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상 HPLC-자외선-형광 이중검출을 이용한 수용성 비타민 이성체 동시분석법 개발 및 검증

        정보미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Water-soluble vitamin presents in foods at a very low concentration and they could be easily destroyed by the exposure of light, air, heat, and pH. In this study,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nine water-soluble vitamins (B1 (thiamin, T), B2 (riboflavin, RF; flavin mononucleotide, FMN;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B3 (nicotinic acid, NA, nicotinamide, N), B6 (pyridoxine, PN; pyridoxal, PL,; pyridoxamine, PM)) was developed by using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upled with ultraviolet (photodiodearray, PDA) and fluorescence detector (FLD). Retention time, peak resolution (Rs) and capacity factor (k) for nine water-soluble vitamins on HPLC were investigated by using different column particle size (3 µm, 5 µm) and pore size (8 nm, 12 nm), column temperature (30, 40 and 50℃), and mobile phase concentration (5, 10 and 15 mM ammonium formate-0.1% formic acid).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nine water-soluble vitamins were compared by applying two extraction solvent pH (acidic, A; natural, N) and three extraction conditions (heating, H; sonication, S; heating-sonication, HS). The HPLC separation on a YMC-PAK ODS AM (4.6×250 mm, 5 µm, 8 nm) column at 30℃ with 15 mM ammonium formate-0.1% formic acid mobile phase showed the highest Rs (4.050-4.931) and k (0.460-11.937) values. Percent recovery of water-soluble vitamins was highest for N-H (91.4-101.3%) extraction condition. The developed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was validated by using performance parameters: LOD (0.0000-0.0068 mg/100 g), LOQ (0.0001-0.0070 mg/100 g), linearity (R2<0.9998), accuracy (recovery 91.4-101.3%) and precision (repeatability 0.5-5.5% RSD, reproducibility 3.0-7.1% RSD). Vitamins B1 (T), B2 (RF, FMN, FAD), and B6 (PN, PM) contents of Japanese spanish mackerel was about 1.2-8.5 times higher by simultaneous analysis than individual analysis while all vitamin contents of squid was about 1.2-6.0 times higher by simultaneous analysis than individual analysis.

      • 난대수종 방향성 물질의 효과에 관한 연구

        정보미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난대수종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지닌 녹나무과 녹나무속의 녹나무와 생달나무를 대상으로 주요 향기 성분을 검토하고, 그 방향성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ㆍ심리적 영향에 대해 검토하여 난대자원의 객관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수종별 주요성분 검토 및 향 추출방법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각 수종별 향을 피험자에게 제공하면서 뇌파, 맥박, 향 감성평가, POMS 검토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종별 채취부위에 따른 성분을 비교하기 위해 두수종의 잎과 줄기에 대해 SPME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 녹나무의 경우 camphor가 잎에서는 79.75%, 줄기에서는 68.59%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생달나무의 경우 잎에서는 eucalyptol이 26.88%, 줄기에서는 ρ-cymene이 56.12%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2. 추출방법에 따른 성분비교를 위해 두 수종의 잎을 이용하여 용매추출과 SPME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녹나무의 경우 용매추출에서는 vitamin E(α-tocopherol)가 32.48%, SPME에서는 camphor가 79.75%로 가장 많은 검출량을 보였으며, 생달나무의 경우 용매추출에서는 vitamin E(α-tocopherol)가 17.57%, SPME에서는 eucalyptol이 26.88%로 가장 많은 검출량을 보였다. 3. 난대수종의 방향성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측면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두 수종의 잎에서 채취한 향을 제공한 후 뇌파와 맥박을 측정한 결과, 녹나무의 camphor는 α파를 증가시키고 맥박을 감소시켜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달나무의 eucalyptol은 α파를 미비하게 감소시키나 맥박을 감소시켜 녹나무보다 기여도는 조금 떨어지기는 하지만 역시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나무는 개인별 편차가 커서 선호정도가 다양한데 비해 생달나무는 편차가 적어 피험자들의 선호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수종별 향기가 인체에 미치는 심리적 측면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향 감성평가와 POMS를 검토한 결과, 두 수종의 향은 쾌적성, 자연성, 자극성 차원으로 해석되었으며, 녹나무는 강한 향으로 인하여 자극적으로 느껴져 만족도가 떨어지는 반면, 생달나무는 부드럽고 향기로운 향으로 인하여 녹나무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기를 제공 후 피험자들의 일시적인 감정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POMS를 검토한 결과, 녹나무가 생달나무에 비해 모든 항목에 있어서 그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수종 모두 [긴장-불안], [억울-침울]의 항목에 비해 [활기], [화-적의]항목이 더 높게 나타나 두 수종의 향이 불안감이나 침울한 감정을 억제시키면서 좀더 활기 있는 기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녹나무 camphor와 생달나무 eucalyptol의 쾌적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의 향이 생리ㆍ심리적 측면에 진정작용을 하고, 기분을 상승시켜 주는 등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토되어 앞으로 두 방향성 난대수종의 활용이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data for objective use of warm-temperate resources by examining major fragrance ingredients among Cinnamomum camphora and Cinnamomum japonicumof Cinnamomum, Lauracese which are warm-temperate tree species with volatile fragrance components and explor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volatile chemicals on human bodies. For this purpose, major components and their extraction methods were examined by tree species. The results of examining brain wave, pulse, fragrance sensibility test and POMS after giving the fragrance by tree species to the subjects. 1. The result of analyzing leaves and branches of the two tree species to compare the components from each different sampling parts by tree species shows that Cinnamomum camphora has the most content of camphor with 79.75% in leaves and 68.95% in branches, while Cinnamomum japonicumhas the most content of eucalyptol with 26.88% in leaves and of p-cymene with 56.12% in branches. 2. The result of analyzing volatile fragrance components with solvent extraction and SPME by using the leaves of the two tree species to compare componen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shows that Cinnamomum camphora has the largest detection of 32.48% of vitamin E( -tocopherol) in α solvent extraction and has 79.75% of camphor in SPME, while Cinnamomum japonicum has the largest detection of 17.57% of vitamin E( -tocopherol) in α solvent extraction and has 26.88% of eucalyptol in SPME. 3.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effect of volatile chemicals of warm-temperate tree species, fragrance extracted from the two tree species were distributed, and the subjects' brain wave and impulse were measured.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camphor from Cinnamomum camphor has relaxing effect of increasing -wave and reducing impulses, and that the α eucalyptol from Cinnamomum japonicumalso has relaxing effect, but the effect is less than that of Cinnamomum camphora as it reduces impulses though it slightly reduces -wave. In addition, individual preferences for α Cinnamomum camphora vary as it has big individual deviations vary, but Cinnamomum japonicum has similar level of preference as its variances are small. 4. To examine psychological effect of fragrance of each tree species on human bodies, fragrance sensibility test and POMS were conducted. The result reveals that the fragrances of the two tree specie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comfort, naturalness and stimuli, and that Cinnamomum camphora shows low level of satisfaction due to strong fragrance while Cinnamomum japonicum is more preferred due to its soft and aromatic fragrance. As well, POMS was given to identify subjects' temporary emotional state. The result indicates that Cinnamomum camphora has higher values in every item than Cinnamomum japonicum, and that both tree species repress anxiety and depression and create vivacious feelings with higher values in [vivacity] and [anger-hostility] items than [tense-anxiety] and [distress-depression]. Therefore, the study confirms that agreeable and natural fragrances of Cinnamomum camphora's camphor and Cinnamomum japonicum's eucalyptol have positive effects on human bodies as they have relaxing actions on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improve feelings. It can be said that the use of the two fragrant warm-temperate tree species is expected in the future.

      • 초·중등 음악창작교육 연구동향 분석

        정보미 한국교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18년간 초․중등 음악창작교육 관련 국내 석․박사학위 및 학술지 논문을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관련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초.중등 음악창작교육 연구의 내실화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대상 논문은 총 326편으로 RISS와 국회전자도서관에서 20개의 검색어로 571편을 수집하였다. 그 중 음악요소를 활용한 적극적인 창작지도 논문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차 분석을 통해 분석기준을 보완, 세분화한 후,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표와 그래프로 정리하고 해설을 더하여 연구동향을 제시하였다. 발행연도, 학위수여기관, 연구대상, 연구방법, 창작활동의 종류, 창작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5가지 분석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 및 학위수여기관별 분석 결과, 2000년부터 2007년 이전까지는 초등이, 2007년 이후 2017년까지는 중등에서 활발한 연구를 보였다. 논문 종류별로는 석사학위가 292편, 박사학위가 1편, 학술지 논문이 33편으로 석사학위(90%)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위수여기관별로는 초등은 대구교육대학교가 16편, 중등은 경희대학교가 20편으로 가장 왕성한 연구를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대상별로 초등에서는 5학년(36%)이, 중등에서는 중학교 1학년(34%)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고,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등학교 고학년은 모두 연구가 가장 미진하여 관련 연구가 더욱 요구된다 하겠다. 셋째, 연구방법을 구안, 구안과 적용, 구안과 적용 및 검증으로 나누어 분석 결과, 연구 방법에서는 구안만 진행한 연구(56%)가, 연구의 검증방법으로는 양적 검증(47%)이 가장 많았으나,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안, 적용 및 검증까지의 연구가 증가하고, 검증에서도 통합검증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넷째, 창작활동 유형별 분석 결과, 초등은 통합(51%)이, 중등은 작곡(60%)이 가장 많았으나 초.중등 모두 즉흥연주를 위한 연구가 가장 저조하여 즉흥연주 지도 연구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창작 교수․학습 방법의 하위 분석기준으로 ‘교수․학습방법’, ‘교육학자’, ‘ICT 활용’, ‘창작 교수․학습전략’, ‘창작에 쓰인 제재곡’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학습방법에서 초등은 협동학습이, 중등은 문제중심학습이 가장 많았고, 창작수업에 적용한 교육학자는 초,중등 모두 오르프와 아츠프로펠이 가장 많았다. ICT 활용 종류별 분석 결과, 초.중등 모두 작곡과 기보에의 활용이 가장 많았다. 중등의 ICT 활용 연구가 초등의 2배가량 많았는데 그 이유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이래로 음악과 성취기준에 제시됨과 더불어 중등학생들의 스마트기기에 대한 높은 접근도와 기호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창작 교수․학습전략은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창작학습모형 개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창작 교수․학습자료에서는 지도방안 개발(54%)이 가장 많았고, 창작수업 모형을 개발한 연구는 총 41편(12.6%)에 그쳐 모형개발 관련 연구가 더 요구된다 하겠다. 창작에 활용한 제재곡은 창작 제재곡의 활용, 창작 제재곡의 종류와 창작의 바탕이 되는 음악 요소 3가지 소범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창작 제재곡의 활용에서는 음악개념의 추출(78%)이 가장 많았고, 악곡의 종류별로는 동요(34%), 국악(26%), 클래식(22%) 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 교과서에서 창작 제재곡을 추출한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창작 제재곡에서 추출한 음악요소에서는 창작의 가장 기본이 되는 가락(28%)과 리듬(27%)이 가장 많았다.

      • 다문화가정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 결혼이주가정을 중심으로

        정보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수는 선한사마리아 사람의 비유(눅 10:36)에서 “누가 강도 만난 자의 이웃이 되겠느냐?”고 질문을 던지신다. 이는 한국교회를 향해 낯선 외국인들이 곤경에 처했을 때, 하나님의 사랑에 입각하여 그들의 상처를 “싸매고”, “돌보아”(눅 10:34) 주어야 할 실제적인 책임을 고취하고 있는 질문이다. 그 비유에서 선한 사마리아 사람은 낯선 나그네를 위해서 “주막 주인에게 데나리온 둘을 내어주며” 비용이 더 들면 돌아오는 길에 갚아주겠다(눅 10:35)는 제안까지 하고 있다. 하나님의 사랑의 실천을 위해서 시간과 정성을 다 기울이는 모습이다.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한국인은 국가와 민족의 경계를 넘어선 문화권의 형성과 확인이라는 현상을 피부로 느끼는 세상에서 세계 속의 세계인으로 살고 있다. 세계화는 세계의 많은 지역문화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세계는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수많은 이질적인 요소가 점차 동일한 방향으로 모아지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서 이방인으로만 존재하던 이주민을 이제는 함께할 ‘우리’라는 공동체로 인정하고 받아들이기를 촉구하고 있다. 나아가 이는 한국교회에게 있어 지구촌 모든 민족과 인종을 참신이신 하나님의 한 백성으로 바라보게 하는 폭넓은 선교의 안목을 갖도록 하는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의 대통령 당선자인 버락 오바마는 케냐 출신의 이민 2세대이다. 이는 미국의 이주민이 미국의 지도세력으로 부상하였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이주민은 주류가 보듬어 안아야 할 하위 및 소수 문화의 차원을 넘어섰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다문화 가정은 한국사회의 자국민으로 생활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방인으로서 취급함으로써 이들의 문제데 대하여 간과하고 방관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 한국사회와 교회의 현실이다. 어느 기자의 말처럼 “익숙해졌을 뿐 여전히 우리 밖의 남”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 교회는 소외되어 있는 다문화 가정을 향해 시선을 돌려야 할 때이다. 교회는 소외된 이웃과 함께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이웃의 필요와 요구에 응답하여 성서적 의미의 “싸매고”, “돌보아”(눅10:34) 주어야 할 실제적인 책임 있는 자세로 그들을 섬길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그 가운데 교회는 어린 시절부터 이러한 섬김의 자세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사회에서 고통당하고 있는 소외된 우리의 이웃들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면 지역사회는 교회의 본질을 보는 것이 아닌 단지 양적으로 성장한 힘의 집단으로 보고 세속화의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교회가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감당할 때 지역사회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게 될 것이고 지역사회 안에서 존재의 당위성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쪼록 우리들의 무관심 속에 소외되고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한 관심이 교회의 본질적 사명으로 인식되길 바란다.

      • Effect of Dietary Quercetin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the OLETF Rat

        정보미 전남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quercetin이 비만당뇨쥐의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생후 40주령의 수컷쥐를 실험에 사용하였는데 비만당뇨군인 OLETF 쥐와 정상대조군인 LETO 쥐를 대상으로 quercetin 0.05%와 0.1%를 함유한 식이를 12주간 실시하였다. Quercetin 식이쥐의 식사량 및 체중을 측정하고,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여 혈당을 정량하였다. 또한 혈액중의 지질 및 지단백을 정량하였다. 또한 항산화능의 변화를보고자 TBA 반응으로 혈중 malondialdehyde의 양을 측정하였다. Quercetin 식이 비만당뇨쥐를 비만당뇨대조쥐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사량과 체중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혈당은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2. 혈액중의 malondialdehyde의 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혈액 중의 triglyceride,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phospholipid는 차이가 없었으나 HDL-cholesterol은 quercetin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quercetin 함유식이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따라서 심혈관계질환의 중요한 예측인자인 HDL cholesterol에 대한 LDL cholesterol의 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5). 이상의 결과로 항산화능을 지녔다고 알려진 quercetin이 당뇨병에서의 관상동맥 질환 발생빈도의 감소를 가져오리라 여겨지는 몇가지 사실을 확인하고 유용성을 확인할수 있었다. The effects of quercetin--an antioxidant flavonoid-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studied in obese diabetic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and Long-Evans Tokushima Otsuka (LETO) rats (control). Quercetin was given as a dietary supplement to 40 week-old male rats at the concentration of 0.05% or 0.1% for 12 weeks. During feeding quercetin, changes in the amount of food ingested and body weights were determined, an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done. At the end of the feeding period, the plasma levels of lipids, lipoproteins and lipid peroxide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Dietary quercetin did not cause any difference in the ingested food amount and body weight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group. And the quercetin groups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change in blood glucose levels during OGTT. The level of lipid peroxides was not changed by quercetin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plasma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0.1% quercetin-fed group than in the diabetic control group (p<0.05). And the ratio of LDL cholesterol to HDL cholesterol, an excellent predictor of disease risk, i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y the querceti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quercetin may reduc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ay be useful for intervention of diabetic microangiopathic and macroangiopathic complications.

      • 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 : 시행 이후 개선안에 대한 제언

        정보미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3년 12월 31일, 수년간 시간을 끌었던 메세나 관련 법안이 국회에서 극적으로 통과되었다. 18대 국회에서는 ‘메세나 활동의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라는 이름이었으나 19대 국회에 들어와 ‘문화예술후원활동의 지원에 관한 법률안’이라고 법안명칭이 변경되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산업이 주도하는 사회풍토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풍토는 급진적으로 증가한 추세이며 그에 따라 문화산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박근혜 정부 또한 창조 경제·문화 융성 시대를 외치며 문화예술에 대한 후원을 확산시키기 위해 기업의 후원활동에 대한 세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다 도맡아 하기에 역부족이라면 민간의 자율성을 높이고 민간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각고의 노력에 제반되어야 하는 정책들의 제안 필요성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점에 제정된 ‘문화예술후원활동의 지원에 관한 법률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수정, 후속 법안 등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민간의 자율적인 지원을 확대하기 위하여 여러 혜택을 부여하려는 목적으로 법제도를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것은 신중하게 검토되어야 한다. 어떠한 한 분야에 혜택을 준다는 것은 세수 감소가 수반되고 타 분야에 대한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제도를 통해 사회적 인식을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경영자의 관심을 높이는 차원에서 꼭 필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문화예술후원활동의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은 기업의 예술기부금 및 문화예술관련 지원에 대한 세액 공제를 통해 기업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시발점이 될 것이다. 다만 이 법안의 골자를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세 제도적 측면에서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시각에서의 서로 돕는 관계를 기반으로 한 경제활동이라는 전망에 입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시행될 2014년 7월 29일 이후, 문화예술계 후원의 활성화를 위하여 본 법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개선 방안을 찾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의 목적을 살펴본 후 관련 법안을 검토했다. 다음으로 ‘문화기본법’, ‘문화예술진흥법’, ‘조세특례제한법’ 등의 법안을 살펴보고 타 법안들과의 연계 발전을 도모하며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안해 보았다. 또한 국내 문화예술기관의 자료와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 해외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문화예술후원 활성화를 위한 법률의 방향을 제언한 후 개선안을 도출해 내었다. ‘문화예술후원 활성화에 관한 법률’은 단독적인 시행보다는 연계 법안과 함께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개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후속적으로 나와야 하는 법제도적 정책들을 통해 민간의 재원조성과 기부문화는 문화융성시대의 문화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기반을 다지게 될 것이다. 본 연구로 기존 문화예술 관련 법안들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문화예술후원 활성화를 위한 법률안’의 힘을 기대해 본다. December, 31st of 2013, the Mecenat relevant bill, lasted for decades dramatically obstructed. The 18th National Assembly named it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Mecenat activities", however it had been changed as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at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rough millennium, the culture/entertainment industries pervade in our society. The trend is rapidly increasing and naturally, the significance of culture industry is highlighted. The government led by President Park, also took out the slogan of creating the era of economy/culture, and in order to spread out the supportive activities of cooperation for aid of Art/Culture, it is mentioned that there is strong need for enhancement of tax support. If it is too handful for government to handle, it is obvious to look out for way to increase the autonomy by public. Thus, at this point,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ing activities' ought to look for the constant attention with amelioration, and succeed bill to support. In order to reinforce the self-regulated support by public, the legislation should be enacted or ameliorated with careful measure. The reason for this caution lies on fairness and potent of lowered the revenue when there is special advantage on a certain field. Despite of this, it is essential and crucial action to implement for increasing the attention of administrator and providing the opportunity to aid the social cognizance through a law. An establishment of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will be igniting point for various cooperation for active support through tax credit on Art supporting fund/ aid relevant to Culture/Art. However, this action shall be taken as the economic activity based on mutual cooperation with various aspects, not by tax-legislated aspect that allure financial fund from the cooperation. On this study, it is engrossed on researching for the vivid direction and improvement for activation of the Culture/Art sponsor after the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implements on July, 29th of 2014.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study contains the purpose of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then, includes related law measure. After profound research on relevant laws such as 'An organic law for Culture', 'Culture and Art Promotion Law', and 'Taxation Limitation on particular instance', the study seeks the corresponding improvements on relevant laws and suggests the amelioration on revision partial amendment of legislative bills. Moreover, it not only provides with the domestic data of Art/Culture agencies, but also analysis the samples from America, England, France and Japan. Through the process, we arrived the guidance that will create the proper direction of activating Culture/Art sponsoring, and the suitable amelioration.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shall consistently be monitored with relative legislative bills, rather than exclusive implement. It will naturally creates solid ground for sponsoring culture and public aid construction and this will be led by the succeed law based policy. Throughout the research study, I have a great expectation for the power that will lead the improvement of "a bill relevant to support for Culture/Art sponsor activities" with current Culture/Art related legislative bills.

      • 플롯 중심의 고전소설 교육 연구 : 17세기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정보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specify the need and ways to use the concept of plot in literature education by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s of classic novel plots focusing on the 17th-century novels. “Plot,” which is a key term in theories of the novel, is a concept distinct from “story,” and it is responsible for the literary value and completeness of narrative. However, in literature education, the concepts of “plot” and “story” have been used without much distinction, and there has been a lack of discussions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lot and specific ways to understand it. Given that a plot is an index that allows the reader to understand the temporality and causality of a literary work and is an objective and clear standard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work, it is a tool that promotes the learner’s novel analysis and communication, so there is a need to educate about it more actively. Thus, this study organized the concept of plot, at the level distinct from story, into “causal arrangement of events” and “structure of making organic meaning.” In this case, “events,” “causality,” and “arrangement” become surface factors for understanding the plot type, and based on them, it was considered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depth contents that the plot contains and the plot’s macroscopic form. The base factors that make up in-depth contents include desire, discourse, and conflict, and the attributes of bas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ed events, method of organizing causality, and arrangement method. And finally, as the plot type that can serve as an index for understanding the macroscopic form and meaning of the plot, single-plots such as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or multi-plots such as “cross-over plot” and “integrated plot” of the two single-plots can be set. The convergent plot and divergent plot have the semantic role of “order establishment” and “alternative search” respectively. The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nd the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have the semantic role of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respectively.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examine various plot types of individual works and impart meanings. Plot-oriented novel education designed based on the propositions abov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motes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securing probability in classical novels, allows the learner to experience the effect of a plot as an immersion mechanism for a novel, and prepares specific ways to consider configuration in a discussion on contents. This study selected four novels of the 17th century as materials for plot education. They are “Honggildongjeon,” “Sassinamjeonggi,” “Changseongamuirok,” and “Sohyeonseongrok” series. These four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y restructured issues in reality by introducing the narrative world “family(家),” constructed the logic of the narrative worl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possibility and inevitability, and looked for an effective arrangement method to maintain tension in the narrative scope that became broader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is also the reason why the plot should be discussed in the 17th-century novel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urface factors and base factors comprehensively in order to analyze the plot type and meaning of the four works, “Honggildongjeon” had a divergent plot that explored an alternative world of “family,” and “Sassinamjeonggi” had a cross-over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value of patriarchal order which supported “family” and at the same time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posing by addressing such order sharply. “Changseongamuirok” had an integrated plot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at showed the nature of problem solv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order of “family” constructed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nd “Sohyeonseongrok” series had a convergent plot that limite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search as the ideal order of “family” was established. In each work, the plot not only secured intimacy based on family relations of the narrative world “family” and the real world but also gave a lesson and interest to the reader by combining the faith in the reality’s order and curiosity about an alternative world. The results of analysis become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structure for classical novel plot education. This can be set in two directions, “education on narrative structuring by understanding plot types” and “education on theme exploration through organic interpretation of plot.” In order to achieve education in the two directions through voluntary activities of the learner, this study considered it effective to design “inquiry learning” for finding out how and why the plot is configured. To concretize this into educational contents, a procedure was prepared in four steps, “concept learning about plot,” “setting a hypothesis based on the story summary,”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and “elaborating the theme interpretation by utilizing plot.” From among these,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plot exploration” is carried out by “collecting evidence based on surface factors, evaluating the hypothesis based on base factors, and drawing of plot types and experience of plot effect.” These education contents will not only increase understanding of a work by guiding the leader to figure out the plot type and meaning organically but also have a significance in literature educ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me of a new work. 본 연구는 17세기 장편소설을 대상으로 하여 고전소설의 플롯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문학교육에서 플롯 개념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론의 주요 용어인 ‘플롯(plot)’은 ‘스토리(story)’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서사의 문학성과 완결성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문학교육에서 ‘플롯’은 ‘스토리’ 개념과 큰 변별성 없이 사용되었으며, 플롯의 본질적 특성이나 구체적 파악 방식에 대한 논의도 부족하였다. 플롯은 작품의 시간성과 인과성을 파악하는 벼리이자 작품 해석과 평가를 위한 객관적이고 명료한 기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소설 분석 및 소통을 촉진할 도구가 되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교육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롯의 개념을 스토리와는 구분되는 층위에서 ‘사건의 인과적 배열’과 ‘유기적 의미 부여의 구조’의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때 ‘사건’과 ‘인과성’, ‘배열’이라는 요소는 플롯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표층적인 요인이 되며, 이를 바탕으로 플롯이 담지하는 심층적인 내용과 플롯의 거시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심층적인 내용을 이루는 기저 요인으로는 ‘욕망’, ‘담론’, ‘갈등’이 있으며 이 요인들의 속성은 강조되는 사건의 성격과 인과의 조직 방식, 배열 방식과 각각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최종적으로 플롯의 거시적 형태와 의미를 파악하는 데 활용 가능한 플롯 유형으로는 ‘수렴형 플롯’, ‘발산형 플롯’과 같은 단일형 플롯과, 두 단일형 플롯이 결합된 ‘교차형 플롯’, ‘통합형 플롯’의 복합형 플롯을 상정하였다. 수렴형 플롯과 발산형 플롯 유형은 각각 ‘질서 실현’과 ‘대안 탐색’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으며,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과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은 각각 ‘문제 제기’와 ‘문제 해결’의 의미역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플롯 유형과 의미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작품별로 다양하게 마련된 플롯에 대하여 보다 설득력 있고 타당한 해석을 꾀할 수 있다. 이상의 이론적 전제를 바탕으로 구안한 플롯 중심 소설 교육은 고전소설에서 개연성을 확보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소설의 몰입 기제로서 플롯 장치의 효과를 체험케 하며, 내용을 중심으로 한 주제 논의에서 형상을 고려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롯 교육의 제재로 17세기 장편소설 네 작품을 선정하였다. <홍길동전>,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소현성록> 연작이 그것이다. 이 네 작품은 모두 ‘가(家)’라고 하는 서사 세계를 상정하여 실제 현실의 문제를 재구성하였고, 가능성과 필연성의 원칙에 따라 서사 세계의 논리를 구축하였으며, 전대에 비해 넓어진 서사 편폭에서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효과적인 배열 방식을 모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점은 17세기 장편소설에서 플롯을 논의해야 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네 작품의 플롯 유형과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표층 요인과 기저 요인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홍길동전>은 ‘가(家)’의 대안 세계를 탐색하는 ‘발산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사씨남정기>는 ‘가(家)’를 지탱하는 가부장적 질서의 가치를 보여주면서도 균열 또한 첨예하게 다루어 문제 제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교차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창선감의록>은 ‘가(家)’의 바람직한 질서 실현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기반으로 구축되어 문제 해결적 성격을 보여주는 ‘수렴과 발산의 통합형 플롯’으로 되어 있고, <소현성록> 연작은 ‘가(家)’의 이상적 질서가 실현되어 대안 탐색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수렴형 플롯’으로 되어 있었다. 각 작품들에서 플롯은 ‘가(家)’라는 서사 세계와 실제 세계의 가족 관계를 바탕으로 친숙감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현실 질서에 대한 믿음과 대안 세계에 대한 궁금증을 나름대로의 비중으로 조합함으로써 독자에게 교훈과 흥미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고전소설 플롯 교육의 구도를 설정하는 데 토대가 된다. 이는 ‘플롯 유형의 이해를 통한 서사 구조화 교육’과 ‘플롯의 유기적 해석을 통한 주제 탐구 교육’의 두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방향의 교육이 학습자의 자발적인 활동을 통해 성취되도록 ‘플롯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와 ‘왜 이러한 플롯이 구성되는지’를 밝혀내는 ‘탐구학습’의 방법을 참고하여 플롯 교육을 설계하였다. 이를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기 위해 ‘플롯에 대한 개념 학습’, ‘스토리 요약을 통한 가설 설정’,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플롯을 활용한 주제 해석의 정교화’와 같이 크게 네 단계의 절차를 마련하였다. 이 중 ‘플롯 탐색을 통한 가설 검증’ 단계는 다시 ‘표층 요인을 중심으로 한 근거 수집’, ‘기저 요인을 중심으로 한 가설 평가’, ‘플롯 유형의 도출과 플롯 효과의 체험’으로 세분화된다. 이러한 교육 내용은 플롯의 유형과 의미를 유기적으로 파악하도록 안내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작품의 서사 구조와 주제를 분석하는 데에도 활용 가능한 전이력 있는 분석틀이라는 점에서 문학교육적 의의가 있으리라 본다.

      • 전담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미 창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담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 및 직무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통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C시에 소재한 C대학병원, J시에 소재한 G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 감성지능은 Wong과 Law(2002)의 감성지능 척도를 성지영(2018)이 수정·보완한 도구 16문항을 사용하였고, 셀프리더십은 Manz(1983)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를 신미진(2016)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18문항을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은 Weiss 외(1967)가 개발한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MSQ)를 박아이린(2005)이 한국어로 Korea-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K-MSQ)로 번역한 도구인 20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평균 3.53±0.43점이고, 셀프리더십은 5점 만점에 평균 3.32±0.39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평균 3.13±0.49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전담간호사 경력, 월평균 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직무만족은 연령, 최종학력, 총 임상실무경력, 전담간호사 경력, 월평균 급여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직무만족은 감성지능(r=.42, p<.001), 셀프리더십(r=.4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r=.66,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전담간호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β=.30, p=.003), 전담간호사 경력 ‘1년 미만’(β=.27, p=.025), 감성지능(β=.25, p=.007) 순이었다. 본 연구결과 전담간호사의의 감성지능과 셀프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근거로 전담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감성지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육 및 훈련과 더불어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병원 측면에서 전담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필요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간호학 분야 측면에서 감성지능의 개념을 확인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본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전담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된 조사연구이므로 연구결과에 대한 일반화에는 제한이 있다. 이는 전담간호사가 고객과의 상호작용에서 감정노동을 겪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감성지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병원에서 환자를 대하며 자신의 실제 감정을 숨기고 실제와는 다른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노동에 따라 심리적인 고통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임상에서 감정노동이란 주제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외부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평가에 집중되어있다. 외부고객이며 내부고객 중 하나인 전담 간호사들의 감정노동을 긍정적인 관점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직무만족도를 높여 외부고객의 만족도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인 요소로 감성지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감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 MRI features predictive of symptomatic neuroma in lower extremity amputees

        정보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하지절단 환자에서 절단 신경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여주고 유증상 절단 신경종을 시사하는 예측인자를 조사하고자 함. 재료 및 방법: 이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서 44명의 하지절단 환자에서 발견된 45개의 절단 신경종을 포함하였다. 비 조영 자기공명영상은 모든 환자에서,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은 23명의 환자에서 시행하였다. 두 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다음항목들에 대한 절단신경종의 자기공명영상소견을 분석하였다; 모양, 크기, 타입 (end-bulb, spindle), 신호 강도, 불균질성, 경계, enlarged fascicles, incomplete dark outer rim, 꼬리 징후, 과녁 징후, 조영증강, 병변 주위 섬유화, 근육의 탈신경위축. 신경종들은 신경병증성 통증, Tinel 징후, 누름 통증, 국소 마취제 주입에 대한 반응을 바탕으로 유증상 또는 무증상 신경종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 두 그룹에 대하여 단 변량, 다 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45개의 신경종 중 80% (36/45)는 end-bulb, 20% (9/45)는 spindle 타입의 신경종이었다. 신경종의 80%(36/45)는 T2 강조영상에서 불균질한 신호강도를 보였고, Enlarged fascicles는 42% (19/45), incomplete dark outer rims는 27% (12/45)의 신경종에서 보였다.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23개의 신경종 중 78% (18/23)에서 조영증강을 보였고, 신경종의 25%미만의 면적에 조영증강을 보이는 경우가 가장 흔하게 관찰되었다 (48%, 11/23). 단 변량 분석결과 T2 강조영상에서의 불 균질성과 조영증강 비율이 유증상, 무증상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5). 다 변량 분석 결과 T2 강조영상에서의 불 균질성이 유증상 신경종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 인자였다 (p < 0.001). 결론: T2 강조영상에서의 불균질성은 하지 절단 환자에서 유증상 신경종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 인자로 신경종의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세심한 평가는 절단부위 통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Objectives To demonstrate the MRI features of amputation neuromas in lower extremity amputees and to investigate independent predictive MRI features for symptomatic neur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45 amputation neuromas in 44 lower extremity amputees. Non-contrast MRI sequences were obtained in all cases, and additional contrast-enhanced MRI sequences were obtained in 23 cases. Two radiologists assessed the imaging features of neuromas including shape, size, type (end-bulb or spindle), signal intensity (SI), heterogeneity, margin, enlarged fascicles, incomplete dark outer rim, tail sign, target sign, enhancement, perilesional fibrosis, and muscle denervation. The neuromas were categorized into symptomatic (n = 24) or asymptomatic (n = 21). Symptomatic neuroma was determined based on neuropathic pain characteristics, presence of Tinel’s sign or tenderness, and response to local anesthetic injection.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predictive MRI findings. Results Of 45 neuromas, 80% (36/45) were end-bulb neuromas, and 20% (9/45) were spindle-type neuromas. Eighty percent of the neuromas (36/45) were heterogeneous on T2-WI. Enlarged fascicles were present in 42% (19/45), and incomplete dark outer rims in 27% (12/45) of neuromas. Among the 23 neuromas with enhanced images, 78% (18/23) of the neuromas showed enhancement and enhancement ratios less than 25% were the most frequent (48%, 11/23). Heterogeneity on T2-weighted image and enhancement rati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symptomatic and symptomatic neuroma groups (p < 0.05). Mult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heterogeneity on T2-weighted image was an independent factor associated with symptomatic neuroma (p < 0.001). Conclusions Heterogeneity on T2-weighted image could be a predictive factor for symptomatic neuroma in lower extremity amputees. Careful evaluation of MRI may help correct diagnosis and effective management of stump pain.

      •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현황 및 요구

        정보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12년 6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어린이집, 직장, 직장 엄마 카페 등을 통하여 0세 ~ 만 2세 영아를 자녀로 두고 있는 맞벌이 부부 200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메일, 서면, 우편으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173쌍의 설문지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영아기 첫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 실시 현황은 아버지 어머니 모두 양육을 하며 어려움을 느낄 때 인터넷로 가장 많이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교육을 참여하는데 시간이 없음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참여 여부를 살펴본 결과 부모교육이 받지 않은 부모가 부모교육을 받은 부모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모교육을 받은 부모는 대부분 1회에서 그치고 있으며, 전문강사에 의한 강의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된 부모교육의 내용은 영아발달에 관한지식과 정보에 관한내용이 가장 많았다. 실시된 부모교육은 양육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교육 교육방법에 대한 요구정도를 살펴보면 맞벌이 부부와 자녀의 출생순위와 연령에 따른 특화된 부모교육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에 참여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오프라인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나, 온라인에 대한 요구도는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더 높았다. 부모교육 장소는 자녀가 다니는 유아교육기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아버지 모두 부모교육 실시자로 부모교육 전문가를 선호하였으며, 강의 및 강연 형태의 부모교육을 가장 선호하였다. 부모교육에 적합한 요일은 토요일을 가장 높게 요구하고 있었으며 실시 횟수로 1달에 1번, 1~2시간 미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정도를 살펴보면 직장과 육아병행을 위한 저보에 대한 요구는 자녀와 효과적인 대화 및 상호작용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아의 건강에 관하여 영아의 질병 및 아플 때 간호 방법을 가장 알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바람직한 생활지도에 대한요구는 올바른 식생활 습관이 가장 높았으며, 영아 발달에 관한 지식과 정보에 대한 요구는 성격과 사회성발달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영아와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에 대한 요구는 칭찬과 꾸중하기를 적당하게 하는 방법과 아이와 대화하는 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로서의 자질 향상에 대한 요구로는 자녀와 대화를 잘하는 방법을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perceptions of double-Income parents who have the first child in infancy on their parent education status and needs. To perform this study, 200 pairs of working couples who have 0~2 year old infants were selected.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nursery, workplace, working mom's cafes.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ail, in writing, or e-mail. 173 pairs of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the final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using SPSSWIN 18.0 program. The problem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the current parent educational status for the double-income parents having the first child in infancy? Second, What type of teaching methods of parent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double-income parents having the first child in infancy ? Third, What type of teaching contents of parent education is required for the double-income parents having the first child in infancy ?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parent education, both fathers and mothers preferred to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for their difficulties in parenting. Also the most difficult thing was that they had no time when they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arent education.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o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was shown that the number of par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parent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e number of parents who did participate. Most of the parents received parent education at once, and instructor-led lectures were the most involved. The most common content of parent education was on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and information. The parents perceived that the parent education was helpful for their parenting.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analysis results of needs for parent education about teaching methods are as follows: Parents wanted a customized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ild's birth order and age. There was a higher demand on participating in the parent education, and parents required for off-line education. The fathers' demand for online education were more than mothers'. In terms of the preferred place of the education, both fathers and mothers wa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ith respect to the persons in charge of parent education, they preferred professional persons of parent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teaching methods of parent education, they preferred the lecture and presentation. The most preferred day for parent education was Saturday, and demanded less than 1-2 hours once a month.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the highest requirement of information for childcare and housework. Regarding the child's health care, parents wanted to know how to take care of their infants when the infants were sick or ill in searching for the requirement of parents education. The highest requirement of proper life-guidance for infant was about correcting an eating habit, and the highest requir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infant development was about the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The highest requirement of the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infant was to praise and scold in balance and to talk with the children. The most needed requirement of improved parenting skills was to have a good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