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에 대한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뇌 활성화

        정승원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공감 능력은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들은 사회적 기능의 저하를 보이며 공감 능력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최근에는 공감이 인지적인 측면과 정서적인 측면의 두 가지의 체계로 이루어져있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에 대한 신경 반응을 조사하고 그 신경생물학적 측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17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와 22명의 정상 대조군을 모집하였다. 모든 피험자를 대상으로 인지 공감 과제와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fMRI를 촬영하였다. 군 간 뇌 활성화의 차이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신경 활성도를 서로 대조함으로써 평가하였다. 결과: 인지 공감 과제와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양측 후두부(브로드만 영역 18, 19)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은 오직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만 정상 대조군에 비해 양측 설전부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인지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정상 대조군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활성화된 뇌 영역은 없었다. 그러나 정서 공감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정상 대조군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군에 비해 좌측 중전두회(브로드만 영역 46)와 우측 전대상회(브로드만 영역 32)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 결과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의 인지 공감 및 정서 공감과 관련되는 뇌 영역이 정상인과는 달랐고, 이러한 관심 영역의 신경 활성도는 자폐스펙트럼장애의 몇 가지 심리적인 특성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가 인지 공감과 정서 공감 모두에서 결함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핵심 용어: 자폐스펙트럼장애, fMRI, 인지 공감, 정서 공감 Objective: Empathic ability plays an essential role in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exhibit poor social function and they are considered to have problems with empathy. It is recently suggested that there are two systems for empathy; cognitive and emotiona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eural response 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elucidate neurobiological aspect of empathy in ASD patients. Methods: We recruited patients with ASD (n=17, ASD group) and healthy controls (n=22, HC group) for an fMRI study. All subjects were scann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between groups were assessed by contrasting neural activity during the tasks. Results: During bo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tasks, ASD group show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bilateral occipital area (Brodmann area 18, 19) compared to HC group. ASD group showed more activation in the bilateral precunei (Brodmann area 7) only during emotional empathy task. There was no brain region more activated in HC group during cognitive empathy task. However, while performing emotional empathy task, HC group exhibited greater neural activities in the left middle frontal gyrus (Brodmann area 46) and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Brodmann area 32) than ASD group. Conclusion: This fMRI study showed that the brain regions associ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in ASD patients differed from those in healthy individuals and the neural activities in the regions of interest had several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S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ASD might have defects both in cognitive empathy and in emotional empathy. Key Words: autism spectrum disorder, fMRI,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 Mathematical approach to mono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정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troduces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s for solving monochromatic aberration correction problems. The proposed methods are based on Forward-Backward proximal splitting method, which solves the optimization problem by iteratively solving two sub parts for each step: 1. gradient descent and 2. noise removal. Since the gradient descent part has high computational cost, we develop a low-cost implementation of computing aberration operator and its transpose. Then, we propose 6 different methods, which are based on 6 types of different regularization in the noise removal part. In this thesis, we perform experiments on the proposed image restoration methods. In the experiments, we use synthetic images generated by point spread functions (PSFs), which emulate the effects of monochromatic aberration in modern digital cameras. 이 연구는 단색 수차 보정 문제를 풀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들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들은 Forward-Backward proximal splitting 방법에 기반한 것으로 이 방법은 최적화 문제를 경사하강법과 노이즈 제거의 두 문제로 나누어 반복 방법을 통해 푼다. 단색 수차 문제에 있어서 경사하강법은 큰 계산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수차 연산자의 저비용 구현 방법을 개발한다. 이어서 6가지의 서로 다른 정칙 연산자에 기반한 노이즈 제거 방법을 적용한 영상 복원 방법을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제안된 영상 복원 방법들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에서는 점확산함수 (Point Spread Function)을 이용해 합성된 수차 영상을 이용하는데, 해당 점확산함수는 현대 디지털 카메라의 단색 수차 효과를 모방한 것이다.

      • Sensitivity analysis of phenology parameterization to temperature threshold for photosynthesis using the Noah land surface model with multiple physics options

        정승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ubstantial uncertainties from inaccurate parameterization on phenology have been known in many years. The parameters in a land surface model are typically assigned based on vegetation type. We study whether a temperature threshold parameter for photosynthesis contributes to accuracy in phenology parameterization. The parameter is minimum temperature for photosynthesis (Tmin), which is an indicator for onset of plant growth and is dependent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system. Controlling on Tmin, we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sensitivity of Leaf Area index (LAI) to Tmin in monthly scale. The sign of sensitivity index illustrates that Tmin definitely effects on modeling LAI. The difference of the timing and locations for large sensitivity is appeared because clima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ocal scale may contribute photosynthetic assimilation process. We compared the skill of Noah-MP simulating LAI by using the default Tmin versus changing Tmin in the experiment. Then, we find an optimal set of Tmin for local application. Skill of the optimal set of Tmin in the most of the domain barely differs, but some part of southern region shows improvement. These regions show bad performance in LAI simulation with default Tmin. However, while validating the optimal set of Tmin, it shows worse performance than Tmin,ctl in 2006-2010. It is considered that the skill score is focused on dry region where default Tmin shows low skill to simulate LAI, and the temperature threshold may not main factor of the region. 식물계절성은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과 기후 시스템과의 되먹임 작용 때문에 지표모델의 모의 정확성을 평가할 때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그러나 현재 이용되는 많은 모델은 식물계절성 특히 식물의 성장시기의 시작점과 끝점에 대한 모의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 이 논문에서는 (1) 노아 모델 개발시 의도한대로 온도가 식물계절성을 구현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지 민감도 연구를 통해 평가하며, (2) 현재 모델에 부여된 온도 역치의 값이 아닌 다른 값을 부여하였을 때 모델 모의의 향상성을 기대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온도 역치 파라미터를 변화 시켰을 때 모의된 잎면적 지수는 민감하게 반응하였고, 그 민감도의 크기는 지역별, 시기별로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일년중 봄과 봄 이전의 시기에는 저위도의 지역 (남중국, 일본) 을 거쳐 우리나라에 큰 민감도를 보이고, 여름에는 파라미터의 변화에 거의 반응하지 않으며, 가을에는 고위도 지역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는 모델에서 파라미터의 값을 부여할 때 식생유형에 따라 분류한 것과는 상관없이 해당 지역의 지역적 기후와 환경적인 영향을 따른 결과로 보인다. 실험 지역의 각 격자마다 온도역치 파라미터를 변화시킴으로써 잎면적지수 모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려고 시도하였으나, 크게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미래의 잎면적지수를 모의할 때는 오히려 성능이 후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원래의 모델이 잎면적지수를 크게 과대모의했던 지역의 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져 온도역치 파라미터의 값이 극단적으로 변하며 일어난 결과로 여겨진다.

      • 그림책을 활용한 어린이극 제작에 대한 연구 : <모치모치나무> 사례를 중심으로

        정승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린이극(Children’s Theatre)을 13세 미만의 “어린이에 의한 그리고 어린이들을 위한 모든 형태의 연극”이라고 정의하고 그림책을 활용하여 어린이극으로 공연화하는 과정에서 좀 더 효율적인 방법론의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림책을 활용해 어린이극을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첫 번째는 그림책을 선정할 때, 책의 내용이 어린이의 정서와 경험에 동일시가 될 수 있는 ‘내러티브’를 포함한 이야기여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어린이의 특성인 놀이성을 고려하여 어린이극으로 재창작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서 그림책을 어린이극으로 재창작 한 사례를 보면 동요메들리를 추가하거나 배우들의 즉흥극을 통해 부족한 이야기의 내러티브를 채우려는 공연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내러티브가 풍부한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본 기준을 제시하고 대본화하는 과정에서 프리워크숍 – 본 공연 – 포스트워크숍의 단계로 어린이극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드는 과정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그림책 『모치모치나무』를 어린이극 <모치모치나무>로 재창작하는 전(全) 과정, 즉 ‘이야기’ 선택에서부터 인형극과 1인극인 어린이극으로 무대화하는 모든 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고 공연을 올린 후, 설문지를 통해 공연에 대한 평가를 기술했다. 설문지 평가에서 어린이극 <모치모치나무>의 좋았던 점으로 이야기의 내용과 인형극이 꼽힌 것으로 보아 그림책 『모치모치나무』의 이야기와 인형극의 극형식이 잘 어우러졌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극 전반의 조명이 밝아서 관객들이 이야기의 정서인 ‘어둠’을 잘 느끼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이것 역시도 어린이극에서 관객의 평가로 더욱 풍부한 연극을 위한 자극으로 사용해야 함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본 연구자의 어린이극 공연에 대한 구체적 과정 및 경험에 대한 기록 자료가 어린이극 창작자의 다양한 예술적 시도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는데 적합한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용접 이형 철선을 사용한 슬래브의 휨성능 및 사용성 평가

        정승원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dern construction market is in various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a lack of professional construction personnel, an increase in labor and material costs, and environmental regulations. As a result, there are seriou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and a relative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many problems such as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poor reinforcement construction have been reported during field work. As a solution, it is emerging as an efficient way to reduce labor costs and shorten air by using a structural welding wire mesh (WF) that minimizes field work, has a constant rebar spacing, and simplifies the on-site reinforcement process. In addition, in Korea, a serie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bar pre-assembly methods with structural welding nets" in this context to ensure precise assembly based on accurate background construction and standardized processing. The structural welding wire mesh is a type of pre-assembly steel bar manufactured by electrical resistance welding the intersection point by arranging horizontal and vertical wires at right angles, and is manufactured using cold and surface-processed steel wires. Through this process, it is reported that the structural welding wire has high yield strength, but the elongation compared to the release reinforcement is lowered,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 elongation of the member. In addition, while the yield section is not cle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ron wire itself and the adhesion stress is lowered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strain localization may occur due to high acupressure characteristics due to the iron wire weld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Research cases have also been confirmed that this characteristic leads to brittle destruction mode of the member due to fracture of the tensile steel wire.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the adhesion performance between release steel wire and concrete using a welding wire to verify the problem and solve the problem,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performance when applied to structural members.

      • 광고에 대한 비판연구 : 특히 제도 및 규제를 중심으로

        정승원 숙명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광고의 사회경제적 발전과 관련해서 볼 때 광고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집중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광고에 대한 비평은 항상 환영되어야 하며 광고에 아무것도 개의치 않는 대중이란 바람직하지 않다. 즉 비평은 광고의 사회, 경제기여에 대해 부단히 재평가하면서 광고를 자극시킬 뿐만 아니라 광고의 온갖 부정행위 내지 비리를 감소시키면서 끊임없이 그것을 경계하게 한다. 광고의 추상적인 관념은 현대예술과 발명을 위해 국내 상품의 광고에는 필수적이지만, 이것은 현실 내지, 허구로 가득찬 세계를 구축하는 것만도 아니다. 이것을 소위 자본주의적 Realism이라 부르는데, 이것은 선전을 통해 판매를 촉진하는 정치, 경제적인 가치를 의미한다. 자유시장 시스템 안의 사회 및 경제 활동을 위한 광고의 관계는 광고의 법칙이 시장구조 성격에 의존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사회는 사회 그 자체를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가를 결정할 때, 이들의 결정 수단으로 제도를 만들기 때문에 이 제도는 공간과 시간을 통해 존재하는 사회적 창조물인 것이다. 따라서 제도는 개념의 구체화이므로 광고 역시 특별한 현대적 제도인 것이다. 제도로서 광고의 성장은 서구 산업 세계의 성장의 일부분이 되어왔다. 지난 200년은 광고에 대한 관념과 제도의 성장을 보여왔는데 이것은 경제시스템의 발전을 적극적으로 도왔다. 여기서 광고는 통상무역이 발전됨에 따라 보다 많은 통상논리의 주요 부분이 된다. 광고는 무엇보다도 소비자를 광고인의 의도대로 조작한다는 이유에서 비평받고 있지만, 성공적인 광고는 소비자의 요구를 미리 예견해서 유용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일조가 되는 것으로서 이것은 조작과는 반대되는 긍정적인 개념이다. 소비자는 그들 자신의 만족을 최대화시키는 구매의사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교육수준을 높이는 것이 광고의 기능과 기회이다. 즉 광고는 소비교육과 자유선택에 있어서 소비자에게 가능한 대용품에 대해서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기업광고는 그 분야에서 활용하는 전문가들을 많이 보유해야 한다. 광고가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광고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잘 훈련된 예술가를 확보해야 한다. 중세사상은 매우 흥미롭게도 새로운 경제 질서를 잘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자기의 이익(이기주의), 합리성(지적주의), 무감각(정적주의), 그리고 부분의 합이 전체보다 더 우월함(원자주의)등의 새로운 사상이 고전적인 자유주의에서 발견된다. 여기에 고전적인 자유주의에 기본을 두고 '마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한 것처럼' 개인의 자기중심적인 행위에 따른 이익추구가 자기영속적이고 자기수정적인 것으로 가정된다. 19세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은 서구 세계의 빠른 산업화였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은 상품을 집중화시키고 대중 마켓을 분산시켰다. 그러나 대량생산에 수반되는 필수조건은 대중 커뮤니케이션이므로 여기서 우리는 광고의 현대적 형태로서의 광고 발달을 본다. 현대의 백화점은 고가의 상품들을 진열함으로써 그러한 상품들을 숙고하는 소비자 앞에 사치를 민주화한다고 주장하면서, 가장 사치스럽고 아름다운 백화점이 도시의 상품설비에서 손쉽게 발견되므로서 여성들의 편안함에 헌신했다고 비판하는 이가 있다. 상품자체는 문의 적이 아니며 문화의 타락도 아니고 방어력없는 소비자들을 속이는 그 무엇도 아니다. 상품은 문화의 구성요소이고 그들의 이름을 나눈다함은 문화를 함께 공유하는 수단의 일부이다. 의약품 광고는 그들이 목표로하는 상품에 대한 명백하고 기억이 쉬운 확실성을 추구해야만 한다. 이것은 의약품이 갖는 효능에 대한 특별한 “약속”이상으로 중요하다. 시장몰기(market-driven) 및 상품몰기(Product-driven)광고 간의 차이는 광고가 단순히 욕구에 반응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것을 창조하는 것인지에 대한 논쟁에 영향을 미친다. 광고는 유동성 있는 시장사회에서의 사회적 그리고 경제적 변화에 대한 부응으로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고는 상품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정보와 기교를 창출하는 것으로서 새로운 형태의 사용가치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현대 소비사회에서 포스트모더니즘 광고는 보다 독창적이고 차별적인 외양화된 사용가치를 만들어내는 새로운 형태라 할 수 있다. 상업광고 외에도 정치광고 (political advertising)는 마케팅개념이 확대되어 상품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와 이슈 그리고 선거후보자까지도 마케팅의 대상으로 간주함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다. 실제에 있어 정치 광고나 선전은 원래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처럼 그 역사가 길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광고에서의 기만은 경쟁자의 소송과 자율규제에 의해서도 통제될 수 있다. 광고산업은 자율규제라는 야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광고산업자체의 지원에 주로 의존하면서 상대적으로 FTC나 법원이 취한 조치와 비교해서 빠르고 효과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있다. 광고와 사회에 관한 주요 이슈들중 두가지 범주는 광고가 사회적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의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총체적 영향력을 말한다. FTC 등 광고관련단체들은 대개 비윤리적인 경쟁업자의 불공정한 관행을 배제하려고 노력한다. 여기서의 비윤리적 대상이 되는 관행으로는 허위의 주장, 미끼 광고 및 오도적 표현 등이 있다. FTC는 환경광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사업자로 하여금 환경상품의 생산능력 촉진을 장려하기 위해 1992년 7월 환경주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 기업은 동업조합이나 업계단체와 공동으로 광고 및 촉진활동과 관련된 어떤 기준을 준수하기로 합의하고 동업자에 대하여 자주규제를 강화한다. 지난 날의 광고를 회고해 볼 때 거기에 타율적 규제의 근원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자율규제의 강화가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다. 충격적 표현에 대한 광고는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보다 크리에이티브한 광고를 만들 수 있는가 생각하고 노력해야 하며, 책임지고 자율규제를 실행하고, 강령을 준수해야한다. 광고업계는 자율이든 타율이든 심의단계까지 기다려서는 안될 것이다. 즉 어떻게 심의할 것이냐보다 심의할 필요가 없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앞으로의 중요 과제는 광고에 대한 자율규제의 실행과 그 수용을 확대하는 것이다. 그것은 광고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하는 것과 병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미디어를 통한 것이든 인터넷등 전자시대에 맞는 뉴미디어에 의한 것이든 모든 광고는 적법하고, 예의바르고, 정직하고, 진실해야 한다. 그리고 여기에 인간의 존엄성 확보야 말로 광고에서 가장 중요 요소이며, 이것이 바로 책임있는 광고의 핵심이다. 따라서 규제는 합법적이고 건전하고 솔직하며 진실해야 하지만, 이와같은 것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끝으로 오늘날 인터넷광고와 같이 광고가 소비자를 찾는 것이아니라 소비자가 광고를 찾는 것이라고 해서 결코 덜 정중하게 소비자를 대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더욱 정중하게 소비자를 맞이하여야 한다. 즉 한번 찾는 손님(소비자)을 확고한 단골로 영접할 때 현재의 광고계는 물론 밝은 미래사회 발전을 약속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광고의 제도적 발전과 더불어 그 비판을 광범위하게 다루었지만 여기에 인용된 문헌은 주로 Aaker, Rotzall, Carey, Schudson, Sandage, Bolen등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일반적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매우 불충분한 점이 있다. 또한 주로 미국의 광고규제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서, 이 연구의 한계가 있지만 현시점에서의 제한된 여건에서나마 연구를 시도하여 어느 정도의 윤곽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계속적인 연구로서 보완될 것을 기대한다. When advertisement is viewed by is socio-economic development, concentrated education program is needed more than anything else to heighten the level of corporate advertisement. Criticisms on advertisement should always be encouraged since they not only stimulate adversement by reevaluate its social and economic contributions but keep watch over it by diminishing its unfairness and absurdities. Although advertisement is criticized in that advertisement agents manipulate consumers on their intention, it helps to provide product and service to the consumer's needs, which is a positive effect of advertisement. As consumers can not make purchase decison-making in the way to maximize their satisfaction, it is the very function of advertisement to heighten the level of education as to consumption. Advertisement should provide consumers with as proper and accurate information about goods as possible for their education and correct selection. In 19th century, the most notable event was rapid industrialization of the Western World. Mass production has standardized goods and expanded the boundary of market. During the process, public communication has been important means for reaching consumers, which has made advertisement a contemporary form of public communication. Market-driven advertisement and product-driven advertisement raise the argument on whether advertisement simply reacts to the consumer's needs or creats the needs. However, it is no doubt that the need for advertisement has been increased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flexible market society. Advertisement creats a new form of use value by providing information and technical skill that can satisfy consumer's needs. Therefore, post modernism advertisement takes a new form that creats more unique and distinctive use value than before. In addition, the marketing concept has been expanded to the areas other than commerce such as politics. In fact, political advertising and publicity have, as long history as human communication has. The two main issues on advertisement and society are the impact that advertisement has on social value and lifestyle and the effect that advertisement exerts upon economic welfare of society. Institutions like FTC try to prevent the unfair unethical practice of firms such as false assertion, lure advertisement, and misleading expressions. FTC announced assertive guidelines regarding environment in July of 1992 to elevate faithful environmental advertisement and to encourage produ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merchandises. The advertisement by shock is not desirable. We must try to make creative advertisements, fulfill our responsibility, execute self-regulation, and follow genral principles. Advertisement industry should not wait until the stage of scrutiny by self-regulation or legal regulations. The important thing is not how to scrutinize but to make scrutiny unnecessary. We have to establish the environment in which self-regulation alone works effectively, which also fits to the current trend that the importance of advertisement increases day after day. All advertisement should be legal, polite and honest whether it is through traditional media or new media like Internet. Respect for human digni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advertisement, which consists of the core of responsibilit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keeping the responsibility is not difficult thing to do. Finally, the fact that consumers seek advertisement, not the advertisement seek consumers should not lessen the importance of the respect for consumers. In other words, advertisement industry can make contibutions to future society development only when it treats consumers with honest and respect.

      • 트로코이드 펌프의 설계방법과 효율의 최적화 시뮬레이션을 통한 해석 신뢰성 평가

        정승원 창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vides a methodology for extracting the design data throughout the 3-dimensional design software SolidWorks?, based on the existing trochoid pump design equations which are used by hydraulic field engineers. The extracted data from the SolidWorks? model are input to a hydraulic analysis software AMESim? model for determining the design factors that can have influence on the properties of trochoid pump. Through simulation results, this paper propose how to reduce the flow loss based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outlet of the trochoid pump. This proposal has been verified by using actual experimental results, which confirms that the design through the adjustment of outlet angle can increase flow rate. Hence this paper can be contributed to the prototyping of a trochoid pump by reducing the cost that can result from a trial-and-error design.

      • LCD 패널 구동칩의 COG 접합공정 최적화

        정승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one of the hottest industrial products is LCD display panel. Moreover, LCD product is under the pressure of the development of higher quality with shorter time. Alignment and parallelism of Driver IC to LCD panel is an emerging problem which influences the ability to reduce the pitch size. In addition, the performance and quality of COG bonding process depends on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Which are affected by characteristics both bonding equipment and ACF. Especially, fine pitch in packaging give a difficulty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because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CF of bump change. In this research, a parallelism sensor has been developed to measure parallelism between COG bonding tool head and backup. Factors influencing thermal behavior in COG bonding process were identified, and then heating tool for COG bonding process was designed with considering thermal behavior. Consequently, optimal condition, that result in high shear strength and low contact resistance, is extracted. A parallelism sensor which is based on flexure mechanism is developed. As a result, parallelism of COG bonding equipment could be improved 2.5 times of the case using conventional prescale film. Subsequently, parallelism of COG bonding equipment can be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the developed sensor. From a transient heat transfer simulation, it could be seen that temperature deviation of tooltip of COG bonding decreases gradually as time went 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by experiments and simulations that quartz backup of normal temperature has better characteristic of temperature than SUS440C backup of 100 ℃. As a result, it was seen that a shorter and narrower tooltip could give better temperature distribution on bonding area. In this study, response surface analysis is employed to analysis effects of process factors such as temperature, pressure and time. Results of a response surface analysis is as follows.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if the supplied heat is less or larger the recommended heat quantity, and shear strength becomes highest at the condition recommended by ACF manufacturer. 85 ℃ and 85% RH reliability test can conclude as follows. As test duration increases, contact resistance increases. However shear strength does not change. Optimal condition for COG bonding system used in this study has temperature of 164.8 ℃, pressure of 131.5 MPa, bonding time of 7.1 sec. The contact resistance and shear strength of the sample bonded at the optimal condition are 4.32 Ω, 26.8 kgf, respectively. COG 접합 공정의 경우 LCD 패널과 구동칩의 정렬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미세한 피치에 대응한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COG 접합공정은 온도, 압력, 시간, 평행도 등에 따라 접합 성능이 달라지며, 시스템의 특성 및 재료(ACF)의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미세-피치화 할 경우에는 범프(bump) 간격에 따른 ACF의 압력 및 온도전달 분포가 달라져 최적 조건을 찾기가 곤란한 실정이며, 접합툴의 형상이나 운동 특성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LCD 패널 구동칩의 COG 접합공정 최적화를 위해 COG 접합툴의 상단부와 백업 사이의 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행도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COG 접합공정시 열 거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 및 최적 형상을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온도, 압력, 시간을 변화시켜 높은 접합 강도 및 낮은 접촉 저항이 될 수 있는 최적 조건 확인 및 85℃ 및 85%RH의 신뢰성 테스트 실험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릴 수 있다. 첫 번째로, 정량적으로 평행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행도 센서 개발을 하였다. 평행도 센서는 최대 250 N의 압력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 RMS 오차값은 0.588 N 이다. 평행도 측정 결과 수평 방향 각도는 RMS 오차값이 0.002021 °, 수직 방향 각도는 RMS 오차값이 0.004373 °를 나타냈다. 기존측정 방식인 감압지에 의한 평행도 측정은 기울어진 각도가 0.01 °보다 작을 경우 측정이 불가하였다. 개발된 평행도 센서를 통해 COG 접합공정 장치의 정밀도를 2.5배 이상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정량적 측정이 가능하다. 두 번째로, COG 접합시 열 거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도 열전달 해석을 통해 본 압착 후 급격히 떨어진 툴팁의 온도는 1 초 후부터 온도가 오르면서 편차도 점점 줄어든다. 상온과 100 ℃에서의 백업 온도가 COG 접합시 ACF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결과 석영은 백업온도의 영향이 6 ℃차 이하로 적었지만 스테인레스는 20 ℃차 이상의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상온의 석영 백업이 100 ℃의 스테인레스 백업 보다 접합 온도 성능이 좋음을 확인하였다. 본 압착 툴의 최적 툴팁 크기를 찾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한 결과 칩 길이가 같을 때 툴팁에 대한 비율이 높을수록 온도의 편차가 줄어들며 같은 비율에서는 길이가 짧아질수록 온도편차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 COG 접합 장치의 백업은 석영이 스테인레스 보다 접합온도를 유지하는 특성이 더 우수하며, 툴팁 사이즈를 칩에 대해 높은 비율로 설계하는 것이 온도분포의 특성에 좋다. 세 번째로 실제 양산되는 LCD 패널에 대해 온도, 압력, 시간을 변화 시켜 반응표면분석실험을 통하여 접합 강도 및 접촉 저항의 거동 특성을 확인과 최적조건을 결정하고 반응 예측값에 대한 재연성을 확인하였다. 접촉저항과 접합강도에 잔차분석과 ANOVA 분석을 통하여 실험의 유의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등고선 플롯을 통한 분석 결과 접촉저항은 COG 접합시 적절한 열량보다 작거나 크면 접촉저항에 높아지며, 접합강도는 전체적으로 압력에 대한 영향이 크며 ACF의 본 압착 스펙 온도와 시간에서 접합강도가 높았다. 접촉저항과 접합강도를 위한 COG 접합의 최적 조건은 온도가 164.8 ℃, 압력이 131.5 MPa, 시간이 7.1 초로 접촉저항 4.24 Ω과 접합강도 27.9 kgf이 예측되었다. 재연성 확인 결과 접촉저항 4.32 Ω과 접합강도 26.8kgf이 측정되었며, 반응식의 예측값과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85 ℃ 및 85 %RH의 신뢰성 시험에 대한 접촉저항을 측정한 결과 신뢰성 시험 시간이 증가할수록 저항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신뢰성 시험 후에 일부 영역에서 초기 양품의 접촉저항 값이 계속 증가하여 불량품이 발생 되었다. 전체적으로 신뢰성 시험 전 낮은 접촉저항을 유지했던 접합 조건들이 신뢰성 시험 테스트 후에도 우수한 영역으로 확인 되었다.

      • 합창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정승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through choral music education, since the number of students who are emotionally and mentally unstable have increased due to the social and cultural climate of knowledge-based educ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 on program development for choral music education by offering detailed and individualized information along with the support on policy level. This can be done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through choral music education when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induces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to experience emotional, psychological instability. We first observed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their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depending on whether the students were participating in choral music education or not. Afterwards, we examined the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depending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Moreover, we aim to uncover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along with revealing the cor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among the subjec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5th and 6th grade students who atten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gi area. Of 30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160 students received choral music education, and 148 students didn't receive choral music education. The preliminary inspection was executed on 20 students who were not selected as subjects prior to the actual inspection.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largely consisted into three parts which are general survey that asks common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used as research tool was originally adopted from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made my Schlein, Guerney and Stover(1971). This was later adapted by Seon-Mo Mun(1989) to fit Korean situation, which includes satisfaction level, communication, credibility, closeness, sensibility, openness and understandability as sub factors. I reconstructed interpersonal relations scale by Gyeong-ok Shim(2006) so that it would sui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produced modified version of with supplementary data. I reconstructed this relationship scale to best serv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Moreover, school life satisfaction scale used by Sun-ja son(1993) and Jeong-hee Jeong(2008) with the sub factors of satisfaction level on general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on subject lessons, satisfaction level on the teachers, satisfaction level on physical environment of the school, and satisfaction level on school event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us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ing to tailo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dditionally, basic data inspection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whether the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choral music education or not, and how long if the students have participated, and preferred subjects of participants. For the processing of inspection tool and collected dat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 statistics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echnological statistics, credi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epending on research objectives. The conclusion of the research drawn from aforementioned procedure and method are as follows. Firstly, inspection on the effects of choral music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choral music education possess higher level of interpersonal skills than those who didn't participate. Secondly, inspection on the effects of choral music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choral music education possess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an those who didn't participate. Thirdly, the comparison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horal music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picted for the sub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 depending on the preference for music subject and the act of singing, and the length of choral music education. Fourth, the comparison o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horal music educa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while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picted for the sub 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depending on the preference for music subject and the act of singing, and the length of choral music education. Fifth, the direct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choral music education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revealed that the higher interpersonal skill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is. Based on this result, we can prove that choral music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s o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atisfaction level with school life for 5th and 6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his will further demonstrate more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 if we concentrate on the new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choral music. Moreover, escaping from educational system which has its priority on college entrance, more students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horal activity with the acknowledgement of it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value that affects vit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students. The choral music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for the students who are going through physical and psychological confusion as a means to effectively control stressful situations and increase interpersonal capacity to better adapt to school life. Furthermore, I hope this research not only promote the activation of choral music education, but also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that can allow development of professional program and teaching metho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horal music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는 지식중심교육의 사회·문화 풍토에서 합창음악교육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대인관계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두 요인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고, 구체적이고 개별화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여 합창음악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지원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합창활동 참여 여부에 따른 대인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합창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각 요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이들의 대인관계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총 308명이며, 이 중에서 합창음악교육을 받은 학생은 160명, 합창음악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은 148명이었다. 본 검사를 실시하기에 앞서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지 않은 초등학교의 5, 6학년 20명의 학생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내용은 크게 일반적 특성을 묻는 기초설문조사, 대인관계,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도구로 사용된 대인관계 척도는 Schlein, Guerney와 Stover(1971)에 의해 제작된 대인관계 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 RCS)를 문선모(1980)가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으로, 하위요인으로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개방성, 이해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심경옥(2006)의 대인관계 척도를 본 연구의 대상자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만족, 교과 수업에 대한 만족, 교사에 대한 만족,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 학교 행사 및 동아리 활동에 대한 만족의 하위요인을 포함한 학교생활만족도 척도는 손순자(1993), 정정희(2008)가 사용한 척도를 이 연구의 대상자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성별, 학년, 합창활동 참여 유무, 합창음악교육의 참여 기간, 음악과목 선호도 등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작성한 기초조사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 및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이 실시되었다. 이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창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합창음악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대인관계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창음악교육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합창음악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만족도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창음악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악과목 선호도, 노래 부르기에 대한 호감도, 합창음악 교육기간에 따라서 대인관계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인관계 전체적으로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합창음악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음악과목 선호도, 노래 부르기에 대한 호감도, 합창음악 교육기간에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교생활만족도 전체적으로는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합창음악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대인관계는 학교생활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 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합창음악교육이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에게 대인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으며, 합창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효과에 집중한다면 보다 의미 있는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시위주의 교육제도 방식을 벗어나 합창활동의 교육적인 가치와 활력 및 정서적 안정의 효과를 제공하는 심리적인 가치를 인식하여 신체적·심리적으로 혼란을 겪는 학생들이 합창음악 교육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대인관계 능력을 신장하여 보다 원활하게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 결과가 합창음악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합창지도 운영을 위한 전문적인 프로그램 및 교수법 개발과 모색이 함께 이루어 질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