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대학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조군아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开发中国大学选修韩国语教材。 2015年以来,中国很多大学开始停止韩国语专业招生,同时《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对此提出要全面深化大学公选外国语课程改革,在教育环境良好的大学里争取提高第二、第三公共外语教学的实效性,提出了实施针对性授课改革的要求。另外,不断完善大学外语教学体系,大学不仅要构建英语授课体系,还要实施俄语,日语,韩国语,葡萄牙语等公共外语教育。因此作为选修科目的韩国语教育未来将在中国高等教育中得到进一步扩大和发展。 虽然从2018年以来中国国内关于大学选修韩国语教育的研究越来越多,但是选修韩国语教材开发方面的研究仍然非常不足。近年来,针对韩国语专业使用的教材开发相关研究很多,研究主要关注了在韩国开发的优秀韩国语教材以及商务韩国语教材。但是目前中国大学里使用的选修韩国语教材种类少并且存在一些问题,很多教材设计不符合大学选修教育目标,并且普遍存在选修韩国语教材开发初期阶段所需要的有效性基础资料不足等问题。优秀的教材不仅能够传播语言知识也是文化知识的载体,优秀的选修韩国语教材在讲授语言的过程中同样能起到传播韩国文化知识的作用。 根据以上阐述的问题点为基础,本论文探讨了中国国内的选修教育课程和选修韩国语教育课程的目标和内容,并且分析了目前中国现有的选修韩国语教材,然后针对中国大学申请选修韩国语课的学生和讲授选修韩国语课程的教师,以及中国大学与选修韩国语教育相关的行政人员为对象进行了问卷调查,设定了教材的开发方向,并提出了相应的选修韩国语教材实际构成案例。 关键词: 选修韩国语, 通识教育, 教育课程, 课程设计, 教材开发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중국 대학의 교양과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2010년대 후반기에 들어와 중국에서 많은 대학들이 한국어 전공자의 모집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와 맞물려 중국 <교육부 고등교육사 2019년 사업 포인트(教育部高等教育司2019年工作要点)>는 공공외국어 수업 개혁을 전면 심화하고, 교육 환경을 잘 갖춘 대학에서 제2, 제3의 공공외국어의 실효성을 높이도록 맞춤형 수업 개혁을 실시할 것을 제시했다. 또한 대학 외국어 학습 체계를 보완하고 대학에서 영어 수업 체계를 구축할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러시아어, 일본어, 한국어, 포르투갈어 등 공공 외국어 교양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양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앞으로 중국의 대학교육에서 더욱 확대되고 발전될 것이다. 2018년 이후에 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에 관한 연구가 많아졌으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중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 한국어 전공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적지 않았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우수한 전문 교재와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수입해 왔다. 그러나 교양한국어 교재는 아직 많이 부족하고 교양한국어 교육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초기 단계에 필요한 실효성 있는 기초 자료가 매우 부족한 경우가 많다. 우수한 교재는 언어 지식을 전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 지식의 수용체여야 하며, 언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 한국사회를 보급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교양교육과정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하고 현재 중국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에서 교양한국어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과 교사, 그리고 대학의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재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교양한국어 교재의 교수요목을 설계하고 교재 전체의 단원을 구성한 다음 교양 한국어 교재의 한 단원을 예로 제시하였다.

      • 실크로드와 일대일로의 비교연구

        조군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origin of Silk Road can trace back to the 5th century BC. It was the major pathway for communication and trade between the Europeans and Asians at that time. On 7th September 2017, China's President Xi noted in his speech at Kazakhstan Nazarbayev University that to build the Silk Road Economic Belt together. In October the same year, he again noted the initiative of building the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together during his visit to Central and Southeast Asia, which gained extensive international attention. Later, these two concepts “Silk Road Economic Belt” and “21st-Century Maritime Silk Road” were combined and known officially as the B&R (the Belt and Road) national strategy. Same as the Silk Road concept from ancient time, B&R strategy focuses on linking the Eurasia and the Ocean roads. Although B&R strategy gained many positive reaction international wide, however the New Criticism had challenged it with its domination right issue.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B&R to better understand it. The article starts with the origin and current progresses of the ancient Silk Road and the B&R strategy. Following with an analysis of the basic concept, geographical range and trade relating issue of both ancient Silk Road and the B&R. The analysis shown that the ancient Silk Road is the backbone of the B&R, yet is was not efficiently used for econnmic development nor for efficiently gaining trade benefits by China, but was mainly used by Persian and Arabs from Central Asia. With the geographical range and trading strategy of the ancient Silk Road aspects, it was restricted by lacking of transport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echnology. Today, B&R had overcame those problems with the support of great industri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global logistic system. It adheres the spirit of ancient Silk Road: friendship and sharing. It lays out five major goals to build shared future with related countries. Through facilities connectivity, unimpeded trade, financial integration, and people-to-people bonds, to achieve a better world peace and rapid development worldwide. 실크로드의 역사적인 뿌리는 기원전 5세기에서 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실크로드는 유럽과 아시아 민족의 교류와 교역의 중요한 통로였다. 15세기 유럽이 바다를 통한 대항해에 나설 때까지 이 실크로드는 문명과 물자의 가장 중요한 교류통로였다. 그로부터 500년이 지난 오늘날 중국은 ‘일대일로(一带一路,One Belt and One Road)’를 제시하였다. 고대 실크로드처럼 ‘일대일로’ 전략은 유라시아와 대륙을 내륙과 해양으로 각각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이다. 고대 실크로드와 일대일로는 많은 점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동서양의 교류 그리고 교역루트 등에서 많은 측면에서 중복되고 있다. 경제교류뿐만 아니라 문화 및 정치적 교류 등을 포괄하고 있는 점도 유사하다. 그런 한편 시대적 배경과 포괄범위 그리고 교류와 교역의 내용 등에서 차이도 적지않다. 고대 실크로드는 왕정지배하의 고대적 질서에서 주로 사치품을 중심으로 교역이 이루어진 반면 일대일로는 현대의 매우 발달된 경제를 배경으로 다양한 상품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험하고 위험한 육로와 해로를 따라 교역과 이동이 이루어진 반면 오늘날에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고속도로와 철도가 교역과 소통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울러 고대의 실크로드가 주위의 국가들의 성쇠에 따라 부침을 겪었다면 일대일로는 참여하는 국가들의 공동번영과 공통이해를 바탕으로 좀 더 항구적인 교역과 교륙의 길을 추구하고 있다. 나아가 일대일로 전략은 많은 생활필수품과 경제건설에 필요한 물자이동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과거 실크로드보다 훨씬 심대한 영향을 각 나라에 줄 것이 예상된다. 과거 실크로드의 경우 주로 사치품의 이동에 국한되어 각국의 경제구조에 심대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일대일로는 다양한 수송수단에 의해 많은 물자들이 한꺼번에 이동함으로써 경제구조에 매우 큰 영향을 줄 것이 예상된다. 이러한 일대일로를 통해 관련 국가들의 경제구조 및 산업은 새로운 단계로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 한국어 문화어휘 교육 연구

        , 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1967

        Discussions on the importance of a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education continuously become an issue. Cultural lexicon education dealing with Korean and the concept of culture ultimately aim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As the “Internationally-used Korean Standard Curriculum” enabling to variably apply the curriculum to be suitable for learning purposes and situations of educational sites and learners is recently developed, it has prepared for objective reference standards by setting standards in a big picture. What is considered as important in this context is cultural lexicon. Since the term “cultural lexicon” in this study is closer to the meaning of lexicon collection rather than the meaning of words, language, or vocabulary, it corresponds to lexicon hav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glossary, and list. The communication ability improvement that can be an ultimate obj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an be realized when a cultural ability based on a language ability is combined. The reason why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should not be ignored lies here, when the expansion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Korean-related interested parties’ communication ability is carried out. Although such critical mind did not occur suddenly, concrete and in-depth discussions on the connection of language and culture really lack. Therefore the discussions have been naturally performed, centered on the issue of cultural lexicon (lexique culturel) adoption. The cultures of China and Korea can be said to have sharing experience historically and those may approach the sharing culture of the Chinese characters-using regions in terms of language. From a Chinese learners’ perspective, the reason that teaching-learning on lexicon implying the sharing culture is important lies here, when they want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Korean cultural lexicon, priorit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lexic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presented it as a li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scope according to cultural lexicon nature, and presented three standards, namely frequency and cultural factor. The selection process of cultural lexicon is as follows: First, the cultural lexicon for education was selected by topic through the cultural lexicon in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teaching materials of three institutions. Second, the intermediate level words were looked for from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obtain objective data after the first classification. Third, search was carried out from the Corpu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o objectively check whether the classification is accurate and the frequency in the teaching materials was compared. Fourth, the ultimate cultural lexicon was classified by judging what the necessary lexicon is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or Chinese learners. Also, blended learning was suggested as an efficient an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ans containing the selected cultural lexicon for education. Because cultural lexicon implies culture itself, the language and culture can be put on the close connection line. When the language ability and cultural ability are combined, the communication ability can be improved.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and patterns of cultural lexicon for Chinese learners and the cultural lexicon list made based on it are expected to help the improvement of a communication ability in Korean for Chinese learners.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지속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다. 이에 따른 한국어와 문화의 개념을 아우르는 문화어휘 교육도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궁극적 목표로 두고 있다. 또한 최근에 교육 현장과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상황에 알맞게 교육과정을 가변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이 개발되면서 큰 틀에서 기준을 정해 주어 객관적인 참조 기준을 마련해주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이 문화어휘(Cultural lexicon)이다. 본 연구에서 문화어휘라는 용어에서 어휘는 words, language, vocabulary의 의미보다 어휘 목록 수집 접근의 의미에 더 가깝기 때문에 어휘, 용어집, 목록 등의 뜻을 가진 lexicon에 상응한다.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라 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언어 능력을 바탕으로 문화 능력이 융합될 때에 비로소 실현되는 것이다. 한국어 관련 이해종사자들이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의 방법을 확대할 시에 반드시 언어와 문화의 연계를 간과하지 않아야 할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갑자기 발생한 일은 아니지만, 언어와 문화의 연계에 대한 구체적이면서 심도 깊은 논의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논의 또한 자연스럽게 문화어휘(lexique culturel)의 도입이라는 쟁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렇기에 중국과 한국의 문화는 역사적으로 공유 경험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언어적으로는 한자권의 공유 문화에도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중국인 학습자의 관점에서 볼 때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공유문화를 함축한 어휘에 대한 교수·학습이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이다. 한편 한국어 문화어휘의 개념을 정립한 후에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어휘를 중요도에 따라 우선 순위화하여 목록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어휘의ㅣ 성격에 따른 범위를 범주화시키고, 빈도수, 문화요소라는 세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문화어휘 선별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3개 기관의 중급단계 한국어 교재에 있는 문화어휘를 통해 교육용 문화어휘를 주제별로 선별하였고, 둘째, 1차 분류 후 객관적 자료를 얻기 위해서 국립국어원에서 중급단어를 찾아보았다. 셋째, 등급화하는 것이 정확한지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역시 국립국어원의 말뭉치에서 찾아보고, 교재안 빈도수를 비교해 보았다. 넷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것이므로 설문조사를 통해 필요한 어휘는 어떤 것이 있을지를 판단해 최종적으로 문화어휘에 대해 분류하였다. 또한 선정한 교육 문화어휘를 내용으로 해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교수학습방안으로 '블랜디드 러딩(Blended Learning)'을 제안하였다. 문화어휘는 그 자체로 문화를 함축하고 있기 때문에 언어와 문화가 밀접한 연계선 상에 놓여질 수밖에 없다. 언어 능력과 문화 능력이 융합될 때에 의사소통능력은 향상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문화어휘를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개념 및 유형의 재정립 및 이를 근거로 수립한 문화어휘 목록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의사소통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 방안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