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에 대한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뇌 활성화

        정승원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공감 능력은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기능의 저하를 보이며 공감 능력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공감이 인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의 두 가지의 체계로 이루어져있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에 대한 신경 반응을 조사하고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7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와 22명의 정상 대조군을 모집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지 공감 과제와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fMRI를 촬영하였다. 군 간 뇌 활성화의 차이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신경 활성도를 서로 대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결과: 인지 공감 과제와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양측 후두부(브로드만 영역 18, 19)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은 오직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만 정상 대조군에 비해 양측 설전부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인지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정상 대조군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활성화된 뇌 영역은 없었다. 그러나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정상 대조군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에 비해 좌측 중전두회(브로드만 영역 46)와 우측 전대상회(브로드만 영역 32)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의 인지 공감 및 정서 공감과 관련되는 뇌 영역이 정상인과는 달랐고, 이러한 관심 영역의 신경 활성도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몇 가지 심리적인 특성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가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 모두에서 결함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 용어: 자폐스펙트럼장애, fMRI, 인지 공감, 정서 공감 Objective: Empathic ability plays an essential role in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exhibit poor social function and they are considered to have problems with empathy. It is recently suggested that there are two systems for empathy; cognitive and emotion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ural response 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elucidate neurobiological aspect of empathy in ASD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ith ASD (n=17, ASD group) and healthy controls (n=22, HC group) for an fMRI study. All subjects were scann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between groups were assessed by contrasting neural activity during the tasks. Results: During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ASD group show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bilateral occipital area (Brodmann area 18, 19) compared to HC group. ASD group showed more activation in the bilateral precunei (Brodmann area 7) only during emotional empathy task. There was no brain region more activated in HC group during cognitive empathy task. However, while performing emotional empathy task, HC group exhibit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Brodmann area 46) and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Brodmann area 32) than ASD group. Conclusion: This fMRI study showed that the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SD patients differed from those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e neural activities in the regions of interest had several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SD might have defects both in cognitive empathy and in emotional empathy. Key Words: autism spectrum disorder, fMRI,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 Biological control of winter harmful algal blooms, Stephanodiscus hantzschii by using algicidal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HYK0210-SK09

        정승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호수 및 하천에서 식물플랑크톤은 봄철과 가을철에 높은 개체수를 보이고, 여름철과 겨울철에 낮은 계절적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 낮은 현존량은 저온, 저광량 및 짧은 광주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돌말 Stephanodiscus hantzschii는 겨울철 부영양화된 유수역 및 정수역에서 빈번한 대발생이 관찰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한강 및 낙동강에서는 S. hantzschii가 겨울철 상시 대발생 되어 휴식 경관의 악화(이취미 발생 및 투명도 감소)와 식수공급을 위한 정수 처리 과정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보건상의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종의 대발생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한 연구들이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S. hantzschii의 대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종 특이적인 살조세균을 분리 및 살조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나아가 현장 적용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중형 폐쇄생태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친 환경적인 살조능을 연구하기 위하여 분리된 살조세균을 담체화 시켜 현장 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S. hantzschii의 대발생을 제어하고자 살조세균 Pseudomonas fluorescens HYK0210-SK09를 팔당호에서 분리하여 SK09의 생리적 특성 및 세포내 살조물질을 규명하였으며, S. hantzschii를 제어하기 위한 살조밀도, S. hantzschii의 성장기별 살조범위 및 여러 조류들을 대상으로 살조능을 파악하였다. SK09를 총 5 x 106 cells ml-¹로 투입시, S. hantzschii는 5일내에 99% 이상의 높은 살조능을 보였다. 이렇게 높은 살조능을 나타낸 SK09는 S. hantzschii에 세포 표면에 부착하여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공격양상을 나타내었다. SK09내에서 살조물질은 주로 cytoplasm에 존재하고 있었다. 살조 범위 실험에서, SK09는 여름철 수화를 야기하는 남조 M. aeruginosa, A. cylindrica, 녹조 C. astroideum 및 S. hantzschii와 근연종인 돌말 C. meneghiniana에서 위 종들을 억제하지 못하여, 종 특이적 살조능이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살조 특성이 규명된 SK09를 대상으로 S. hantzschii가 대발생된 현장에서 적용 가능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 및 현장에서 100 L 규모의 중형 폐쇄 생태계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실험은 S. hantzschii가 10⁴ cells ml-¹이상의 대발생 될 때, 팔당호에서 수행하였으며, 실내 실험은 현장 실험과 동일 시기에 S. hantzschii가 대발생 된 현장수를 실내로 가져와 실험을 수행하였다. SK09를 5 x 106 cells ml-¹의 농도로 중형 폐쇄생태계에 투입시, 실내에서는 85%의 살조능을, 현장에서는 90%이상의 살조능을 보여 현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S. hantzschii의 세포 파괴에 따른 세포 내 용존 유기/무기 물질의 방출에 따라 영양염류의 빠른 증가를 보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에서, S. hantzschii의 감소는 영양염류의 증가와 더불어 Asterionella formosa, Aulacoseria granulata, Cryptomonas ovata와 Chlamydomonas sp.등의 상대적인 증가를 야기하였다. 중형폐쇄 생태계내의 미소생물들의 반응에서 SK09 접종 후에 30-50 μm의 섬모충의 증가를 보여, S. hantzschii 분해에 따라 증가된 박테리아를 포식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100 L 규모의 중형폐쇄 생태계 연구는 현장에서 S. hantzschii 대발생의 제어가능성 여부의 판단이 중요 목적으로, 폐쇄 생태계 규모가 작고, 저질층이 포함되지 않아 자연생태계에서의 작용을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중형폐쇄 생태계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 재현성 규명 및 나아가 심도 있는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2 ton 규모의 중형 폐쇄 생태계 연구를 수행하였다. 2 ton 규모의 폐쇄생태계 연구는 낙동강에서 수행하였으며, 모래저질이 포함시켜, 저층으로부터 외부의 하천수가 원활히 교환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SK09를 5 x 106 cells ml-¹로 투입시, 현장에서 대발생된 S. hantzschii는 8일에 85%의 높은 살조능을 보여, 선행된 100 L 폐쇄생태계 연구와 같이 현장에서 SK09가 S. hantzschii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을 알 수 있었다. 살조세균 처리에 따른 생태계의 변화를 보면, 선행된 100 L 폐쇄생태계와 같이 용존무기질소 및 규산염이 증가를 보였으나, 그 변화 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100 L 폐쇄생태계 실험에서 높은 인산염의 증가와 달리, 2 ton 중형폐쇄 생태계에서는 증가하지 않아, 저질 층으로의 흡수등에 따른 결과라 판단된다. 식물플랑크톤 변화를 보면, 돌말인 Navicula subminuscula 와 녹조인 Chlamydomonas sp.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100 L 폐쇄생태계의 결과와 같이 S. hantzschii의 감소 및 영양염류 증가에 따른 반응이라 판단된다. 또한 섬모충 및 미소편모충은 투입된 SK09를 포함한 박테리아를 포식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100 L와 2 ton 규모의 중형폐쇄 생태계 연구에서 직접적으로 투입한 SK09는 S. hantzschii대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영양염류의 증가 및 식물플랑크톤의 천이 등의 생태계의 교란이 발생되고 있었다.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SK09 투입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SK09의 담체화시켜 현장에 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효과적인 담체를 선정하기 위하여 APVAS 및 CS 담체를 사용하여 살조세균의 포집능 및 살조능을 파악하였다. SK09의 포집능 실험에서 APVAS 담체는 최대 1.61 ± 0.15 x 108 cells cm-³를, CS 담체는 최대 4.29 ± 0.67 x 107 cells cm-³를 보여 APVAS 담체가 높은 포집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S. hantzschii가 대발생된 5 L 현장수를 대상으로 살조능을 비교시, APVAS 담체는 최대 89.2%의 살조능을, CS 담체는 최대 73.2%의 살조능을 나타내어 포집능과 같이 APVAS 담체가 높은 살조능을 보였다. 특히 APVAS 담체를 넣은 실험구에서는 전기전도도가 CS 담체를 투입한 실험구보다 낮게 나타나 S. hantzschii 제어시 증가되는 이온들을 흡수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렇게 높은 활성을 보이는 APVAS 담체에 SK09를 포집 시켜 2 ton 규모의 현장 중형폐쇄 생태계에서 S. hantzschii 대발생 제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72.0%의 살조능을 보여 SK09의 직접 살포와 같이 높은 살조능으로 담체화로 현장 적용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달리 영양염류 제거 및 다른 식물플랑크톤의 천이양상을 감지하지 못하여 안정적으로 S. hantzschii의 대발생을 제어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해조류의 대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살조세균의 분리부터 현장 적용 및 응용 기술의 접목 등 향후 현장에서 유해조류의 대발생을 제어하였으며, 유해조류 제어 연구들의 나아가야 할 연구 방향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An algicidal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HYK0210-SK09 (class Proteobacteria, gamma subdivision), was isolated from the Paldang reservoir of South Korea. SK09 was used to biological control of a small centric diatom, Stephanodiscus hantzschii, which annually harmful algal blooms during winter. The optimal inoculation density of SK09 was 5×106 cells ml-¹, which reduced S. hantzschii abundance by over 90% within 5 days. The algicidal mechanism of SK09 appeared to be a direct attack against the diatom, and algicidal compounds were mainly located in the cytoplasm. SK09 did not suppress Microcystis aeruginosa, Anabaena cylindrica in cyanophyceae, Coelastrum astroideum in chlorophyceae, or Cyclotella meneghiniana in bacillariophyceae; it appeared to attack S. hantzschii in a species-specific manner. To evaluate the ecological response of aquatic living organisms and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natural S. hantzschii bloom, SK09 was applied to the natural bloom using indoor and outdoor 100 L small-scale mesocosms and a 2 ton large-scale mesocosm. When SK09 cells were inoculated at a final density of 5×106 cells ml-¹, S. hantzschii abundanc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maximums of 88% in ISM, 95% in OSM and 85% in LM. The microcosm in a laboratory revealed that the abundance of Pseudomonas increased rapidly after the inoculation with decrease of the diatom population. Inorganic nutrient concentrations increased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diatom cells. Abundances of phytoplankton species such as Chlamydomonas, Cryptomonas and Navicula species increased slightly with increased nutrient concentrations. Heterotrophic protist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utilization of SK09 as food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razing pressure plays a crucial role for the success of the application of algicidal bacteria to natural environments. Since SK09 can grow its population by the algicidal activity and the threshold cell density is required to the algal cell lysis, spreading process of the algicidal bacteria after the inoculation in natural environments is important. Moreover, increase in nutrient concentration can cause other algal bloom. To determine an immobilizing efficiency of SK09, and an its algicidal activity against S. hantzschii, the algicidal bacteria were immobilized by activated carbon polyvinyl alcohol sponge and cellulose sponge carriers. As immobilization between two carriers, the APVAS carrier allowed for higher packing density of SK09 cells and higher algicidal activity against S. hantzschii compared to the CS carrier. Based on this result, the APVAS - immobilized SK09 cells were applied to control the S. hantzschii blooms in a field mesocosm. Immobilized SK09 cells exhibited a species-specific activity towards the diatom, showing an algicidal effect up to 72%. Moreover,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concentrations as inoculation of the carrier were effectively reduced at value from 1.42 mg l-¹ to 0.86 mg l-¹. Together, the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APVAS - immobilized SK09 cells could control S. hantzschii blooms and improve the water quality in a mesocosm ecosystem. Therefore, SK09 may be an effective biological agent for controlling S. hantzschii blooms. Additionally, this immobilization strategy may be applied to a practical method for controlling the harmful algal blooms and improving water quality without ecological disturbances.

      • 보행횡단 시설 및 환경에 따른 보행횡단 행태에 관한 연구

        정승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Pedestrian traffic accident is The highest priority type of accident for measures to reduce traffic accident deaths because risk of traffic accident is very high. And crossing accident is accounted for 57.2%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 Study on cause and effect for the traffic safety have relied on the traffic accident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mediate correlation analysis about pedestrian cros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destrian crossing facilities and environment. Dangerous pedestrian crossing behavior (signal violation, crossing outside, running across) model was estimated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crossing behavior and crossing facilities. It was obtained from 10,000 pedestrians and 34 pedestrian crossings for 2 hours in Gyeonggi-do.Thi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median installed, the more narrow pedestrian crossing installed, the more signal violation probability. If there is no fence, the higher median installed, the less traffic volume, the less pedestrian volume, the more crossing outside probability. Also if there the higher median installed, the more narrow pedestrian crossing installed, the less traffic volume, the more running across probability. This study is focus on new analysis way for immediate correlation between the pedestrians, drivers' behavior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or the environment without traffic accident data. 보행자 교통사고는 사고위험도가 매우 높아 교통사고 사망자수 감소를 위한 대책에 가장 우선시 되는 사고 유형이며, 차대사람 교통사고 중에서 횡단 중 사망자수는 차대사람 사망자수의 57.2%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까지 모든 교통안전에 대한 원인과 결과는 교통사고 데이터에 의존해 왔다. 본 연구는 교통사고 데이터를 배제하고, 보행횡단 안전 증진을 위한 보행횡단 시설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보행자가 어떠한 횡단 행태를 보이는 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경기도 중소도시의 34개 횡단보도에서 2시간 동안 약 10,000명의 보행자를 대상으로 신호위반, 횡단보도를 벗어나 횡단, 뛰어서 횡단 3가지 유형의 위험한 보행횡단 행태를 각 횡단보도의 보행횡단 시설 및 환경적 요인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고자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위험한 보행횡단 행태 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앙분리대 시설이 높게 설치된 경우, 횡단보도 폭이 좁을수록 보행자가 신호위반을 행할 확률이 높아지고, 중앙분리대 시설이 높게 설치된 경우, 펜스가 없을 경우, 교통량이 적을수록, 보행교통량이 적을수록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벗어나 횡단할 확률이 높아졌다. 또, 횡단보도 폭이 좁을수록, 교통량이 적을수록, 중앙분리대 시설이 높게 설치된 경우 보행자가 뛰어서 횡단할 확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통안전에 있어 교통사고 데이터에 의존하지 않고 교통 시설 및 환경과 운전자 혹은 보행자 행태의 직접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직업재활 서비스의 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방법에 관한 연구

        정승원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질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의 구성요인들을 밝히고 그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구명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질과 만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직업재활 서비스 현장에서 역량강호적 실천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며, 역량강화 패러다임에 적합한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실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하여 첫째,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과 직업재활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을 추출한 후, 둘째,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들에 대하여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구명하였으며, 셋째,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들에 대하여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구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사업 수행 기관(직업능력개발센터, 직업재활시설, 직업재활센터)에서 1년 이상 직업재활 서비스를 이용하고 취업하였거나 계속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 4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14개의 설문이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과 정신지체 혹은 발달장애인이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나머지 242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전에 예비 조사를 실시하여 안정적인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실무 및 학계 전문가 10인을 통해 도구의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척도의 구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구성 요인들이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밝히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 간 상관을 보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의 방법은 크게 상담자-이용자 협력관계, 정보에 근거한 선택, 자기결정으로 구성된다. 각 서비스 방법들의 구성요인들을 추출한 결과, 상담자-이용자 협력관계의 구성요인은 단일 요인으로 구명되어 협력관계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정보에 근거한 선택의 구성요인은 서비스 정보 요인과 선택 행동 훈련 요인으로, 자기결정의 구성요인은 자기결정적 행동 요인과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또한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은 직원서비스 질 요인, 프로그램 질 요인과 시설·환경 질 요인으로,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은 성과 만족 요인과 총체적 서비스 만족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구성요인들은 협력관계요인, 서비스 정보요인, 선택행동 훈련 요인,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이었다. 서비스 질의 세 가지 요인들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구성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프로그램 질 요인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들은 협력관계, 서비스 정보와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 지원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원 서비스 질 요인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들은 협력관계 요인, 서비스 정보요인, 선택 행동 훈련 요인,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시설·환경 요인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들은 협력관계 요인과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구성요인들은 협력관계요인, 자기결정적 행동 요인,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이었다. 서비스 만족의 두 가지 구성요인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구성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서비스 성과 만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들은 협력관계 요인과 자기결정적 행동 요인이었다. 반면 총체적 서비스 만족 요인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들은 협력관계 요인과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지원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방법의 구성요인들은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로 구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담자-이용자 협력관계, 정보에 근거한 선택, 자기결정은 각각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들에 대하여 각각 고유하게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 결과는 서비스 질과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에서 상담자-이용자 협력관계, 정보에 근거한 선택, 자기결정 중 어느 한 가지라도 간과하지 말아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로써 서비스 질과 만족의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적 직업재활 서비스 실천의 필요성과 정당성이 실증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재활 실천 현장에서 서비스 전달 방법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주안점이 될 부분들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상담자와 이용자의 협력관계는 서비스 질의 모든 요인과 서비스 만족의 모든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다른 요인들에 비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 서비스 기관이 상담자와 이용자의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보에 근거한 선택의 구성요인인 서비스 정보 요인은 서비스 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질과 직원 서비스 질에 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관과 상담자는 이용자에게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 종류와 서비스 일정, 서비스 절차와 방법, 서비스 제공 범위와 한계, 서비스 책임 및 권리 등의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자세히 안내하고 이용자가 분석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선택행동 훈련 요인은 직원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구직신청 후 전문가가 주도적으로 직업 개발과 알선을 담당하기 보다는 이용자가 직접 원하는 직장을 찾는 방법을 배우고 가능한 업체와 접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며, 스스로 구직을 위해 접촉해 보는 노력에 대하여 상담자는 효과적인 피드백을 줌으로써 직업재활 서비스 과정이 이용자에게 선택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서비스 전달 체계를 재정비 할 필요가 있다. 자기결정 요인 중에서 자기결정적 행동요인은 특히 서비스 성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목표 및 계획 수립과 수정에 이용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격려하며 서비스와 목표 달성에 대하여 이용자가 분석할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취업과 관련하여 자기소개서 작성이나 면접 전략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위하여 개별 혹은 집단 교육 프로그램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기결정을 위한 기관 지원 요인은 대부분의 서비스 질과 서비스 만족의 구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비스 기관은 서비스와 고용에 관한 이용자 참여와 자기결정 존중 내용을 문서화하고 이것을 방해 할 수 있는 내규를 정비하는 등 이용자 참여와 자기결정 분위기를 제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서비스 인력의 자기결정 기술 학습을 위하여 지역사회 교육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재교육의 기회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position factors of empowerme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delivery methods (working alliance, informed choice,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had three folds and a survey was used. The first question was what are the composition factors of empowermen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delivery methods,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Second, which factors of empowermen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mpacted upon factors of service quality and were more effective. Third, which factors of empowermen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mpacted upon factors of service satisfaction and were more effective. Data was gathered from service users who had been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more than 1 year or who had already acquired a job after more than 1 year of services at organizations for those with disabilities including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or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s 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Korea. A total of 340 answers from respondents were retrieved. Excluding replies which could be defined as being insincere, 242 surveys were used as the subjects for the analysis. In dealing with the first ques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principal component extraction and varimax rotation was used. To address the second and third question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key method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empowering consumers were working alliances, informed choice, and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results which showed that the Working Alliance had a single factor and Informed Choice had two factors named as service information and choice skill training respectively. Self-determination also had two factors, which were named as self-determinativ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In terms of the result of analysis, service quality consisted of three factors named as program quality, staff service quality and facility-environment quality. The issue of service satisfaction had two factors named as outcome satisfaction, and service content satisfaction. Second, the factors of empowermen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mpacting the service quality were working alliance, service information, choice skill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In particular, the program quality factor was impacted by working alliance, service information,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The staff service quality factor was impacted by working alliance, service information, choice skill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The facility-environment quality factor was impacted by working alliance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Third, the factors of empowerment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mpacting the service satisfaction were working alliance, self-determinative activit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In particular, the outcome quality factor was impacted by working alliance and self-determinative activities. The service contents quality was impacted by working alliance and organizational supports for user's self-determination.

      • Sensitivity analysis of phenology parameterization to temperature threshold for photosynthesis using the Noah land surface model with multiple physics options

        정승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bstantial uncertainties from inaccurate parameterization on phenology have been known in many years. The parameters in a land surface model are typically assigned based on vegetation type. We study whether a temperature threshold parameter for photosynthesis contributes to accuracy in phenology parameterization. The parameter is minimum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Tmin), which is an indicator for onset of plant growth and is dependent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Controlling on Tmin, we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sensitivity of Leaf Area index (LAI) to Tmin in monthly scale. The sign of sensitivity index illustrates that Tmin definitely effects on modeling LAI. The difference of the timing and locations for large sensitivity is appeared because clima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ocal scale may contribute photosynthetic assimilation process. We compared the skill of Noah-MP simulating LAI by using the default Tmin versus changing Tmin in the experiment. Then, we find an optimal set of Tmin for local application. Skill of the optimal set of Tmin in the most of the domain barely differs, but some part of southern region shows improvement. These regions show bad performance in LAI simulation with default Tmin. However, while validating the optimal set of Tmin, it shows worse performance than Tmin,ctl in 2006-2010. It is considered that the skill score is focused on dry region where default Tmin shows low skill to simulate LAI, and the temperature threshold may not main factor of the region. 식물계절성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과 기후 시스템과의 되먹임 작용 때문에 지표모델의 모의 정확성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는 많은 모델은 식물계절성 특히 식물의 성장시기의 시작점과 끝점에 대한 모의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 이 논문에서는 (1) 노아 모델 개발시 의도한대로 온도가 식물계절성을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지 민감도 연구를 통해 평가하며, (2) 현재 모델에 부여된 온도 역치의 값이 아닌 다른 값을 부여하였을 때 모델 모의의 향상성을 기대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온도 역치 파라미터를 변화 시켰을 때 모의된 잎면적 지수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그 민감도의 크기는 지역별,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일년중 봄과 봄 이전의 시기에는 저위도의 지역 (남중국, 일본) 을 거쳐 우리나라에 큰 민감도를 보이고, 여름에는 파라미터의 변화에 거의 반응하지 않으며, 가을에는 고위도 지역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는 모델에서 파라미터의 값을 부여할 때 식생유형에 따라 분류한 것과는 상관없이 해당 지역의 지역적 기후와 환경적인 영향을 따른 결과로 보인다. 실험 지역의 각 격자마다 온도역치 파라미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잎면적지수 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하였으나, 크게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미래의 잎면적지수를 모의할 때는 오히려 성능이 후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원래의 모델이 잎면적지수를 크게 과대모의했던 지역의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온도역치 파라미터의 값이 극단적으로 변하며 일어난 결과로 여겨진다.

      • Mathematical approach to mono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정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troduces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s for solving mono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problems. The proposed methods are based on Forward-Backward proximal splitting method, which solves the optimization problem by iteratively solving two sub parts for each step: 1. gradient descent and 2. noise removal. Since the gradient descent part has high computational cost, we develop a low-cost implementation of computing aberration operator and its transpose. Then, we propose 6 different methods, which are based on 6 types of different regularization in the noise removal part. In this thesis, we perform experiments on the proposed image restoration methods. In the experiments, we use synthetic images generated by point spread functions (PSFs), which emulate the effects of monochromatic aberration in modern digital cameras. 이 연구는 단색 수차 보정 문제를 풀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들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Forward-Backward proximal splitting 방법에 기반한 것으로 이 방법은 최적화 문제를 경사하강법과 노이즈 제거의 두 문제로 나누어 반복 방법을 통해 푼다. 단색 수차 문제에 있어서 경사하강법은 큰 계산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차 연산자의 저비용 구현 방법을 개발한다. 이어서 6가지의 서로 다른 정칙 연산자에 기반한 노이즈 제거 방법을 적용한 영상 복원 방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제안된 영상 복원 방법들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에서는 점확산함수 (Point Spread Function)을 이용해 합성된 수차 영상을 이용하는데, 해당 점확산함수는 현대 디지털 카메라의 단색 수차 효과를 모방한 것이다.

      • 그림책을 활용한 어린이극 제작에 대한 연구 : <모치모치나무> 사례를 중심으로

        정승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극(Children’s Theatre)을 13세 미만의 “어린이에 의한 그리고 어린이들을 위한 모든 형태의 연극”이라고 정의하고 그림책을 활용하여 어린이극으로 공연화하는 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방법론의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책을 활용해 어린이극을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첫 번째는 그림책을 선정할 때, 책의 내용이 어린이의 정서와 경험에 동일시가 될 수 있는 ‘내러티브’를 포함한 이야기여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어린이의 특성인 놀이성을 고려하여 어린이극으로 재창작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서 그림책을 어린이극으로 재창작 한 사례를 보면 동요메들리를 추가하거나 배우들의 즉흥극을 통해 부족한 이야기의 내러티브를 채우려는 공연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내러티브가 풍부한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본 기준을 제시하고 대본화하는 과정에서 프리워크숍 – 본 공연 – 포스트워크숍의 단계로 어린이극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과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그림책 『모치모치나무』를 어린이극 <모치모치나무>로 재창작하는 전(全) 과정, 즉 ‘이야기’ 선택에서부터 인형극과 1인극인 어린이극으로 무대화하는 모든 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고 공연을 올린 후, 설문지를 통해 공연에 대한 평가를 기술했다. 설문지 평가에서 어린이극 <모치모치나무>의 좋았던 점으로 이야기의 내용과 인형극이 꼽힌 것으로 보아 그림책 『모치모치나무』의 이야기와 인형극의 극형식이 잘 어우러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극 전반의 조명이 밝아서 관객들이 이야기의 정서인 ‘어둠’을 잘 느끼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것 역시도 어린이극에서 관객의 평가로 더욱 풍부한 연극을 위한 자극으로 사용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본 연구자의 어린이극 공연에 대한 구체적 과정 및 경험에 대한 기록 자료가 어린이극 창작자의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는데 적합한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용접 이형 철선을 사용한 슬래브의 휨성능 및 사용성 평가

        정승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construction market is in various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a lack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personnel, an increase in labor and material cost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s a result, there are se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and a relative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many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poor reinforcement construction have been reported during field work. As a solution, it is emerging as an efficient way to reduce labor costs and shorten air by using a structural welding wire mesh (WF) that minimizes field work, has a constant rebar spacing, and simplifies the on-site reinforcement process. In addition, in Korea,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bar pre-assembly methods with structural welding nets" in this context to ensure precise assembly based on accurate background construction and standardized processing. The structural welding wire mesh is a type of pre-assembly steel bar manufactured by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the intersection point by arranging horizontal and vertical wires at right angles, and is manufactured using cold and surface-processed steel wir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reported that the structural welding wire has high yield strength, but the elongation compared to the release reinforcement is lowered,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elongation of the member. In addition, while the yield section is not cle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wire itself and the adhesion stress is lowered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strain localization may occur due to high acupressure characteristics due to the iron wire weld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Research cases have also been confirmed that this characteristic leads to brittle destruction mode of the member due to fracture of the tensile steel wire.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release steel wire and concrete using a welding wire to verify the problem and solve the problem,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when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