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정보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through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Mothers of three to five-years old pre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via questionnaires regarding to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it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of anger/frustration and sadness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and children’s emotional competence though the expression of fear was related with only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Second, when it comes to meditation effects,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partially medit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nd emotional competence. Taken together, this study revealed the meditating role of mother’s emotion-related parenting to child’s negative emotionality on emotional competence. Such result of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use as effective resource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 및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3-5세 유아 289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을 측정하기 위해 Rothbart, Ahadi와 Hershey(1994)가 개발하고 권연희(2002)가 수정, 보완한 아동 행동 질문지(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CBQ])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은 Gottman, Katz와 Hooven(1997)이 개발한 상위정서이론에 근거한 척도를 Hakim-Larson, Parker, Lee, Goodwin과 Voelker(2006)가 수정한 ERPSST-L(Emotion-Related Parenting Styles Self-Test-Likert)의 축약형(Paterson et al., 2012)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Salovye와 Mayer(1996)의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t-test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삼단계 모형을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의 하위요인 간 상관과 관련하여, 분노/좌절과 슬픔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두려움의 표현은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과만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코칭 양육행동, 유아의 분노/좌절의 표현이 타인인식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불확실성 양육행동이, 그리고 유아의 슬픔의 표현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종합해보면, 본 연구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정서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행동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정서적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건강한 정서발달을 위한 실질적인 양육행동을 제시하며 유아에게 긍정적인 정서사회화를 제공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육아휴직 이후 복직승무원의 양육스트레스 요인과 잔류의도,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배우자의지지 조절 효과

        정보라 한양대학교 국제관광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parenting stresses that reinstated cabin crew experience after returning from maternity leave and to verify if these factors have effects on their mental health and decision for changing job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al suppor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prevent career disruption of married women caused by childbirth and child-care and actively support their social activities by examining the negative factors and effects that women experience after returning to work after maternity leave. In the en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social activities and focus on carrier of female flight attendants who have children. In addition, research verification results will be provided regarding job characteristics necessary for the compatibility of child care and flight service of flight attendant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f the preceding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FGI) which was conducted for 15 female flight attendants working in domestic airline companies, there presented five major causes of change: Fatigue, multi-role conflict, non-parental care anxiety, separation anxiety of child, and cost of children. Also a total of 14 hypotheses were derived through research models when applying supposition of parenting stress, mental health, intention to stay along with the control variable of spousal supports. This experimental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flight attendants who experienced maternity leave and reinstatement among domestic airlines. In addition, 227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through a self-written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222 significant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among the five variables, fatigue and non-parental care anxie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stress. Second, parenting str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health and intention to stay in current job.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higher degree of parenting stress leads to lowering their mental health and intention to stay. Third, spousal support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ing stress and mental health. This implies a significant impact on mental health as the stress of the crew who has returned from maternity leave is moderated through the support of the spouse.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erived from this analysis. First, fatigue and non-parental care anxiety, both of which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stress factors of reinstated crews reflect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of flight service. Frequent stays overseas, irregular work schedules, and intense physical activities caused by flight services are responsible for increasing fatigue and reducing their opportunities to care children and participate directly in families, which ultimately increasing parenting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is parenting stress negatively affects the mental health of the reinstated crews and their intention to stay in the organizations. This leads to the loss of skilled human resources at the company level as well as the career disruption of women, suggesting that it can reduc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Theref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to raise the opportunity for female flight attendants who raise their children in order to let them directly participate in child car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time gap that occurs during mothers’ flight work only through public child care services, meaning that it is crucial to expand high-quality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and services for workers with non standard work schedules. Finally, spousal support has a valid effect on parenting stress and mental health. This shows the stress-relief power for their psychological burden and exhaustion of reinstated flight attendants. Therefore, it suggests that spouse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are indispensable to lead the mental health of returning flight attendants who need to be compatible with work and child care. 본 연구는 육아휴직 이후 복직승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고 양육스트레스가 이직의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배우자의지지의 조절효과 확인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양육스트레스의 5개 주요변인은 이론 고찰과 육아휴직과 복직을 경험한 항공사승무원 15명과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피로, 다중역할갈등, 대리양육에 따른 불안감, 자녀의 분리불안, 자녀 비용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양육스트레스, 잔류의도, 정신건강 이라는 후속변수와 배우자지지 조절 변수로 연구모형이 구성되었다. 그리하여 총14개의 가설 검증을 위해 2021년 2월1일부터 2021년4월1일까지 육아휴직과 복직을 경험한 항공사여승무원을 대상으로 총227부의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이 중 유의미한 222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25.0과 AMOS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통한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 분석, 부트스트랩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먼저 복직승무원의 피로와 대리양육 불안감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잔류의도와 정신건강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피로와 대리양육불안감은 양육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잔류의도와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경로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승무원의 근무환경을 반영한 양육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였다는데 학문적 가치를 지닌다. 그리고 비표준근무환경을 가진 객실승무원의 경력단절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통해 다양한 제도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는데 실무적 가치를 지닌다.

      •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집단응집력이 수련태도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보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The effect of team cohesion on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mong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Bo-ra Jung Graduate Schools, WOOSUK UNIVERSITY Department of Taekwondo Advised by professor Sang-jin Cho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m cohesion on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mong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athletic performance was to increase the team cohesiveness. Increasing the cohesiveness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orked as a key role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demonstration. 3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aekwondo demo-performers who majored in Taekwondo, using convenience sampling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by SPSS 22.0 after eliminating 40 ba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Validity and credibility were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general information, and t-test and one way ANOVA was executed to see mean difference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eam cohesion,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dividualities of the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hesion. The sub-factor cohesion was the highest on Senior, and performance career was the highest on the group of 2 years to 5 years experience. Secondly, the individualities of the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he learning attitude of male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nd sophomore, junior, and senior was higher than freshman. performance career was the highest on the group of 2 years to 5 years experience. Thirdly, the individualities of the colleg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of performance. The satisfaction of performance was higher on male, higher grade, and longer performance career group. Fourthly, the team cohesion of college Taekwondo performance team had the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ttitude. Fifthly, the team cohesion of college Taekwondo performance team had the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of performance. As shown above, team cohesion had an crucial effect on learning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performance. Therefore, to achieve the higher team cohesion, the effective instructions and various programs would be essential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집단응집력이 수련태도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 보 라 우석대학교 대학원 태권도학과 태권도전공 지도교수 최 상 진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집단응집력이 시범단원의 수련태도와 운동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팀 스포츠의 경기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팀의 응집력을 높인다. 태권도 시범단의 응집력을 높이는 것은 바로 시범의 성공률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 추출을 활용하여 호남지역 소재대학교 태권도학과 시범단원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40부를 제외한 310부를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인구통계학적에 따른 차이검증을 하기 위하여 독립검증 t-test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집단응집력이 수련태도와 운동만족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적률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5가지 결과들로 도출 하였다. 첫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력의 경우 4학년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시범경력은 2년 이상 5년 미만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수련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수련태도가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의 경우 1학년 보다는 2학년, 3학년, 4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시범경력의 경우 2년 이상 5년 미만의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운동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성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이 높을수록 태권도 시범경력이 오래 될수록 운동만족이 높았다. 넷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집단응집력은 수련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태권도 시범단의 집단응집력이 운동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집단응집력은 수련태도와 운동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단응집력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지도방법으로 선수들을 지도해야 하며 집단응집력과 수련태도, 운동만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핵심단어 : 태권도 시범단, 집단응집력, 수련태도, 운동만족

      • 텅스텐 담지 산화그래핀(GO)을 첨가한 SCR 촉매의 제조 및 활성연구

        정보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Nitrogen oxides (NOX) was emitted from flue gas of thermoelectric power plants and exhaust gas of diesel engines, can leads t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 Selective Catalysts Reduction (SCR) is the most effective NOX control system and commercial V2O5-WO3/TiO2 catalysts, usually containing V2O5 0.5~3wt%, WO3 5~10wt%. And WO3 is able to reduce activity for SO2 oxidation, to widen the temperature window of SCR reaction, to enhance poison resistance towards alkali oxides, to lower the ammonia oxidation activity of the catalysts and finally not only to generate new acid sites but also to increase the Bronsted acid site. However, WO3 were high-price as rare metal and harmful as heavy metal. Therefore, WO3 were needed to reduce in SCR catalysts. To reduce the WO3 containing of SCR catalysts, we used the Graphene. Graphene is an exciting material. Graphene has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high intrinsic mobility, high Yong’s modulus, thermal conductivity, and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merit attention for applications such as for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among many other various applications. For this reason, graphene was used to supported tungsten oxides as graphene-nanocompos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t only the fabrication of SCR catalysts using the graphene-nanocomposite but also evaluation of De-NOx activation, SOX conversion as SCR catalysts. The nanocomposite was prepared by impregnation. It was noticed that tungsten particles supported on graphene in 10~20nm size and did not aggregated. To compare activation of SCR catalyst, we fabricated standard (8wt% tungsten), 4wt% tungsten supported on graphene, and 2wt% tungsten supported on graphene. SCR catalyst was evaluated based on De-NOX, SOX conversion, erosion resistance and strength. The De-NOX performance was obtained as 79.3% at 450℃ at the same condition. Also, SOX conversion was determined only to be 0.7% at the same condition.

      • 피부관리실 유형 및 이용실태에 따른 서비스 품질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라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피부관리실 유형 및 이용실태에 따른 서비스 품질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피부관리실 유형은 일반 피부관리실, 화장품브랜드 피부관리실, 메디컬 피부관리실, 데이스파 피부관리실로 세분화하여 최근 6개월 동안 1회 이상 이용 경험이 있는 260명을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일반적 특성, 피부관리실 이용실태, 얼굴과 바디 관리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테크닉 선호도 및 만족도와 서비스 품질 인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서비스 품질 인식은 편리성, 신뢰성, 전문성, 친절성 4가지 하위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화장품브랜드 피부관리실과 메디컬 피부관리실은 얼굴 관리 이용 비중이 높았으며, 데이스파 피부관리실과 일반 피부관리실은 바디 관리 이용 비중이 높았다. 테크닉 선호도는 피부타입과 얼굴 관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관리 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바디부위별, 바디 관리 유형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는 40-50대의 높은 연령대와 데이스파 피부관리실 유형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관리실 서비스 품질 인식과 만족도는 이용실태에 따라 다르고 서비스 품질 인식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서비스 품질 인식의 하위 요인 신뢰성, 전문성, 친절성은 피부관리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확인되었다. 그 중 친절성은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치는 요인으로 판단되어졌다. 결론적으로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친절성의 하위 요인을 분석하여 직원 교육이 이뤄져야하며 또한 관리실 유형별로 차별화된 관리 프로그램 연구로 경쟁력을 높이는데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on the satisfaction of using skin care shops. The types of skin care shop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general skin care, cosmetics brand skin care, medical skin care, and day-spa skin care shop, and this research was processed by surveying the using experience of two hundred sixty people, especially who have used the shops more than once in recent six months. First, this study examined general characteristics, use of skin care shops, and face or body management. Second, this study analyzed how the technical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s well as perceived service quality, affect the level of customer’s satisfaction.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led to four sub-factors: convenience,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kindness. The research showed that while the cosmetics brand skin care shops and the medical skin care shops have a high percentage of facial management, and the day-spa skin care and the general skin care shops were mainly used for body management. Technical preferences were varied depending on skin types and face management types. This research also represented that the older, the high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and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rely on the parts of body and the types of its management. The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ere higher in both 40 to 50 years old and the day-spa skin care shop. Therefore, it is shown that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were varied according to actual use, and the former had an effect on the latter.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the sub-factors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 reliability, professionalism, and kindness,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using skin care shops, and especially the kindnes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ub-factors of kindness in order to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and to educate the staff continuously. At the same time, it is required to increas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research on distinct management program.

      • 중도입국청소년의 교육복지 실태와 한국 내 적응에 관한 연구 : 제도권교육과 비제도권교육 차이를 중심으로

        정보라 수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migrants increase, Korea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se changes can be found in all parts of our society, and the number of students from foreign nationalit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is also the basis of social life, that is, at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welfare of immigrated children and their adaptation in Korea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 (systematized and non-systemat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education policy support, to enable a stabilized adaptation for the immigrated children into the Korean society. In order to verify this, the survey questions from the questionnaire [Actual condition analysis 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published in 2012 and 2015, and the [Actual condition of Korean child and youth] published in 2009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T-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cept for age, nationality acquisition, permanent residency plan and residence period in Korea. For immigrated children who attended 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was found that they and their parents had a higher rate of acquiring nationalities than those who attended non-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aptation(self-esteem, depression, stress from Korean culture, institutional satisfaction) in Korea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igrated children who attended 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received a lot of stress from the public education received from the existing public schools. Therefore, an alternative education is needed; replacing the public education for immigrated children, which can buffer the culture shock and help in initial adaptation and Korean social policies. It was found that all immigrated children who attended systematized and non-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had strong demands and desires for education. However, in the case of those who attended non-systematize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ir desire for education wa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actual demand due to their practical problems including legal status and economic difficulties.

      • 전산플랫폼을 이용한 감쇠장치를 가지는 초고층구조물 설계

        정보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파라매트릭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비정형 초고층구조물의 수많은 구조시스템 대안 선정을 지원하는 전산플랫폼을 이용하여 감쇠장치 설치에 따른 감쇠비 증가 효과와 감쇠비 증가에 따른 풍하중 저감효과를 평가하였다. 감쇠장치의 용량 및 추가 요구감쇠비의 크기를 산정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초고층건물이 보유하고 있는 원 고유 감쇠비에 대한 추정은 풍하중에 대한 실계측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된 국내외 관련 연구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감쇠장치는 층간 설치형 수동형 감쇠장치와 질량형 능동형 감쇠장치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감쇠장치에 의해 추가되는 감쇠비는 FEMA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등가 정적 해석을 통해 나온 값으로 산정하여, 해석시간을 단축하도록 하였다. 전산플랫폼인 스트라우토(StrAuto)에 주어진 요구감쇠비를 실현하면서도 감쇠장치의 용량을 최적화 하는 알고리즘을 내장함으로써 최적의 감쇠장치 설계안을 자동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감쇠장치 설치에 따른 물량저감 효과는 풍하중 저감계수로 평가 될 수 있으며, 해석예제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455m 높이의 초고층구조물을 대상으로 감쇠장치에 의해 증가된 등가감쇠비에 해당하는 풍하중 저감계수를 사용하여 부재력을 비교·평가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초고층건물에 감쇠장치를 설치하여 대안을 검토할 때, 감쇠장치에 의한 물량저감 및 부재력 감소효과를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damping devices on damping ratio increase and wind-load reductio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computational platform, which is one of the parametric modeling methods. The computational platform helps the designers or engineer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numerous alternative structural systems for irregular Super-Tall buildings, and select the optimal one. Inherent damping ratio in a Super-Tall building, which is crucial in determining the capacity and the number of the supplemental damping devices for adding the required damping ratios to the building, was estimated by outcomes from the relat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conducted based on real wind-load records. Two types of damping devices were considered: One is inter-story installation type passive control devices and the other is mass type active control devices. The supplemental damping ratio due to the damping devices was calculated by means of equivalent static analysis using an equation suggested by FEMA. It was possible that the optimal design of the damping devices was automatically performed by embedding an algorithm for actualizing a given additional damping ratio and optimizing the capacity of the damping devices into the computational platform. The structural element quantity reduction effect resulting from the installation of the damping devices could be simply assessed by proposing a wind-load reduction factor,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by a numerical example of a 455m high-rise building. The comparison between roof displacement and the member forces by the nonlinear time history analysis and the static analysis using the wind-load reduction factor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simply but approximately estimate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al damping devices on the roof displacement and the member force reduction.

      • 브랜드스케이핑을 적용한 프래그런스 브랜드숍 디자인 : 브랜드 논픽션을 중심으로

        정보라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단순히 판매뿐만 아니라 브랜드의 감성을 소비하는 것에 가치를 두고 있다. 이처럼 브랜드는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따라가기 위해 체험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전략적 공간 마케팅 기법에 주목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기업은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를 통해 브랜드만의 감성적인 공간을 연출하여 공간 마케팅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브랜드의 가치와 판매를 증진시키기 위해 공간 마케팅 기법인 브랜드스케이핑이 효과적인 수단임을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비교적 새로운 개념인 브랜드스케이핑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한다. 최근 국내 5년 이내에 개관된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를 한정하여, 국내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브랜드스케이핑의 특성요소를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최종 도출된 결과는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브랜드스케이핑의 이해와 소비자와 커뮤니케션을 형성하기 위해 공간 마케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하였으며,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브랜드스케이핑의 흐름을 고찰하고, 브랜드스케이핑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2) 앞서 도출한 브랜드스케이핑의 특성을 통해 정체성, 장소성, 조형성, 전통성, 유희성을 도출하였다. 3) 효과적인 공간 마케팅의 방법을 도출하기 위해 브랜드스케이핑이 적용된 국내 프래그런스 브랜드의 현황을 파악하고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4) 이론적 배경과 사례 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브랜드스케이핑을 적용한 논픽션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 디자인 계획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브랜드스케이핑을 적용한 논픽션 플래그십 스토어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1) 프래그런스의 마케팅 전략을 고려하여 평면 계획에서 원활한 동선을 계획하였으며, 직원과 소비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2) 소비자와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브랜드스케이핑을 적용한 체험 마케팅인 전문가의 클래스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3) 전체적으로 우드 소재와 화이트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논픽션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적용된 마감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브랜드스케이핑을 프래그런스 플래그십 스토어에 적용하여, 향후 프래그런스 브랜드가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주요어】브랜드스케이핑, 프래그런스, 브랜드 숍, 플래그십 스토어, 논픽션

      •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공기-비용 절충관계 최적화 모델에 관한 연구

        정보라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getting out the optimal solution by using genetic algorithm which is consider with two purpose of the time and cost in trade-off. In construction, the time and cost problem is not only independent problem, but also having the trade-off. Consequently, even if each purpose has the optimal solution, it does not mean it could be permissible solution by trade-off between the purpose. In this paper, to solve this problem, Nondominated Sorting in Genetic Algorithm(NSGA) and Niched Rank Genetic Algorithm(NRGA) has been used, and calculated optimal solution by using Microsoft Project and Visual Basic. This paper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Preliminary study about existing time-cost trade-off problem; chapter 3, Concept of genetic algorithm; chapter 4, Optimization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chapter 5, Case application and result; chapter 6, Conclusion. The following summarized the content of each chapter.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purpose, content, and limits of research,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research. Chapter 2 presents direction of progress of research via research consideration about existing time and cost trade-off problem. Chapter 3 explains generally genetic algorithm and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Chapter 4 explains method of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and used element in the optimization model of time-cost trade-off. Chapter 5 apply optimization model in case of existing research and present result, and compare the two model. Chapter 6 presents results of application of optimization model, and suggests the next assignment via this results. The following present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1) Set up the parameter of population size 700, crossover probability 0.9, iteration 50. In the case of NSGA, mutation probability is maximum 0.1~minimum 0.01, NRGA is 0.05. (2) Case of NSGA, 36 optimal solution has matched comparison optimal solution, and 92.31% rate of concordance has been shown. The result of repetition execution, it was visible the result of maximum 92.31%, minimum 82.05%, average 88.206%. Case of NRGA, 28 optimal solution has matched comparison optimal solution, and 71.79% rate of concordance has been shown. The result of repetition execution, it was visible the result of maximum 89.74%, minimum 71.79%, average 76.407%. The result has shown NSGA is superior than NRGA in this paper. Also, when calculating the comparison optimal solution, a lot of time is necessary. Therefore, result of two case is affirmative. (3) The result of repetition execution, activity of case and number of option the 700 population size is suitable. As a result, NSGA was 20 minutes, NRGA was consumed 14 minutes. When considering the coding at Visual Basic Application or ability of the computer, this time consumption must be admitted. (4) Also, division of resource, flow of cost, loss of materia etc., incidental elements which give an effect to time-cost relationship did not consider. Accordingly, for making more actual model, details research including this element need to hereafter. 이 논문의 목적은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호 절충관계에 있는 공기와 비용, 두 가지의 목적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해를 도출해 내는 것이다. 건축에서 공기와 비용 문제는 단독적인 문제가 아니라 상호 절충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는 각각의 목적에 대한 최적해가 존재하더라도, 그 해는 목적들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허용 불가능한 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비지배분류 유전알고리즘(Nondominated Sorting in Genetic Algorithm : NSGA)과 순위-적소 유전알고리즘(Niched Rank Genetic Algorithm : NRGA)를 적용하였으며, Microsoft Project에 Visual Basic Application을 이용하여 최적해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최적해를 쉽고 용이하게 찾아냈으며, 그 소요시간 또한 적정하였다. 따라서,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공기-비용 최적화 모델은 최적의 공기와 비용을 도출하는데 그 적용 가능성이 높은 모델이라고 판단된다.

      • 기술사의 계속전문교육(CPD) 참여동기와 조직 학습전이풍토가 학습전이 수준에 미치는 영향

        정보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기술사의 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와 조직 학습전이풍토가 학습전이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기술사의 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전문적 발전, 전문직 정체성, 고객서비스, 동료학습)와 조직 학습전이풍토(전이기회 지원, 변화가능성) 및 학습전이 수준에 대한 인식정도를 측정하고, 둘째, 기술사의 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전문적 발전, 전문직 정체성, 고객서비스, 동료학습)와 조직 학습전이풍토(전이기회 지원, 변화가능성) 및 학습전이 수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며, 셋째, 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전문적 발전, 전문직 정체성, 고객서비스, 동료학습)와 조직 학습전이풍토(전이기회 지원, 변화가능성)가 기술사의 학습전이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술사의 계속전문교육 참여동기를 높이고 조직 학습전이풍토를 구축하여 기술사의 학습전이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