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방안 연구

        정진선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문명의 급속한 발달은 우리로 하여금 수많은 지식과 정보의 수용을 요구하고 있다. 지식의 습득이란 모더니즘적 사고 개념은 더 이상 학교 교육의 본질로서 그 의미를 상실한지 오래이다. 현대 교육의 본질은 급변하는 현대 문명의 제 현상을 적절히 이해하고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인간 사고의 발달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술교육은 많은 측면에서 모더니즘적 교육 환경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즉 미술교육은 시각적 표현 활동을 통한 정서 함양과 취미 육성, 손 기술 발달, 그리고 미술 감상을 통한 정서 함양과 예의적 태도 발달과 같은 감각적 혹은 추상적 능력과 밀접한 교과로 인식되어 이성적 혹은 과학적 사고와 같은 영역과 거리가 먼 교과로 인식되고 있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현대 미술교육은 이러한 모더니즘적 사고를 벗어나 시각은 곧 사고라는 아른하임(Arnheim)의 말처럼 시각적 표현을 통한 사고발달과 관계가 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른하임의 시지각에 대한 이론의 고찰을 통해 인간의 사고 활동에 기여하는 시지각 작용에 대해 알아보고,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시지각의 견해 하에서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시각적 사고 육성을 위한 미술 교육 방안 모색에 그 목적을 두었다. 아른하임은 사고에서 감각과 지각을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가 말하는 시각적 사고는 현실적이고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것에 이르기까지 구상하여 눈에 보이듯이 생각하는 것으로 인간의 모든 일상적인 활동에서 끊임없이 필요로 하는 보편적이면서도 생산적인 사고이다. 일상 생활에서 대부분의 생산적인 사고는 지각적인 성질을 띠고 있으며 지각적 사고는 시지각에 가장 의존한다. 이와 같이 미술 교육을 통해 시각적 사고를 기르는 것은 인간의 지각 능력의 향상에서 나아가 인간 정신의 발달에도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학교미술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시각적 기회를 제공하며 시각적 경험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 사고를 키우기 위한 최적의 교과이다. 따라서 시각적 사고를 키우기 위해서는 시각적 정보를 분류하고 조직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미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각적 형태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와 원리인 시지각 요소와 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기에 본 연구에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 모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 모형은 인지적 정보 처리 과정으로서의 시각적 사고 과정과 반성적 사고 과정으로서의 시각적 사고 과정을 접목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지도 모형은 아동의 삶과 연관되고 아동이 주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탐구를 통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의 방향으로 구안되었다. 또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는 표현과 감상, 이론과 실제가 분리된 미술 학습이 아니라 삶 속에서 미적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통합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느꼈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시지각 요소와 원리 지도 모형이 초등 미술 교육에서 시각적 사고력을 기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이 지도 모형이 현장에서 실천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교사에 의한 주체적 활용과 적절한 시지각 활동들을 고안하여 지도 모형과 접목하는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 가족응집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정진선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수준과 진로태도성숙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첫째, 가족응집력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 진로 태도수준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가족응집력이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태도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와 모의 의사소통이 자기효능감, 진로의사결정 수준 및 진로태도성숙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가족응집력과 부와 모의 의사소통 방식이 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에 비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경기도 분당과 용인에 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 진로의사 결정 수준, 진로태도 성숙수준, 자기효능감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Program SPSS 12.0을 이용하여 t검증과 변량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응집력이 높은 집단의 청소년들이 낮은 집단 청소년들보다 자기 효능감이나 진로결정 수준이 높았고, 진로 태도에서는 독립성을 제외하고는 결정성,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 중 아버지와 자녀의 개방형 의사소통 수준이 자기 효능감과 진로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어머니와 자녀의 개방형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자기 효능감과 진로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응집력의 경우 여학생의 경우만 진로결정 수준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진로 태도의 경우에는 여학생의 경우 진로 결정성, 진로 준비성, 진로 확신성에 영향을 주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진로 목적성과 진로 확신성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개방형 의사소통 수준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의 자기 효능감과 진로결정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으나, 진로 태도의 경우에는 다소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학생의 경우 가족응집성과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자기 효능감, 진로결정, 진로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여학생과는 달리 남학생의 경우는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해서 좀 더 연구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researched that how the family cohesion and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ffect to the self-efficacy,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aturity level of career attitude and how these factors exhibit different aspects by sex among high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y cohesion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the self-efficacy,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the maturity level of career attitude? 2. How does the family cohesion affect to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r the maturity level of career attitude? 3. How does the mother-adolescent and father-adolescent affect to the self- efficacy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r the maturity of career attitude? 4. Does the family cohesion and the mother-adolescent and father-adolescent communication affect differently by sex to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high school students who live in Bundang and Yongin, Kyounggido. There were 92 male students and 145 female student. The measurement scales used are career decision level, maturity level of career attitude, self-efficacy, family cohesio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2.0,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Students in higher family cohesive group have high level of the self-efficacy or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determinant, readiness, objectivity, and confidence except independence for the career attitude were higher than students in lower family cohesive group. 2. Father's open communication doesn't have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but high level of mother's open communication has influences on the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development. 3. Family cohesion influences only the female student's career decision level. Also it affects female student's determinant, readiness, and certainty of career, but only purpose and certainty of the career of male students, for the career attitude. 4. Level of mother's open communication contributes to increas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but affects differently by sex to the attitude of the career. This result suggests that unlike the female student's case which showed that the family cohesion and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have influence on female student's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and attitude to the career, the male student's case needs to be studied by multilateral approach.

      •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진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조직 만족과 직결된 조직몰입에 미치는 변인들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를 통해 내재적 부분의 만족을 높여 유아교육 조직에 보다 긍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지도성,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배경(결혼여부, 최종학력, 경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 직무만족, 조직몰입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 및 직무만족의 하위요인들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D시와 S시 어린이집, 유치원 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212명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 여부에 따라 미혼의 교사가 자기지도성 전체, 조직몰입 전체,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책임감, 개인 성장과 발달, 교수권한, 성취의 인정, 봉급, 관리와 권한부여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석사졸업 이상이 자기지도성의 하위요인 행동적 전략이 높게 나타났고, 2,3년제 대학 졸업이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관리와 권한 부여,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규범몰입, 근속몰입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3년 미만이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성취의 인정,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규범몰입, 감정몰입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지도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성취의 인정, 승진과 보상이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몰입, 감정몰입, 근속몰입 모두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를 바탕으로 유아교사가 조직에 더욱 몰입하여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는 교수 행위에 열정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의 연수, 세미나 등의 역량 강화를 위한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의 근무 여건에 따른 수당, 복지 등 적절한 처우개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become more positively committed to their re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organizations through increased intrinsic satisfaction by explicating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an investigation on which variables influence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organizational satisfaction. The research questions formulat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background (marital status, highest level of education, work experience)?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what relative influence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hav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40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in D city and S city. Responses from 212 of them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ed depending on marital status, highest educational level and work experience. In terms of marital status, unmarried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of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ll of their subfactors, respectively, and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its subfactors such as responsibility,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teaching authority, recognition of accomplishment, salary, and management and authorization. In terms of level of education, teachers with a master’s degree or higher level of education showed high level of behavioral strategy, a subfactor of self-leadership, whereas teachers who have graduated from a 2 or 3-year university showed high level of management and authorization,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and high level of normative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erms of work experience,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showed high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its subfactor of recognition of accomplishment and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its subfactors such as norma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self-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recognition of accomplishment, promotion and compensation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all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cluding normative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 abov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raining and seminar opportun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o that they can have great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ill ultimately be the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also suggest that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for treatment improvement so that adequate allowances and welfare are provid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ir service.

      • 뇌졸중 후 장애인의 건강교실 참가여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진선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뇌혈관에 순환장애가 일어나 갑자기 의식장애와 함께 신체의 반신에 마비를 일으키는 급격한 뇌혈관질환을 말한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3대 사인의 하나로, 발병 후 1개월 이내에 약 25%가 사망하며 나머지 75%의 환자는 뇌 손상의 결과로 여러 가지 후유증을 남기게 된다. 즉 자가간호수행이 불가능하여 의존적이 되고, 우울, 좌절 등 심한 신체적, 정서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며 이는 본인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영향을 주어 개인과 가족 모두의 안녕, 곧 삶의 질을 떨어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오늘날 뇌졸중 환자의 증가와 이에 따른 문제는 개인이나 가족의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졸중 장애인의 신체, 심리, 사회 등 하위 영역을 포함하는 삶의 질의 향상에 초점을 맞춘 사회사업적 개입의 프로그램이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프로그램 미 참가자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뇌졸중 장애인의 사회사업적 개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으로 C장애인복지관의 건강교실 프로그램 참가자를 연구집단으로 하였고, 비교집단은 동일지역 내에 노령인구 밀집지역에서 뇌졸중으로 파악되는 대상자를 편의 표집하였다. 프로그램 개입은 4월 2일부터 5월 4일 까지 주3회씩 총15회로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종료시기에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을 각각 1:1 면접조사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방활란이 개발한 도구를 뇌졸중 장애인에 맞게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교차분석, t-test, 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자료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강교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연구집단은 삶의 질이 5점 척도 중 3.28점으로 조사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비교집단은 2.78점으로 연구집단의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의 신체,심리,사회,경제 등의 6개 하위영역에서도 건강교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집단은 참가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의 각 영역에 초점을 맞춘 사회사업적인 개입으로서의 건강교실 프로그램은 사회사업적인 개입을 하지 않은 뇌졸중 장애인에 비해 삶의 질의 각 영역 모두에서 삶의 질이 높음이 확인 된 바, 건강교실 프로그램은 뇌졸중 장애인이 안고 있는 개인의 신체,심리적인 문제와 제한된 사회활동, 가족의 안녕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사회사업적 개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던 임상실무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활용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 stroke relates to cerebral hemorrhage causing the paralysis of half the body accompanied by a conscious disorder due to the circulatory disorder of cerebral blood vessels. A stroke is one of the three causes of death in the world, and about 25 percent of the patients die within a month and the rest of them suffer from various sequelas. That is, home nursing is not available, and the patients are getting more dependent and experiencing serious physical and mental pain including depression and frustration. This is responsible for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not only on the part of the patients but also on the part of their family member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troke-suffering patients and related problems come to the fore as serious problems of the communities where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reside. In this context, this study is designed to shed light on the influences of social-work interference programs on the quality of the patients focusing on such subordinate areas as the patients' bodies, psychology and their society and to grope for measures to activate social-work intervention for stroke-related disabled persons. The research group consisted of participants i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of C Welfare Center for Disabled Persons and the contrast group was composed of stroke patients in the same area as the research group. The program intervention lasted for a total of 15 sessions (three times a week) in the period from April 2, 2001 to May 4, 2001. And the researcher interviewed the subjects of both the groups on a one-to-one basis when the programs came to an end. The measuring tool was an adaptation of Bang Whal-ran's instrument, and the researcher depended on percentage,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e findings based on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earch group stood for 3.28 scores out to five-point scale in terms of quality control, while the contrast group accounted for 2.78. The former turned out to be higher in terms of their life quality, which mean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n terms of six subordinate areas such as physical aspect, psychology, society and economy etc,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former is better than the latter in term of all the areas of life quality due to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he programs can serve as a facilitator for clinical practice targeting stroke-related disabled persons.

      •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과 결혼에 대한 태도

        정진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styles of single women in their 30's through a conducted research and analysis on lifestyle both in the realm of consciousness and in their lives. Also, it is to show what differences it makes on social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attitude toward single life and marriage, and on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240 single women, 30 to 39 living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The study was undertaken in the realm of life and consciousness of lifestyle to view the lifestyles of single women in their 30's. The test consists of content, which can reflect today's society by compensating for existing test's shortcomings, and of the measurement chosen and revised from the existing researches, which can present the lifestyles of single women in their 30's in each realm. Each component is composed by applying the 5 level Likert Technique.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and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checked by Cronbach's α.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ir lifestyles can be classified by 5 categories : "stable and steady",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trend-leading", "faithful to oneself", "passive and indifferent". The "stable and steady" category is characteristic of those who are conservative in the issue of sex and are leisure-oriented. The single women who can be categorized as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are the most conservative in the issue of sex, among the 5 category, and put a great value on their religious lives. The group of single women whose lifestyles are the "trend-leading" category show high interest in social problems and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ir own distinctive individuality. The "faithful to oneself" category tend to have progressive ideas about the issue of sex and are not very interested in society while they feel very highly in self-development and other personal issues. Lastly, those who are in the "passive and indifferent" category have low interest in social phenomenon and low level of self-satisfaction. Second, those 5 categories differ with each other on the attitude toward marriage and the choice of staying single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To the question if they voluntarily have chosen to stay single, the "trend-leading" category marked on "very positive" in responding, when the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category marked on "very negative". To the question if they involuntarily have chosen to stay single, the most positive response came from the "passive and indifferent" category as they tend to wait for the right person to get married, not that they refuse to get married. For this reason, the "passive and indifferent"category could also refer to as an involuntary and temporary group. In the question about lifestyle changes they might experience after marriage, the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category showed the highest expectations about married life. Third,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lifestyles of single women in their 30's, the "conventional and conservative" category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The category who answered with the lowest level in satisfaction was the "passive and indifferent" category. Those single women classified in the "passive and indifferent" category relatively have a negative point of view about their ego and a passive way of living and leisure time consuming, which, I think, naturally has negative impact on their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연구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의식영역과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조사 한 분석을 통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30대 미혼여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미혼ㆍ결혼에 대한 태도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도의 30세부터 39세까지의 성인 미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작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40부를 분석하였다.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살펴보기 위해 라이프스타일의 의식과 생활측면을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의식영역은 성의식, 사회관, 인생관, 여가관, 자아관으로 이루어지고 생활영역은 여가생활, 소비생활, 인터넷 생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라이프스타일에 결혼관이 포함되나 연구자가 30대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 미혼 ㆍ 결혼에 대한 태도에 포함시켰다. 라이프스타일은 기존 라이프스타일 연구들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현재 사회를 반영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각 영역에서의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문항들을 선정하여 수정한 척도로 구성하였다. 모든 문항은 5점 Likert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서 요인분석, 군집분석, χ², ANOVA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Cronbach's α를 통해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은 5개의 ‘안정 건실형’, ‘관습적 보수형’, ‘유행 선도형’, ‘자아 충실형’, ‘소극적 무관심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면 ‘안정 건실형’은 보수적 성의식을 가지고 있는 집단으로 적극적으로 여가를 즐기는 여가지향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관습적 보수형’은 가장 보수적인 성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종교가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집단이다. 비자발적으로 미혼을 선택하였으며 결혼에 대한 기대가 큰 집단이다. ‘유행 선도형’은 사회적 관심이 높으며 자신만의 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단으로 자발적으로 미혼을 선택하였다. ‘자아 충실형’은 진보적인 성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자기개발과 개인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사회 관심도는 낮은 집단이다. 마지막으로 ‘소극적 무관심형’은 사회적 관심도가 낮으며 자아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집단으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미혼 ㆍ 결혼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유행 선도형’이 ‘자발적으로 미혼을 선택하였다.’에 높은 의견을 보이는 반면 가장 낮은 의견을 보인 집단은 ‘관습적 보수형’으로 나타났다. ‘관습적 보수형’은 종교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집단으로 종교 가치관의 영향으로 인하여 보수적인 결혼관을 지니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유행 선도형’은 결혼으로 인한 책임감보다는 미혼의 자유로운 생활을 선택하는 집단으로 직업적 성취에 높은 가치를 두며 진보적 결혼관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으로 미혼을 선택하였다.’에서는 ‘소극적 무관심형’이 가장 높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즉, 결혼에 대해 부정하기보다는 적당한 배우자감이 나타나면 결혼을 하고자하는 비자발적 임시적 집단임을 알 수 있다. 결혼에 따른 삶의 변화에 대해서는 ‘관습적 보수형’이 결혼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30대 미혼여성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서 ‘관습적 보수형’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 집단은 ‘소극적 무관심형’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무관심형’은 다른 집단에 비해 자아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소극적인 여가생활, 삶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인다고 생각된다.

      • 三柱理論에 根據한 胸腰椎部 骨折 및 骨折 脫臼 分流의 論爭點에 대한 硏究

        정진선 忠南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fracture and fracture-dislocation in thoracolumbar spine have been increased by traffic accident and industrial injury, and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is possible with newer imaging techinque such as CT or MRI. however, not all injuries to thoracolumbar spine can be assigned accurately to Denis classification. We analyzed and classified the radiological result of 145 cases thoracolumbar spine fracture, dislocation at our hospital from July. 1988 to Nov.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ost commonly injured level was L1 (59 cases 41%) and followed by T12 (38 cases 26%). 2. By Francis Denis classification, Burst type fracture was most common (66 cases 45%), and followed by compression, fracture-dislocation, and seat-belt injury. 3. Some injury on thoracolumbar spine is not assigned accurately to Denis classification, and we think that new classification and correction should be made.

      •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정진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은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삶의 질을 증진시킴으로써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기 위함이며 더 나아가 관상 동맥질환의 2차적 재발을 예방하는 간호중재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06년 10월 18일부터 11월 15일까지이며, 서울지역에 위치한 1개의 종합병원에서 관상 동맥 우회술을 받은 후 외래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Brandt와 Weinert(1981)이 개발한 PRQ-part II 로 인지적 사회지지 측정도구 와 Ware와 Sherboune(1992)이 개발한 The Short Form(SF)-36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관상동맥 질환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변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일반적 특성, 관상동맥 질환 특성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의 관계는 independent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상 동맥 우회술을 받은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각각 4.82(±.96) 과 66.77 (±19.09)이었으며, 각각의 하부영역에서는 자아개념 지지(5.03±.97)와 감정적 역할 제한(78.98±25.11)이 가장 높았고, 양육(4.64±1.01)과 활력(49.93±23.07)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536, p=.000), 신체적 기능을 제외한 모든 하부 영역에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사회적 지지와 대상자의 제반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성별(p=.001), 교육수준(p=.000), 직업(p=.007), 월수입액(p=.000), 흡연여부(p=.013), 음주여부(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삶의 질과 대상자의 제반 특성과의 관계에서는 성별(p=.005), 교육정도(p=.008), 직업(p=.016), 배우자(p=.015), 월수입액(p=.021), 수술시기(p=.003), 흡연여부(p=.02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관상 동맥 우회술을 받은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삶의 질을 증진시키고 더 나아가 관상 동맥질환의 2차적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 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재 전략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ims to help providing nursing intervention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8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from one general 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8th of October 2006 to the 15th of November 2006. Social support measurement tool of Tak, Young-Ran which adjusted and complimented PRQ-partⅡ developed by Brandt and Weinert, Quality of life was measured by using SF-36, a 36 item self administered instrument.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version 14.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in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mong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ANOVA. As a post hoc, Duncan test was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were 4.82(± .96) and 66.77(± 19.09) each. In each subarea, self-worth(5.03±.97) and role limitation-emotion(78.98±25.11) were the highest and nurturance(4.64±1.01) and vitality(49.93±23.07) were the lowest. 2. In regard to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was high with quality of life(r=.536, p=.000). In the aspect of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refore,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atients,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3. In the relation of social support according to who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01), educational level(p=.000), occupational state(p=.007), monthly income(p=.000), smoking(p=.013) and drinking(p=.002). 4. In the relati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whol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p=.005), educational level (p=.008), occupational state(p=.016), spouse state(p=.015), monthly income(p=.021), operation period(p=.003) and smoking(p=.025).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social support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This suggests that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could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evaluate separately sever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