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L-60 백혈병 세포의 세포고사에 미치는 樗根白皮의 효과

        정영목 圓光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樗根白皮의 항암 효소와 그 기전을 파악하기 위하여 급성백혈병 세포주인 HL-60 세포에 대한 樗根白皮추출물의 세포고사 유도 및 세포주기 억제 효과를 究明하기 위하여 HL-60 세포에 樗根白皮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생존율 및 DNA 분절 양상, 형태학적인 변화, caspase-3 활성 변화, PARP 및 β-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 현상, Bcl-2 및 Bax 단백질의 변화, cyclin D1, CDK4, RB, E2F1 및 p21 단백질의 발현수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시간 및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DNA 분절을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2.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의 세포막 파괴 및 의부 음기의 돌출 현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켜 세포고사의 형태학적 양상이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3.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에서 caspase-3 활성을 시간 및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그에 따른 PARP 및 β-catenin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4.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에서 cyclin D1과 CDK4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5.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에서 RB 단백질과 E2F1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6.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에서 Bcl-2 및 Bax 단백질의 발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7. 樗根白皮추출물은 HL-60 세포에서 p21 단백질의 발현을 시간 및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樗根白皮추출물은 급성백혈병 세포주 HL-60 세포의 세포고사 유도 효과가 있으며, 그 기전은 세포 주기의 억제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樗根白皮는 백혈병을 치료하는데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ilanthus altissima has been used to settle an upset stomach, to alleviate a fever, and as an insecticide. We reported that the water extract of A. altissima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in HL-60 human leukemia cell line. Here, we showed the dose-dependent inhibitions of cell viability by the extract, as measured by cell morphology The cell cycle control genes are considere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umorigene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lso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altissima on cell cycle progression and its molecular mechanism in the cells. The level of p21 protein was increased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whereas both Bcl-2 and Bax protein levels were not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altissima induces apoptotic cell death via p21-dependent signaling pathway in HL-60 human leukemia cell line which delete wild type p53. G1 checkpoin related gene products tested (cyclin D3, cyclin dependent kinase 4, retinoblastoma, E2F1) were decreased in their protein leve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fter treatment of the extrac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rease of apoptotic cell death by A. altissima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in HL-60 human leukemia cell line.

      • 지방벤처기업의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적 입지를 중심으로

        정영목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been to identify the necessity for vitalization of venture businesses in regional areas in Korea and to suggest appropriate way for that goal. To date , venture businesses in Korea have rapidly developed since the late 1990s. but, they have the limit concentrated in Seoul. And this matter is the restriction of the performance to knowledge based economy. While world economy have changed to globalization and knowledge based economy , the importance of local economy is embossed. Now, the local age tha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cality is arrived. and the necessity that rear the venture companies in locality is rising.Almost all of the venture companies is located in Seoul now. and the basis of economic development should be changed to the way that focus local economy.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schemes for venture businesses in regional areas. Both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assist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venture businesses in those areas. Such assistance includes R&D support for venture businesses. The support work by government is positive according to cooperation among university, R&D center and, companies. but, it lacks the contact because of running separately. and the raising of efficient cooperation among Industry , Education, R&D is needed eagerly.

      • Proventricular dilatation disease and avian bornavirus diagnosis

        정영목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vian Bornavirus (ABV) disease occurs world-wide and is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Proventricular Dilatation Disease (PDD). The diagnosis of PDD is very difficult in the absence of symptoms, and there is no known treatment. PPD occurs mainly in parrots, and includes proventricular dilatation as well as neurological signs. Necropsy revealed the cause of death as PDD and AVB infection in 2 parrots raised in Gyeonggido;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methods to effectively diagnose PDD and AVB infection. The study included 121 birds in the Gyeonggi district and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2 to August 2014. A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used to diagnose ABV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BV infection and PDD. The proventricular area was measured in 42 deceased parrot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ventricular area and body weight. Twenty-nine of 65 living birds showed signs of PDD and 27 of these were diagnosed positive for ABV by RT-PCR (93.1%). By RT-PCR, ABV was detected from 21 out of 42 parrots, all of which had also shown clinical sign of PDD. Birds with PDD were 2.88 times heavier and had 4.4 times larger proventricular areas than PDD-negative birds. PDD was present in 100% of the birds weighing over 200 g and in 52.4% of the bird weighing over 500 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a postmortem reference for ABV and PDD in captive raised birds. Since ABV affects the occurrence of PDD, an accurate diagnostic method is needed. Early diagnosis is difficult owing a lack of clear clinical signs in living birds however, RT-PCR examination using feces is considered useful. This study focused on the diagnosis of ABV and PDD in captive raised parrots and the accuracy of examination based on sample analysis and clinical sig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aid in the diagnosis of PDD and ABV in captive birds. Avian bornavirus (ABV, 조류 보나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조류질병의 하나로 Proventricular dilatation disease (PDD, 전위확장증)의 발병과 연관이 있다. PDD를 나타내는 조류는 증상을 나타내기 전에는 진단이 매우 어려우며 특별한 치료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앵무새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편이며, 사육되고 있는 앵무새에 있어서 전위확장증 뿐만 아니라 소모성신경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으로 밝혀져 있다. 경기도일원에서 폐사한 앵무새 2 마리에 대한 부검을 통하여 PDD가 폐사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PDD와 AVB 감염에 대한 효율적인 진단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동물은 2012년 8월부터 2014년 8월 까지 경기도일원에서 121 마리 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이 새들을 대상으로 ABV 감염이 PDD 발생과의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ABV 진단방법으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evers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위의 넓이와 개체별 체중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앵무류 42 마리의 전위를 절개하여 넓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살아있는 새 65 마리 중 29 마리가 PDD 증상을 보였으며, 이들 29 마리 중 RT-PCR 검사 결과 27 마리에서 ABV 양성으로 진단되어 93.1%의 양성률을 보였다. 부검결과 앵무류 42 마리 중 21 마리에서 PDD 증세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ABV에서 양성으로 진단되어 100%의 양성률을 보였다. 또한, 죽은 새의 전위 확장 넓이와 개체별 체중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한 결과 체중과 전위의 넓이는 PDD 음성인 새보다 체중이 2.88배가 높았으며, 전위 넓이는 4.4배 정도가 넓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PDD는 체중이 200g 이상인 새들에서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체중이 500g 이상인 새들에서도 52.4%의 양성률을 보였다. 이는 모두 대형앵무새들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조류에서 발생한 ABV와 PDD의 사후 부검 진단의 참고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ABV가 PDD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어 효율적인 진단이 요구되지만 이들은 살아있을 때에는 별다른 임상증상이 없기 때문에 조기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며 스트레스를 최소화하여 진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분변샘플을 이용한 RT-PCR 검사가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사육 앵무새에서 만연되고 있는 ABV 및 PDD의 진단에 있어서 분석 시료에 따른 검사의 정확성과 임상증상에 대한 개체별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에서 발생하는 임상적으로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PDD에 있어서 ABV 감염 여부에 대한 효율적인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A study on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alatal superimposition of 3D model

        정영목 江陵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개부 중첩법을 이용한 3 차원 모형에서의 치아이동량 분석과RMI^^?(Reference Measurement Instrument, SAM GmbH, M?nchen, Germany)를 이용한 치아 이동량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20 개의 상악모형을 setup 하였고 SAM^? 3 마운팅플레이트를 부착하였다. Orapix^?(KCI Co., Ltd., 서울, 대한민국)의 3 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3 차원 스캐닝을 하였다. 3 차원 역공학 프로그램 (Rapidform 2002^?,INUS Technology Inc., 대한민국)을 이용하여 3 차원 디지털 모델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T1 모델 (T1 모델: 초기 setup 모델, T2 모델: 치아이동 후 setup 모델)에 절치유두(incisive papilla)와 구개돌기(palatine raphe)의 접합부를 원점(0,0,0)으로 하는3 차원 좌표계를 설정하였다. 치아이동을 측정하기 위해 Rapidform 2002^?의 표면-표면 비교기능(Surface to surface matching function)을 통해 전체 구개부를 이용한 3차원 중첩법을 시행하였다. 측정부위는 상악 좌,우측의 견치 교두정,제 1 소구치 협측교두정,제 1 대구치의 근심협측 및 근심구개측 교두정이었다. RMI^?로 T1 모델을 측정한 후 레이저 스캔을 하고 T1 모델의 치아를 이동하여 T2 모델을 형성하였다. T2 모델도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고 스캔하였다. X, Y, Z 축에 따른 치아의 이동량을 석고모형과 3 차원 모형에서 각각 계산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모든 좌표축에서 치아 이동량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P >.05) Pearson 상관계수도 높게 나왔다. 따라서구개 중첩법을 이용한 3 차원 디지털모형에서의 치아이동량은 RMI^?로 측정한 석고모형에서 치아이동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으며 앞으로의 연구와 임상적인 검사에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朝鮮時代 大提學과 그 曾祖父의 3代 後孫 繁盛 差異

        정영목 嶺南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朝鮮時代 大提學과 그 曾祖父의 3代 後孫 繁盛 差異 鄭 英 穆 嶺南大學校 大學院 應用電子學科 應用電子專攻 (指導敎授 李 文 鎬) 요 약 조선시대 대제학 수직자 52명과 그 증조부의 3과 4대 후손 수와 3대 후손 중 3품 이상 관직자 수, 그리고 그들 가문의 표본 묘소 각각 12기를 조사하여 대제학과 그 증조부의 3대 후손 번성 차이를 규명하였다. 그 차이는 (1) 대제학의 3대 후손에 비해 그 증조부의 3대 후손에서 2품 이상의 고위 관직에 진출하는 후손 수가 훨씬 많았고, (2) 대제학의 3과 4대 후손 수에 비해 그 증조부의 3과 4대 후손 수가 훨씬 많았으며, (3) 대제학의 3대 후손과 그 증조부의 3대 후손 중 고위 관직에 진출하는 후손의 비율이 높은 쪽의 4대 후손 증가율도 높았다. Ph. D. Thesis Flourish Difference of the Descendants of Third Generations between Daejehak and Their Great-Grandfather in Chosun Dynasty Jeong, Young-Mog Department of Applied Electronics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Dr Lee, Moon-Ho) Abstract The flourish difference of the descendants of third generations between Daejehak and their great-grandfather in Chosun Dynast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Daejehak's the descendants of third generations and their great-grandfather's, the latter was mor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higher rank officers. Regarding the numbers of descendants of third and fourth generations, Daejehak's sons was less than their great-grandfather's. Of the third generations of the Daejehaks' and their great-grandfathers', the increasing rate of descendants those who promoted to higher rank officers was higher.

      • Max Beckmann's paintings on biblical themes, 1906-1918

        정영목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1990 해외박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독일 표현주의 회화의 대가인 막스 벡크만의 초기 종교화와 종교사상에 관한 연구이 다. 벡크만에게 있어서 초기 종교화는 그의 전생애의 작품의발전양상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의 <드라마>에서부터 1916∼18년의<부활>까지 벡크만은 18점의 종교화를 제작했다. 이것은 1918냅�전체 작품중 10퍼센트를 차지한다. 이러한 초기 종교화의 비중과 함께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염두에 두고 연구되었다. 첫째, 비스마르크 Ⅱ세가 집권하던 제일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독일미술벡크만의 초기 종교화가 점유하는 미술사적인 중요성을 검증하고자하였으며 나아가서는 20세기 쳅≤�약화되어가는 종교화에 관한 서양미술사의전반적인 흐름의 차원에서 그의 종교화를 새롭게 다. 둘째, 벡크만 자신의화가로서의 발전단계에서 종교화가 차지하는 위치의 중요성을 재평가했늘珂�종교화는 그의 후기 형이상학 주제의 작품들로 발전해가는-뚜렷한 경향과양식을 반영한-과좆㈐羚駭� 사상적인, 주제적인 측면에서 본 논문은 두 가지의 관점에서 벡크만의 기독교(특히 Protism) 사상을 분석했다. 첫째는 그의 철학적 태도(일반적인)와 특히니이체(Nietzsche)의 사상과 어떻게 그의 종교관에 영향을 미쳤는지살펴보았고, 두번째는 이러한 양상들이 리얼리티의 측면에조형심리와 또는제일차 세계대전을 경험한 당시 독일의 현실과 어떠한 관계에 놓여있는지 살펴보시의 리얼리티가 반영된 그의 심리는 그의 작품 스타일을 바꾸어 놓게 한 결정적인계기를 제공해.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사항들이 구체적으로 실질적인 작품에 적용,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육�작품의 양식적인 분석과 도상학적인 해석을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분석과 해석은 1930년나타나는 그의 걸작들을 이해하는데에 중요한조형적 단서가 되었으며, 그의 종교성도 결국은 화건�개인의 "자아"와"세계"에 대한 갈등과 화합의 문제로 귀결된다는 사실을 입증하게 되었다.

      • (A) 10-bit 80-MS/s pipelined ADC with stage-gain-error self-calibration

        정영목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High-speed, medium-resolution analog-to-digital converters(ADCs) are important in a wide variety of commercial applications includ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portable multimedia system. In such applications, th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s one key design issue in portability and battery limitation. In general, pipelined ADCs have proven to be very efficient architectures for meeting the low power dissipation and high input bandwidth requirements of these applications. This thesis presents a 10-bit 80-MS/s pipelined ADC. The pipelined ADC is designed using a fully digital error correction logic and a stage-gain-error self-calibration logic which alleviates the capacitor mismatch error in multiplying digital-to-analog converter(MDAC) and offset in operational amplifier(opamp). The advantages in adopting the proposed calibration method are to reduce capacitor size and overall power dissipation through a decrease of current in opamp. In addition, the calibration is per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analog circuitry, and the conversion does not need extra clock cycles. The prototype has been implemented using a 0.18μm CMOS process. Simulation results prove that the proposed ADC shows a signal-to-noise and distortion ratio(SNDR) improvement from 48.5 dB to 56.5 dB on average when the sampling frequency is 80MHz. Furthermore, the differential non-linearity (DNL) and integral non-linearity (INL) are 0.96 LSB and 1.32 LSB, respectively.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is ADC achieves 86mW and total areas occupies 1.05 m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