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럭셔리브랜드의 희소성메시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브랜드가치와 브랜드애착, 시간압박과 브랜드질투 경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희주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럭셔리브랜드의 희소성메시지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라 소비자가 지각하는 구매의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라 지각되는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과의 직접적인 관계도 확인하였다. 세 번째, 브랜드가치에 따라 지각되는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도 확인하였다. 네 번째, 시간압박에 따라 지각되는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에 대한 직접적인 관계도 확인하였다. 다섯 번째, 브랜드애착에 따라 지각되는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와의 직접적인 관계도 확인하였다. 여섯 번째, 브랜드질투에 따라 지각되는 구매의도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일곱 번째,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과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럭셔리브랜드의 희소성메시지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소비자의 구매의도가 증가할 것이며 또한 희소성메시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할 것이다.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할 것이다. 브랜드애착을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할 것이며 브랜드질투를 높게 지각할수록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다음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 번째, 희소성메시지가 없는 경우보다 희소성메시지가 있는 경우에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할 것이며(가설1), 희소성메시지가 있는 경우에도 기간한정 메시지보다 수량한정 메시지의 경우에 구매의도가 높을 것이다(가설2). 두 번째,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을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가치, 시간압박이 높아질 것이다(가설3, 가설4). 세 번째, 브랜드가치를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이다(가설5, 가설6, 가설7). 네 번째, 시간압박을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구매의도가 높아질 것이다(가설8, 가설9, 가설10). 다섯 번째, 브랜드애착을 높게 지각할수록 브랜드질투,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할 것이다(가설 11, 가설12), 여섯 번째, 브랜드질투를 높게 지각할수록 구매의도가 높을 것이다(가설13). 일곱 번째,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은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의 관계에서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이 매개할 것이다(가설14, 가설15), 브랜드가치와 시간압박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브랜드애착과 브랜드질투가 매개할 것이다(가설16, 가설17).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성인 남녀 568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에 불성실한 22부의 응답을 제외한 후 최종 546부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전체 연구모형중 가설1과 가설2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그 외 가설3에서 가설17은 경로분석으로 기본 가설을 검증하였다. 매개효과는 총 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럭셔리브랜드에서 희소성메시지가 없는 경우보다 희소성메시지가 있는 경우에, 기간한정 메시지보다 수량한정 메시지가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1과 가설2는 채택되었다.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은 브랜드가치와 시간압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3과 가설4는 채택되었다. 브랜드가치는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5, 가설6과 가설7은 채택되었다. 시간압박은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8, 가설9, 가설10은 채택되었다. 브랜드애착은 브랜드질투 및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11과 가설12는 채택되었다. 브랜드질투는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13은 채택되었다.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은 브랜드가치와 시간압박을 통해서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14와 가설15는 채택되었다.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은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를 거쳐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나서 가설16, 가설17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일반 브랜드와 동일하게 럭셔리브랜드에서도 희소성메시지가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에 구매의도가 높게 나왔으며, 기간한정 메시지보다 수량한정 메시지의 경우에 구매의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 두 가지 경로를 통한 소비자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발견하였다. 즉,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과 브랜드애착, 브랜드질투와의 관계에서 브랜드가치 및 시간압박의 매개역할이다. 다른 하나는, 브랜드가치 및 브랜드질투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브랜드애착 및 브랜드질투의 매개역할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럭셔리브랜드의 희소성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선행연구는 수요자의 자산가치 지각 측면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공급자의 소비자에 대한 희소성 자극 측면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럭셔리브랜드의 공급자 측면에서 시간압박이라는 경로를 추가하는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심리적 메커니즘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럭셔리브랜드의 경우에도 기간보다 수량을 강조한 희소성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자극하는 광고 전략이 효과적이다. 세 번째,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업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대중화된 가격전략으로 판매하기보다는 일반 브랜드 또는 럭셔리브랜드에서 한정판이라는 희소성을 제공하여 일부 고객에게만 판매하는 경영전략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i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the scarcity message of a luxury brand affect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confirmed the difference in the purchase intention perceived by a consumer by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Second, there also confirmed the direct relation to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hat are perceived by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Third, there also confirmed the direct relation to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that are perceived by the brand value. Fourth, there confirmed the direct relation as well to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that are perceived by the time pressure. Fifth, there also confirmed the direct relation to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that are perceived by the brand attachment. Sixth, the study confirmed the direct relation to purchase intention that is perceived by the brand jealousy. Seventh,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and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Lastly, the study confirmed the mediation effect of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to the relation between the brand vale and time pressure and purchase intention. The purchase intention of a consumer will increase in a case where there is a scarcity message of a luxury brand than a case where there is not. Also, the higher a consumer's perception of the scarcity message, the perception of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will be higher.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he higher the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will b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brand attachment, the higher the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will be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brand jealous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urchase intention will be. Based on them, the study set up following hypotheses: First, the perception of purchase intention will be higher in a case where there is a scarcity message than in a case where there isn't (hypothesis 1), and in cases where there is a scarcity message, the purchase intention will be higher in a case of a limited quantity message than in a case of a limited period message (hypothesis 2). Seco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the higher the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will be (hypothesis 3 and hypothesis 4). Thir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brand value, the higher the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will be (hypothesis 5, hypothesis 6 and hypothesis 7). Fourth,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ime pressure, the higher the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will be (hypothesis 8, hypothesis 9 and hypothesis 10). Fifth, the higher the brand attachment, the higher the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will be (hypothesis 11 and hypothesis 12). Sixth, the higher the brand jealousy, the higher the purchase intention will be (hypothesis 13). Seventh,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will have mediation by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o the relation with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hypothesis 14 and hypothesis 15), and, the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will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o the purchase intention (hypothesis 16 and hypothesis 17). To examine the hypotheses above, the study administered an off-line survey to 568 adult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and 546 responses were analyzed excluding 22 with inconsistent responses. For the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he study administer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all the research models, hypotheses 1 and 2 were analyzed through a t-test and hypotheses 3 to 17 were analyzed of their basic hypotheses through a path analysis. The mediation effect was examined via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analyses. The result showed that in a luxury brand,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to purchase intention in a case where there was a scarcity message and the relation was higher in a case of a limited quantity message than in a case of a limited period message. So, the hypotheses 1 and 2 were adopted.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adopting the hypotheses 3 and 4. The brand value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all the three of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adopting the hypotheses 5, 6 and 7. The time pressure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brand attachment,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and adopted the hypotheses 8, 9 and 10. The brand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brand jealousy and purchase intention, adopting the hypotheses 11 and 12. The brand jealousy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and adopted the hypothesis 13.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to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via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and it adopted the hypotheses 14 and 15. The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had a significant level of positive relation with purchase intention via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adopting the hypotheses 16 and 17.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ing: Firstly, there was a higher purchase intention in cases where there was a scarcity message than in a case without a scarcity message, even with a luxury brand, as the same with the case of a general brand. Also, the purchase intention was perceived higher in a case of a limited quantity message than a case of a limited period message. Secondly, the study fou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 consumer that has two paths. One is the mediation of brand value and time pressure to the relation between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and the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The other is the mediation of brand attachment and brand jealousy to the relation between the brand value and brand jealousy and the purchase intention. There these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though most precedent researches were about the asset value perception of a consumer on the scarcity message framing, there were not many researches on suppliers' scarcity stimulation to consumers. The study found the path that affects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adding the path of time pressure, to the study, in the aspect of the supplier of a luxury brand. The study found the two path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a consumer. Secondly, it is more effective to adopt an advertisement strategy to stimulate the purchase intention of a consumer via a scarcity message advertisement that stresses on the quantity rather than the period, in the case of luxury brand as well. Thirdly, in a company with limited resources, they will need a business strategy where they sell to limited number of customers only by providing scarcity of a general brand or limited editions in a luxury brand, rather to sell limited resources at a popularized price strategy.

      • Tennessee Williams 극의 현실 부적응자들에 관한 연구 : The Glass Menagerie 와 A Streetcar Named Desire를 중심으로

        정희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ennessee Williams(1911-1983), an outstanding American playwright, shows the tragic human beings living in the ruthless realities of life. He attempts to describe the fragile emotions of modem man's mind, that is alien and desperate emotions. The main characters in his plays are mostly suffering from conflicts between hardships in realistic and illusionary world of theirs. They are always defeated and undergo frustration. Especially Amanda and Blanche in his early plays have the background of the old South, the culture of noble, gorgeous, rich and puritan society. But with the collapse of the old South, they have been drifted of the deserted world and driven to face the stark realities. So they are forcedly driven to attempt their escape from realities. In other words they are doomed misfits. In The Glass Menagerie, there are the Wingfields who want to escape from their alienation through confining themselves in the prison of their illusion. Amanda, mother of the Wingfields, is a misfit, who cannot adjust herself to the changed society and suffers from the persistence of her sense of old Southern values at the present time. And then she forces her children to follow her sense of old values. And Mr. Wingfield, lives a life of escape from the world, who also has influence escapism on his family members. So their children become misfits for their parents.. Jim is the most realistic character in the play, being an emissary from a world of reality that the Wingfields are somehow set apart from. He tries to have influence on the family members to adapt themselves to the realistic world. But he does't help them continuously and he goes to his world of reality. In A Streetcar Named Desire, there is Blanche, a doomed heroine who cannot escape from her bridle of the past. Making herself a new lif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lanche who is a misfit alienated in society. Naturally she has excessive sexual desire, but she conceals her sexual instinct. Because Blanche is ashamed of her sexual instinct for educated furitanism in the old South. One day It brings a calamity upon herself by leading her husband to suicide. And then she has the dual personality that behaves herself like a vamp and chaste maiden to people. Stanley who is sister's husband of Blanche's, is an animalistic person in the naturalistic world. In the foundation of his life lie violence and pleasures with women. He regards the instinctive pleasures as the pride of his existence. So Stanley and Blanche suffer from the differences in their personality. Finally Blanche is raped by her sister's husband Stanley Kowalski, and at the end she is transported to a mental institution. Freud maintains that balanced personality keeps the balanced distribution of Id, Ego and Superego. In this play Blanche suffers from her Superego, Stanley enjoy his uncontrollable Id. That is to say, they undergo complications by explosion and repression of their sexual desire. So we can understand that this play represents in aid of universal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psychology on the basis of Freudian sexual psychology. In short we can say that the life of misfits who cannot adapt themselves to the grim reality of society for the sense of old values in The Glass Menagerie and dual personality in A Streetcar Named Desire. And we can manage to penetrate Williams' suggestive intention that he would want to the weak and helpless who might can adapt themselves to the suffocating and threatening realities in aid of human relationship on the basic emotion of love, comprehension, and sympathy.

      • 사회적 거리감을 통해 본 청소년의 소수자 집단에 대한 낙인

        정희주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적 거리감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낙인의 정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와 소수자 집단에 대한 경험정도의 차이가 낙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부산시 해운대구 소재의 고등학교에서 FGI를 실시하여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낙인과 사회적 소수자 집단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송관재(1997)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오점보유자들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청소년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고등학교 1, 2학년 266명(남 125명, 여 141명)이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FGI에서 청소년들은 낙인을 좋지 않은 의미로 인식하고 사회적 소수자 집단을 자신과는 다른 어떠한 속성을 지닌 사람들로 좋지 않은 속성을 가진 사람들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속하는 집단으로 장애인, 빈곤층, 노숙자, 노인, 다문화가정, 동성애자, 결손가정, 왕따, 범죄자, 비행청소년, 외국인노동자를 꼽았다. 둘째, 설문조사에서 청소년들은 비행청소년과 장애인과 같은 가시적인 특성이 뚜렷한 집단에 대한 낙인은 높은 편이었으며, 생활보호대상가정, 결손가정, 다문화가정 집단과 같은 가시적 특성이 약한 집단에 대한 낙인은 낮은 편이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낙인의 정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그 하위 요인에서 대인간 신체적 거리감을 더 멀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험정도에 따른 비교에서 경험의 직 · 간접적인 정도는 낙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족들 중에서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일을 하거나 봉사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는 유의미하게 낙인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보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낙인을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사회통합을 이루어 갈 수 있는 학교교육을 위하여 아래 몇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남자 청소년의 교우관계에서 신체적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므로 사회적 소수자들에 대한 낙인을 줄일 수 있는 학교교육과정에서도 신체활동을 통한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효과성이 입증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통합교육이나 소수자 집단과 관련되어 자신들의 봉사를 한 직접적인 경험에 따른 낙인의 해소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사회적 소수자 집단에 대한 바람직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보다 질적인 정보를 통한 체계적인 학교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가치관이 그들의 부모님의 가치관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므로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모들의 인식개선을 위한 안내자료 및 교육자료 제공에 힘써야 할 것이다.

      • OTT이용자의 미디어리터러시 능력이 K-콘텐츠 성공요인 및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오징어게임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정희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디지털 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개인용 모바일 미디어기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생활양식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다. 그 중 하나가 OTT플랫폼의 활성화이다. 넷플릭스를 선두로 웨이브, 왓챠와 같은 국내 OTT플랫폼부터 디즈니+, 애플TV 등 다양한 OTT플랫폼이 출범하였고 이러한 OTT플랫폼 경쟁 속에서 넷플릭스는 여전히 가장 많은 가입자 수를 보유하며 콘텐츠 시장을 이끌고 있다. 그리고 거대 OTT기업 넷플릭스에서 2021년, 한국콘텐츠 「오징어게임」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모으며 K-콘텐츠의 가능성과 경쟁력을 입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오징어게임」의 인기에 비해 성공요인과 가치평가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은 간과된 측면이 있다. 「오징어게임」이 과연 우수한 콘텐츠인지,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미디어리터러시 능력이 점차 향상되는 이용자들을 만족시킬만한 콘텐츠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향후 치열한 OTT 콘텐츠 시장에서 K-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인정받고 소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OTT플랫폼 이용자의 미디어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K-콘텐츠(오징어게임)의 성공요인으로 뽑는 요인과 가치평가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해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나이, 성별)에 따라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오징어게임」의 성공요인, 가치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분석결과,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중 비판적 이해, 자료‧정보 활용, 언어생활규범,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에 따라 콘텐츠(오징어게임)의 성공요인으로 뽑는 요인과 가치평가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비판적 이해 능력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의 성공요인으로 콘텐츠 내용과 같은 내적요인보다 미술적 요소와 넷플릭스라는 외부환경적 요소를 성공요인으로 뽑았다. 자료‧정보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의 성공요인으로 ‘넷플릭스’를 뽑았으며 언어생활규범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같은 콘텐츠 요인이 성공요인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집단은 성공요인으로 부정적 요인인 ‘선정성’을 뽑았다. 또, 비판적 이해 능력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의 사회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료‧정보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을 시청한 것이 시간낭비라는 의견을 지지했다(기능적 가치_3).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는 나이에 따라 미디어리터러시 능력에 차이를 보였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비판적 이해, 자료‧정보 활용, 쓰기 윤리,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나이와 성공요인 간에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으며 가치평가는 연령이 높을수록 「오징어게임」의 사회적, 감정적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성별에 따른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차이는 남성이 여성보다 자료‧정보 활용, 특성이해 능력이 높았고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차이를 보였다. 성공요인 중에는 「오징어게임」의 배경이 성별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가치평가는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1(나는 「오징어게임」의 제작의도가 의심스럽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리터러시 능력이 K-콘텐츠 성공요인과 가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중 핵심 능력인 비판적 이해 능력과 콘텐츠 가치평가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공요인으로 ‘넷플릭스’와 같은 제작‧유통망을 뽑았다는 데에서 향후 K-콘텐츠 제작 시 가치평가 지표 마련을 통한 콘텐츠 자체 평가로 질 좋은 콘텐츠의 생산과 넷플릭스 플랫폼 특성에 맞는 콘텐츠 제작이 글로벌 OTT콘텐츠 시장에서 K-콘텐츠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함의를 가진다. In modern society, as the spread of personal mobile media devices became common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many changes occurred in lifestyle. One of them is the activation of the OTT platform. With Netflix leading, various OTT platforms such as Wave and Watcha, Disney+, and Apple TV have been launched, and Netflix is still leading the content market with the largest number of subscribers amid such competition for OTT platforms. And in 2021, Korean content "Squid Game" gained worldwide popularity in the OTT giant Netflix, providing an opportunity to prove the possi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K-content. However, compared to the popularity of "Squid Game", a critical analysis of success factors and valuation has been overlooked. Only when discussions are made on whether "Squid Game" is excellent content, how it will affect Korea's national image, and whether it will satisfy users with gradually improved media literacy skills can K-content be continuously recognized and consumed in the fierce OTT content market in the future. This study tri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actors and valuation selected as success factors of K-content (squid game) according to the media literacy level of OTT platform users, and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ability, squid game success factor, and value evalu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and gend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selected as success factors of content (squid game) and value evaluation according to critical understanding, dat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Among them, the higher the critical understanding ability selected 'The art elements' and 'Netflix' which are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n content contents which is the internal factor of the successful factor of the Squid Game. The higher the ability to use data and information selected "Netflix" which is the reason why Squid Game was succeed, and the higher the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selected 'sensationality' which is the negative successful factor of Squid game. In addition, the higher the critical understanding ability, the lower the social and emotional values of <Squid Game>. As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ability according to age, and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critical understanding, data and information utilization, writing ethics, and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at evaluated the social and emotional values of <Squid Game> higher in the older group.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success factors was not high. The difference in media literacy ability according to gender showed that men had higher ability to use data and information and understand characteristics than women, and women had higher ability to communicate socially than men.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T-test,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men highly evaluated the social value of the squid game. Among the success factors, the background of "squid gam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ender, and value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1 (I doubt the production intention of "squid ga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media literacy ability on K-content success and valuation. Among them,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understanding, which is a key ability of media literacy, and content value evaluation an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such as "Netflix" are selected as success factors.

      • 명상의 부작용에 대한 개관

        정희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힐링 열풍과 더불어 명상 열풍이 일어나 현재에는 수백만 명이 명상을 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및 통증 완화 뿐 아니라, 신체 및 정신적 어려움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영역에서까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명상의 확산과 인기에 비해서 효과의 신빙성 문제나 부정적인 현상들은 제대로 알려지지도 인식되지도 않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단순히 건강해지기 위해서 혹은 행복해지기 위해서 명상에 뛰어든다. 최근에는 명상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으로 인해 적절한 지식이나 지도 없이 명상을 손쉽게 활용하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명상을 할 때 나타나는 부작용 및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원인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여 명상을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목적을 밝히고,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에서는 국내외 명상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국내의 명상관련 부작용 연구들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정신역동적 관점에서는 자아의 치료적 분열과 구조적 변화를 감당할 만큼 분화된 자기감이나 통합된 자기구조를 가지지 않은 경계선, 자기애적, 분열성 등의 성격장애를가진 사람들이 겪을 수 있는 명상의 부작용에 대해 기술하였다. 자아초월 심리학적 관점에서명상의 부작용으로 언급하는 전초오류, 영적우회, 영적인 방어와 공격적 방어, 영적 위기에 대해서 정리했다. 부작용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서는 해외의 부작용 연구 사례들을 통해 명상의 부작용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경험되어지는지를 검토했다. 또한 명상기반 치료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에서는 프로그램을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는 요인들, 증상의 정도 및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 프로그램에 적합하지 않은 증상 및 성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명상단계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에서는 Ando Osamu와 Epstein이 제시한 것을 살펴보았다. Ando Osamu는 준비 훈련기, 집중 명상기, 통찰적 명상기, 영적 위기의 네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현상들을 제시했고, Epstein은 예비 명상수행, 집중명상, 마음챙김명상, 통찰명상의 각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역동과 위험에 대해 설명하였다. 심각한 정신병의 유발 등 심각한 해가 될 수도 있는 부작용도 있었으며, 이와 달리 발달 단계에 따른 자연스러운 경험이나 순기능으로 작용하는 부작용들도 있었다. Ⅲ장에서는 부작용의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하여 명상 및 관련 요인, 명상가(참가자) 요인, 명상지도자 요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명상 및 관련 요인에서는 동양과 서양의 사고방식의 차이, 명상과 정신치료의 상호 보완의 필요성, 불교적 맥락에서 치료적 맥락으로의 변용, 치료할 부작용과 극복할 장애의 구분, 명상 프로그램에 적합한 성향, 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부작용에 대한 사전고지 및 사후관리, 개인맞춤형 명상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명상가(참여자) 요인에서는 명상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이해, 명상을 하는 올바른 의도, 명상을 하는 올바른 태도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명상지도자 요인에서는 이론과 경험을 갖춘 숙련된 지도자의 필요성, 심리 및 심리치료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연구는 명상을 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살펴보고 원인 및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명상관련 부작용의 발생가능성을 아는 것만으로도 예방효과가 있으며 적절한 대응책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를 통해 명상을 하거나 명상을 치료적으로 활용하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에서는 명상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부작용을 분석한 한계가 있으므로 차후에는 다양한 명상법에 따른 부작용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항공사 문화마케팅이 고객의 감정상태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희주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마케팅은 감성 코드를 공략하는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문화마케팅에서 중요한 고객의 감정이라는 변수와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항공사 문화마케팅 활동을 3가지 유형(문화판촉, 문화지원, 문화연출)으로 구분하여 각 문화마케팅 활동의 유형이 고객의 감정상태(긍정적 감정, 부정적 감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감정상태와 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문화마케팅이 고객의 입장에서 적절한지 검토하고, 현실적인 효용성 도출 및 항공사 경쟁 상황에 맞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자료조사를 위해 항공사의 문화마케팅을 지각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308부를 수거하였고 이 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최종 285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마케팅(문화판촉, 문화지원, 문화연출)은 긍정적 감정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 문화연출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판촉과 문화지원이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문화판촉이 부정적 감정에 대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마케팅에 대한 고객의 감정상태 중 긍정적 감정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객의 감성을 터치하는 중요한 마케팅이 문화마케팅이라는 것임을 한층 더 입증하였다. 또한 문화마케팅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마케팅 중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어느정도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넷째, 만족에 대한 긍정적 감정의 영향과 부정적 감정의 영향 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부정적 감정에 비해 긍정적 감정은 만족도에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항공사 문화마케팅 활동의 구성요소별로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고객의 감정상태를 통해 만족에 이르는 보다 구체적인 단계를 찾아내고 검증하였다. 또한 긍정적 감정뿐만 아니라 부정적 감정에 대한 전체적인 감정상태가 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함으로써 부정적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확인하였다. 문화마케팅은 고객의 정서적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긍정적 감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이는 고객 만족으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시사점을 제시하면서 고객과의 정서적 유대감 형성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문화마케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Despite the cultural marketing captures customers' emotional code, few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the important variable of customers' emotions in cultural marketing. This study divides airline companies'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into three types (culture sales promotion, sponsorship of culture, and synthesis of culture) and thereby, reviews the effects of each type of cultural marketing on customers' state of emotion (positive or negative emotion) and analyzes the relations between each emotional stat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view, the researcher examines whether the cultural marketing is appropriate from customers' perspectives, and thereby, induces its realistic utility and thereupon, provides some data useful to the planning of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the competition among airline companie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local people who recognized the cultural marketing. A total of 308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285 ones of them excluding 23 insincere on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marketing (cultural sales promotion, sponsorship, and synthesis of the 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s. Among them, the synthesis of culture had the greatest effects. Secondly, cultural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of culture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customers' emotions, and in particular, the cultural sales promotion had the greatest negative effects on customers' emotions. Thirdly, among customers' emotions about the cultural marketing, the positive one was found to affect their satisfaction, which proves that the important marketing touching customers' emotion is the cultural marketing. In addition, the negative emotion of the cultural marketing had negative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which suggests that it sh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cultural marketing to some degree. Fourthly, when the strength of the positive emotion on customers' satisfaction was compared to that of the negative emotion, the effects of the positive emotion were found about 10 times the negative one, which suggests that the positive emotion has a great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This study identified and proved the specific stages toward customers'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ir state of emotion by the element of cultural marketing.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entire emotions including not only positive but also negative emotions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thereby, confirm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negative emotions. After 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ultural marketing affects customers' positive responses much based on their emotional ones, and that such a state of mind would well lead to customer satisfac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aggressiv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preceded to form an emotional bond with customers.

      • MZ 세대의 홈오피스 쾌적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 플랜트 파티션 개발을 중심으로

        정희주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Z 세대 1인 가구의 주거 환경을 고찰하여 홈오피스 공간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제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으로 보호와 휴식이 주가 되었던 주거 공간이 디지털 공간의 확장과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으로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업무, 교육, 쇼핑 활동이 디지털 환경에서 이루어지면서, 물리적으로는 개인이 주거 공간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났다. 주거 공간의 다목적화는 주거 휴식과 안정의 기능을 훼손시킬 수 있고, 반대로 2차 기능을 얻게 된 주거 공간이 해당 기능을 실현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주거 환경의 쾌적성을 위한 방안은 시대와 문화, 대상에 따라 상이하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 도시 내 1인 가구 중 가장 많은 MZ 세대의 특성과 주거 환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쾌적성 제고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고, 디자인 사고의 확산과 수렴 과정을 거쳐 공간 제품을 개발하였다. 최근, 도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 MZ 세대가 느끼는 주거 공간에서의 어려움은 외로움, 협소한 면적, 공원 등 기반시설의 부재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식물을 이용하여 홈오피스의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구상하였다. 심리적·물리적 쾌적성을 고려하여 거주자에게 녹음의 쾌적함을 제공하고 공기질을 높이며 공간의 부족을 극복하는 수직 형태의 스마트 식물 파티션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쾌적성 제고에 관한 개념적 디자인을 제안하고 있으며 차후에 MZ 1인 가구 주거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 product to improve the amenity of the home-office by consider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MZ generation. The morphology of residential space, which functions have been mainly the protection and the rest for human,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expansion of digital space and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As work, education, and shopping activities took pla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physically, individuals spent more time in the residential space. The multipurpose of residential space can undermine the basic function of home, such as rest and s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could be difficult to obtain the second function effectually. The methods for residential amenity vary cross eras, culture, and generations. Therefore, focu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hich is the largest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urban area, and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ories, the methods to improve the home-office amenity were researched and a spatial product was developed through the divergent and convergent process of design thinking. Recently, the difficulties in the residential space, by MZ generation living in the city, are ‘feeling of loneliness’, ‘small living floor area’, and ‘lack of green infrastructure such as parks and gardens’. Based on this aspect, the design to improve the residential amenity by plants and gardening was devised. For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mfort, the smart plant partition is proposed as a vertical garden system. It provides residents with green amenity, improves the indoor air quality, and makes up for the deficiency of small living area. This thesis proposes a conceptual design for enhancing the residential amenity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concer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MZ generation.

      • 지역브랜드 공연의 평가지표 개발 연구 : 공연예술분야 전문가 설문을 중심으로

        정희주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역브랜드 공연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지역브랜드 공연의 구체적인 평가의 방향과 지표에 대해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평가지표 형성에 있어 지역브랜드 공연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전문가들을 참여시킴으로써, 참여자들에게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을 환기하고 지역브랜드 공연의 발전 방향을 함께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공연 장르의 성공 요인, 지역브랜드 혹은 지역 문화예술과 관련한 여러 선행 연구와 국내외 학술지, 문화예술기관 및 공연예술 관련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등의 문헌 연구를 통해 평가의 여러 세부 요인들을 추출하여 지역브랜드 공연을 구성하는 핵심 가치를 활용한 평가지표의 틀을 구성하였다. 평가지표의 항목들은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내용타당도 비율(CVR)을 통해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입증하여 크게 전문성, 공공성, 지역성, 예술성, 흥행성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해 각 10개 내외의 항목으로 구성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다섯 가지 영역은 델파이 조사를 통해 나온 평균치에 따라 중요도의 가중을 매겨, 전문성 25%, 공공성 23%, 지역성 25%, 예술성 17%, 흥행성 10%의 비율을 설정하여 최종 평가 점수에 반영하였다. 평가지표의 형성 과정에서 두 가지 지역브랜드 공연 제작 현장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 파악할 수 있었는데, 첫째,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기획과 제작, 조직의 구성’, 둘째, ‘지역브랜드 공연의 발전에 대한 지자체의 미비한 관심도’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브랜드 공연을 하나의 장르로서 다각도로 분석하고 지역브랜드 공연과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중요성과 의미를 제고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지표라는 하나의 기준을 통해 지역브랜드 공연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리해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지역브랜드 공연을 개발하고자 하는 지역이나 단체들에게 효과적인 공연 제작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실무적인 의의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로 개발된 지역브랜드 공연의 평가지표는 후속 연구를 통해 확장, 개선과 발전을 거듭해나가야 하며, 이에 있어 본 연구가 기초적인 지표이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evaluation index for local brand performances and proposing specific directions for evaluating local brand performances. Experts directly or indirectly associated with local brand performances are engaged in the process of forming evaluation indices to reinforce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of evaluation while also seek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local-brand performances.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this study identifies detailed factors for the evaluation index by examining previous studies encompassing success factors in diverse performance genres, prior research on local brands and regional culture and arts, as well as relevant literature from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cultural and arts institutions, and evaluation reports of supporting projects in performing arts. Through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extracts core values that form the foundation of local brand performances, which subsequently serve as th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index. In this study, an evaluation index framework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ore values that constitute local brand performances. Expert opinions are gathered through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to determine the items for the evaluation index.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index is establish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it is divided into five main categories: professionalism, publicity, regionality, artistry, and box office success. Each category consists of approximately 10 items. The importance of the five categories is weighted based on the average values obtained from the Delphi survey, resulting in the following ratios: professionalism 25%, publicity 23%, regionality 25%, artistry 17%, and box office success 10%. These weights are then incorporated into the final evaluation score. Through the evaluation index developed, common issues are identified, including the lack of systematic planning, production,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s well as insufficient interest from local governments in the development of local brand performances. These research findings enabl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local brand performances as a genre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ir significance and meaning,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Moreover,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evaluation index not only allows for an assessment of the current state of local brand performances but also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regions or organizations interested in future development of local brand performanc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valuation index for local brand performances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improved, and further developed through future follow-up stud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undamental indicator and data source in this regard.

      • 청년세대 1·2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희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의 20~30대 청년세대들은 불안정안 고용과 치솟는 전세가격으로 결혼을 미루거나 아예 포기하고 있으며, 결혼을 한 경우라도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에서 출산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에서는 청년세대의 주거안정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정책대상이 대학생 혹은 유자녀 신혼부부로 한정되어 있어 정책수혜의 폭이 넓지 않은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청년세대 중 주택정책의 수혜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큰 1인 단독가구와 2인 부부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은 한국복지패널 제7차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다항로짓모형을 통한 횡단면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30대 1‧2인 가구는 40대 이상의 1‧2인 가구보다 가구 및 주거특성이 더욱 열악하게 나타났다. 20~30대 1‧2인 가구에서는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가 불안정할수록 주거상태도 불안정하였으나, 40대 이상의 1‧2인 가구에서는 가구주의 경제활동상태가 불안정하여도 특별히 주거가 불안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구주의 연령에 따른 가구의 소득수준이나 자산규모의 차이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소득이나 자산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20~30대 가구는 40대 이상 가구보다 경제적 특성이 열악하며 이에 따라 가구의 주거특성도 더욱 열악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20~30대 1‧2인 가구가 주택점유형태를 선택할 때 영향을 미치는 가구의 특성은 40대 이상 1‧2인 가구와 같은 특성에 대해서도 통계적으로 다른 방향의 결과를 보였다. 예를 들어 가구의 주거비마련 경로를 살펴보면, 20~30대 1‧2인 가구는 무상지원이나 차용 및 대출 등의 수단을 통해 주거비를 마련한 경우에 비교적 안정적인 전세형태나 자가점유로 거주하는 반면, 40대 이상의 가구에서는 스스로 주거비를 마련한 경우에 자가점유의 형태로 거주하는 비중이 높았고, 대출 등의 수단을 이용한 경우 오히려 불안정한 월세형태나 전세형태로 거주하였다. 셋째, 20~30대 1‧2인 가구의 주거특성은 공공의 지원을 통해 개선될 여지를 보였다. 20~30대 1‧2인 가구의 주거비 마련 시 제공되는 무상지원은 그들이 주거급여 등의 대상자가 아닌 이상 가족이나 친척, 친구 등으로부터 이자부담 없이 빌려오는 형태가 대부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20~30대 1‧2인 가구는 주변의 도움을 받아 주거공간을 마련할 경우 더 안정적인 주택점유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따라서 공공이 청년세대의 주거를 지원한다면 주거불안정에 처해있는 청년세대의 주거문제가 상당부분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정책수혜에서 제외된 청년세대 1‧2인 가구에 대해서도 공공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할 수 있었다. 더불어 주택점유형태에 따라 가구가 필요로 하는 주거지원방식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부의 주거지원이 보다 더 다양한 방식으로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