and gait ability of the ankle j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