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에 관한 연구

        정여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성폭력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특히 가장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했을 때 어떠한 심리사회적 손상이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 관련 요인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를 알아보고자 성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과 성폭력을 경험한 집단간의 비교를 통하여 심리사회적 손상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설정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성폭력 피해경험과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집단과 성폭력 피해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성에 대한 태도, 기타 심리사회적 손상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셋째, 성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성폭력의 특성(강도/횟수),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도, 대처방법에 따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성에 대한 태도, 기타 심리사회적 손상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성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에 어떤 요인이 결정적으로 작용하는가? 조사방법은 대전광역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N=320)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2년 12월 13일부터 2002 년 12월 27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중다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성폭력 피해경험과 실태의 경우 전체 320명의 응답자 가운데 성폭력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사람은 136명으로서 전체의 42.5%를 차지했다. 가장 많은 빈도로 응답한 성폭력의 유형은 '다른 사람이 자신의 성기를 보여준 것'이 전체의 72명(52.9%)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관계는 기존의 연구에서 아는 사람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나 이번 연구에서는 성기노출에 의한 성폭력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에 의한 성폭력이 102명(72.9%), 성폭력이 일시적이었다는 경우는 117명 (86.0%), 성폭력의 경험이 중요하지 않다는 비율은 43명(31.6%)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당시 위협이 있었던 경우가 63명(46.3%)으로 나타났고 놀라움, 충격, 두려움, 수치감, 죄의식이 동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폭력 피해자의 경우는 성폭력 사실에 대해서 129명(94.4%)이 성폭력의 경험을 노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출한 대상은 친구가 103명(58.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집단과 성폭력 피해경험이 없는 집단간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성에 대한 태도, 기타 심리사회적 손상정도는 어느 정도는 모든 영역에서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에서의 친밀성의 경우는 성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에게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성폭력의 유형이 성기노출이 많고 또한 별로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심리사회적 손상 중 자존감 성폭력의 강도와 가족의 응집력과 적응도에서 상관관계가 드러난다. 성폭력의 강도가 높을수록 자존감은 낮아지고, 가족의 응집력이 높으면, 자존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인관계 역시 성폭력의 강토와 가족의 응집력에서 상관관계가 드러나 성폭력의 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에 의존성과 친밀성이 높게 나타나고, 가족의 응집력이 낮을수록 대인관계의 의존성과 친밀성이 높게 나타난다. 성태도의 경우 성폭력의 지속성과 상관관계가 나타나 성폭력이 지속적일수록 성태도가 허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타심리사회적인 문제의 경우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표현적인 대처방식과 신경질적인 대처방식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며 이는 기타심리 사회적인 문제는 표현방식과 약간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성폭력을 경험한 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독립변수간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자아존중감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가족의 응집력이며 대인관계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또한 가족의 응집력으로 나타났다. 성태도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표현적, 신경질적인 대처방식이며 기타심리사회적 손상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가족의 적응도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청소년들에 대한 심리사회적 손상의 정도에 대한 이론적 시각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고 할 수 있고, 또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후속연구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결정요인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성폭력 피해자들의 심리사회적 손상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손상에서의 복구를 위한 사회복지적 서비스 개발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examining into sexual violence being on the rise as a severe problem in our society is to find what psycho-social damage appears when someone experiences it especially in the juvenile period as the most sensitive period of life. Also, I intend to widen the scope of the study on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by finding what influences its related factors. In order to look into the damage resulting from sexual violence, I inquired into the extent of the victim's psycho-social damage by comparing the group that ever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and the one that didn't suffer from it. So I examined into the following issues for the study. First, how many juveniles experienced sexual violence and what are its actual state? Second, what differences are in the feeling of self-esteem, the human-relation, the attitude to sex, and the extent of other psycho-social damages of the group that ever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and the one that didn't suffer from it? Third, are the feeling of self-esteem, the human-relation, the attitude to sex, and the extent of other psycho-social damages of those who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affected by its characteristics(its intensity/numbers), their families' extent of cohesion and adaptation and methods of facing it? Fourth, what factors decidedly influence the psycho-social damages of the juveniles who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For examining into the issues, I conducted a survey on the juveniles of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Daejeon city(N=320).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3, 2002 to December 27, 2002, and the collected data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the SPSS 10.0 statistical program. Its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f juveniles'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and its actual state, the number of juveniles who ever suffered from sexual violence among a total of 320 respondents was 136, 42.5% of total respondents. The most frequent type of sexual violence was 'that other persons showed their sexual organs' and the number of juveniles who ever suffered from this type of sexual violence was 72(52.9%) of total respondents. Although the existing studies show that many offenders of sexual violence were victims' acquaintances, this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the sexual violence committed by the persons who they don't know 102(72.9%), tha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experienced a temporary sexual violence was 117(86.0%), and tha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thought that their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was not serious was 43(31.6%), as the percentage of the sexual violence of 'showing sexual organ' was higher in this study.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were threatened by their offenders at the time of sexual violence 63(46.3%) and it appeared that victims were surprised, shocked, terrified and shamed from the violence and felt a sense of guilt from i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revealed their experience of sexual experience was 129(94.4%)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revealed their experience to their friends was 103(58.5%). Second, it appeared that the extent of the feeling of self-esteem, the human relation and the attitude to sex and other psycho-social factors of juvenile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were lower than that of juveniles who didn't experience it. But it appeared that the extent of the familiarity of human relation of juvenile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was higher than that of juveniles who didn't experience it as the type of sexual violence surveyed in this study was mostly the exposure of sexual organ and also the victims didn't think seriously of it. Thir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feeling of self-esteem of psycho-social damages and the intensity of sexual violence and the victim family's extent of cohesion and adaptation. The survey shows that the more intense sexual violence is, the lower the feeling of self-esteem is and that the more cohesive the victim family is, the higher the feeling of self-esteem is. The human relation also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intensity of sexual violence and the victim family's extent of cohesion. The more intense sexual violence is, the higher the extent of victim's dependency on and familarity of the human relation is and the lower the victim family's cohesion is, the higher the victim's dependency on and familiarity of the human relation is. It appeared that the victim's attitude to sex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continuity of sexual violence. The more continuous sexual violence is, the more tolerated the victim's attitude to sexual violence is. Other psycho-social problems shows a lower correlation. An expressive way of and a nervous way of treating sexual violence shows a static correlation, which means that other psycho-social problems show a correlation a little bit with the expressive ways. Fourth, I compared the influential for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d the psycho-social damages of juveniles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It appeared that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victim's feeling of self-esteem was her family's cohesion and that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her human relation was also her family's cohesion.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victim's attitude to sex was the expressive and nervous way of treating sexual violence and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strong influence on other psycho-social damages was the victim family's extent of adaptation. It seem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xtending theoretical views on the extent of psycho-social damages of juveniles who we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studies on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and I think that the successive studies on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will be able to find out the definitive factors more specifically and systematically. Also, this study will be used to help for the psycho-social damages of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o be understood and to develop social service for helping the victims in recovering from those damages.

      •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차적 외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여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의 정도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특히,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는지와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이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 클라이언트 폭력이 대처방식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 클라이언트 폭력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는가? 넷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대처방식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는가? 다섯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 클라이언트 폭력이 대처방법에 의해 매개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26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우선,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 변수에 대한 전반적인 응답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t-test와 Anova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후 자료의 검토를 위해 결측치 점검, 항목합산, 다변량 정규성 검토를 거쳤고,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측정,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분석, 효과의 분해, 매개효과 검정의 순서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모형에 따른 자료 분석을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문제의 분석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차적 외상의 정도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 전체 중 48.6%가 이차적 외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폭력 관련 상담소 종사자들의 상당수가 이차적 외상을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인 변수를 중심으로 이차적 외상의 정도를 보면, 미혼이 기혼의 경우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30대가 40대나 50대 이상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0대와 30대가 40~50대 이상보다 이차적 외상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연령이 낮을 경우 이차적 외상이 높다는 기존 연구와의 연속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직무 특성에 따른 분석에서는 1년 이하가 다른 근무연수에 비해 이차적 외상이 가정 높게 나타났으며, 3년~5년의 근무경력자들과 10년 이상의 경력자들과 비교해 차이가 높게 나타나 근무연수가 많을수록 이차적 외상의 정도는 낮아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사례수별로 분석한 결과, 11건~30건의 사례를 접한 종사자들이 이차적 외상의 정도가 가장 높아, 31건~50건과 51건~100건을 접한 종사자들과 차이를 드러냈다. 그러나 10건 이하나 100건 이상으로 사례를 접한 종사자들에게서는 이차적 외상이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상담소의 유형을 고려해 살펴보면 성폭력 상담소와 원스탑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다른 상담소에서 일하는 종사자들보다 높은 수준의 이차적 외상 증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이 두 곳의 종사자들은 1366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이차적 외상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대처방식에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추구, 회피적 대처, 문제해결적 대처에 모두 영향을 주었으나, 클라이언트폭력은 사회적 지지추구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회피적 대처와 문제해결적 대처에만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유형이 달라진다는 점은,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추구, 회피적 대처, 문제해결적 대처라는 모든 유형의 대처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클라이언트폭력을 겪은 종사자들에게서는 회피대처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나고, 문제해결적인 대처 경로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이차적 외상을 낮게 느끼고, 클라이언트폭력은 이차적 외상에 정(+)적인 경로를 보인다. 즉, 이차적 외상을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데서 자기효능감, 클라이언트 폭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넷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대처방식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지지와 회피적 대처만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고, 문제해결적 대처는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문제해결적인 대처를 취한다 할지라도 해결될 수 있는 환경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실제로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처할 수 있는 환경적인 측면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차적 외상에 오히려 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또, 수퍼비전 체계의 미흡으로 인해 상황을 직접적으로 다루려는 시도에서 오히려 이차적 외상이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다섯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클라이언트 폭력이 대처방식을 통해 이차적 외상을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는데,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추구와 회피적 대처를 통해 이차적 외상에 부분 매개하며, 클라이언트폭력은 회피적 대처를 통해 이차적 외상에 부분 매개 한다는 결론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추구와 회피대처가 이차적 외상을 매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차적 외상에 노출돼 있는 여성폭력 상담소 종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해주고 있다. 첫째, 여성폭력상담소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전체 종사자들 중 48.6%가 이차적 외상의 증상이 의심된다고 드러난 만큼 이들의 이차적 외상을 관리할 수 있는 매뉴얼의 개발과 이차적 외상을 관리할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는데,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이차적 외상을 낮게 느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이나 수퍼비전을 실천 현장에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클라이언트폭력은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결과를 통해 클라이언트 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그들의 일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교훈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추구라는 대처방식이 이차적 외상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현재 여성폭력 상담소 종사자들에게 ‘사회적 지지추구’라는 대처는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차적 외상에 종사자들 스스로 지원망이 될 수 있도록 종사자의 처우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회피적 대처는 이차적 외상의 주요 원인이었다. 따라서 종사자들의 이차적 외상을 예방하고 경감하기 위해서는 종사자들이 이차적 외상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기관리기술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상담원이나 성폭력상담원을 위한 기본 교육에도 이차적 외상의 증상 및 대처법에 대한 내용이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처럼 사회복지현장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이 가장 중요한 ‘도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사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도구’로서 종사자들에 대한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gree of secondary trauma among counselors providing services to female victims of violence and to identify possible determinants of their traum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self-efficacy of workers, client violence, and coping strategies used by workers as important predictors of secondary trauma and examined the dynamics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stipulated. The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gree of the secondary trauma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providing services to female victims of violence? Second, How do self-efficacy and client’s violence affect the workers' coping strategies? Third, how do self-efficacy and client violence against workers affect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 experienced by the workers? Forth, do worker's coping strategies influence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 Fifth, do coping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client violence and secondary trauma? A survey method was employed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mailed out to workers employed in social service and/or counseling centers for female victims of violence and a total of 226 surveys were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Checking for missing data, item summation, multivariate normality tests were also done to review the dat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done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using AMOS 18.0. Major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54.0% of the workers experienced the secondary trauma, which shows that a large number of social workers have experienced some level of secondary trauma. When the level of secondary trauma was examined in relation to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it was found that female workers who are young, single, and have less than a year of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higher level of trauma than their counterparts. Workers handling cases between 11 and 30 exhibited the highest level of secondary trauma while those with less than 10 cases or more than 100 cas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level of trauma. In addition, workers from counseling centers for victims of sexual crime and one-stop centers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 of trauma compared to those from other social service centers such as 1366. Second, self-efficacy was found to influence the workers' coping strategies: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voidance coping strategy,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The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from clients, on the other hand, were more likely to choose avoidance coping and problem solving strategies rather than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Third, the workers with a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were less likely to report of experiencing secondary trauma while those with experiences of client violence were more likely to report of secondary trauma. In other words, self-efficacy and experiences of client violence play important roles in predicting secondary trauma among workers. Forth, among three coping strategies, only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condary trauma. Finally,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condary trauma. Avoidance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s violence and the secondary trauma. This study has provided an empirical evidence that strategies of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indeed have mediation effect on the secondary trauma.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recommended for following services to be provided to social workers vulnerable to experiencing secondary trauma. First, this study’s findings indicate a manual needs to be developed guide the workers to better manage their experiences of secondary trauma as well as education programs on how to minimize the risk of the trauma. Second, a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orkers' self-efficacy w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ir secondary trauma experience, education and supervision programs are needed to enhance their self-efficacy at work. Third, it is important to foster a positive work environment for social workers to prevent client violence. Forth, social support seeking strateg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econdary trauma level, indicating a need for improved working condition fostering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he workers. Fifth, social workers need to be aware of any warning signs and symptoms of secondary trauma, along with knowledge on strategies to decrease the risk for its symptoms. Employers thus, should provide continuing education on the subject to the workers. Social workers play an essential role in providing services to clients. Thus, it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to continue to study the workers' well-being, particularly mental health as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ocial workers are also imperative.

      • 노인에게 적용한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하지통증과 무릎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정여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밸런스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하지통증과 무릎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5월 12일부터 2016년 5월 22일까지 이며,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4개의 경로당을 방문한 하지통증을 호소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 동의하고 참여를 허락한 63명으로 실험군 32명, 대조군 31명이었다. 연구도구로 하지통증정도 측정은 Huskisson(1974)의 시각적 상사 척도(VAS)를 이용하였고, 무릎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기 위해 생리적 측정도구인 관절각도계를 이용하여 대상자를 엎드린 후 무릎 관절을 최대한 굴곡 시켜 각도를 측정하였다. 자료수집 절차는 사전조사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하지통증 정도, 무릎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은 동작분석 후 밸런스테이핑을 적용 하였으며, 사후 조사로는 처치 후 1시간 후, 24시간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하지통증 정도와 무릎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질병관련 특성, 하지통증, 무릎 관절가동범위에 대한 분석은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여 동질성 검증을 하였으며, 가설 검증 방법은 t-test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of AN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1시간 경과 후 대조군 보다 하지통증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103). 제2가설: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24시간 경과 후 대조군 보다 하지통증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1). 제3가설: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1시간 경과 후 대조군 보다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p=.239) 제4가설: “밸런스 테이핑 요법을 적용 받은 실험군은 24시간 경과 후 대조군 보다 무릎 관절가동범위가 증가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밸런스 테이핑 요법이 노인의 하지 통증을 감소시키고 무릎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하지통증으로 일상 활동 장애와 삶의 질의 저하가 있는 노인들에게 보완대체요법 중 밸런스테이핑 요법을 적용하여 노인의 하지통증 감소 및 무릎 관절가동범위를 신장시켜 일상생활 활동능력 향상 시키고 질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밸런스 테이핑 요법은 독자적인 간호중재로 이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using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balance taping therapy on the lower extremity pain and the knee joint range of motion in the elderly.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was from May 12, 2016 to May 22, 2016. Targeting the elderly aged over 65 who appeal for lower extremity pain as those who visited 4 silver halls where are located in Seoul Metropolis,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63 people who agreed to this study and allowed participation with 32 people in the experiment group and 31 peopl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earch tool, the measurement of lower extremity pain was used Huskisson(1974)'s VAS(visual analog scale). To gauge the knee joint range of motion, an angle was measured by maximally curving the knee joint after making subjects lie down through using a joint angle indicator, which is a physiological measurement tool. The procedure of data collection was gauged the lower extremity pain level and the knew joint range of motio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a pre-survey. The experiment group was applied the balance taping after analyzing motion. As a post-survey, both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measured the lower extremity pain level and the knew joint range of motion after 1 hour of the treatment and after 24 hours of the treatment. Data analysis was made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As for an analytical technique, a homogeneity test on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lower extremity pain, knee joint range of motion was made by using chi-square test and t-test. A method of hypothesis verification was used t-test and repeated measures of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balance taping was applied will drop lower extremity pain level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1 hour” wasn't supported.(p= .103). Hypothesis 2: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balance taping was applied will drop in lower extremity pai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24 hour” was supported(p< .001). Hypothesis 3: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balance taping was applied will increase knee joint range of mo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1 hour” wasn't supported(p= .239). Hypothesis 4: “The experiment group to which balance taping was applied will increase knee joint range of mo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24 hours” was supported(p< .001). Through the findings, the balance taping therapy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tervention of reducing the elderly's lower extremity pain and increasing the knee joint range of motion. Accordingly, in that the application of balance taping therapy out of the complementary & alternative therapies in the elderly with the obstacle in daily activity and a drop in quality of life owing to the lower extremity pain leads to reducing the elderly's lower extremity pain and strengthening the knee joint range of motion, thereby improving daily activity ability and helping with managing qualitative life, resulting in being able to be used as an independent nursing intervention method.

      • 치매노인 전문요양시설 거주공간 디자인지침에 관한 연구 : 수도권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정여주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우리나라는 의학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노인인구가 증가하여 급격한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노인 인구 중 치매노인의 수는 현재 약 35만 명이고, 2020년에는 약 61만 명으로 크게 늘어날 것이다. 또한 치매노인과 함께 고통을 당하는 가족들을 생각하면 치매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은 외면할 수 없을 것이다. 2005년에 치매노인은 대체로 35만 명이라면 치매노인 가족들까지 합하면 175만 명 가까운 사람들이 치매로 인하여 고통을 당한다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치매나 중풍 등 노인성 질환을 지닌 노인들은 재택 상태에서 간호한다는 것은 가족구성원들에게 미치는 경제적 부담은 물론, 질환을 지닌 노인 본인에게는 물리적 환경 또한 요양환경에서 적합하지 못한 실정으로 이러한 노인들이 요양을 할 수 있는 전문적인 시설의 확충과 서비스의 개선은 시급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구되어지는 것은 실제로 요양시설의 주 사용자라 할 수 있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서비스 제공자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 있다. 치매노인들의 행태와 특성을 파악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실내공간디자인 측면에서 해결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이 필요로 한 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전문요양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매노인의 생활행태를 분석하여, 사용자 중심에 맞는 거주공간디자인 지침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시.도립 치매전문요양시설로 한정하였다. 또한 시설의 거주공간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개인공간, 공용공간, 지원공간을 갖추고 있는 경증, 중.등증 노인이 생활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국내시설 3곳을 현장 방문하여 현황분석하고, 국외사례 3곳을 사례분석 하였다. 첫째, 국.내외 문헌조사를 통해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특성과 치매전문요양시설의 이론적 고찰을 한다. 둘째, 1차 예비조사는 관찰조사를 통해 치매노인 생활행태를 파악하고, 시설의 문제점을 추출하여 인터뷰 내용을 설정한다. 셋째, 2차 본 조사는 관찰조사로 추출한 생활행태와 시설의 문제점에 대해 확인하고, 실내공간디자인 측면에서 개선사항을 생활지도원과의 인터뷰(면접조사)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넷째, 국내 현황조사 및 분석을 통해서 치매노인의 공간구성별 문제점과 실내공간디자인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을 분석하고, 국외 치매전문요양시설의 사례조사와 비교 및 분석 하여 사용자 중심에 맞는 거주공간디자인의 지침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공간: 공간적 사항으로는 거실은 시설운영의 효율과 환자의 프라이버시를 고려한 4인실 규모가 적당하며, 부속화장실은 휠체어 사용에 편리한 크기와 찾기 쉬운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의장적 사항으로는 시설의 바닥 색과 벽색은 차가운색이나, 시설적인 느낌의 흰색보다는 따뜻한 파스텔 색을 사용해서 가정적 느낌을 살린다. 또한 서로 다른 마감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자연스럽게 유도 한다. 요소적 사항으로는 1인당 개인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장 또는 붙박이장으로 개인의 자리임을 알 수 있다. 온돌식과 침대식의 두 가지 식을 겸비하며, 사용자에게 선택을 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 다인실의 경우는 여러 사람이 사용 하므로 개인조명을 설치한다. 둘째, 공용공간: 공간적 사항으로는 공용세면실은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복도에 설치되어야 한다. 식당은 홀과 연결되는 공간으로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해야 한다. 옥외공간이 1층을 통해서만 나갈 수 있는 경우 수직이동에 따른 문제점과 옥외이용 시 효율성이 떨어짐으로 각층에 1개소씩 배치 옥내에서 옥외로의 이동을 자연스럽게 유도한다. 작은 스케일 또는 분산 배치로 식당영역에서 친밀성을 갖게 계획해야 한다. 의장적 사항으로는 마감 특유의 주제를 갖고 계획할 때 건물의 넓은 영역을 식별할 수 있게 계획한다. 요소적 사항으로는 의 소파 배치는TV방향의 일방향적인 것보다 마주보거나 ㄷ형태의 배치가 사회적 교류의 역할 수 있게 계획한다. 치매노인의 사회성을 위해 가구는 둥근 형태 또는 마주보는 형태 등으로 상황에 따라 배치형태를 바꿀 수 있는 가구로 배치한다. 셋째, 지원공간: 공간적 사항으로는 간호사 스테이션의 위치는 홀 중간에 위치하는 것보다 벽면 쪽으로 배치하여 업무관련 물품의 도난을 방지해야 한다. 프로그램실이 특정 층에 위치한 경우 수직적 이동은 최소화되도록 중간층이나 거주하는 층에 위치하도록 한다. 의장적 사항으로는 치료와 운동을 하는 공간 이므로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질을 사용해야 한다. 요소적 사항으로는 프로그램실이나 물리치료실에서 치료받을 시에 개인이 가지고 있던 물건이나 옷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이나 서랍을 설치한다.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 조직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의 다중매개효과

        정여주 경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These factors were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posttraumatic growth model by Calhoun and Tedeschi (2006) and to analyze structure equation model by building a hypothetical model and verifying the fit of the model.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200 firefighters working in firefighter, ambulance, rescue and administrative tasks at fire stations in Gyeongsang-do, Jeolla-do, and Gyeonggi-do from March 25 to August 30, 201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21.0 and the AMOS 21.0 program verify the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an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variable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For the fit of hypothetic model, χ²=107.63(p<.001), RMR (.07), NFI (.86) and TLI (.86) was found to be inadequate, while χ²/df(2.45), GFI (.92), AGFI (.85), RMSEA (.08) and CFI (.91) were found to be adequate. Therefore the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that supports 10 hypothesis out of 13 hypothesis. 2) In the final model, deliberate rumination (β=.59, p<.001) had significant effect i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Active Coping, organizational support, self-exposure, Ego-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0%. 3) Active Coping(β=.35, p<.001), organizational support(β=.32, p<.001), self-exposure(β=.25, p=.003), posttraumatic stress(β=.19, p=.036)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deliberate rumination of firefighte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7.6%. 4) Family support(β=-.17, p=.021) had significant effect on posttraumatic stress of firefighte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2%. 5) Ego-resilience(β=.21, p=.002) ha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support of firefighte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4%. 6) Ego-resilience(β=.21, p=.002) had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support of firefighte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4%. 7) Ego-resilience(β=.48, p<.001) had significant effect on Active Coping of firefighte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2.9%.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mportant to mediate the enhancement of deliberate rumination after firefighters experience trauma. This will improve posttraumatic growth. Because firefighters experience repeated traumatic experiences due to their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are overly exposed to these events,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the organizational level. Therefore, we propose to build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for post-traumatic growth.

      • 수원지역 일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영양지식 및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정여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imed at knowing the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nd attitudes on nutrition education at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to was teachers as well as become the basis in creating an infant nutrition educational program linked with related institution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surveying the teachers of 93 day-care center in Suwon. A total of 1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149 were collected and excluding those that were not answered a total of 148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Teachers were all female, most of whom were in the 20~30.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nutrition education necessitate in day-care center. The 85.1% of the teachers had nutrition educational training. The nutrition education of teachers showed a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teacher had a career. As the teachers had higher career, they had nutrition educational training. The information source for nutrition education was mainly internet and guide book and magazine. Current nutrition education was being taught mainly by VTR. The main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as being taught sanitation education and table manners. However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lack of nutrition knowledge of teachers lead to difficulties in nutrition education of infant. The average score of nutrition knowledge of teachers was 10.48±1.84 out of possible 15 points. Most of the teachers had on above average knowledge about nutrition. However, those questions which had a low score were those on infant nutrition so it was concluded that most teachers had a low awareness on knowledge about infant nutrition. Therefore, an elaborate system that can consider the difficulties of instilling proper eating habits and need of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as well as provide the necessary nutrition for teachers as well education for the children need to be implemented.

      • Program annotation : J.S. Bach French suite No.2 BWV 813, L. v. Beethoven 32 variations WoO 80, J. Brahms piano sonata No.1 Op.1, M. Ravel Jeux d'eau

        정여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rogram annotation of the M.M. course final recital is a study based on an analysis of the works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French Suite No.2 in C Minor, BWV 813』,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32 Variations in C Minor WoO 80』, Johannes Brahms(1833-1897) 『Piano Sonata No.1 in C Major, Op.1』, and Maurice Ravel(1875-1937) 『Jeux d'eau』. Known as the ‘Father of Music’ was the German composer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the leading figure of the Baroque era. Except for the opera, was the fecund composer well read in all other musical genres, devoting himself mostly to the keyboard works. The keyboard Suite consists of 6 English Suites, French Suites, and Partitas. The French Suites were composed around the year 1722 for Anna Magdalena, where his 《French Suite No.2 in C Minor, BWV 813》, consisting of 6 movements (Allemande, Courante, Sarabande, Air, Minuet, Gigue), possess a light and elegant character, similar to Bach's other French Suite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was a revolutionary composer who led Classical music to its ultimate state and acted as a bridge towards Romantic music. For Beethoven were both the Sonata and Variation form equally important. His 20 independent variation works are a proof supporting this conjecture. Beethoven's 《32 Variations in C Minor, WoO 80 (1806)》, composed during his middle period, consists of a ‘Theme and Variations’, where the shape of the theme remains mostly the same in every variation. During this period was this process a very creative one, since the actual theme tended to change in each variation. The ‘Classical Romanticist’ Johannes Brahms (1833-1897) was the successor of German music alongside Bach and Beethoven (the 3Bs). Despite the change in the late 19th Century music scene, Brahms insisted on absolute music rather than the popular program music. This thought is clearly seen in his three piano sonatas, which were composed between the years 1852 and 1853. Despite the free Romantic character, the solid sonata form is maintained in tandem with a logical theme. This musical form is evident in Brahms' 《Piano Sonata No.1 in C Major, Op.1》, where the sonata consists of a sonata form, variation form, Scherzo, and Rondo. Maurice Ravel (1875-1937) is together with Debussy the main fig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French Impressionistic music. Although Ravel showed a similar musical tendency as Debussy, he pursued a clear musical progress which was avoided by Debussy. Ravel's piano music did not only proceed the existing musical form, but was also the first genre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tic Music. His early work 《Jeux d’eau》 (ternary form) is in classical sonata form with two themes, which then in the development section, transforms into a modified sonata form bearing the third theme.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French Suite No.2 in C Minor, BWV 813』과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32 Variations in C Minor, WoO 80』 그리고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Piano Sonata No.1 in C Major, Op.1』과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의 『Jeux d’eau』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진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는 서양음악사에 있어 ‘음악의 아버지’로 일컬어지는 18세기 바로크(Baroque) 시대의 대표적인 독일 작곡가이다. 바흐는 오페라(Opera)를 제외한 당시 모든 장르를 섭렵한 다산적인 작곡가로 전 생애에 걸쳐 가장 심혈을 기울인 것은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이다. 그 중 모음곡(Suite)은 각 6개의 영국 모음곡(English Suite), 프랑스 모음곡(French Suite) 그리고 파르티타(Partita)가 있다. 프랑스 모음곡은 1722년경에 안나 막달레나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가볍고 우아한 분위기가 지배적인 작품이다. 그 중 《French Suite No.2 in C Minor, B WV 813》의 악장배열은 Allemande-Courante-Sarabande-Air-Menuet-Gigue의 6곡 구조이다.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고전주의 음악을 최고의 경지로 이끄는 동시에 낭만주의 음악으로의 교량적 역할을 한 혁신적인 작곡가이다. 베토벤의 변주곡은 소나타 다음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악곡형식이며 대부분 피아노를 위한 것으로 20여 개의 작품이 존재한다. 《32 Variations in C Minor, WoO 80》은 베토벤의 중기에 속하는 1806년에 작곡되었으며 ‘주제와 변주’ 형태로 된 연속적 변주곡의 한 종류이다. 단순히 주제선율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화시키는 장식 변주곡을 작곡하던 초기와 다르게, 주제의 형태를 대체로 유지하면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진행으로 발전시켰다.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는 바흐, 베토벤과 더불어 독일의 ‘3B’ 반열에 오른 독일 음악의 계승자이자 ‘고전적 낭만주의자’로 알려진 작곡가이다. 브람스는 19세기 말 새로움을 추구하는 음악계의 변화와 다르게 피아노 작품들 또한 양식적인 면에서 표제음악을 거부하고 절대음악을 고수하였다. 브람스의 피아노 소나타는 총 세 곡으로 모두 1852년과 53년에 걸쳐 같은 시기에 작곡되었다. 기존의 소나타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며 견고한 형식과 논리적 주제로 이루어진 동시에 자유로운 낭만주의 성격이 나타난다. 《Piano Sonata No.1 in C Major, Op.1》에는 브람스의 특징적인 음악양식이 잘 드러나 있으며 소나타형식, 변주형식, 스케르초, 론도형식의 총 4악장 구성이다.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은 드뷔시와 더불어 20세기 초 프랑스 음악과 인상주의(impressionism) 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라벨은 드뷔시의 음악과 비슷한 경향을 보이면서도 또 다른 관점에서 보면 드뷔시가 회피했던 형식구조를 보다 명확하게 규정했을 뿐만 아니라 대체로 분명하고 명료한 음악진행을 추구하였다. 라벨의 피아노음악은 기존의 음악양식에서 더 나아가 인상주의 특징을 가장 먼저 도입한 중요한 장르이다. 《물의 희롱(Jeux d’eau)》은 1901년 작곡된 라벨의 초기 작품으로 A-B-A’의 3부분 형식 구조이며 두 개의 주제를 가지는 고전주의 소나타형식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나 발전부에 제3주제가 등장하는 변형된 소나타형식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