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 PCB산업의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정선범 한양대학교 융합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Korea, China, Japan, and Taiwan occupy about 80% of the global PCB production volume of about $ 50 billion, and Korea is the fourth largest PCB manufacturing country in the world. In terms of technology, the four countries are lagging behind Japan. They are similar to Taiwan, but they are a little ahead of China. However, within the next three years, the three countries are expected to have comparable technologies. In terms of unit price competitiveness, it is somewhat ahead of Japan, and Taiwan and China are somewhat higher. So, if we combine the technology and the unit price, the PCB industry in Korea can be in jeopardy.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PCB manufacturing industry, smartphone, foldable Phone, electric field, 5G related PCB. We should keep a close eye on the market dynamics such as sample production with a small volume of production, and we should approach the direction for the long term. If the smartphone led the industry in the 2010s, it is highly predicted that smart cars will lead the 2020s. And, smartphone makers announce new series of models. And 5G service offerings by mobile carriers. High-density PCBs are used, expectations for the launch of folding baffles, factory automation and robot introduction There are many factors that expect the PCB market growth such as speeding up. As the Korean market is small and the price of the equipment is on a steady decline and small-scale orders are large, the difficulties of the substrate manufacturers will continue. As a result, it will be difficult to grow as expected unless exporting oversea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small and medium industry,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enhance competitiveness. First, there is a lack of the main production product line, and there should be different specialized items in the current manufacturing process. Anyone from any other company I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ntinued, the unit price cut pressure, the 52-hour system, and the rising labor costs There is a limit to the growth of a company. Through this study, Analysis, and select their own flagship product. Second, there is a lack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facility investment in existing manufacturing lines. The speed is rapidly approaching, such as thin-walled, ultra-microcircuits, and high-layered. Technology investment should be upgraded by equipment investment and technical personnel relocation. In recent years, industry-academia convergence projects have been active, and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m actively. Third, there is a lack of overseas exports, and it is difficult to grow as expected without exporting overseas. We will focus on overseas business with specialized manufacturing technology. The conclusion is that with the production of specialized PCBs and high-value-added PCBs and the latest facility investment,Market, and overseas market. Small PCB makers' biggest grievance is money. For the production of high value-added PCBs,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projects to upgrade PCBs, the PCB of the Industri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and invest in facility investment at a low rate supported by the Small and Medium Industry Promotion Corporation and cities.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also important in connection with industry, electronics, electronic mini-clusters, and universities. PCB 생산 규모는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이 세계시장에서 약500억불로 약 80% 점유하고 있으며, 한국은 전세계 4위로 PCB 대 제조국 이다. 4개국에 기술력 관련해서는 일본에 뒤쳐져 있고, 대만과는 비슷하나 중국보다는 조금 앞서 있는 상황 이지만, 향후 3년이내에는 일본을 제외하고는 3국이 대등한 기술력이 있다고 예상된다. 단가경쟁력에 있어 일본과 비교시 다소 앞설 뿐 대만,중국에 다소 단가가 높다 하겠다. 그래서, 기술력과 단가를 종합할 경우 한국 PCB업계는 위태롭다 할 수 있겠다. 중소 PCB 제조업 업계에서는 스마트폰, 폴더블폰, 전장, 5G 관련PCB, 다품 종 소량 생산위주의 샘플 등 시장동태를 항상 예의주시하여 나아가야할 방향 을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되겠다. 2010년대 산업계를 스마트폰이 리드 하였다면, 2020년대는 스마트카가 리드 할 것이라는 예측이 높다. 그리고, 스마트폰 메이커들의 잇따른 새 모델 발표 가 업계의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으며, 이동통신사들의 5G 서비스 제공으로 초 고다층 PCB를 채용,폴더블폰 출시에 대한 기대감, 공장자동화와 로봇 도입 가 속화 등 PCB 시장 성장을 기대하게 하는 요소들이 많이 있다. 국내 시장은 규모가 작고 지속적인 단가 하락과 소규모 오더가 많은 관계로 기판 제조사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므로, 결론은 해외 수출을 하지 않는 이상 기대만큼 성장을 하기가 힘들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중소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주력 생산 제품군의 미흡으로 들수 있는데, 현재의 제조공정에서의 차별화된 전문 Item 이 있어야 될 것이다. 일반 타 업체에서 누구나 할수 있 는 제조라면 지속적인 단가인하 압력과 주52시간 제도와 함께 인건비 상승등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독자적인 주력 생산제품을 선정해야 될 것이다. 둘째, 기술 경쟁력 미흡을 들수 있는데,기존 제조라인에 설비투자 확충이 있어야 될 것이다. 경박단소, 초미세 회로,고다층화 등 속도가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생산라인의 설비투자와 기술인원 재배치하여, 기술력을 고도화하여야 한다. 근래에는 산학연 융합사업이 활성화 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외 수출미흡이 있는데, 해외 수출을 하지 않고서는 기대만큼 성장하기 힘들다. 특화된 제조기술로 해외영업에 치중해야 될 것이다. 결론은 특성화된 PCB 및 고부가가치 PCB 생산과 최신설비투자로 하여, 국내 시장, 해외시장 매출확대에 있다. 중소 PCB 업체의 가장 큰 고충은 자금일 것이다. 고부가가치 PCB 생산에는 경기TP,산업인력공단 PCB 고도화 과제들을 활용하고, 설비투자 등은 중소기업진흥공단,각 시에서 지원하는 저이율로 투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산단공 전기전자 미니클러스트 및 대학과도 연계하여 기술 개발 또한 중요하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