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 교사의 감정 노동에 관한 연구

        조경숙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 교사가 영유아와 함께 일과를 보내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파악하여 어떤 상황에서 정서 노동을 느끼며 일상 속에서 경험하는 정서 노동의 정도를 파악하여 감정 노동을 예방하고 이에 따른 대처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 노동 수준을 파악한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감정노동의 차이를 알아본다. 셋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27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 하였으며 사용한 도구로, Gilstrap (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감정 노동 척도(Emotional Labor Scale: ELS)를 이진화 (2007)가 수정하여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보육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 하였고, 정서 노동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 계수를 사용하였다. 감정 노동의 수준 차이를 t-검정과 F-검정(ANOVA), 사후검정으로는 Scheffé를 통해 보육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비교분석 하였으며 배경변인 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적 행동,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인 3가지 유형의 감정 노동을 분석한 결과 보육 활동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 시간 내에 가장 많이 느끼는 감정 노동 유형은 내면적 행동에 대한 감정 노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라 감정 노동의 수준 차이가 일부 변인에서 나타났다. 첫째, 결혼 상태에 따른 감정 노동의 수준에서는 기혼의 보육교사가 미혼인 보육 교사 보다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는 자연적 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둘째,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보육교사의 감정 노동 수준의 차이에서는 자연적 행동, 표면적 행동, 내면적 행동에 따른 차이를 도출하지 못하여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가 느끼는 감정 노동이 모두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는 근무경력이 길어질수록 감정노동 중 자연적 행동과 표면적 행동을 많이 하는 반면 보육교사의 내면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없었다. 보육 현장에서 보육 교사는 본인 고유의 감정을 억누르고 장시간 세심한 배려를 필요로 하는 영유아들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직업의 특성상 감정 노동은 흔하게 나타나는 일이며 직장 내에서 감정을 계속 통제해야 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육 교사의 감정 노동의 중요성을 자각하여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 규명에 대한 관심과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 교사의 감정 노동을 극복하기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 내의 정서적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둘째, 학부모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셋째, 보육교사가 가지는 감정 노동에 대한 긍정적인 표출이 필요 하다 넷째, 보육 교사 자격증 발급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 다섯째, 보육 교사의 전문적 확보를 위한 지원이 필요 하다. 여섯째, 보육 교사의 근무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보육 교사의 감정 노동에 대한 동기, 과정 및 결과 등을 구체적으로 탐색 하여 보육 교사들의 감정 노동이 갖는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정책의 방향 개선을 통해 보육교사의 감정 노동에 대한 배려와 처우 개선을 고려한 발전적인 보육 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동화제시방법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조경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needs for this research storybooks among the various genres of literature are common teaching methods in kindergartens which offer infants abundant living experiences and help them to get knowledges and informations. The progress of reading storybooks is very concrete and effective way of studying for infants to have imaginations and interpretations about all sorts of things.(Yi Cha-Suk, No Myoung-Hwan 1995). Storybooks are most close to infants and help them to express their various thoughts and creative inclinations. The question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will show you the infants' language abilities effects under the influence of teacher's storybooks delivery methods. Inf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n two groups have different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By contrasting the differences of language abilities between two groups, I'll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2. Is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infants' ability of language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The ways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0 infants of the age 5 who were attending B kindergarten's 2 classes located in Y district, Jeon buk.. The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class -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class - control group)and before this experiment, I made sure that two groups had the same quality by preliminary inspection. The test tools of this research The language expression test tool Language expression test tools used in this research were produced by Jang Young-Ae(1981) for the level of those age of 4 to 5 . This test is composed of three parts - vocabulary test, language understanding test, language expression test - but in this research, I only used the language expression test tool. It have three items point - agreement, connectivity, creativity of the contents, I evaluate the more language ability, the more the adding points of each items. The language understanding test tool In this research, I used the preliminary and post examination tools which is devided into two parts; one is for story structure, the other is prescriptive questions suggested by Pak Young-Ran(2000) to measure infants' ability of language understanding, The analyzing data The analyzing data was operated to know connection of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language understanding and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The result was changed to point and T inspection was carried out to definit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experimental group between control group. analyzing data was managed with SPSS/PCT program. The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 meaningfully. The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infants' ability of language understanding meaningfully. First,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content agreement among the infants' abilities of language expression meaningfully. This result is like some previous results; Storybook delivery influences on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vocabulary, The effect of teacher's question types while storybook activities on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vocabulary. Second,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content connectivity This result is like some previous results; Storybook presentation activities enhance the ability of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nguage expression, The effect of storytelling what they've heard on infants' reorganizing story. Third,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the infant's content creativity among the infants' abilities of language expression meaningfully.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esult of Yun Hye- Jin's previous research(1993) about the relativity between creating stories and infant's creativity. Fourth,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enhance the infants' ability of language understanding. this result is not different from previous result; the effect of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on infants' storybook understanding. As you can se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torybook delivery experiences can enhance the infant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language understanding and this results are not different from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es.

      • 형태주의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남자 아동의 부적응 감소에 미치는 효과

        조경숙 부산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형태주의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6학년 남자 아동들의 부적응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1. 형태주의 집단상담을 받은 후가 받기 전에 비해, 부적응이 감소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P광역시 Y초등학교 6학년 남자 20명으로 실험집단에 10명과 통제집단에 10명을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형태주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했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의 절차는 피험자 20명에게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지막 실험처치 4주 후 추수검사를 하였다. 검사도구는 어린이행동평정척도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전-사후 검사를 하여 채점한 후 t검증을 실시하여 유의도를 알아보아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남자 아동의 부적응은 형태주의 집단 상담을 받은 후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적응점수가 향상되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부적응이 감소되었으며 가설은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남자 아동들 중 適應점수가 낮은 아동들은 형태주의 집단상담이 부적응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stalt group counseling on the maladjustment decrease of elementarys boy children.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 1.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for children will decrease their maladjustment. For this study, twenty boys of Y elementary student in the sixth grade, living in Pusan,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y were divided to two groups. ; One, the experimental group (N=10), and the other, the control group (N=10). For the experimental group, Gestalt group counselling was performed. And for the control group, no counselling was performed at all.)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he Child Behavior Rating Scale". For this data analysis, t-test was us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Gestalt group counsell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this group result ed in significant decrease in boy's maladjustment Then, in this experimental group, some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e decrease of boy's maladjustment Therefore the Gest alt group counseling is efficacious for the boy's maladjustment decrease.

      • 한식 사용에 따른 학교급식 영양사의 한식에 대한 인식 및 영양소 공급량 조사

        조경숙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 식생활에 새로운 식문화의 도입으로 일어나는 식생활의 변화는 세계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며, 우리나라도 빠르게 변화되어 왔으며 서구화 되어 가는 음식문화가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의 식습관과 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교급식은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 및 식생활 태도를 갖게 하며 고유의 음식을 보급함으로써 우리 음식문화를 알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다. 이에 학교급식을 담당하는 영양사의 한식 사용에 따른 인식을 조사해 보고 영양소 공급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여 한식의 개선점을 파악하고 활용을 증대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근무하는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학교는 초등학교 95교, 중학교 50교였으며, 한식 사용에 따른 인식조사, 식단 분류, 한식 및 서양식, 동양식, 절충식의 사용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2주간 영양소 공급량 및 평균필요량과 권장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영양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식 사용은 초등학교의 경우 연령 41세~50세의 영양사가 한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30세 미만과 50세 이상의 경우는 한식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영양사 경력이 많을수록 한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학교 유형, 학생수, 결혼여부 등은 한식 사용에 특별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한식의 장점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우리 고유의 음식이다’와 ‘우리 입맛에 잘 맞다’고 하였으며, 한식 식단 반영 정도는 ‘평소’에 ‘자주 반영’한다고 하였다. 자주 제공하는 음식의 종류로는 ‘나물,채소류(숙채,생채등)’라고 하였으며 제공하기 어려운 점으로 ‘기호도’가 낮아서이며, 개선점으로 ‘기호도’와 ‘표준조리방법’이라고 하였다. 한식 사용시 가장 많이 제공하는 식단은 김치류, 밥류, 국류의 순이었으며, 부찬류로는 무침류, 볶음류, 과일류의 제공도 한식을 많이 사용하는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초등학교는 한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에너지와 지방량이 낮았으며(p<0.05), 중학교는 한식을 적게 사용하는 그룹이 에너지는 낮았고, 한식을 많이 사용하는 그룹에서 지방량이 낮았다(p<0.05). 한식 사용에 따른 총 열량에 대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으로부터 얻는 에너지의 비율은 초등학교, 중학교 모두 탄수화물이 차지는 하는 비율이 높고, 지방의 비율이 낮았다(p<0.05). 중학교에서 칼슘만 권장섭취량 미만으로 제공하였고, 다른 모든 영양소는 학교급식 영양관리 기준에 의거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제공된 영양소를 조사한 것이므로 실제 섭취량으로 해석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실제 섭취량 및 잔반량 등에 의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전통 식생활 유지 측면과 영양면에서도 우수한 한식을 적극적으로 학교급식 식단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영양사 간 정보교류 및 조리방법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여건 조성과 학생들의 기도호를 높일 수 있는 레시피 개발 및 표준조리방법 등이 제시된다면 좋은 학교급식 식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보며 영양교육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문화 및 전통 식생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nges in dietary life, due to the introduction of new food cultures to traditional dietary life, is a common phenomenon around the globe. Korea's dietary life has gone through rapid changes as well, and dietary life that is getting westernized is affecting dietary habits and behaviors of the students who will be living the future. School meals allow the students to form proper dietary habits and adopt proper dietary behaviors, and also have a meaning of providing an opportunity to introduce Korea's food culture by distributing traditional foods. Therefore, awareness of the nutritionist who are in charge of school meals, according on the usage of Korean food, was investigated. Also, difference in the nutrition supply aspect was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suggested improvements of Korean food and discover the plan to make its usage significant. A surve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nutritionists working in Gyeonggi-do. Schools surveyed included 95 elementary schools and 50 middle schools. Awareness survey, menu classification, and usage proportions of Korean food, Western food, oriental food and eclectic food were surveyed, and two weeks of nutrition supply quantity, average requirement quantity and recommended intake were investigated. In Korean food usage of nutritionis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nutritionists between the age of 41 to 50 used the Korean-style frequently in elementary schools, and nutritionists below the age of 30 and above the age of 50 displayed lesser usage of Korean food (p<0.05).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nutritionists with more experience were shown to use Korean food more frequently(p<0.05). School type, number of students, marital status displayed no trend when it comes to Korean food usage. When asked about the advantages of Korean food, nutritionists in both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responded that Korean foods were "our traditional food" and "fit our appetite". According to them, Korean foods were "ordinarily" "often reflected", and "seasoned vegetables, vegetables(steamed vegetables, raw vegetables etc)" were the most frequently served foods. Nutritionists also responded that Korean-style foods were difficult to serve due to low "preferences", and suggested improvements were "preference" and "standard cooking methods". The most frequently served menus were, in order of frequency, Kimchi, boiled rice and soups. Seasoned salads, stir-fries and fruits were served frequently as well in elementary schools with heavy Korean food usage (p<0.05). In elementary school, energy and fat content were lower as the use of Korean food increased (p<0.05), and in middle school, lower Korean-food usage group showed lower energy, and higher Korean-food usage group showed lower fat content(p<0.05). In the proportion of energy acquired from carbohydrates, proteins and fats with respect to the total calories from Korean-style food usage, bo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wed a high proportion of carbohydrates and low proportion of fats(p<0.05). In middle school, calcium served was below the recommended intake, and all other nutrients were being served in accordance with school meal's nutrient management standards. However, since this study only examined the provided nutrients, it has a limitation in interpreting them as the actual intake. This research should be supplemented by the actual intake and leftover food. In order to actively reflect Korean food, which is superior in maintaining traditional dietary life and nutrition aspect, to school meal menus, conditions where nutritionists can share information and recipes must be created, and recipe developments and standard cooking methods that can increase the preference of students should be proposed. With such methods, Korean food can be utilized as good school meal menus, and it is suggested to carry out education on Korea's traditional food culture and dietary life education through nutrition education.

      •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경숙 蔚山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풍부한 음악적 경험과 다양한 창작 활동을 제공하는 아마데우스 클래스 음악교육이 유치원 음악교육 현장에서의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및 음악적 표현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획일화된 주입식 음악교육과 기술 중심적인 음악교육들은 유아의 발달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있으므로 유아들을 음악과 오히려 멀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유아들의 감성과 창의력을 성장시키기가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아기 음악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은 좀 더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음악교육 과정을 준비하여 접근해야 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U시에 소재한 A유치원 재원 유아 가운데 6세 32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으로 배정하였으며, 실험집단은 6주간 총 12회의 아마데우스 클래스 전문교사의 지도와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 활동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은 6주간 총 12회 담임교사에 의해 7차 유아교육과정 표현생활 영역의 표준 음악교육 활동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 및 비교집단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적 인지능력과 음악적 표현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공변량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은 유아의 음악적 인지능력 중 음높이와 셈여림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은 유아의 음악적 표현능력 중 신체표현과 음악 만들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음악활동으로 구성된 아마데우스 클래스에 기초한 음악교육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음악교육에 관한 후속연구를 위해서 다양한 연령대의 유아를 위한 연간 음악교육의 개발이 필요하며, 좀 더 장기적인 개입을 통해 유아의 음악적 능력의 발달 및 태도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가 요구된다.

      • 도덕교육의 인격교육적 접근 : 중학교 도덕교과의 효윤리를 중심으로

        조경숙 聖山孝道大學院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격교육론자들은 학생들이 알아야만 할 그리고 획득해야만 할 인격들이 있으며, 그러한 특성들을 모범적인 사례들에 의해 배우며, 일단 그것들을 알게 되면, 제2의 본성이 될 때까지 그것들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인격의 정의를 내려보면 ‘어떤 사람의 인격도 특히 대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와 자신의 도덕적 선택과 관련된 사고와 행위의 정상적인 형태이다.’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강조점은 인격이 자신과 타인의 행복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이다. 리코나(Thomas Lickona)는 인격 발달에 있어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아동들이 속해 있는 각각의 공동체들은 상호 의존과 상호 존중을 고무하는 가운데 역동적인 환경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인격의 발달은 좋은 도덕적 환경 속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해 주고 있다. 이렇듯, 인격교육론자들은 훌륭한 인격은 덕이 시범 보여지고, 가르쳐지고, 그리고 확인되어지는 인격의 공동체 혹은 도덕적 공동체 속에서의 삶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인격교육론자들이 시도하고 있는 인격의 개념은 매우 자명 해 진다. 즉, 인격은 일관된 행동과 가치의 유형으로 도덕적행동을 통하여 그리고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달하는 동시에, 인격은 단순히 도덕적 추론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인(whole person) 으로서의 인 간개념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Ⅱ장에서는 인격교육이 등장한 배경과 함께 인격교육의 방법적 원리를 살펴보고 인격교육의 접근방법에서는 인격을 인지적,정의적, 행동적 측면으로 보아 바람직한 인격을 육성하기 위해 학급과 학교, 가정및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통합적 인격교육의 접근에 대해 언급하였다. Ⅲ장에서는 인격교육의 문제점을 먼저 지적하였고, 효교육 지도방법에서는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근본인 효를 인격교육의 중심으로 보는 입장에서 보편적 효윤리체계의 틀을 유출하고 그 덕목을 분석하였다. 효를 행하는 것은 그 자체로 덕을 실천하는 것이며, 덕에 접근하는 통로가 효라는 점에서 효와 덕과 교육과의 관련을 지을수 있겠다. 학생들의 인격발달과 인격의 변화를 도모해야 하는 것은 바로 교사의 할 일이다. 도덕과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인격의 인지적, 정의 적, 행동적측면을 통합적으로 강조하면서 학생들의 인격발달에 도움을 주는 교훈적인 효이야기의 자료개발을 주축으로 하는 교사의 역할에 관심을 두고 있다. 효율적인 효교육 지도방법으로 효윤리이야기를 제시하고 몇가지 예시안과 질문을 마련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려고 하였다. 도덕과 교사들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인격교육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삼고자 하는 것이다. 효를 행하는 것은 덕을 실천하는 것이며 ‘효는 덕의 근본’이라는 효경의 말은 덕(德) 효(孝)의 근본이라는 점과 덕에 통하는 통로가 효라는 점을 뜻한다. 이는 효가 개인을 덕으로 이끄는 힘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은 한국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인격을 대표하는 4개의 생활영역별 가치․덕목을 핵심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이 4개 영역에서 각 영역별로 5개씩 하여 20개의 주요 덕목을 구성한 것은 도덕과에서 한국인의 바람직한 인격을 대표하는 내용 요소이다. 그중에도 가정생활에 있는 효도의 덕목과 사랑과 공경이 포함되어 있다. 요컨대 이상의 연구를 통해 인격교육이 등장한 배경과 인격의 내용, 그리고 인격교육의 방법적 원리를 다루고 사람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효가 인격교육의 바탕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인격발달을 위하여 효율적인 효교육 지도방법으로 이야기효윤리를 제시하고 몇가지 예시안과 질문을 마련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학습현장인 교실을 도덕공동체로 만들고 학생 상호간의 활동을 유도하며 지속적으로 효윤리이야기를 개발해 나가야 하는 교사의 자질이 요구되며, 유능한 교사의 확보가 문제가 된다. Personality educators stress the need to practice the personality that students must acknowledge and obtain through a model precedent until it becomes the 2nd personality of own. To define personality : it can be said "anyone's personality, particularly affecting other people's happiness, is a constant form relating moral decision of oneself. The point, here, is the personality is associated with own happiness as well as others. Thomas Lickona stresse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 personality development. Each community infants belongs must constitute based on mutual dependence and respect. In other words, Thomas Lickona indicates that personality development is feasible on a good moral environment. Thus, personality educators believe that admirable personality derives from the virtue which sets an example, teaches, and confirms community of personality. By approaching this way, it is clearly self-evident how the personality educators attempt to show the concept of personality. Personality develops through moral behavior based on consistent act and tangible value, and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Personality not only implies the moral deducting ability, but it also relates to a personal concept as a whole person. Chapter II discusses the background of character building and its methodical principles, and the character building approach refers to personality on acknowledging, defining, and conducting side and to an approach by unifying character building that includes class, school, family and regional society in order to develop to a desirable character. Chapter III points out the mistakes made by the character building. In a filial piety teaching method on a view that filial piety being anyone's fundamental, I analyzed moral principle and dragged out the general ethical system framework. To act a filial piety itself practices the virtue and thus correlation among filial piety, virtue and education can be derived from the fact that filial piety acting as an entrance to approach the virtue. It is teachers' duty to propose students'personality development and character building. Teachers' primary role to assists student personality development via instructive filial piety stories and data exploitationis mainly concerned as well as integrated emphasis on acknowledging, defining, and conducting side of personality to maximize moral education effect. By suggesting ethical stories relating to filial piety and by giving several examples and questions as aneffective filial piety education guide , the students interaction is expected to promote. As an alternative proposal it is to state that applying the suggestions of morals and teachers in the practical field, character building problems can overcome. As stated in The Book of Filial Duty , "filial piety is the foundation of virtue"means virtue is a foundation of filial piety and the entrance to virtue is filial piety. This indicates that the filial piety is the main force to lead a person toward a virtue. The cor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consists of the value and moral principles representing four living area as a desirable Korean personality. The reason to compose the contents of the 7th morals curriculum in 20 division, 5 sub-division from the 4 main living area, is to represent desirable Korean personality. Among them, virtue of filial piety, love and respect are included in the family life. Briefly, the filial piety is considered as a foundation of character building, based on the above studies that devote the principles of character building.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personality, stories relating to filial piety ethics, several examples and questions are suggested to derive an effective filial piety teaching method. Above all, the main focus is to securing teacher of ability since they are responsible for ensuring a classroom as a moral community, guiding studentactivity interaction, and consistently developing filial piety stories.

      •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참여가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

        조경숙 대구한의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참여가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집 된 자료는 대구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다니고 있는 400명을 편의표집에 무작위 추출하여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작성은 해당학교 학생대표의 협조를 얻어 학생들이 직접 작성하여, 387부(회수율 97%)를 회수하여 387명을 최종자료 분석의 대상자로 삼았다. 측정도구는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 사회참여, 시민성 척도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신뢰도 Cronbach’s α. 변수 간의 관계를 Pearson의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은 청소년의 시민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주도적 성격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시민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도적 성격이 시민성의 하위요인에 자율성, 공동체의식, 참여의식, 관용의식모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도적 성격이 높을수록 자율성, 공동체의식, 참여의식, 관용의식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참여가 청소년의 시민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시민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가 높을수록 시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민성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공동체의식, 참여의식, 관용의식 각각 연구한 결과는 자율성과 참여의식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동체의식과 관용정신에는 유의수준에 미치지 않아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사회참여가 시민성에 긍정적 효과의 연구 결과가 있는 가운데 시민성의 하위요인별로 연구하여 미흡한 시민성의 하위요인별 효과성이 큰 활동이나 교육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과 사회참여가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주도적 성격이 사회참여에 비해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성격에 맞는 시민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사회참여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격 형성 전 그 나이에 맞는 활동이나 체험이 시민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youth'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on their civility.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the 400 randomly sampled students of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based on convenient sampling. The questionnaires were filled out directly by students. A total of 387 questionnaires(recovery rate of 97%) were collected, and data from 387 subjec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scales for youth' proactive personality, social participation, and civil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s for the methods for analyses, the frequency analysis(frequenf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youth' proactive person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youth' civility. In other words, the youth' civility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youth' proactive personality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proactive person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utonomy, community spirit, participation awareness and tolerance awareness, the sub-factors of civility. Higher proactive personality was found to lead to higher autonomy, community spirit, participation awareness and tolerance awareness. Second, the youth' social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youth' civility. In other words, youth' civility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youth'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Furthermore, the youth' civility was higher as their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However, youth' civ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ly on the autonomy and participation awareness among such sub-factors of civility as autonomy, community spirit, participation awareness, and tolerance awareness.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civility on the community spirit and tolerance spirit did not reach a significant level, While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confirmed the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on civility, the activities or educations with greater effect on each of inadequate sub-factors of civility would be all the more necessary based on investigation into sub-factors of civility. Third, the effect of adolescents' proactive personality and social participation on the civility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e adolescents' proactive personality was found to have greater influence than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conducive to improving the civility in such a way that would suit the personality.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 suited for the age would help adolescents improve the civility prior to formation of personality and also help them take on the roles as desirable global citizens in the face of various social issues that have remained unresolved.

      • 한국 정치의 미디어화(mediatization) 연구 : 가시성을 중심으로

        조경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pplies the theory of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to South Korean society. While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seas, studies on this topic are rare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no research has been done on politicians. Politicians are key actors in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mediatized politic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and behaviors of politicians.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is a key concept for understanding modern democracy and politics.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exclusively on Western society.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 process that applies the concept of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to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bin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First, concepts that comprise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in South Korea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oliticians(Study 1). Fifteen politicians, including current member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those working for the National Assembly, political parties, or the national government, and three journalists were interviewed,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cept of visibility.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the level of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and factors influencing this concept was tested, using a survey of politicians(Study 2). Data from 357 politicians who participated as respondents was used in the analysis The central result from this study on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in South Korea is the logic of visibility, which has established itself in the daily activities of politicians. It refers to the tendency to show that they are present, and to draw people's attention and seek recognition in public spaces. Visibility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concept of publicity; publicity implies seeking a positive or good reputation while visibility places emphasis on revealing oneself in the media space. Thi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being invisible is worse than being criticized, and that being known is the priority, irrespective of whether one is liked or disliked. Politicians' perceptions of media influence are manifested through their ready acknowledgment of, and their attempts to generate exposure in the media. Politician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media-related changes in the political environment can be summarized into four points: changes in the speed and mode of communication, described through the shift from “pre-recording to live TV”; an increased tendency to focus on managing public opinion; an increase in politicians’ personal media and the priority ascribed to attitude; and a mode of communication that divides team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eam members. The key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mediatization of Korean politics was tested in two phases. The overall levels of mediatization which were widely accommodated in earlier studies (extension, substitution, amalgamation, and accommodation), and the degree to which visibility was pursued both registered large average value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dian. This result suggests that Korean politics has been mediatized to a considerable degree.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degree to which the politicians pursued visibility in daily life in comparison to coordination, which adjusts diverse views and interests within society. The result indicate that visibility was pursued more in presenting messages than in any other political activity. Also, timeliness or speed was considered important to obtain visibility. Thir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pursuit of visibility were the amount of time spent on news or media and the perception of media influence linked to specific political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media influence showed no variation by ideological orientation, career length, and average level. 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ticians' pursuit of visibility goes beyond personal differences and functions as a kind of cultural practice or a political custom. This study obtain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from politicians. Based on this data, the study examines theoretical discussions in earlier studies, derives concepts that constitute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in South Korea, and tests them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performed in this study is the first such attempt in South Kore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f the mediatization of politics will lead to more follow-up studies in South Korea. 이 연구는 정치의 미디어화 이론을 한국 사회에 적용했다. 해외에서 폭발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달리 그간 국내에서 관련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특히 정치인들을 직접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정치인들은 정치의 미디어화 과정에서 핵심적인 행위자다. 이 연구는 정치인들의 인식과 행동을 조사해 미디어화된 정치의 특징과 의미에 접근하고자 했다. 정치의 미디어화는 현대 민주주의와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개념으로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대부분 연구가 서구사회를 배경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사회에 정치의 미디어화 개념을 적용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결합했다. 먼저, 정치인 심층 인터뷰를 통해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정치의 미디어화를 구성하는 개념을 도출했다(Study 1). 현역 국회의원을 비롯해 국회, 정당, 정부 등에서 활동하는 정치인 15명과 기자 3명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도출된 개념은 가시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정치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치의 미디어화 수준과 영향 요인을 검증했다(Study 2). 정치인 357명이 참여한 응답 자료가 분석에 이용됐다. 이 연구가 한국에서 정치의 미디어화와 관련해 중심적으로 제시한 결과는 정치인들의 일상적인 활동에 자리 잡은 가시성 논리다. 가시성은 공적 공간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공중의 주목과 인정을 받으려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 공간에 자기를 드러내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혹은 좋은 평판이라는 목표를 함축하는 기존의 퍼블리시티 개념과는 다소 결이 다르다. 비난받는 것보다 존재감이 없는 것이 최악이고, 좋아하든 싫어하든 일단 알려지는 게 우선이라는 인식이 이를 뒷받침한다. 정치인들의 미디어 영향력 인식은 미디어 노출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부여와 노출을 위한 다양한 노력으로 표출되고 있었다. 미디어가 관련된 정치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치인들의 인식과 대응은 네 가지로 요약되었다. ‘녹화방송에서 생방송으로’라고 비유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속도와 방식의 변화, 여론관리에 집중하는 경향 강화, 정치인 개인 미디어의 증가와 태도의 중요성 부상, 자기 팀을 늘려가는 방식으로 진영화된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실증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정치의 미디어화 수준은 두 단계로 검증되었다. 선행연구에서 폭넓게 수용된 미디어화의 전반적인 수준(확장, 대체, 융합, 수용)과 가시성 추구 정도, 두 가지 모두 중간값 이상의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볼 때, 한국 정치는 상당한 정도로 미디어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정치인들이 일상적인 활동에서 가시성을 추구하는 정도를 사회 내 다양한 의견과 이해관계를 조율하려는 조정성과 비교해서 분석했다. 결과는 다른 정치활동보다 메시지 발표에서 가시성이 높게 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성 획득을 위해 시의성이나 속도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었다. 셋째, 가시성 추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뉴스 미디어와 관련된 업무 시간의 양, 구체적인 정치활동 상황과 결부된 미디어 영향력에 대한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이념 성향이나 경력 기간, 일반적인 수준에서 미디어 영향력 인식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치인들의 가시성 추구가 개인차를 넘어 일종의 문화 혹은 정치적 관행으로 작동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정치인들로부터 질적 자료와 양적 자료를 모두 얻어냈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가 제시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는 한편, 한국 사회 맥락에서 정치의 미디어화를 구성하는 개념을 도출하고,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특히 실증 분석은 국내 첫 시도다. 본격적으로 정치의 미디어화 현상에 주목한 이 연구가 국내에서 더 많은 후속 연구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농촌지역 국제결혼 다문화가족 아버지의 자녀교육 역할에 대한 연구

        조경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에 관한 아버지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에서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과 아버지가 바라보는 효과적인 자녀교육의 내용 그리고 다문화가족 자녀교육 지원정책에 대한 다문화가족 아버지의 의견을 듣고 향후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의 정서적 함양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둘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의 학업수행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셋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의 사회적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 넷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교육지원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가? 이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S군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둔 다문화가족 아버지를 6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대상 가정의 아버지를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그들의 경험을 녹음하고 전사하여 자료를 정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들이 성장함과 함께 아버지의 정서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현실 속에서의 아버지 역할은 제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문화가족에서도 자녀의 양육은 어머니가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아버지에게 있으며, 아버지는 자녀의 정서적 상황에 대해 잘 모르거나 무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의 학업성적이 반드시 상위권이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자녀 본인 스스로 학업에 열중 할 때, 또한 자녀가 원할 때 부모가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변 환경조건의 열악함과 다문화가족의 경제적 어려움이 상급학교로 진학하면서 자녀들의 사교육 필요성과 부담감으로 나타난다. 셋째,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자녀의 사회적 관계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녀들이 성장하면서 대화의 부족과 단절이 나타나며, 이로 인한 자녀들과의 의사소통 부족을 보인다. 이주여성인 어머니는 자녀양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소통의 한계를 보인다. 넷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녀교육지원정책이 여러 가지가 있다고는 하지만 다문화가족 아버지는 형식적이고 생색내기식의 행사 위주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교육지원 사업을 원한다. 구조적으로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 많은 시간과 책임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에게 자녀 양육의 실질적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제시와 다양한 관계 속의 지원을 원하고 있다. 일상적으로 다가오는 여러 가지 자녀교육과 관계되는 다양한 사안에 대해 함께 할 수 있는 멘토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그리고 자녀들이 안정적으로 학업에 열중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하면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지닌 여러 가지 능력을 충분히 발휘 할 수 있는 공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기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