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의 내·외향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정선용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Effects of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on the Ego-resilience Seon-yong, Jung Advisor Jin-ah, Choi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Dongsin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prevent child's maladjustment and enhance child's adjustment based on a positive asp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hild's gender,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on the ego-resilience, and further providing a basic data for the alternative to improve the ego-resilience by identifying each influence affecting child's ego-resilience. This study targeted 729 male and female children in the 5th, 6th grade of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wangyang, Jeollanamdo. As the study instrument, it used the ego-resilience scale by Park Eun-hee(1996), social support scale adapted by Kim Seung-mi(1998), and extro/introvert character items out of the personality scale for minors that Lee Hyun-soo(1985) transformed into a Korean version with Eysenk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by the general background of subject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then, Cronbach'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test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ego-resilence by child's gender and extro/introvert character.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on the ego-resilienc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had a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ego-resilience by the child's gender. However, it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subfactors. The female child had a signifiant difference only in the personal relationship, that is, subfactor of ego-resilience and perceived it higher than the male child. Second, it had a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y the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The extrovert character was perceived higher than the introvert character in the whol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that is, personal relationship, vitality,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ild's gender,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on the ego-resilience, it had a signifiant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y the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That is, the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go-resilience. It turned ort that the child's higher extrovert character made the higher perception of ego-resilience. Also, 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ego-resilience by the emo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out of the social support factors. It implies that the higher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made the higher perception of ego-resilience. This result shows that the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affect the increase of ego-resilience.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ince it turned out that the child's extro/introvert character and social support affected the ego-resilience, it needs an encouragement for the child's extrovert character. The ego-resilience is a positive element having very important effect on child's development, and the recognition is developed in that the parent's social support is essential for promoting the ego-resilience. 본 연구는 아동의 내·외향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부적응 문제를 예방하고, 아동의 긍정심리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아동의 적응력의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자아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남도 광양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5, 6학년 남, 녀 아동 72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박은희(1996)의 자아탄력성 척도, 김승미(1998)가 수정·보완한 사회적 지지 척도, Eysenk의 성격차원검사(Eysenk Personality Questionnaire : EPQ)를 이현수(1985)가 국내판으로 제작한 연소자용 성격특성 척도 중 내·외향성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아동의 성, 내·외향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내·외향성, 사회적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에 따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탄력성 하위 요인인 대인관계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하위 요인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내·외향성에 따라 자아탄력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 모두에서 외향성이 내향성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성, 내·외향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외향성은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향성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 요인 중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만 자아탄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 요인 중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정보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의 증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아동의 내·외향성,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아동의 외향성에 대한 격려가 요구된다. 자아탄력성은 긍정적인 요소로 아동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앞으로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하여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시키고 계발해야 할 것이다.

      • 다수의 유도 전동기 동기 제어의 성능 개선을 위한 회로 소자의 지연 분석과 신호 듀티 제어에 관한 연구

        정선용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induction motor with synchronization control based on vector control using pulse controller which can make the motor control to be more stable and precise, added circuit of pulse controller that matches duty ratio of return pulse from encoder was proposed. To the precise system such as the induction motor based on vector control with synchronization, communication system can be us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response and precision with synchronization by using communication system. Therefore, pulse controller needs to be used for considered the response time and precision. It receives a signal from the encoder of motor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synchronization and prevents distortion of signal from Circuit impedance. In this research, I propose two ways. The first proposed method is the circuit eliminating dispensable circuit such as inverting circuit and Level Shift circuit may cause a delay of system with assumption that there is a delay because of a filter circuit between pulse controller and the master and return output. So, the circuit received signals through the photo-coupler directly is designed. The second proposed method is the added circuit of pulse controller that matches duty ratio of return pulse from encoder. Because the advent of the distortion appears when the rising and falling time are different. In the second method, although it is not easy to prevent delay from parts of circuit impedance, highly accurate synchronous control could be possible. It is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tests of the proposed circuit.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유도전동기를 동기 및 위치 제어하기 위해서 다수의 인버터를 사용하여 정밀한 벡터제어 기반의 펄스제어기를 활용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제어를 위해 펄스제어기의 Duty Ratio를 Matching 시켜주는 회로를 제안하였다. 정밀한 시스템 구축할 목표로 이러한 유도전동기 벡터제어 기반의 동기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통신을 사용하여 구현하기도 하지만 통신으로 동기제어를 구현하는 데에는 응답성 면과 정밀성 면에서 한계에 부딪힌다. 따라서 응답성과 동기제어 및 정밀도를 고려한 펄스제어기를 활용한 위치 동기 제어 시스템을 다루며 부하측 Encoder부터의 신호를 받아 정밀 제어를 할 수 있는 펄스제어기를 활용하였으며 회로의 소자에 따른 Impedance 지연으로 인한 부정확한 제어의 방지를 위해 회로를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가지의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제안 방법은 펄스제어기의 Master 입력과 Return 출력간의 필터가 포함되어 있고, 반전회로 및 Level Shift 회로도 포함되어 있어 신호 전달의 지연이 발생한다는 가정으로 반전회로와 Level Shift 회로를 제거하고 Photocoupler를 통해 바로 신호 받을 수 있도록 회로 단축 설계하였다. 두 번째 제안 방법은 첫 번째 제안 방법에서 H/W적인 부분의 지연을 제거한 상황에서도 왜곡된 신호를 확인하였으며 펄스 상승 시 나타나는 Delay와 하강 시 나타나는 Delay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Duty Ratio에 왜곡이 생기므로 추가적으로 회로를 추가하여 상승 시 나타나는 Delay 시간을 증가시켜 Duty Ratio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방법의 경우 비록 회로 Impedance에 따른 지연을 막을 수 없지만 정밀한 동기제어가 가능 하게 된다. 제안된 회로는 실험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다.

      • Poly-vinyl alcohol과 pelleted bio activated carbon 擔體를 利用한 下水 高度處理 效率에 關한 硏究

        정선용 湖西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Although demand of water has been constantly increased due to rapid urbanization, improvement on a living standard, and industry development in Korea, it already reached at critical point to built new large scale dams becase of lack of suitable land and environment problem. Therefor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water recycling system to Law Water Management Law on December,1991, and impose duty to built Wastewater Reclamation and Reusing System to the building which are using water up to some quantity from March, 2001 for expected future lack of water. Among new developed processes to substitute activated sludge process, biofilm process treat wastewater with high concentrated microbe stuck to media so that they could reduce size of reactor with high efficiency and prevent sludge bulking phenomenon. This study show definition and types of media, process by using media, and efficiency of advanced sewage treatment by using PVA and PBAC media. This study focused on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PVA (Poly Vinyl Alcohol) and PBAC (Pelleted Bio Activated Carbon)media, and media performance for nitrification treatment. Also the efficiency of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by using media which made in order to verify them, and the conclusion through an examination to check a characteristic of media made around a production of PVA media came out as follow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VA media, the freeze drying method for immobilization had been reduced solubility of PVA more on -50°C than -5°C. Also, the TOC density decreased inorder of thawing > normal temperature dry > vacuum dry. Instead of existing adhesion formula media, PVA media which been coated on the surface of media showed low nitrification efficiency. In case of poly urethane media showed us over 95% of nitrification efficiency, but the coated media showed us less than 50% of nitrification efficiency. This showed that logical air injection for ensuring enough inside space of media could help to reduce solubility, if you compare media without air injection. But the solubility will increase instead with excessive air injection to media. This experiment get the following conclusion in the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examination that used PVA (Poly Vinyl Alcohol) media. The average of BOD elimination efficiency is 44.1%, SS elimination efficiency is 50%, T-N elimination efficiency is 32.1%, and T-P elimination efficiency is 16.7%. This experiment used biologically treated water as wastewater. So, if we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residual substance of recalcitrant toxic chemical, the results was significant. By testing with different LV, this study checked the correlation between liquid velocity (LV) and treatment efficiency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biological reactor, and found that there were rapid decrease of treatment efficiency above 7 liquid velocity (LV). In the experiment with different DO density to check correlation between DO density and BOD treatment efficiency which are also main factors of biological reactor, BOD treatment efficiency rapidly increase from 2 to 3 DO density, slowly increase up to 6, and no change over 7. The result in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examination with PBAC media came out as follows.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BOD showed 88.7%, SS showed 92.4%, T-N showed 75.6%, and T-P showed 74.3%. By running DO density from2 to 3 to check correlation between DO density and BOD treatment efficiency which are main factor of the process, the efficiency had changed according to activity of microbial with same quantity wastewater. The result came out same BOD treatment efficiency. With above examinat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advance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with PVA and PBAC media showed ideal treatment efficiency, although unstable incoming wastewater quantity and rapid changing density due to fixation of media or high-concentrated microbial. 우리나라도 급속한 도시화와 생활수준 향상 및 산업발전으로 물 수요량은 끊임없이 늘어나고 있으나 대규모 댐 개발 등에 의 한 새로운 수자원의 개발은 개발 적지의 부족,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 등으로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장래 예상되는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하여 쓰고 버린 하수를 재처리하 여 이용하는 제도를 1991년 12월 수도법에 도입하여 2001년 3월 부터는 물 사용량이 일정규모 이상인 건물에는 중수도의 시설을 의무화하였다. 기존의 활성슬러지법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새 로운 공정 중에서 생물막 공정은 포기조 내의 부유 미생물만을 이용하여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대신, 담체에 부착된 고농도 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처리효율이 높아 반응기 의 부피를 크게 줄일 뿐만 아니라 슬러지 벌킹 현상을 사전에 방 지할 수 있는 고효율 생물학적 처리공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 체의 정의 및 종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담체를 이용한 공정 별로 살펴보았으며 Poly Vinyl Alcohol(PVA)와 Pelleted Bio Activated Carbon(PBAC) 담체를 이용한 고도처리의 효율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PVA와 PBAC 담체의 물리적 특성과 질산화 처리 를 위한 담체의 성능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 작된 담체를 이용하였을 때의 고도처리 효율에 대하여 연구 하였 고, PVA 담체의 제조와 관련하여 제작된 담체의 특성을 파악하 는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PVA 담체 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정화를 위하여 실시하는 동결건조 방법 은 -5℃에 비하여 -50℃일 때 PVA의 용해도가 감소하였다. 또 한 해동 > 상온건조 > 진공건조 순으로 TOC 농도가 감소하였 다. 기존의 부착식 담체에 비하여 담체의 표면을 코팅한 PVA 담 체들은 질산화효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폴리우레탄 담체의 경 우 95% 이상의 질산화효율을 보인 반면 코팅된 담체들은 50% 미만의 질산화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담체 제조 시 담체의 충분 한 내부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기를 공급한 실험결과 적절한 공기의 주입은 오히려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담체보다 용해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과도한 공기의 공급은 오히려 담체 의 용해도를 상승시켰다. PVA 담체를 이용한 고도처리 공정실험 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BOD 제거효율은 평균 47.8%로 나타났 다. 또한 COD 제거효율은 평균 44.1%, SS 제거효율은 평균 50%, T-N 제거효율은 평균 32.1%로 나타났으며, T-P 제거효율 은 평균 16.7%로 나타났다. 이 실험에서는 생물학적 1차 처리수 를 원수로 사용하였으므로 난분해성물질의 잔류가능성을 감안할 때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생물반응기의 주요 설계인자인 선속도(L.V)와 처리효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선속도를 달리하여 운전한 결과 선속도 7이상에서는 급격히 처리효율이 감 소하였으며 생물반응기의 주요 설계인자인 DO농도와 BOD 처리 효율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생물반응조의 DO 농도를 달리 하여 운전한 결과 DO농도 2에서 3으로 변화시킬 때 급격히 BOD 처리효율이 상승하다 DO농도 6까지 BOD 처리효율이 완만 히 증가하였으나 DO 농도 7이상에서는 BOD 처리효율은 변화가 없었다. PBAC 담체를 이용한 고도처리공정 실험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BOD 제거효율은 평균 88.7%로 나타났 다. SS 제거효율은 평균 92.4%로 높게 나타났으며 T-N 제거효 율은 평균 75.6%, T-P 제거효율은 평균 74.3%로 나타났다. 공정 의 주요 설계인자인 DO 농도와 BOD 처리효율의 상관관계는 DO 농도 2에서 3으로 운전하였으며 같은 양의 공급에도 미생물 의 활성에 따라 효율이 변화하였고 BOD는 원수의 불규칙한 공 급에도 일정한 처리효율을 보였다. SS 농도는 변화가 심하였으며 이는 담체표면에 미생물막이 공기의 공급에 따른 부착과 탈리를 반복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역세척 시기에 특히 불규 칙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VA, PBAC 각 담체에 고정화 또는 부착된 고농도의 미생물로 인하여 유입수량의 변동은 물론 농도 의 급격한 변화에도 매우 안정적인 처리효율을 나타냄으로서 고 도처리 공정으로서의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Silica sol-gel process에 의해 기공크기가 제어된 다공성 Nafion membrane을 이용한 IPMC actuator 개발

        정선용 전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silica sol-gel process와 HF etching을 이용하여 membrane내의 pore size가 각각 다른 porous nafion membrane을 제작하고 이를 이용한 구동성능이 향상된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IPMC)를 개발 하였다. 첫째 Nafion solution과 silica precursor인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solution 을 적정비율로 섞은 뒤 casting 을 통해 silica를 포함하는 nafion membrane을 성형한다. 둘째 제작된 membrane의 HF etching을 통해 silica를 제거하여 silica의 위치가 pore가 생성되는 과정을 거쳐 porous nafion membrane을 제작한다. 마지막으로 Pt electroless Plating과 ion exchange 과정을 거친 IPMC를 제작한다. Non porous 구조의 pure nafion membrane based IPMC와 pore size가 각각 다른 Porous nafion membrane based IPMC의 성능 분석을 하였다. 제안된 Porous nafion membrane 내의 pore size 가 작을수록 porosity, water uptake (WUP) 와 ion exchange capacity (IEC)가 증가하였다. 구동성능 실험에서 porous nafion membrane의 pore size가 작을수록 더 큰 tip displacement 와 blocking force를 나타내었다. 제안된 Porous membrane based IPMC는 Pure nafion membrane based IPMC에 비해 ac input (1V, 0.5Hz) 최대 122%, dc input (1V)에서 최대 128%의 tip displacement 증가를 보였고, 또한 최대 138%의 blocking force 증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silica sol-gel process를 통해 pore size가 controlled 되는 porous nafion membrane based IPMC 을 제작하였고, 성능분석을 통해 membrane 내의 pore size가 작을수록 actuation performance가 향상됨을 보였다.

      • 다상모델을 이용한 유동계통의 전산유체역학 해석

        정선용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industrial field, the fluid flow is composed of two or more phases rather than one phase. This flow is called multiphase flow. The single phase flow and two phase flow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In this paper,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s used to find the solution of two-phase flow. The methods to analyze the two phase flow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re classified into Euler - Euler method and Euler - Lagrangian method. The Euler-Euler approach calculates the first phase and the second phase using the continuum concept. In addition, Euler - Euler approach is classified into three models of VOF model, Mixture Models, Eulerian model. Each model is chosen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VOF model, it is an abbreviation of "Volume Of Fluid", which is used when physically mixing between two fluids is difficult. The mixture model can analysis each phase by solving the momentum, continuity, and energy equations for the mixture and the volume fraction equations for the secondary phases. The Eulerian model is the most complex of the multiphase models. It solves a set of momentum and continuity equations for each phase. In the Euler-Lagrange approach, the fluid phase is treated as a continuum by solving the Navier-Stokes equations, while the dispersed phase is solved by tracking a large number of particles. The dispersed phase can exchange momentum, mass, and energy with the fluid phase. The Euler - Lagrange approach is classified into Discrete Element Method (DEM) and Discrete Phase Model (DPM). In this paper, Pelton wheel (liquid - gas), orifice mixer (liquid - liquid), and semiconductor processing (gas - solid) were studied of numerical analysis. The pelton wheel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Pelton turbine for a pico hydro power using circulating water of cooling tower in the large building. The working fluid is water and air, and the multiphase model used is the VOF model. Also, the average speed of cooling water circulation within the building was 1.3 m/s and the height of the building was 30 m. The shape of the nozzle and the bucket was optimiz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In addition, the test was carried out to validate the design method of Pelton turbine by numerical analysis. The possibility of Pelton turbine development for kW class pico hydro power using surplus water was confirmed. The orifice mixer study deals with an effect on orifice type and number to improve the mixing performance and pressure loss.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mprove the mixing performance and pressure loss of the mixer. In the mixer study, the Mixture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mixing degree of the outlet for water and PAC. The volume fraction and pressure loss according to shape and number of orifices were calculat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e semiconductor processing is an analysis of silica particles in a pipe used in semiconductor processing. In this study, working fluid used is air and silica particles and the path was traced for solid particles and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PM to track the solid particle path and determine the deposition rate at the pipe inner wall. Als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guide vanes in the pipe.

      • 대중교통활성화를 위한 시내버스 중요도-만족도 분석 : 전주시 시내버스를 중심으로

        정선용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중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교통 정체, 환경오염, 에너지 낭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주시를 포함한 대중교통의 전반적인 점유율은 감소하고 있다. 전주시는 1998년 28.12퍼센트에서 2011년에는 17.81퍼센트로 감소했다. 대중교통을 선택하여 대중교통을 선택하고 반영함으로써 대중교통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전주 시내버스 이용자들에게 버스 이용자들의 버스 이용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기 위해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528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실시한 표본 조사는 주요 인구 밀집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며 528개 표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이용자측면의 서비스 만족도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대중교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