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의 리드타임 예측모델 개발

        정재웅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의 리드타임 예측모델 개발 정 재 웅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건축물에서 커튼월은 우수한 시공성과 경제성으로 건축물에서 많이 적용하여 시공하고 있고, 국내 고층 건축물에서 대부분 유닛 시스템 커튼월을 적용하여 설계, 시공하고 있다.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는 전체공사의 공정관리 측면에서도 주 공정상에 위치한 공종이고, 전체 공사기간의 50 % 이상의 긴 공사기간을 갖는 중요한 공종이다. 그리고 커튼월 공사와 프로젝트 전체 공정과 품질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공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커튼월 컨설턴트와 커튼월 전문건설업체 그리고 시공현장의 기술자들이 과거 경험치를 바탕으로 개략 예상 리드타임을 적용하여 설계검토와 계약, 시험 등 커튼월공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부정확한 리드타임에 의해 공기가 지연되고, 이로 인해 공정관리, 품질관리, 안전관리, 원가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의 전체 리드타임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정확한 리드타임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리드타임 구성 액티비티 소요시간 예측모델을 개발하여 커튼월 공사를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연구의 범위는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의 전체 리드타임과 리드타임 구성 액티비티 소요시간으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27개의 사례 프로젝트를 분석하여 제시된 리드타임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또 다른 2개의 사례 프로젝트로 예측모델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에서 전체 리드타임과 리드타임 구성 액티비티의 예측모델은 다음과 같다. Yl = 0.127*X₁+ 0.005*X₂+ 25.321, Yl:전체 리드타임 예측모델 Ym = 0.146*X₃+ 12.683, Ym:목업 테스트 소요시간 예측모델 Ys = 0.964*X₃+ 16.483, Ys : 샵 드로잉 소요시간 예측모델 Yf = 0.917*X₃+ 12.505, Yf : 공장제작 소요시간 예측모델 전체 리드타임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건물높이(X₁)와 층당 커튼월면적(X₂)이고 목업 테스트, 샵 드로잉, 공장제작 소요시간 예측모델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는 건물층수(X₃)이다. 현장에서 공사 수행 시 커튼월 현장설치 시점보다 예측된 전체 리드타임만큼 선행해서, 유닛 시스템 커튼월 공사의 계약단계부터 시작해야 최적의 공정으로 커튼월공사와 전체공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리드타임 예측모델이 커튼월공사와 전체공사의 공정관리에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리드타임을 단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연구와 공사비 및 인력을 예측, 관리, 절감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 유닛 시스템 커튼월, 리드타임, 리드타임 구성 액티비티, 예측모델 지도교수 : 구교진 Development of Lead Time Prediction Models for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By Jae-Woong Jeong Graduate School of Urban Science, University of Seoul Curtain walls are widely applied and constructed in buildings with their outstanding workability and cost effectiveness. Unit system curtain walls are designed and constructed in domestic high-rise buildings mostly.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is one of the major work processes in the aspect of the process control in the entire construction, and is an important work with a long construction period over 50% of the whole. It is also one of the construction types largely affecting the curtain wall construction as well as to the whole process and quality of the project. Nevertheless, some curtain wall consultants, construction companies and engineers apply approximate estimate lead time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s and establish the construction plan such as design review and contracting and tests, delaying the construction and causing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control, quality control, safety control and cost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hole lead time prediction model of the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allowing exact lead time prediction, and to develop a lead-time activities time prediction model, allowing the best performance of curtain wall constructions.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whole lead time of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and the time taking the lead time activitie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in the study by investigating 27 project cases to develop the whole lead time prediction model and lead time activities time prediction model, and by verifying the prediction model with other 2 project cases. For the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whole lead time and lead time activities prediction models are as follows. Yl= 0.127*X₁+0.005*X₂+25.321 Ym= 0.146*X₃+12.683 Ys= 0.964*X₃+16.483 Yf= 0.917*X₃+12.505 [note] Yl : whole lead time prediction model, Ym : mock-up test time prediction model, Ys : shop drawing time prediction model, Yf : factory production time prediction model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the whole lead time include building height and curtain wall area per floor and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mock-up test, shop drawing and factory production lead time prediction model includ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It is expected that curtain wall construction and entire construction would be performed smoothly with the best process only if unit system curtain wall construction is undertaken prior to the curtain wall installation by the predicted entire lead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lead time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be utilized usefully for the process control of curtain wall construction and entire construction, and future research would be required to shorten and control the lead time and to able to predict, control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labor. Key words : unit system curtain wall, lead time, lead time activities, prediction model Thesis Supervisor : Professor Kyo-Jin Koo

      • 유체투과를 고려한 차음용 음향메타패널 설계

        정재웅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음향메타물질을 이용하여 유체는 투과시키면서 목표주파수 대역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는 패널 구조를 제시한다. 유체투과가 불가능한 방음패널은 강풍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방음용 패널에 구멍을 뚫으면, 유체투과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이 구멍을 통해 소음도 같이 투과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유체는 투과되지만 소음을 차단시키는 음향메타물질 패널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음향메타패널의 단위체는 유체투과가 가능한 원형파이프에 Chamber형상의 Resonator가 연결된 구조이고, 이 단위체들이 주기적 반복되어 음향메타물질을 형성한다. 소음이 차단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패널의 유효체적탄성률이 음이 된다는 메타물질의 특징을 이용하여 패널을 설계한다. 먼저 전달 행렬과 Retrieve method를 이용해 유효체적탄성률 계산식을 유도한 뒤, 이 계산식을 이용하여 목표주파수 대역에서 유효체적탄성률이 음의 값을 갖는 치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패널의 소음 차단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설계된 음향 메타물질 패널에 대해 음향 유한 요소 해석과 음향 실험을 진행하였다.

      • 화재 발생 시 회복 탄력성 향상을 위한 실효적 ICT 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정재웅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기술과 사회적 인식이 성장함에 따라 안전관리에 대한 사회적 기대감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다양한 안전시설, 기술개발, 인적 투자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안전관리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추어진 대형 기업의 경우 재난, 재해의 빈도를 줄이고 관리의 성과를 내고 있으나,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다양하고 복잡한 융합기술로 인해 피해의 규모는 대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피해 규모가 크고 사회적 이슈가 되는 재해 발생 시 기업에서는 생산성 저하뿐만이 아니라 기업의 평판에 악영향을 미치며 자칫하다가는 기업 존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시대적 상황 속에서 기업들은 재해를 관리하려고 과거에 없었던 대대적인 투자와 함께 안전관리에 힘쓰고 있다. 또한, 앞서 말한 기술의 복잡성과 기후변화 등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많은 관심과 투자에도 사고를 원천적으로 제거하기에 한계를 깨닫고 이제는 과거와 같이 재난을 예방, 차단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발생 이전의 수준으로 빠르게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회복 탄력성’이라는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회복 탄력성을 향상하기 위해 기업에서 도입할 수 있는 효과적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범위는 기업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재난의 형태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화재로 한정하였다. 먼저 회복 탄력성에 관한 최근 연구 및 정부에서 발표하는 국가 재난관리 발전 방향 분석을 토대로 재난관리에 있어, 화재위험관리에 있어 회복 탄력성은 무엇인가에 대하여 정의한 후 회복 탄력성 강화에 유효한 ICT 기술을 목록화하였다. 또한, 목록화한 ICT 기술들을 기업의 안전관리 실무자에게 설문 조사를 통하여 실제 실효성에 대한 평가와 사업장의 실태를 반영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고, 화재에 대한 회복 탄력성 향상에 실효적인 ICT 기술을 평가, 효과적으로 기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As technologies and social awareness about safety are developed rapidly, the safety expectation is getting higher in many settings. Many companies have put more safety facilities, developed technologies, and staff development programs to match this expectation. While some well-organized major firms have shown some achievement in reducing the number of accidents, once an accident happens, it easily become a giant disaster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echnologies. Enlargement of accidents leads companies to put more effort to control accidents since they might lose both productivity and reputation once they have a huge scale of accident.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 ability to go back to the condition before the accident, is widely emerging as a key factor in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against disast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which ICT technologies are utilized to have better resilience by companies. This study focuses on fire accidents because it has shown the highest frequency among various types of disasters occurring in business. The researcher defined Resilience and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by summarizing previous studies from many countries. The research has identified and categorized effective ICTs which increase resilience in the field. Also,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126 workers who work on safety in companies. The survey result is analyzed to reflect the actual usage of ICTs,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to figure out the need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CTs.

      • 플렉시블 소자 응용을 위한 수직 정렬된 필라 어레이 제조 및 특성 평가

        정재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차원 구조체는 매우 독특하고 뛰어난 물리적, 전자기적 성질을 갖고 있으며, 나노전자소자, 발광소자(LED), 태양전지, 센서 등에 응용이 가능해서 많은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수직 배향된 일차원 필라 구조는 빛의 방출과 흡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배열된 어레이구조에 나타나는 광결정(photonic crystal) 효과를 활용해서 발광소자 및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이종박막의 계면에 형성되는 응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평방향의 기계적 변형에서도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차세대 플렉시블 개발에 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ottom-up과 top-down 방식을 융합시켜 일차원으로 수직 정렬된 GaAs/AlGaAs 필라 어레이를 제조하고, 이들의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우선, 자기조립법을 통해 GaAs/AlGaAs 에피 웨이퍼 상에 형성시킨 실리카 볼 어레이를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고,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건식 식각법을 이용해서 400 nm 지름과 2μm 길이를 가지는 필라 어레이를 형성시켰다. 또한, 무기물 필라 어레이 사이에 유기물이 채워진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소재를 제작하고, 여기에 상부/하부 전극을 형성시켜서 전자소자 및 발광 소자를 제조하고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복합 소재는 앞으로 차세대 신기능성, 고효율의 발광소자로 핵심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사례분석을 통한 대학건물의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웅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캠퍼스의 에너지 현황조사 및 분석과 대상 대학건물(영남대학교 인문관)의 에너지 사용량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대상 대학건물의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건물 에너지 해석용 프로그램인 VE를 사용하여 대상 대학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 대학건물의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을 건축적, 설비적 방안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및 평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대상 대학건물의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 적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This paper derived the pla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nergy in the building for college of liberal art at Yeungnam university through the target being surveyed and analyzed for the condi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university campus,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of energy for the buildings through VE, a program for the analysis of building energy. Based on this result, this paper classified the plans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nergy in university building into the plan for passive control and active control respectively, and suggested some concrete plans, evaluated them, and finally derived the priority for applying the plan of improving energy performance in this university building.

      • 中止未遂에 關한 硏究 : 法的性格과 成立要 件을 중심으로

        鄭在雄 淸州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voluntary abandonment in criminal attempts is the case in which someone embarks on a criminal enterprise, and pursues it far enough far his conduct to constitute an attempt, but then abandons it 'voluntarily'. How, if at all, should that voluntary desistance affect his criminal liability? According to article 26 of the Penal Code of Korea, the penalty is reduced or exempted with the voluntary abandonment.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issue of 'voluntary abandonment'. I begin with historical review on voluntary abandonment from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in Chapter 1. Conventional and present theories on voluntary abandonment are examined in Chapter 2. The theories about meaning of self-voluntarism to the voluntary abandonment are examined in Chpater 3. The abandonment of preparation and complicity in a crime are examined in Chapter 4. Finally, a reasonable conclusion is drawn reviewing and arranging above issues systematically in Chapter 5. However, the penalty about the voluntary abandonment is reduced or exempted in Japan and Korea, but the penalty of that is not provided like in German. The compensation theory is employed to explain the reducement and exemption coordinatly in the voluntary abandonment in this study and the specific contents of compensation is decided by other theories. I think we follow the eclecticism theory about the meaning of self-voluntarism applies to the abandonment by his own will, not the hindrance in social common ideas. The complicated problems also occur with regard to the abandonment of preparation and complicity in a crime. This study has the opportunity to access to one of the complicated fields in criminal law such as criminal attempts by means of arranging theories that occupy the issue of voluntary abandonment.

      •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mmobilization of platinum nanoparticles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by polyol process

        정재웅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mobilization of platinum (Pt) nanoparticls on the surface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was carried out by polyol process, with hydroxyl (-OH), carboxyl (-COOH) and carbonyl (C=O) groups on the MWCNTs surfaces by acid oxidation treatment serving to bind Pt nanoparticles. The resulting composite nano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throug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X-ray diffractmeter. The Pt nanoparticles that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MWCNTs (Pt/MWCNTs) had an average diameter of ca. 4 nm. The aggregation and size of Pt nanoparticles on the surface of MWCNTs were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polyvinylpyrrolidone (PVP), the different molecular weight of PVP and the molar ratio of the reducing agent to Pt ions in the reaction medium.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Pt source (H2PtCl6) had profound influence on the immobilization of Pt nanoparticles on the surface of MWCNTs. When PVP as a stabilizer was in the solution, the coverage and number of Pt nanoparticles were increased up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Pt source. However, the degree of aggregation of Pt nanoparticles on the surface of MWCNTs was also increased.

      •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의 보존환경 제어 특성 연구

        정재웅 용인대학교 문화재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preventive conservation lies in minimizing the damage to heritages and avoiding direct touch with materials, which is in accord with the ground rul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etting up a preservation environment, which falls into a category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eans minimizing unavoidable deterioration caused by air exposure. As a means to build preservation environment, installing air conditioner is encouraged. However, due to high installation and upkeep costs of an air conditioner, alternative methods are used at some museums and excavation institutions keeping cultural collections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or packing each item with barrier films. Since airtight packaging with barrier films is efficient in accessi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it is used widely in long-term preservation of different heritages in a limited room, in temporary storage after excavation or during waiting time for reversion to state, and in short-term packaging for transportation. E film produced by Japanese company M has been used for past 10 years without comparison with similar products. Because of whole quantity import, the price range has increased. Meanwhile, the domestic market scale of barrier films has enlarged as they are widely used in the electronics industry producing goods such as semiconductors and LCD products, the agriculture industry, and the printing business. And our own technology has developed as well. Accordingly, E film, which is currently used for packing cultural heritages, is compared with L film and N film,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packing electronic products, S film, which is similar to E film, and P film, which is used as collecting bags for cultural heritages. With those samples, we examined and compared the properties that control preservation environment along with their insulation property.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As a result of tensile strength measurement, S film was slightly stronger than E film on the other hand, the tensile strength of N film and L film was half the strength of S film. concerning P film, its elongation ratio was very high, but the strength was measured to be low. As a result of UV/VIS absorbance test, E film showed the highest absorbance in the UV-A range of 200 to 280nm, but in the UV-B range of 280 to 320nm, its absorbance fell sharply compared to S film, N film and L film. P film failed to absorb UV, letting it penetrate into the inside. As a result of color measurement after artificial deterioration, increasement of B* value, which is the yellow index, was commonly observed on every sample except P film. Oxygen/vapor permeability test showed that P film has the lowest permeability. While oxygen permeability of other 4 samples was under 0.001㏄/㎡·day showing few difference among them, vapor permeability difference among them was 0.1g/㎡·day. However, when put together with corrosion status of iron specimens and relative humidity penetration shown by oxygen/vapor permeability measurement, 4 films, which are within the margin of error, seem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us, if it is used with consideration of daily relative humidity, proper maintenance of preservation environment is possible. 예방보존(Preventive conservation)은 문화재의 재료와 구조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으면서 손상을 최소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는 인위적인 개입을 최소화하는 문화재 보존의 기본 원칙에 부합한다. 문화재 보존의 한 범주인 보존환경 조성은 대기에 노출되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화의 최소화를 의미한다. 보존환경을 조성하는 수단으로 온·습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를 설치를 권장하고 있으나, 설치비용과 유지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어 일부 공·사립 박물관과 발굴기관에서는 밀폐형 항온·항습장에 보관하거나 고차단성 필름으로 각 개체마다 밀폐 포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고차단성 필름을 활용한 밀폐 포장은 다른 보존환경 제어 방법에 비해 접근성, 경제성에서 뛰어나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서 적정 환경이 다른 문화재의 장기적 보존, 출토 직후나 국가귀속 대기 기간 동안의 임시 보관, 운반 및 이동을 위한 단기간 포장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에는 일본 M社의 E film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10여 년 동안 사용하면서 유사제품과의 비교 검토가 미진하였고 전량을 수입하기 때문에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고차단성 필름은 전자제품(반도체, LCD등)산업, 농업, 인쇄업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 기술적으로도 동반 성장을 이루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 밀폐 포장용 고차단성 필름으로 사용하고 있는 E film과 국내에서 전자제품 포장용으로 판매하고 있는 L film, N film, 및 E film과 유사한 물성을 제조한 S film, 그리고 문화재 수습봉투로 사용하고 있는 P film을 샘플로 선정하여 보존환경을 제어하는 특성인 물성과 기체 차단력을 비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장강도 측정 결과 강도는 S film이 E film보다 근소하게 높고 N film과 L film은 S, E film에 비해 절반 정도 낮았으며 P film은 연신률은 높으나 강도가 낮게 측정되었다. 자외·가시광 흡광도 측정 결과 E film은 UV-A(200∼280㎚)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를 보이나 UV-B(280∼ 320㎚) 영역에서는 S film, N film, L film에 비해 흡광도가 급격히 낮아지며 P film은 대부분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하지 못하고 내부로 투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공 열화 후 색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4종의 샘플에서 Yellow index가 증가하였다. 산소 및 수증기 투과도 측정 결과 P film을 제외한 다른 4종의 film은 산소 투과도가 모두 0.001㏄/㎡·day이하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증기 투과도에서는 최대 0.1g/㎡·day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온·습도 재현 실험의 상대습도 투과량과 샘플 내부에 봉입한 철시편의 부식 상태 및 색도 변화를 연계하여 살펴보면 오차 범위 내로 유의차는 없었으며 측정된 일별 상대습도 상승량을 고려하여 활용한다면 적절한 보존환경 제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