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한 중국 유학생의 한류경험유형이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형영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id-1999, the new term 'Korean Wave' was first used by the Chinese media. This cultural phenomenon refers to the Korean popular culture craze that occurred in China and Southeast Asia. Since the 1990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has been developing very rapidly. And as the heat of the Korean Wave continues to grow in China, it can be said that the influence of Korean culture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s very grea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to take Korean as their specialization and they have a high interest in Korean culture when studying in their own universities. Therefore,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delineate how the 'Korean Wave' affect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Korea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is understood. Second, the effect of th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on behavioral intention is identified. Third, the effect of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on behavioral intention is identified. Finally, through hypothesis verification, we seek to establish a basic marketing strategy to revitalize the attraction of foreign tourists. This survey covers a span ever since June 1st June to 31st July in 2021 (which lasted about two months),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Korea across the country. More specifically, a master student researcher directl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Chinese students visiting Korea. For those who live in distant regions, they were asked to conduct the questionnaire survey through a Chinese app(问卷星) using a smartphone, or finish it by e-mail.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in this study were distributed and 206 copies were collected (recovery rate 82.4%) and used for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h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was extracted into two factors (in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and 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and the factor analysis of the image of Korean tourist attractions was derived into three factors (quality of experience, convenience, and attractiveness). And behavioral intention appeared in a single dimen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ypothesis 1 Korean Wave experience type (in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and 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age factors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quality of experience, convenience, and attractivenes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Hallyu experience type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quality of experience) in Korea, tangible Hallyu experience (β=.333, p<0.000) and intangible Hallyu experience (β=.210, p<0.004)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quality of experience) in Korea.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Hallyu experience type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convenience facilities) in Korea, intangible Hallyu experience (β=.262, p<0.001) and tangible Hallyu experience (β=.177, p<0.022)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convenience facilities)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in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and 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attractiv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igured that the intangible Hallyu experience type (β=.337, p<0.000)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age of Korean tourist attractions (attractive), and the tangible Hallyu experience (β=.067, p<0.382)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age of Korean tourist attractions (attractive). Therefore,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Third,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experience type, hypothesis 2,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angible Hallyu experience in the effect of the Hallyu experience type on the behavioral intention(β=.203, p<0.006), and tangible Hallyu experiences (β=.357, p<0.000)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Korean Wave experi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Korea have a high influence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s, in which the effect of 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weighs more than the intangible Korean Wave experience. Therefore, hypothesis 2 was adopted.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ypothesis 3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quality of experience, convenience facilities, and attrac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image of a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image of a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quality of experience(β=.311, p<0.000), convenience facilities(β=.211, p<0.004), and attractiveness(β=.167, p<0.018))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hypothesis 3 was adopted.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d the effects of Hallyu (typical Hallyu and intangible Hallyu) on the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formation sour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Korea were obtained through social media (SNS, Kakao, Naver, Facebook, and smartphone). Therefore, in order to attract Chines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publicity through social media.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Hallyu experience, the image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Chinese students. Research on the types of Hallyu experience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basic marketing strategie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in Gangwon-do. Fourth, after the COVID-19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various Hallyu experience (typical experience, intangible experience) contents to revitalize the Hallyu experience of Chinese tourists as well as Chinese students there. Fifth,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differentiated tourism products that could positively stimulate Chinese students to visit Korea, and products that promotes inclinations for recommendation among students(development of various shopping products, convenience of amenities, and explorations of multiple Korean 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although it was aimed to include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as there are a large propor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visiting Korea study in graduate school or further than that, the representatives may be weakened to reveal the whole group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 when collecting basic data during the hypothesis verification process, it was mainly reli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is way, the study had to be conducted by increasing the sample size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but it was difficult to smoothly send and collect questionnaires to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because of some problems of the Chinese app(问卷星). Third, it can be said that measurement variations (seasonally, peak, and off-season) are required while the questionnair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ummer. Therefore, I think the types of Hallyu experience recognized by Chinese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 attractions in Korea may differ, depending on the seasons. 1999년 중반 중국 언론에서 ‘한류’라는 신조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문화현상은 중국 및 동남아 지역에서 발생한 한국 대중문화 열풍을 의미한다. 1990년 대 이후 중국대학교에서 있는 한국어교육은 아주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에서 한류의 열기가 계속 커지기 때문에, 한국 문화가 중국 유학생들에게 주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유학생들은 본국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 하거나 한국문화에 대한 높은 흥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한류’ 가 중국 유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한 중국 유학생의 한류경험유형이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한류경험유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가설 검증을 통하여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활성화를 위한 기초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모색해 본다. 조사기간은 2021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2달 동안)에 걸쳐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설문지는 전국지역에 있는 방한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수거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석사 과정생 연구자가 직접 방한 중국 유학생에게 설문지를 배포하거나, 먼 지역에 사는 방한 중국 유학생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중국앱(问卷星)을 통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거나, 그리고 이메일로 설문조사를 요청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 250부를 배부하여 206부를 회수하여(회수율 82.4%)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3.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표본의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변수에 대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경험유형의 요인분석은 2개 요인(무형적 한류경험유형, 유형적 한류경험유형)으로 추출하였고,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의 요인분석은 3개 요인(경험의 질, 편의시설, 매력성)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행동의도는 단일차원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 1인 한류경험유형(무형적 한류경험, 유형적 한류경험)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요인(경험의 질, 편의시설, 매력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경험유형이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경험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형적 한류경험(β=.333, p<0.000), 무형적 한류경험(β=.210, p<0.004)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경험의 질)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경험유형이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편의시설)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형적 한류경험(β=.262, p<0.001), 유형적 한류경험(β=.177, p<0.022)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편의시설)에 대하여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경험유형(무형적 한류경험, 유형적 한류경험)이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매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무형적 한류경험유형(β=.337, p<0.000)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매력성)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유형적 한류경험(β=.067, p<0.382)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매력성)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부분채택되었다. 셋째, 가설 2인 한류경험유형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류경험유형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석결과, 무형적 한류경험(β=.203, p<0.006), 유형적 한류경험(β=.357, p<0.000)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방한 중국 유학생의 한류경험유형은 유형적 한류경험> 무형적 한류경험 순으로 행동의도에 영향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넷째, 가설 3인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경험의 질, 편의시설, 매력성)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경험의 질(β=.311, p<0.000), 편의시설(β=.211, p<0.004), 매력성(β=.167, p<0.018)) 순으로 행동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 3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류(유형적 한류와 무형적 한류)가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방한 중국 유학생의 정보원천은 소셜 미디어(SNS, 카카오, 네이버, 페이스북, 스마트폰)등을 통해 한류정보를 얻거나 소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 유학생을 유인하기 위해 소셜 미디어를 통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한류경험유형, 한국의 관광지 이미지 그리고 행동의도를 살펴보았다. 한류경험유형에 대한 연구가 강원도 지역의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기초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코로나19 현황 이후, 방한 중국유학생뿐만 아니라 중국인 관광객의 한류체험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류경험(유형적경험, 무형적경험)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방한 중국인 유학생이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상품들(다양한 쇼핑상품개발, 편의시설의 편리성, 다양한 한국문화체험개발)을 지속적이고 차별화된 관광상품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다양한 학력의 응답을 목표로 하였지만, 방한 중국 유학생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학력에서 대학원 이상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방한 중국 유학생을 대표하기에는 대표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둘째, 가설검증 과정에서 기초자료를 수집할 때 주로 설문지 조사법에 의존하였다. 이렇게 설문지 조사법으로 좀 더 샘플사이즈(sample size)를 늘려서 연구를 수행하여야 했으나, 중국앱(问卷星)을 통하였기 때문에 중국 유학생들에게 원활하게 설문지를 보내고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다양한 측정시기(계절별, 성수기, 비수기)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설문지 조사는 여름시기에 조사하였다. 따라서 계절별에 따라 중국유학생이 인식하는 한류경험유형 및 한국의 관광지의 특성이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