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andem 시스템의 유휴 AGV 대기위치 결정에 관한 연구

        정현철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AGV시스템은 컴퓨터 통제하에서 정해진 유도경로를 따라 부품을 운반하는 고도의 물류취급설비이다. 이들은 투자비용의 소모가 크다는 단점을 가지는 반면에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이 확장 또는 조정되는 변화에도 매우 유연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시스템의 자동화를 위해 많은 산업현장에서 도입되고 있다. 그러나 AGV시스템을 단순히 도입하는 것만으로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기대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하고 있다. 즉 AGV의 발주 방법, 유도경로의 설정, AGV의 정체·혼잡현상, 유휴 AGV의 관리와 같은 운영상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이와같은 운영정책들중에서도 AGV가 시스템에서 유휴한 상태가 되었을 때 이들이 대기하게 되는 지점을 어떻게 결정지을것인가 하는 문제는 AGV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된다. 즉 시스템에서 부품 운반요구가 없는 상태에 놓였을 때를 AGV가 유휴한 상태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유휴 AGV의 대기위치는 다음 부품운반요구가 발생한 작업장까지 AGV가 도달하는 시간 즉, 부품의 대기시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tandem 시스템내의 각 작업군에서 유휴현상이 발생한 시점의 시스템 정보가 반영된 새로운 동적 대기위치 결정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각 작업군내에서 작업장별 부품 운반요구량을 유휴현상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재계산해 내고 작업장과 입·출고 버퍼의 위치를 고려하여 모든 선정 가능한 후보 유휴지점들에서 작업장들까지의 기대 유휴거리를 계산하고 최소값을 주는 임의의 한 지점을 이 시점에서의 유휴지점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제시한 유휴정책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기존의 유휴정책들과 두 개의 tandem 시스템을 설계하여 시뮬레이션하고 부품의 대기시간과 AGV의 총 유휴거리를 비교하였다. AGVs are high-tech material handling systems to transfer parts along the constant guide Large amount of investment is necessary to purchase an AGV path under computer control. system, however, it gives a great system flexibility as well as easy maintenance. Performance of a material handling system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veral operation policies such as routing, scheduling, dispatching and management of idle vehicles. Determination of idling AGV position is the most important portion of AGV availability. The position of idling vehicle can effect response time and waiting time of in-processing parts. A method to determine dynamic waiting position of idling AGVs in a tandem system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n-processing part flow requirement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idling position of AGV if the vehicle is idling.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ransfer buffer, expected distances between workstations and idling position are obtained and the position which gives minimum value is found. Two tandem systems are generated and compared with existing other policie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algorithm using GPSS/PC.

      • 한국 직종별 노동시장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정현철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the 1990s, the labor market in Korea has widened the wage gap between workers and the employment anxiety phenomenon at various levels such as education, job type, proficiency level, gender, corporate size, and employment type. Therefore, based on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the dual labor market theory, which correspond to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theory, the Korean labor marke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labor markets: professional, office, and service and production workers. On the premise of this segmental labor market, a three-factor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was assumed, and the estimation equations of occupational labor demand, including production, material capital,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as an exogenous factors is derived. Based on the equations, SUR estimation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occupational labor demand. The estim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wage (, ) for each job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abor demand for production workers. Since the relative wage of professional worker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ffic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it can be seen that it is an alternative relation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produ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labor by all occupation. In particular, it had the greatest impact on production labor. This means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outpu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crease or decrease in production employment.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 fluctuation of employment in production jobs is greater than that of employment in other occupations for repeated economic fluctuations. Third, physical capital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duction labor,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Physical capital replaces production labor, and professional, office, and service labor increases. Fourth, globaliz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duction labor, but it served as a factor for increasing employment in professional and office and service labor. Therefore, in the Korean labor market by occupation, the international trade hypothesis is partially supported in terms of increasing labor demand for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Fifth, technological progress reduced the employment of production labor and served as a factor for increasing the employment of professional and office workers and service workers. In the occupational labor market in Korea, the skilled labor biased technological progress is supported.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production labor market is substantially segmented with not only the professional labor market but also the office and service labor market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when exogenous change in such as production volume and technological progress occur, production labor changes more flexibly than labor by other occupations. Accordingly,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can be presented. First, production workers need an employment stabilization policy in response to unemployment caused by economic recession and the crowding-out effect of employment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education system and foster talent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professional labor due to technological progress. This paper analyzed the occupational labor demand by integrating the nine major categories classified in the 'Work Status Survey by Employment Type' into the 3 categories, that is, professional, office & service workers and production workers. However, this kind of categorizaton has an arbitrary aspect, so there is a limit to the overall analysis of the multi-layered segmentation phenomenon of the Korean labor market. Therefore, the future research project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heterogeneous labor demand in the segmented labor market that reflects the level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company size. 한국의 노동시장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 학력별, 직종별, 숙련도별, 성별, 기업규모와 고용형태 등 다양한 층위에서 노동자간 임금격차 확대와 고용불안 현상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노동시장분절론에 해당하는 인적자본론과 이중노동시장론을 바탕으로 한국 노동시장을 3가지 직종별 노동시장, 즉 전문직, 사무직 및 서비스직과 생산직 노동시장으로 구분하였다. 이런 분절노동시장을 전제로 생산요소를 전문직 노동,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과 생산직 노동으로 하는 3요소 콥-다글라스 생산함수를 상정하고, 외생요인으로 생산량, 물적자본, 세계화와 기술진보를 포함한 직종별 노동수요 추정모형을 유도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직종별 노동수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SUR 추정방법으로 회귀분석하였다. 추정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별 상대임금(, )은 생산직 노동수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전문직 상대임금()은 사무직 및 서비스직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대체관계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생산량은 모든 직종별 노동과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산직 노동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컸다. 이것은 생산량의 증감이 생산직 고용 증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생산량 증감이 반복되는 경기변동에 대해 생산직 고용의 변동폭이 다른 직종별 고용의 변동폭보다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물적자본은 생산직 노동과 음(-)의 상관관계를, 전문직과 사무직 및 서비스직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물적자본은 생산직 노동을 대체하고 전문직과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세계화는 생산직 노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전문직 노동과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의 고용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한국 직종별 노동시장에서 국제무역가설이 전문직 노동과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수요 증가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다섯째, 기술진보는 생산직 노동의 고용을 축소하고 전문직 노동과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 고용 증가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의 직종별 노동시장에서 숙련노동편향 기술진보가설이 지지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노동시장은 전문직 노동시장뿐만 아니라 사무직 및 서비스직 노동시장과 분절이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량과 기술진보와 같은 외생적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생산직 노동은 다른 직종별 노동에 비해 더 탄력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생산직은 경기침체기의 고용감소와 기술진보에 따른 고용구축효과로 인한 실업에 대응한 고용안정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세계화의 기술진보로 인한 전문직 노동수요에 부응한 교육제도 개편과 인재양성정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의 직종별 대분류 9개 항목을 전문직, 사무직 및 서비스직과 생산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이 자의적인 측면이 있어 한국 노동시장의 중층적 분절현상을 총체적으로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과제는 학력별과 기업규모별 등의 층위를 반영한 분절노동시장에서 이질적인 노동수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지역전략산업육성사업 연구개발지원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경북지역 지원 수혜기업 중심으로 : Focusing on Enterprises Received Support in Gyeongsangbuk-do

        정현철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n sales and employment growth that is targeted by the companies in Gyeongsangbuk-do received research support from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motion project from 2008 to 2012. As a results of study, it is analyzed that the R&D support of regional strategic industry promotion project give a positive impact on sales and employment growth in the company. Also, it is analyzed in which company group is generated the biggest positive effect of the R&D support after grouping by technology life-cycle and by size of the company received the R&D support. in the group by technology life-cycle of the company, The growth rate of sales and employment was higher in the group of companies developing the introducer technology. in the group by size of the company, The growth rate of sales was higher in the group of small-sized company group and The growth rate of employment was higher in the group of mid-sized company. total cost of R&D support and private investment ratio showed that does not affect the sales and employment of the company. Given these results, direct R&D investment of government gives a positive impac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company when the government support the R&D of company limited skills of R&D Investment capabilities and scale. and considering the companies in Gyeongsangbuk-do are a manufacturing company, it is required the more strategic policy approach to obtain better effectiveness of R&D support.

      • 중학교 체육수업의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현철 전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체육수업의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하여 문제해결학습의 구체적 실천 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해결학습 프로그램이 체육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내용과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교육되어지는지, 그리고 그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색해보았다. 먼저 2012년 9월부터 2013년 11월까지 총 1년 2개월 동안 모두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자가 가르치는 모든 학생 1학년 2개반과 2학년 2개반 총 123명을 대상으로 문제해결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 학생들은 체육의 기능과 흥미별로 모두 네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그룹에서 각 대표성을 띄는 학생 1명씩을 선정하여 총 4명을 주제보자로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참여 관찰, 심층면담, 현장일지, 활동지 등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기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기술,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분석된 자료는 질적 사례 연구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문제해결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체육수업의 개선을 지향하는 ‘실행연구’, 교사와 학생의 경험 이야기를 반영하는 ‘내러티브 탐구’,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교육기술지’ 등 다양한 연구 논리와 기법을 포괄적으로 적용하여 해석되었다. 본 연구에의 문제해결학습은 학생이나 교사가 쉽게 적응할 문제해결 과정으로 문제 이해, 탐색, 문제 실행, 문제해결, 반성의 다섯 단계로 진행하였다. 다섯 단계의 문제해결 과정을 통하여 창의적인 사고력과 반성적인 사고력을 신장하고, 학생의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구성주의적 이론과 문제해결학습 이론을 근거로 활동지극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측면의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문제해결과정을 도와주기 위해 교사는 지속적으로 반성적 성찰을 실천했으며, 이러한 실천은 학교 안 수업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삶 속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로 다가왔다. 둘째, 교사는 개별적인 활동지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개별적이면서도 전체적으로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활동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학생들의 개별적인 특성과 문제해결과정을 한눈에 알아보고 평가할 수 있었다. 이는 인지적, 심동적, 정의적인 측면의 피드백을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제공하고 부족한 부분들을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었다. 셋째, 개별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위해 교사는 학생들과의 긍정적인 의사소통 기회를 부여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교사는 문제해결 상황에서의 최선의 방법이 될 수 있는 질문들을 통해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분위기를 조성하고 더불어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의사소통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다음은 학생 측면의 교육적 의미이다. 첫째, 문제해결학습은 학습자가 학습의 권한과 책임이 학습자 자신에게 있음을 인식하게 되고 학습계획부터 평가까지 모든 학습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기르게 된다. 이러한 학습과정 속에서 학습의 권한과 책임을 지닌 학습자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능력을 집중적으로 탐구하고 그에 대한 발전전략을 세우면서 자신의 능력을 키우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둘째, 문제해결 마지막 단계에서 결정적인 피드백을 서로 주고받으며 문제해결학습의 결론을 내리는 특성은 학생과 학생 사이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서로 연습하면서 서로 잘못된 부분이나 모자라는 부분에 대해 서로 피드백을 주며 협동 과정을 통해 학생들 사이에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적극적인 상호작용은 운동기능 향상뿐만 아니라 친구들을 더 잘 이해하게 해주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문제해결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종합적으로 사고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르게 되며, 나아가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활동지와 수업일기를 작성하면서 동료학습자와 나눴던 의사소통과정과 개별학습을 수행하면서 일어난 자신의 모든 학습경험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러한 비판적 태도는 아무리 생소한 문제라도 포기하지 않고 숙고의 과정을 통해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켰다. 넷째, 학생들은 움직임을 통한 운동 기술과 응용과 같은 움직임의 가치와 원리를 탐구해나가는 과정을 겪으면서 신체 활동의 가치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치를 경험한 학생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시의 삶을 능동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게 하며, 활기차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형성하게 하였다. 다섯째, 활동지 작성인 글쓰기는 신체적인 가치와 운동의 기술적인 가치의 의미를 구성하고 창조하는 일로서 글을 쓰면서 학생들은 그 가차의 앎을 구체화하고 그 깊이를 더해 가는 활동이었다. 이러한 글쓰기는 체육적 지식을 보다 잘 이해하고 기존의 새로운 지식들을 잘 결합하여 학생들의 배경지식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여섯째, 학생들은 내적 동기부여가 이뤄진 상태에서 자신의 학습을 이끌어가는 경험은 학습결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었으며 반성적인 사고를 통해 확산적인 사고를 경험하게 되었다. 문제해결학습 프로그램은 앞의 적용 결과 분석에서 언급했듯이 학습자 중심 교육이론의 학습원칙을 충족시키는 수업환경을 제공하는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제해결학습의 몇 가지 보완해야 할 문제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그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해결학습 수업은 학습자들이 자신들이 선택한 학습주제를 가지고 개별 학습을 수행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개별 학습상황에 대한 피드백을 일일이 해주기에는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이 너무 많이 요구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방법은 ‘협력적 피드백’(collaborative feedback)을 활용하는 것이다. ‘협력적 피드백’이란 여러 명의 교사가 함께 학습지도를 담당하는 교수조직 형태를 말하는데 교사 1인에게 집중되는 과중한 업무 부담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문제해결학습 수업은 개별 학습자가 스스로 세운 학습 목표에 따라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기간을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프로그램 초기에는 학습자들이 이 기간 동안 학습일정에 따라 학습이 잘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지원하는 공식적인 절차가 없어 어려움이 있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교사에게 개별 과제수행을 중간보고 하는 카테고리를 만들어 학습 진행 상황을 학습자 스스로 보고하게 하는 중간보고 절차를 만들어야 한다. 학습자가 중간보고서 양식에 따라 자신의 학습 진행 상황을 보고하면 교수자는 이를 확인하여 필요한 지원과 피드백을 하게 된다. 학습자중심 교육환경을 실천하기 위해 고안된 문제해결학습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협동학습이나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이루어지던 협력학습의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개인 과제수행 단계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활발히 실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수업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practice procedures and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value b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r PSS in physical education. So we searched how this PSS program affected students by what kind of contents and processes needed to reach the goal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this education. First, we advanced this study through all the 4 steps during Sep. 2012 to Nov. 2013. The study participants who we applied this study program to were all the students one hundred and twenty-three students taught by researchers, two classes of each first and second year junior high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ne person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group’s traits and advanced the study with the four representative students. The collections of this study were made up of participant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field journal, activity paper, stated analysis utilizing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analyzed data in the process is based on the study of qualitative examples, ‘practice study’ to aspire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by applying PBL program. We advanced the five steps for the PSS; problem understanding, search, problem practice, problem solution, reflection as the processes of solving problems to adapt easily for students or teachers. We developed the activity paper based on the theory of PSS and applied to improve the reflective and creative thinking power for the students through the five steps of PSS processes.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follows below. Let’s look at the educational meanings for teachers. First, teachers practiced constant regretful introspection to aid the problem solution processes of the students and this made positive changes not only in the classes at school but also in the daily lives of the students. Second, teachers could give the comprehensive feedback to the students through the individual activity paper, and could make efficient communications with them.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ctivity paper could make it easier to judge the individual traits of the students and the process of solution formation. This data was utilized to explain gaps in understanding, the activity papers offer the feedback customized to the traits of individual students in cognitive and definitive mental motivation. Third, the teachers tried to hav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to develop individual problem solving. Through teacher questions that were optimal in solving problem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became positive. Next is the educational meaning for students. First, PSS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realize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and make them actively join the all the learning activities from learning plan to evaluation, thus it makes the self-motivated learning attitude grow. In these learning processes, the learner who has the right and responsibility, searches their own ability intensively and makes the related development plans, finally get the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one’s abilities. Second, the trait in the step of conclusion of PSS through giving and taking critical feedback to each other, this last step of solving the problems made the communication of the students more active. These processes made the students participate together share feedback of failures and insufficient information have active mutual activities through collaborative work. It provides th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as well as improve physical capability. Third, the processes of PSS fostered the attitude to think critically and furthermore improved the skills to solve problems. The learners critically approached all the learning experiences encountered during the individual study and communication process, which was shared with co-learners while writing the activity paper and class journal. This critical manner improved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o find a solution without giving up; regardless of how unacquainted they are from the problem. Fourth,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physical activity value by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looking into the principle movements of workout skills and movement application.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se values could increase their ability, which can make one’s life positive and build their energetic and healthy life habits. Fifth, the activity paper writing embodied knowledge as a way of creating and composing the meaning of physical values and the technical values for exercise. The writing became the start to broaden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tudents, combining the previou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physical knowledge better. Sixth, the experience which draws one’s learning to the state of realizing inner motivation affected the learning results very positively and made the experience of divergent thinking possible through reflective thought. PSS has the advantage of offering study environment, satisfying the learning principle of the learner centered education theory (as stated earlier) in analyzing the results of application. However we found that a few problems for PSS and suggest the alternatives as below. First, the PSS class is an individual study method, which the learners voluntarily chose the subject; it has difficulty of taking too much time to give feedback over the learning state to each student. The most proper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utilizing ‘collaborative feedback’. ‘Collaborative feedback’ is a teaching system form, which teachers are responsible jointly instead of expecting to improve by each teacher bearing the burden of responsibility for his or her students. Second, the PSS class allows the individual student to set their own study schedule. Still it has difficulty i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gram; there is no formal procedure to check that the learner’s study is proceeding according to their schedule.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require a mid-study reporting category, requiring students to report the state of their study advancement. When the students report the state of their study advancement according to the mid-study report form, teachers check this and give the proper support and feedback. We found out that applying the PSS in classes to put into practice the learner centered-education environment, we were able to activate the learner’s self-motivated study, which is the complete stage of individual assignment with the positive effect of the collaborative study that was made in the previous collaborative study or PBL. However we should consider improving the two disadvantages as stated before and should apply to class.

      • 백서에서 방광 출구의 부분 폐색 후 방광 조직내의 nitric oxide synthase의 발현 변화

        정현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Nitric oxide synthase (NOS) is an important enzyme in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NOS is divided into the constitutive NOS (cNOS) and inducible NOS (iNOS). cNOS is divided into endothelial type (eNOS) and neuronal type (nNOS). eNOS exerts its affects on the blood vessel and nNOS on the nerve fiber. In the present study we evaluated the expression of eNOS and nNOS in the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 since we presupposed that NO may be responsible for the prolonged micturition problem after partial outlet obstruction of the rat bladder.Specific pathogen fre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50~300gm were used. Individual bladder was obtained from the sham-operated control rats (n=5), and from rats at 12, 48, 3 and 7 days after a partial urethral obstruction (n=25). eNOS and nNOS were detect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were analyzed with confocal microscopy and an image analyzer.Both eNOS and nNOS expression were detected in the control rats and in the group with the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 The expression of eNOS showed a sharp increase at 3 days after obstruction and returned to normal at 7 days. The expression of nNOS in the group with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 was not static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This study showed that eNOS expression increases in the rat bladder after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 and these results suggest the idea that the overproduction of NO may be induced by ischemic injury in a partial bladder outlet obstruction.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nitric oxide (NO)의 합성에 관여를 하는 물질로서 constitutive NOS (cNOS)과 inducible NOS (iNOS)으로 나뉘며, cNOS는 혈관에 있는 endothelial NOS (eNOS)와 신경에서 작용하는 neuronal NOS (nNOS)으로 나뉘게 된다.방광출구의 부분 폐색에 의한 방광조직의 변화에 있어서 NOS의 발현 및 역할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백서에서 방광 출구의 부분 폐색 후 방광조직에서 eNOS와 nNOS의 발현과 분포를 연구함으로서 방광 출구의 부분 폐색에 있어서 NO의 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Specific anitgen free (SPF) Sprague-Dawley 흰쥐 (주령 7, 체중 250-300 gm)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대조군 및 방광 출구 부분 폐색군 (12시간, 1일, 2일, 3일, 7일)으로 나누었다(n=5). 각 군에서 방광을 적출하여 eNOS 및 nNOS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였고 레이저 형광 현미경 (Zeiss LSM 5.0, Jena, Germany)를 이용하여 염색강도를 측정하였다.방광출구의 부분적인 폐색을 유발시킨 백서에서 방광내의 eNOS 및 nNOS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eNOS의 발현이 방광 출구 부분 폐색 3일째에 의의 있게 증가하였다 (P<0.05). nNOS의 발현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이상의 결과로 방광 출구의 부분 폐색으로 인한 방광 조직내 NOS 발현의 변화가 관찰되며 특히 eNOS의 증가가 초기 폐색으로 인한 방광조직의 중요한 변화이며 이는 조직의 허혈성 손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NOS 발현의 변화가 방광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장시간에 걸친 방광 출구의 부분 폐색에 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이 지각한 직업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현철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perceived by Family restaurant employee on Customer orientaion - Self-efficacy centers on the Effects of - Jung, Hyunchul Department of Hotel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Tourism Sejong University Eat out market of our country in 2015 when current market is increased to more than 240 trillion won in 2010 and seeing improved in more than that. This is making a lot of eating out with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women in public affairs are already positioning itself as a closely related to our lives that eating out market will be able to comprehend the scale of the management. As the market is growing day by eating out of domestic corporate family restaurant had increased a lot, too. But still weak, the reality is that many internal service for employee. Therefore, this research is a family restaurant, a tardy occupational satisfaction are on the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of employee for their self-efficacy,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ffects. Empirical analysis were family restaurant employees who are working the family restaurant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long with the questionnaire survey. Out of the total of 350 questionnaires 312 pieces were selected and used SPSS 17.0 statistical programs for this study. In the analysis wer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reliability analysis. And also were conducted interactive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dummy variable contro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nalyze the effect control. Analysis results, first, affect to customer orientation of the family restaurant employ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second, impact on customer orientation to family restaurant employ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was shown to respond to a control in accordance with the self-efficacy.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amily restaurant executive should be more than better environment such as diverse policies and method for the employ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And if they do, employees's self-efficacy are incresed that through self-help program. Also employees will be increase themselves sense of customer orientation. Then it is likely to increase revenue. Key words : family restaurant, occupati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customer orientation, internal client, internal service 논문요약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이 지각한 직업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정현철(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우리나라의 외식시장은 2010년도에는 약 73조원 이상으로 증가되었고 현재 2015년도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는 많은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되면서 외식은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계로 이미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을 외식시장의 규모로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국내의 외식시장이 커지면서 기업형 패밀리레스토랑의 입지도 많이 확대가 되었는데, 아직도 종사원을 위한 내부적 서비스는 많이 미약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이 지각한 직업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서울, 경기도권의 4곳의 패밀리레스토랑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돌려 진행하였으며, 총 350부 중 312의 유효표본을 선정하여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돌려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표본의 특성을 위한 빈도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한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을 진행하였고,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호작용변수로 위계적회귀분석과 조절더미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로 첫째 패밀리레스토랑의 직원의 직업만족은 고객지향성의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두 번째 패밀리레스토랑 직원의 직업만족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에 따라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패밀리레스토랑은 내부적 고객인 종사원들이 직업에 대해 만족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와 방법을 통해 기업내부에 환경을 만들어주고, 다양한 자기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증가시켜준다면, 종사원들의 고객지향성을 증가시켜 고객만족 서비스로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윤창출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단순한 이윤창출을 나아가서 서비스의 만족을 느낀 고객들의 재방문 증가로 매출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주제어 : 패밀리레스토랑, 직업만족, 자기효능감, 고객지향성, 조절효과, 내부적 고객, 내부적 서비스

      • 벨로우즈형 신축이음관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현철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축관 이음은 배관과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관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하고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신축관 이음이 없으면 배관이 틀어지거나 터질 수 있으므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신축이음관은 가스, 물, 기름 등의 유체를 사용하는 배관의 부속품으로 온도 변화에 따라 생기는 열팽창 및 열수축을 흡수하기 때문에 건축기술과 플랜트 산업의 발달로 점차 대형화되고 첨단, 고도화되어가고 있어 배관의 수평·수직하중, 유체의 온도, 압력 등 배관의 진동이나 신축 인장에 따른 영향이 급격히 커지므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설치 환경에서 플랜트와 선박 등의 배관이 고유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혈관과 같은 파이프라인이 정상적으로 구동해야 한다. 배관의 파손에는 파이프 라인의 반복적인 팽창, 수축, 엔진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포항과 경주와 같이 국내에서도 자주 발생하고 있는 지진과 같은 자연현상에 의한 이동 및 파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파이프라인 중간에 신축 이음을 설치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박판으로 구성된 벨로우즈(Bellows)로 구성된 신축이음관(Expansion Joint)가 널리 쓰이고 있다. 신축이음관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상 신축과 인장을 반복해야 하므로 성형되는 벨로우즈의 두께가 얇고 계산에 따라 수명이 제한된다. 배관 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소음, 진동, 신축, 인장, 압력의 조건을 만족하는 고성능 신축이음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신축이음관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액압성형이나 기계식 성형방법이 아닌 맨드릴 성형방식의 실험적 연구를 통해 신축성능을 만족하면서 압력, 진동의 조건을 만족하는 벨로우즈형 신축이음관의 성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n expansion joint is installed between pipes to absorb the contraction and expansion of pipes and to suppress vibrations. It is a necessary component because pipes are likely to warp or burst without it. As a component of piping for fluids such as gas, water, and oil, expansion joints absorb both thermal expansion and contraction, which occu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mperature. As the technical progress in building and plant industries requires larger and more advanced and sophisticated pipes, the influences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loads, the fluid temperature, and pressure, vibration, contraction, and expansion on pipes drastically increase. Accordingly, expansion joints are becoming increasingly necessary. Pipelines in plants and ships are similar to blood vessels in living beings. To achieve the given purposes of piping systems in plants or ships, pipelines need to operate normally under various installation conditions. Pipes are damaged by the repeti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pipeline, the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the operating engine, and the movements caused by natural phenomena such as earthquakes, which now frequently occur in Pohang and Gyeongju. This problem is solved by installing expansion joints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Bellows-type expansion joints, which are made of a thin metal plate, are most widely adopted. As each expansion joint undergoes repetitive contraction and expansion at its installed location, a thin bellows is used, which tends to limit the lifespan of the joint depending on calculation. Accordingly, a high-performance expansion joint that could satisfy the conditions of noise, vibration, contraction, expansion, and pressure for pipelines with various sizes and lengths should be developed.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mandrel forming, instead of hydroforming and mechanical forming, which are conventionally used by most expansion joint manufacturers.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propose a forming method for bellows-type expansion joints that satisfy both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regard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the pressure and vibration requirements.

      • 영덕군 강구항의 대게상품사슬에 관한 연구

        정현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품사슬 이론을 통해 영덕군 강구항에서 나타나는 대게상품사슬을 밝힌 다음 타지역 대게생산지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비교하면서 사슬과정에서 지역적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 나타나는 대게의 생산-유통-소비의 각 과정의 연구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미시적인 수준인 강구항 일대에서 나타나는 대게상품사슬을 구성하였다. 상품사슬 이론은 상품의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일련의 과정을 밝히는 것만으로도 의의가 있다. 상품사슬 연구는 투입-운송-유통-소비의 과정을 거친다. 상품이 해당 과정을 거치면서 주체(행위자)와 제도의 영향을 받거나 지역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사슬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는 가치의 변화가 일어난다.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주체(행위자)와 제도 그리고 지역이다. 주체(행위자)와 제도로 구성되어 있는 상품사슬의 최근 연구동향은 글로벌 수준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제조업의 생산체계가 복잡해지면서 생산과정에서 네트워크의 과정이 복잡하게 나타나며 의도적으로 지역을 가리기도 한다. 상품사슬의 제조업 연구에 이어 최근에는 농수산물 및 식품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농산물의 상품사슬은 제조업의 공산품보다 사슬의 과정이 비교적 단순하게 나타난다. 농산물 상품사슬 연구는 사슬과정을 밝힐뿐만 아니라 지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수산물의 경우에는 농산물에 비해 상품사슬 구조를 이상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 존재한다. 그러나 수산물 또한 농산물과 마찬가지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수산물의 사슬과정에 관한 주요 사례로는 메기, 가재, 오징어, 연어 등이 있으며 각 연구는 글로벌 수준에서 상품의 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를 밝혀주고 있으며 사슬과정에 영향을 미친 다양한 요소를 고찰하고 있다. 국내에서 나타나는 대게상품사슬을 과정을 생산, 유통, 소비의 단계로 나누어서 고찰을 시도하였다. 생산에 있어서는 국내생산뿐만 아니라 수출과 수입과정을 포함하여 분석을 하였다. 국내생산은 주로 경상북도 동해안 시·군인 포항시, 울진군, 영덕군에서 이루어진다. 수출의 경우에는 적은 양이 이루어지며 미미한 수준이다. 수입의 경우에는 주로 러시아에서 생산되어 강릉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일반적이다. 유통에 있어서는 주로 활게(대게)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특징적인 부분은 대게의 경우에 가공되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소비에서는 수산물 소비증가추세에 따라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생산지에서의 소비, 원거리 주문, 도심지 소매점에서 주로 소비하고 있다. 강구항 일대는 경로의존적 과정을 통하여 대게의 유명세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대게로 유명한 강구항 일대의 대게상품사슬을 국내 대게의 생산, 유통, 소비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시적인 지역에 맞추어서 구성하였다. 주체(행위자)로 나타나는 대게잡이 어선 관계자·강구항 지역으로 타지역 대게를 반입하는 도매상을 생산자로 설정하고 중매인·도매상·소매상을 유통자, 관광객·원거리 주문자가 소비자로 설정하여 사슬과정을 구성하였다. 전체적인 강구항 대게상품사슬에서 제도는 기술·물류·연구·조정·규제·통제 등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며 주로 수협과 영덕군청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구항 일대는 타지역 대게상품사슬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있다. 타지역과 차별되는 요소를 경관 및 상가분포패턴, 계통판매와 비계통판매의 비율, 대게의 이동과 계통판매에서의 대게입찰가격, 자원관리 방법, 주체·제도의 유대관계를 통해 밝히려고 하였다. 각 요소들은 타지역 대게상품사슬에 비해서 강구항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다. 동일한 상품일지라도 지역적 차이를 나타내며 지역 역시 사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regional differentiation about snow crab compare with another area of production(snow crab) before to define snow crab commodity chain in Ganggu port, Yeongdeok-gun. It constitutes snow crab com modity chain where relatively microscopic scale in Ganggu port through the eac h step of snow crab’s product-distribution-consumption in domestic. The commodity chain theory have a signification to reveal from production to comsumption. Research on commodity chains go through inputs-transformation-d istribution-consumption. The products take effect actors, institutions and region when go through in commodity chain. They transform their value in commodity chain, too. There are actors, institutions and region that the effect factor about valuation in productions. Commodity chain research(composition of actors and in stitutions)’s recent trend deals with in global scale. The production system in m anufacturing appear more compliction. Intentionally it hides their place where the products are comes from. Recent trend about commodity chain research expands agricultural and fisherie s and agri-food industry. Commodity chain of agricultural is simple than manufa cturing industry. That is not only to reveal structure of commodity chain but al so to attempt relation about region and commodity. It is hard to explain ideal ty pe in commodity chain of fisheries structure than agricultural one. But it is getti ng important fisheries as agricultural. The case of commodity chain of fisheries are catfish, lobster, squid, salomon. Each researchs are to reveal stage of from p roduction to consumption in global scale. And it studys on variety factor in chai n process. This research tries to study on snow crab commodity chain divided productio 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Korea. In the production, it analyzes not only domestic production but also export and import process. Domestic production of snow crabs are almost in Pohang-si, Uljin-gun and Yeongdeok-gun in Gyeongs angbuk-do. In the export, it is very small amount of production snow crab in K orea. In the import, main root(stage) is from Russia to Gangneung-si, after from Gangneung-si to all around country in Korea. In the distribution, the main focus is fresh snow crab. It is relatively small to part of the characteristic quantities t o be process in Korea. In the consumption, it is estimated to be growing depend ing on the increase in consumption of seafood consumption. And consumption ta ke place in domestic snow crab production place, order by phone and internet or store in downtown. Ganggu port area is still maintains a reputation for snow crab through path d ependency process. Ganggu port is still famous for snow crab. It is make up ma tch in micro scale about snow crab commodity chain in Ganggu port based on d omestic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ctors in snow crab commdity chain in Ganggu port are fishermen who catch snow crab and wholesalers who bring snow crab from another place in producti on category. Middlemans, wholesalers, retailers are actors in distribution categor y. Tourists, people who order snow crab by phone and internet are actors in co nsumption. The institutions that overall snow crab commodity chain in Ganggu port conduct technology, logistic, research, adjustment, regulation, control and so on. The main institutes are Fisheries Cooperatives(Su-hyup) and county office(Y eongdeok-guncheong)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art of snow crab commodity chain in Gang gu port area compare with another snow crab production ports. Elements that se t it apart from another regions are landscape and commercial distribution pattern s, the proportion of sales via system sales and non-system sales, how to move catching snow crab and bid price of snow crab in system sales, resource manag ement methods, ties actor and institution. Each factors appear more significantly in Ganggu port area than another place where production snow crabs. It has reg ional differnces even the same commodity. And region is also a factor that influ ence the chain process, too. Key word: snow crab commodity chain, commodity chain, snow crab, Yeongdeok snow crab, Ganggu port, Yeongdeok-gun, fishery commodity chain

      • 홀과 핀의 결합으로 조립하는 이케아 가구에 대한 조립 순서 검증 및 최적화

        정현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홀과 핀으로 조립되는 이케아 가구에 대하여, 가구에 동봉된 설명서를 해석하여 얻 어낸 조립 순서 정보와 사용되는 부품의 CAD파일 및 각 부품에 존재하는 홀/핀 정보 가 주어질 때 그 조립 순서를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립 순서를 검증하는 과정 은 각 조립 순서마다 필요한 조립 포즈를 구하는 단계, 조립 포즈 상태에서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단계,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조립 시 충돌 여부를 판 단하는 단계로 나뉜다. 또한 해당 조립 순서를 따라 조립을 진행했을 때 얻은 최종 형태의 가구에서 각 부품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로봇을 이용한 조립이 더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조립 순서를 개선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조립 순서를 개선하는 방 법은 로봇이 조립을 진행하면서 움직이게 될 총 질량을 줄이는 방법과 조립 방향이 글로벌 좌표계를 기준으로 -z축을 향하는 조립 작업을 더 많이 하게 하는 방법이 있 다. 조립 방향이 –z축을 향한다는 것은 조립을 진행할 때 기준이 되는 부품에 힘을 주어도 별도의 받치는 힘을 발생시키지 않아도 미끄러지지 않다는 뜻이다. 동일한 가 구를 조립할 때, 되도록 많은 조립 작업의 조립 방향이 –z축을 향한다면 그렇지 않 을 때보다 전체 조립 작업에 들어가는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z축 을 향하는 조립 작업을 최대화하는 조립 순서를 생성하기 위해서 각 부품의 초기 배 치 상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의로 초기 배치 상태를 설정했다. 이케아 STEFAN 의자 모델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했으며 해당 가구에 동봉된 설명 서를 해석하여 얻은 조립 순서 정보를 검증하고 최종 조립 상태에서 각 부품의 연결 관계를 분석하여 새로운 조립 순서를 생성했다. 특히 –z축 조립 방향을 우선하는 방 법을 통해 생성한 조립 순서를 이용했을 때, 기존의 설명서를 해석하여 얻은 조립 순 서를 이용했을 때보다 –z축 방향의 조립 작업의 비율이 39.3%에서 89.3%로 증가함 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