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좋은 축제 만들기 : 지역축제의 한계 및 대안

        정환택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교차학협동과정 문화예술학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Local festivals in Korea have been developed to build local identity and secure competitiveness of regions through cohesion of local residents. However, most local festivals have focused only on their appearances today, overlooking the essential function of a festival as a joyful event, resulting in uniformity of festivals without uniqueness and distinctiveness of each reg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nd establish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that everyone can enjoy. Festivals originated from seeking God to relieve stress and suffering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in life. Through the encounter with God, human beings realize that they are perfect beings which contradicts their preconception of human imperfection. Human beings develop empathy as they realize that God and they are same rather than different. The empathy leads to the communication with God, which leads to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place turns into an arena of festival. In this way, communication starts from the realization of perfect “I” and the empathy that God and I are one. Empathy develops with the realization of the perfect “I” and the mutual recognition of each other’s perfection. Such empathy leads to unboun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out empathy is no more than a compromise. This is also the biggest problem of local festivals in Korea. As festivals are held in compromises based on each other’s goals today, communication is gone, and the essential function of festival is left behind. Ensuring empathy instead of each other’s goals and communicating and collaborating are integral to enhancing the quality of festival and organizing a good festival. Human beings have always wanted to be liberated from work, and festivals have emerged as a way of liberation from everyday life. They wanted a deviation by creating changes in emotion through the festivals, which cannot be felt in daily lives. Such deviation required methods, which are a festival and a play. Deviations are seen as crazy. Human beings become crazy both when they are stressed out and when they are not. Becoming crazy due to stress is suffering; becoming crazy due to no stress is enjoyment. Simply deviating to satisfy one’s desire does not allow confirmation of mutual empathy, and deviation without empathy is not a festival. Therefore, deviations in festivals must be craziness to find pleasure through empathy and to confirm the perfect “I.” I think festivals are craziness. However, most festivals today cannot be considered good festivals because such craziness does not exist in them. Despite the fact that festivals have many problems today, there are many festivals in individual regions and many people are looking for festivals. This is because many people who are looking for festivals still have the positive spirit that festivals are fu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criteria for organizing a good festival, which I set as “affectionate festival,” “communicative festival,” and “voluntary festival.”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I can find the perfect “I.” Finding the perfect “I” is to be honest with one’s feelings, know where I come from, know that my body is precious, and know the feeling of love. This is affection; therefore, affectionate festival is the happy festival in which I find the perfect “I” and that is loved by everyone. Communicative festival is the festival in which people recognize each other’s empathy, communicate, and enjoy. A festival without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Communication should be based on empathy with each other, and communication cannot exist without empathy. It must be a good festival if people have empathy with, communicate, and enjoy each other. Voluntary festival is the festival that is created by everyone together. In a good festival, “I” voluntarily take actions. Festivals with voluntary actions are always enjoyable. Good festivals have no goals and no pressure; they just have affection shared in enjoyment. As the criteria of a good festival suggests, w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in festival is empathy and communication. A festival without empathy and communication cannot be a good festival. Empathy and communication are the spirit of festival that has never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such spirit make “I” “uniquely mine.” We Koreans have experienced how enjoyable good festivals are during our street cheering during 2002 World Cup and the candlelight rally in Gwanghwamun. Therefore, we should not forget empathy and communication as the spirit of festival when planning and organizing a festival, and make it a happy festival for all of us in which we empathiz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우리나라 지역축제는 지역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 주민들의 화합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개발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대다수 지역축제가 축제는 즐거워야 한다는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외면한 채 외형적인 모습에만 집중하게 되면서 지역축제는 그 지역만의 고유성과 차별성은 사라지고 획일화된 축제만을 만들어 내는 결과를 낳았다. 그래서 이러한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누구나 행복하게 즐길 수 있는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축제는 인간이 현실에서 가지는 스트레스나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신(神)을 찾음으로써 시작된다. 신(神)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은 불완전하다고 생각한 내가 알고 보니 완전한 존재였음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신(神)과 내가 다름이 아닌 같음을 확인하며 공감(共感)을 이룬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신(神)과의 소통으로 연결되고 신(神)과의 소통은 사람과 사람 간의 소통으로 이어지면서 그곳은 축제의 장(場)으로 변하는 것이다. 이처럼 소통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신(神)과 내가 하나였음을 공감(共感)하는데서 시작된다. 공감(共感)은 완전한 ‘나’를 확인하고 그것을 서로 확인하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감(共感)은 무한한 소통으로 이어지는 것이다.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타협에 불과하다. 이러한 부분이 우리나라 지역축제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이기도 하다. 오늘날 축제가 서로 간의 목적에 의해 타협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소통은 사라지고 축제의 본질적 기능은 뒤로 밀리는 것이다. 서로의 목적보다는 모두가 즐거운 축제를 만들기 위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서로 소통하고 협력해야지만 축제의 질도 높이고 좋은 축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인간은 항상 현실의 노동과 일 등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했고 삶으로부터 해방을 위한 방법으로 축제가 생겨났다. 이러한 축제를 통해 인간은 일상의 삶에서 느낄 수 없는 감정의 변화를 만들어 내는 일탈을 원했다. 이런 일탈을 위해서는 방법이 필요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축제이며 놀이인 것이다. 일탈을 보는 사람들은 미친 짓으로 보인다. 인간은 스트레스를 받아도 미치고 안 받아도 미친다. 스트레스를 받아서 미치는 것은 고통이며 안 받아서 미치는 것은 즐거움이다. 단순히 욕망을 채우기 위한 일탈은 서로의 공감(共感)을 확인할 수가 없고 공감(共感)이 없는 일탈은 축제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축제에서의 일탈은 공감(共感)을 통해 즐거움을 찾고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미친 짓이어야 한다. 나는 축제를 미친 짓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오늘날 대부분의 축제에서 이런 미친 짓을 못하기 때문에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오늘날 축제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마다 수많은 축제가 열리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축제를 찾고 있다. 이는 축제를 찾는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아직까지도 축제에 가면 ‘즐겁고 재미있다’라는 긍정적인 힘과 축제정신이 살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좋은 축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하며 나는 그 기준을 ‘정(情)다운 축제’, ‘소통하는 축제’, ‘자발적인 축제’로 정하였다.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를 확인할 수 있는 축제이다. 완전한 ‘나’를 확인한다는 것은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야 하며 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고 내 몸은 소중한 몸이며 사랑의 감정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정(情)이며 따라서 정(情)다운 축제는 완전한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 모두가 사랑하는 즐거운 축제이다. 소통하는 축제는 서로 공감(共感)을 확인하고 소통하며 즐기는 축제이다.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말할 수 없다. 소통은 서로 간의 공감(共感)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공감(共感)이 없는 소통은 있을 수 없다.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며 즐긴다면 그것이 바로 좋은 축제일 것이다. 자발적인 축제는 모두가 함께 만드는 축제이다. 좋은 축제는 ‘나’ 스스로가 움직인다. 스스로 움직인 축제는 언제나 즐겁다. 좋은 축제는 아무런 목적도 강요도 없으며 단지 즐거움이 공유하는 정(情)다운 만이 있을 뿐이다. 이처럼 좋은 축제의 기준에서 알 수 있듯 축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대상은 공감(共感)과 소통이다. 공감(共感)과 소통이 없는 축제는 좋은 축제라 할 수 없다. 공감(共感)과 소통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변하지 않는 축제정신이며 이런 축제정신이 ‘나’를 ‘나답게’ 만드는 것이다. 우리는 2002 한일 월드컵 길거리 응원과 광화문 촛불집회를 겪으면서 좋은 축제가 얼마 즐거운가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축제를 기획하고 만드는 데 있어 공감(共感)과 소통이라는 축제정신은 잊지 말아야 하며 서로 공감(共感)하고 소통하는 누구의 것도 아닌 우리 모두의 즐거운 축제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 초음파 영상처리를 이용한 온목동맥의 속막, 중간막 및 속중간막 두께 분리 측정

        정환택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o verify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utomatic measurement algorithm, the author visited 12 university hospitals nationwide from Feb. 2005 up to the Feb. 2013 and measured the intima, media, and intima-media thickness at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of the 149 in-patients(age 56.12±14.82 years, male 76, female 73) without atherosclerotic plaques using ultrasonography.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intima-media thicknes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at the level of p<0.01 between the existing M'Ath® and the algorithm used in this research. 2. The average intima-media thickness of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 group, consisting of those in their sixties in large samples, had a similarity with 0.74±0.13 mm and 0.74±0.12 mm in the country’s PARC-AALA researches and in this research respectively. As such, the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used in this research was significant. 3. The intima-media thickness, intima thickness, and media thickness of the carotid artery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ncrease in age. In the male, intima-media thickness had a correlation, but intima thickness and media thickness had none, and in the female, intima-media thickness, intima thickness, and media thickness all had correl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ntima-media thickness of the common carotid artery had great importance clinically as the early diagnosis indicator of atherosclerosis and that of blood vessel aging.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have raised the clinical reliability of the early diagnosis of atherosclerosis by automatically measuring the intima-media thickness of the carotid artery, and to have enhanced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intima-media thickness measurement program by separatel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intima, media, and intima-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