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정민지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이중언어 사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정민지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 사용에 따른 초등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특성 14문항, 다문화와 이중언어 인식 26문항 총 40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타당도를 위해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검증을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사용 필요성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이중언어의 지도실태 및 다문화 수강실태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아동지도의 방해요인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사용 필요성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사용 필요성의 인식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대학원 보다 대학을 졸업한 사람, 교사 경력이 짧을수록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중언어 사용 필요성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군보다는 시에서 담당학년에서는 2학년 이상을 담당하는 교사에게서 이중언어 사용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둘째, 이중언어의 지도실태 및 다문화 수강실태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사용 필요성의 인식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교육한 아동이 이중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집단과, 다문화아동이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답한 집단, 다문화아동에게 이중언어 교육을 권유해본 집단, 그리고 다문화 관련 강의를 수강해본 경험이 있는 집단에게서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리고 이중언어 사용 필요성의 인식 차이에서는 다문화아동 지도시 상담 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 가능한 외국어가 있는 집단, 이중언어 교육을 권유해본 집단, 다문화아동이 이중언어를 습득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고 답한 집단에게서 이중언어 사용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셋째, 아동지도의 방해요인에 따른 이중언어 교육 필요성과 사용 필요성의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아동에게 부담감을 느끼는 집단에게서 이중언어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하지만 이중언어 사용 필요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다문화아동의 이중언어 사용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관련 교육을 받은 사람일수록 이중언어에 대한 필요성을 더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교사들의 다문화아동 이중언어 사용 및 교육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를 대상으로한 다양한 교육과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민지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의 중재를 통한 개입이 발달지체 유아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수업참여행동은 주의집중 행동과 지시 따르기 행동으로 구성되었고, 문제행동은 부적절한 자세, 산만한 행동, 소음 만들기, 타인을 건드리기의 4가지 유형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명의 발달지체유아에게 AB설계 디자인의 연구방법을 적용하고, 일주일에 4~5회씩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상황이야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중재 이후 통합학급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상황(대집단)의 시작부터 10분 동안의 행동을 촬영한 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멀티미디어상황이야기는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으로 만들고 태블릿pc를 활용하여 중재를 제공했다. 유아는 교사와 함께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를 사용하여 보거나 읽고, 교사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등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를 사용한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의 수업참여행동의 발생률이 긍정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 중재로 문제행동의 발생률이 감소되었다. 세 번째,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 중재가 종료된 후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의 변화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멀티미디어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또한 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multimedia social story intervention influences on the on-task behavior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a young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on-task behaviors consist of attention behavior and compliance behavior. The problematic behavior are composed with inadequate posture, scattered behavior, making noises, and touching others. This study used an AB Single System Design and the intervention took place in a group situation in an inclusive classroom 4~5 times a week. The targeted behaviors were taped and recorded for 10 minutes as soon as the class bega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e social story about the on-task and problematic behaviors were made with powerpoint program. The story was provided by using tablet pc. The participant used multimedia social story with a teacher. The teacher asked some questions after watching and reading the story. The results for this story are as follows: First, the rate of the on-task behaviors increased meaningfully after the intervention. Second, the results showed a decrease in the problematic behaviors. Third, the changes of the on-task behaviors and problematic behaviors were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In shorts, social story intervention influences on the meaningful changes of the behaviors. The effects were also maintained.

      • 반추와 사회적 회피의 관계 : 자기제시동기에 의해 조절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

        정민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social avoidance and withdrawal in the stressful situation and examined the integrated model of these mechanism.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ory of Behavioral Activation, it was expected that psychological resources of individuals with ruminative response style would be easily exhausted under stressful situation which eventually leads to social avoidance. Henc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social avoidance.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which is referred to as the motivation to give the desired impression to 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social avoidance. For this purpos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of colleges in Seoul and Gyeonggi-do completed the Perceived Stress Scale, the Korean-Ruminative Response Scale, the Oldenburg Burnout Inventory, the Behavioral Social Avoidance Scale, and the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Scale. The data collected from 387 subjects with the Perceived Stress Scale scored 16 or mor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emotional exhaus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social avoidance. Second,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had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haustion and social avoidance.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which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haus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mination and social avoida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cognitive process of excessive ruminative thoughts could predict the behavioral response such as social avoidance and withdrawal, and rumination could influence on social avoidance through the mechanism of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when those who have a greater motivation for presenting the desired impression to others are emotionally exhausted, they will show greater avoidance and withdrawal from the social interaction.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개인이 사회적 회피 및 철수를 보이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설명하는 통합적 모델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행동활성화 이론에 기반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개인이 반추적 양상을 지니면 이로 인해 심리적 자원이 고갈되고, 이는 곧 사회적 회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추와 사회적 회피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타인에게 자신이 목적한 인상을 주고자 하는 동기, 즉 자기제시동기가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회피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한국판 반추적 반응양식 척도, 올덴버그 소진 질문지, 행동적 사회적 회피 척도, 및 자기제시동기 척도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점수가 16점 이상인 38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소진은 반추와 사회적 회피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둘째, 정서적 소진과 사회적 회피 간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반추와 사회적 회피의 관계에서 정서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자기제시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과도한 반추적 사고라는 인지적 과정이 사회적 회피 및 철수라는 행동적인 반응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과, 반추가 정서적 소진이라는 기제를 통해 사회적 회피를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인에게 목적한 인상을 제시하고자 하는 동기가 클수록 정서적으로 소진되었을 때, 사회적 관계로부터 회피 및 철수를 더 많이 보이게 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성실성과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민지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실성과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이 두 성격특성이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에 간접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그리고 이에 앞서 von Stumm과 Ackerman(2013)이 제안한 지적투자특성의 구성개념을 확인하였다. 두 차례의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일차 조사에는 성인 203명(여성 132명, 남성 64명)이 참여하였고(평균 연령=29.25, 표준편차=10.30), 이차 조사에는 국내통신사에서 근무 중인 전화상담사 211명(여성 183명, 남성 28명)이 참여하였다(평균 연령=29.78, 표준편차=5.37). 지적투자특성 척도(전형적 지적참여, 인지욕구, 호기심)의 72개 문항을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들 요인은 지적사고선호, 지적호기심, 지적도전, 지적해결몰두, 지적여가활동이다. 그리고 5개 요인으로 구성된 지적투자특성의 구성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증분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실성이 업무지식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고도 지적투자특성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실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지적투자특성이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에 영향을 주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검증결과, 모형의 전반적 부합도(TLI=.979, RMSEA=.070, SRMR=.042)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지수에 대한 분석 결과 성실성에서 업무지식과 과업수행으로 가는 두 개의 경로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 업무지식에서 과업수행으로 가는 경로계수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실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와 지적투자특성에서 업무지식을 경유하여 과업수행으로 가는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주요어: 성실성, 지적투자특성, 업무지식, 과업수행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ositive direct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and to examine indirect effect of two personality traits on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Prior to test the above relationship, constructs of investment trait suggested by von Stumm and Ackerman(2013) were confirmed. Two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urvey, 203 adults(132 females, 64 males) participated(average age=29.25, SD=10.30) and in the second, 211 telemarketers(183 females, 28 males), working for a telecommunication company, participated(average age=29.78, SD=5.37). As a result of EFA analysis of 72 items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scales(typical intellectual engagement, need for cognition, curiosity), total 5 factors were extracted. The 5 factors are preference for thinking, intellectual curiosity, intellectual challenge, intellectual absorption, intellectual leisure activity. A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of the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consisting of the 5 factors was identified by CFA.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incremental effect of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on job knowledge, the effect of this variable was significant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conscientiousnes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bout whether two personality traits influence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showed acceptable overall fit(TLI=.979, RMSEA=.070, SRMR=.042). In the model, coefficients of two paths from conscientiousness to job knowledge and task performance, a path from investment trait to job knowledge, and a path from job knowledge to task performanc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from two personality traits to task performance through job knowledg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Keywords: conscientiousness, intellectual investment trait, job knowledge, task performance

      • 음압격리병실에서의 기침 토출입자 입경에 따른 확산 및 침적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정민지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년 한국 메르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SRS) 유행으로 인해 전염병 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염병 관리기관시설인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의 시설확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전국 29개 병원에 566개 병상이 구축 중에 있다. 음압격리병상이란 기압 차를 이용하여 공기가 오염되지 않은 곳에서 오염된 곳으로 흐르도록 설계된 것으로, 공기감염 전파가 가능한 환자를 외부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공간이다. 특히 음압격리병상에서의 전실이란 음압격리병실 출입 시 병실의 공기가 내부 복도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감염예방관리를 위한 준비 공간으로, 음압격리병실과 내부 복도 사이의 완충 역할을 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당시 보건복지부 중앙 메르스 관리 대책본부에 따르면 상당수의 병원이 전실을 갖춘 정식 음압병상이 아닌, 병실만 음압 상태로 유지한 일반 병실에 메르스 환자와 의심 환자들을 격리하였다. 지금도 많은 병원들은 병실만 음압이 유지되고, 병실 밖은 공동으로 사용되는 비음압복도인 전실이 없는 음압 병실을 공기전파 가능성이 있는 결핵 환자의 입원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병실의 출입문이 닫혀있는 경우 실간 차압에 의해 공기가 병실 밖에서 부터 병실로 들어오기 때문에, 전실이 없는 음압병실과 전실이 있는 음압격리병실 모두 오염 공기의 유출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의료진의 출입과 문의 개폐에 의해 차압이 유지되지 않아 병실 내 오염 공기가 병실 밖으로 이동하여 교차오염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음압병실 내 효율적인 입자 제거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CFD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병실의 환자가 기침한 경우 기침 토출입자의 거동특성에 관한 3가지 주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 번째로 2015년 한국 메르스 발생 당시 첫 번째 감염 환자로부터 발생된 감염 입자의 공기 중 이동경로를 파악하였다. 해석 결과 병실의 창문과 출입문의 개폐가 입자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감염 환자가 입원하였던 병실의 창문으로부터 유입된 외기에 의해 토출 입자들이 열린 출입문을 통해 복도로 확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rborne 입자와 droplet 입자 모두 병실 밖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비음압복도와 음압병실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와 전실과 음압격리병실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의료진과 출입문의 이동에 따른 공기 유동과 입자의 이동을 해석하였다. 해석결과 의료진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기류의 변화에 의해 입자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진이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후류에 의해 입자가 따라서 움직이며, 비음압복도로 이어져있는 음압병실과 전실이 갖추어져있는 음압격리병실 모두 의료진이 병실 밖을 나갈 때 병실 내부의 오염 공기와 입자가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음압격리병실에서의 환기 방식과 기침 방향에 따른 입자의 확산 특성을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 측벽배기방식이 천장배기방식보다 입자 제거에 효과적이고, 병실 내 입자의 침적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방향의 기류 분포를 유도하는 음압병실임에도 불구하고 감염 입자는 병실 전체로 확산되어 환자 주변과 침대 외에도 의료진, 천장, 바닥, 측벽 등에 많은 양의 입자가 침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양극성 장애 성인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정민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Bipolar disorders are one of the major mental illnesses along with schizophren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Symptoms of bipolar disorders include the two polarized states of moods which called the manic episode and depressive episodes, and the experience of symptoms can cause severe distress and difficulty in an adaptation by interfering multi-dimensions of life. Art therapy can help people with the bipolar symptoms express emotional conflicts that were difficult to verbalize in a safe way, and it connects splitted self-images so as to discover the positive aspects of themselves. Especially, group art therapy has a unique benefit to adults with bipolar disorder because they can get support from each other while they go through negative feedbacks from other stemmed from social stigma. There are many art therapy groups for adults with mental illness in Korean mental health and clinical fields but, most studies focused on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for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such as schizophrenia. Thus, few research studies on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of adults with bipolar disorders have been reported and there is a limitation upon understanding the lived experience of bipolar adult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found meaning of lived experiences by describing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people who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s with genuine and authentic word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adults who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s and what is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Max van Manen's methods for hermeneutic phenomenology that composed of 11 stages including 4 steps for analysis such as, 'concentrating on the esence of experience', 'existential experience inquiry',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writing'. Seven participants are aged from the twenties to mid-fifties, and they participated in group art therapy with different numbers. The minimum number of attended sessions was 6, and the maximum was 150. Participants met with the principal investigator one or two times for the interview from May to October 2018. The investigator explained thoroughly about the research purposes and participants' right when the research agreement form was presented to them. The records of interview and artwork were collected under participants' consents, and literature and art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 were collected. The data collection was ended at the point of saturation. The result contains 9 subjects and 30 sub-subject and the detailed results shown below. <Participated art therapy with recommendations at first but, becoming voluntarily enjoyed as it goes>, <Encountered myself and other group members with different diagnosis through art therpy>, <Difficult to concentrate while comparing with others and noticing other people’s gaze>, <Feeling the energy of art therapist who helped people concentrate on art therapy and kindly welcoming me>, <Being able to reveal myself as it is through art materials and art expressions>, <Discovering personal changes through symptoms exhibited on artworks as making them>, <Artwork in art therapy moved emotions by revealing the hidden interiors and memories>, <Experiencing the personal growth through art-making with other people>, <Feeling competent to face the inner positivity as the complex mind has been detoxed through art therapy>.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trospect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adults with bipolar disorders started participating in art therapy with no expectations but, they became trusting the art therapy as experiencing art therapists' supportive attitudes. Second, bipolar adults compared them with others during group art therapy sessions and they felt negative feelings but, they later found out that they have grown up with other members. Third, adults who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s noticed the process of how their symptoms appeared as they express themselves freely in an art therapy session. Fourth, adults with bipolar disorders explore their hidden inner aspects through artmaking, and they discover the potential positivity. This study conducted on adults who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and the contributions to scholarly and clinical facets of the research are the below. This study shed a light into the lived experience of adults with bipolar disorders participating in clinical group art therapy.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detailed and practical information of clinical art therapy for art therapists and art therapy students. Moreover, the findings can increase awareness and knowledge on adult bipolar clients and contribute building a scholarly foundation in clinical art therapy. 양극성 장애는 조현병, 주요우울장애와 함께 정신건강의학과에 입원하게 되는 주요 정신 질환이다. 흔히 조울증으로도 알려져 있는 양극성 장애는 조증과 우울증이라는 극단적인 기분 상태가 교차되어 나타나 현실 적응을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심각한 고통을 초래한다. 이러한 증상을 가진 성인들에게 미술치료는 언어로 표현하기 힘든 정서적 갈등을 안전하게 드러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파편화된 자아상에 연결성을 부여하여 자신의 긍정적인 면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특히 집단미술치료는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위축과 부정적인 평가에 노출되기 쉬운 양극성 장애 성인들에게 지지적인 상호작용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임상현장에서는 이미 정신 질환을 겪고 있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많은 집단미술치료가 수행되고 있으나, 주로 조현병과 함께 만성 정신 질환으로 분류되어 이들 모두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 검증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따라서 양극성 장애 성인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단독으로 다루고 있는 국내의 선행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으로, 양극성 장애 성인의 경험을 실질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 장애 성인들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당사자의 언어로 생생하게 기술하여 그 체험이 가지는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함에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양극성 장애 성인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것이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로 돌아가기’,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라는 4가지의 분석 과정으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성인으로서 20대 초반부터 50대 후반까지의 성인 남녀 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의 집단미술치료 참여 횟수는 최소 6회기에서 최대 150회기이다. 이들은 2018년 5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연구자와 일대일 면담을 최소 1회에서 2회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연구 참여 동의서를 통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 참여자로서의 권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받았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담 자료뿐만 아니라 연구 참여자의 미술작업도 함께 수집되었으며, 연구 주제와 연관된 예술 작품에서도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 수집은 모든 자료가 포화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종료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총 9개의 대주제와 3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주변의 권유로 기대 없이 미술치료를 시작했으나 점차 참여를 즐기게 됨>, <미술치료를 통해 나와 다른 진단을 받은 집단원들의 모습을 마주함>, <다른 사람과의 비교나 나에 대한 시선으로 인해 미술치료에 온전히 집중하는 것이 어려움>, <사람들을 미술치료에 집중시키고 친근하게 맞아주는 미술치료사의 에너지를 실감함>, <미술재료와 미술표현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자유롭게 드러냄>, <미술작업을 하면서 나타나는 증상을 통해 예전과 달라진 나를 발견함>, <미술치료에서의 미술작업은 숨겨져 있던 나의 내면과 기억을 드러내어 감정이 움직여짐>, <집단미술치료에서 미술작업을 통해 다른 사람과 함께하는 과정이 나를 성장하게 함>, <미술치료를 통해 복잡한 마음이 디톡스되면서 내 안의 긍정을 마주할 자신감이 생김>. 이와 같은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극성 장애 성인들은 병원과 기관에서 기대 없이 집단미술치료를 시작하게 되었지만 미술치료사의 지지적인 태도로 점차 미술치료에 대한 신뢰를 가진다. 둘째, 양극성 장애 성인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다른 진단을 받은 집단원들과 마주하면서 자신과 비교하게 되었지만, 미술작업을 통해 집단원들과 함께 성장하게 된다. 셋째, 양극성 장애 성인들은 미술치료를 통해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동안 자신의 증상이 변화하는 과정을 알아차린다. 넷째, 양극성 장애 성인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그동안 감추어 왔던 내면을 탐색하게 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긍정적인 가능성을 발견한다. 양극성 장애 성인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대해 진행된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의 학문적인 측면과 임상 현장에 기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임상미술치료 중에서 양극성 장애를 진단받은 성인들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을 당사자의 생생한 언어로 담아내어 그 의미를 밝혔다. 이는 임상 현장에서 미술치료사 및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생들에게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양극성장애 성인에 대한 이해를 높임과 동시에 임상미술치료학에서 기초 자료 개발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유색방울토마토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물질 및 항산화 능력

        정민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과일과 채소의 고유의 색상이 항산화, 항암, 항균 등에 효과 있는 식물성 화학물질(phytochemical)에서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컬러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유색방울토마토(주황색, 흰색, 노란색, 초록색, 검정색 등)가 개발되었으며 컬러푸드의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유색방울토마토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또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몇몇 논문에서 유색방울토마토 분석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국내에서 수확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품종의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토마토는 환경적요인 뿐만 아니라 유전적 요인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성 함량을 나타내는 만큼 더욱 다양한 유색방울토마토 품종의 기능성 분석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색방울토마토 12품종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물질 및 능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붉은색 방울토마토 3품종(‘DOTORI RED TY’, ‘TY Item’, ‘KT RED TY’), 주황색 방울토마토 2품종(‘TY Sispen’, ‘KT ORANGE TY’), 흰색 방울토마토 1품종(‘WHITEJOY TY’), 노란색 방울토마토 3품종(‘YELLOW TINNY’, ‘DOTORI NORANG TY’, ‘KT NORANG TY’), 초록색 방울토마토 1품종(‘Green Joy’), 검정색 방울토마토 2품종(‘BLACKLIN’, ‘BLACK JOY200’)을 구매하여 분석하였다. 추출은 80% 메탄올을 사용하였고 유기산, 당, polyphenol 분석은 추출물을 희석하여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로 정량화 하였다. 유색방울토마토의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로 확인되었고 주요 당은 fructose, glucose로 확인되었다. Lycopene은 다양한 유색방울토마토 중 붉은색, 검정색 방울토마토와 한 품종의 주황색 방울토마토(‘KT ORANGE TY’)에서 발견되었다. 유색방울토마토의 total flavonoids 함량은 22.58-60.26 mg RE/100 g FW이었고 total phenolics 함량은 51.31-74.74 mg GAE/100 g FW이었으며 total flavonoids 함량은 total phenolics 함량의 41.04-86.91%를 차지하였다. 유색방울토마토의 주요 polyphenol은 chlorogenic acid, rutin, (-)-epigallo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유색방울토마토의 total ascorbic acid 함량은 14.46-34.89 mg/100 g FW이었다. 마지막으로 유색방울토마토의 항산화 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29.11-51.31 mg VCE/100 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ABTS 라디칼 소거능력은 60.37-87.79 mg VCE/100 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색방울토마토에 다양한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색방울토마토는 보는 즐거움뿐만 아니라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성인의 반려동물 상실 경험과 복합 비애

        정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반려인들의 반려동물 상실 경험을 살펴보고 반려동물 애도의 맥락에서 복합 비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 애도 척도(Pet Bereavement Questionnaire: PBQ)와 반려동물 애착 척도(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 LAPS)를 번안하였으며, 최근 10년 이내에 반려동물을 안락사한 경험이 있고 복합 비애 반응을 한 가지 이상 경험하고 있는 성인 160명을 대상으로 애도 반응, 복합 비애, 부정적 비애 인지, 반려동물 애착, 성인 애착, 심리적 부적응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번안한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반려동물 애도 척도는 ‘비애/슬픔’, ‘트라우마’, ‘죄책감’의 3요인 구조로 나타났으며, 반려동물 애착 척도의 경우 1요인 구조로 나타났다. 둘째, 상실이 갑작스러웠던 경우 반려동물 애도, 복합 비애, 부정적 비애 인지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현재 다른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는 경우 상실한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복합 비애, 심리적 부적응 수준은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반려동물 관련 온‧오프라인 커뮤니티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 반려동물 애도, 복합 비애, 부정적 비애 인지, 심리적 부적응, 반려동물 애착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상실 원인에 따라 반려동물 애도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급성질환으로 상실한 경우 노화로 상실한 경우에 비해 반려동물 애도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반려동물 애도, 일반 애도, 부정적 비애 인지, 복합 비애, 심리적 부적응 간에 높은 정적 상관이 있으며, 반려동물 애착은 성인 애착과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경과시간은 일반 애도, 부정적 비애 인지, 복합 비애, 심리적 부적응과 낮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와 반려동물 애도, 일반 애도, 복합 비애, 부정적 비애 인지, 심리적 부적응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복합 비애에는 부정적 비애 인지, 심리적 부적응, 반려동물 애도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정적 비애 인지가 반려동물을 안락사로 상실한 반려인들의 복합 비애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해 반려동물 애도의 맥락에서도 부정적 인지가 복합 비애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함을 발견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반려인들이 경험하는 애도 반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적절한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death of a companion animal and the risk factor of complicated grief. For this study, Pet Bereavement Questionnaire(PAQ) originally developed by Hunt and Padilla(2006) and 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LAPS) developed by Johnson, Garrity & Stallones(1992) went through a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procedure to be adapted. 160 adults who euthanized their companion animal within 10 years and experienced at least one complicated grief reaction completed Pet Bereavement Questionnaire(PAQ), Texas Revised Inventory of Grief(TRIG), Prolonged Grief-13(PG-13), Grief Cognitions Questionnaire(GCQ), Brief Symptom Inventory-18(BSI-18), 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LAPS), and Korean version of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Revised(ECR-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AQ consisted of three factors and LAPS consisted of one facto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pet bereavement, complicated grief and negative cogni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death was sudd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pet attachment, complicated grief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another companion animal. And depending on whether they belonged to the commun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pet bereavement, complicated grief, negative cognition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of pet bereavement depending on the cause of loss. Fourth,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pet bereavement, negative cognitions, complicated grief,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Time since the lo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cognitions, complicated grief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But social support was not correlated with any variables. Last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egative cognitions had the biggest impact on complicated grief.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the death of a companion animal, this study revealed that negative cognitions wer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complicated grief. Also, this stud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companion animal loss and related grief react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실용 수학 '공간' 단원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도형의 표현'을 중심으로

        정민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거나 수학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와 유용성을 느낄 수 있게 하고,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실용 수학’ 과목의 성격과 목표, 성취기준에 따라 ‘공간’ 단원의 ‘도형의 표현’에서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의 변화는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실용 수학의 ‘공간’ 단원의 ‘도형의 표현’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2.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의 타당성 및 적합성은 어떠한가? 3.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학생들에게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정의적 특징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1을 달성하기 위해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개발방향을 설정하였고, 실용 수학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성취기준과 실생활 소재의 책에 근거하여 겨냥도와 전개도, 쪽매맞춤, 트러스 구조를 학습 소재 및 주제로 선정하여 총 6차시의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문제 2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바탕으로 현직 수학교사 8명을 대상으로 타당성 및 적합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는 실용 수학 수업에 활용할 자료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얻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수·학습 자료의 수정 보완점을 찾고 추가적으로 물은 개선사항에 대한 조언을 통하여 교수·학습 자료를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연구 문제 3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소재에 있는 I고등학교 1학년 학생 2명을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서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징의 변화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활동지, 수업 전·후 면담, 캠코더 녹화를 활용하여 수학의 정의적 특징 중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봤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실용 수학 ‘공간’단원의 ‘도형의 표현’에 관한 교수·학습 자료는 수학에 대한 흥미를 잃거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수학의 심미성을 느끼고 수학 활동을 즐거움을 경험하고 수학의 유용성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진로선택과목인 ‘실용 수학’의 ‘공간’ 단원의 ‘도형의 표현’의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고 교사의 수업준비에 가능한 자료이다. 둘째, 실용 수학 ‘공간’ 단원의 ‘도형의 표현’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는 학생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수학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가 있었다. 학생들의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 시키고 자신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용 수학 ‘공간’ 단원의 ‘도형의 표현’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실생활과 수학이 인접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이는 수학을 왜 배워야하는지 학생들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생활 속에서 볼 수 있는 평면도형과 입체도형에 대하여 수학적으로 접근해 봄으로 수학이 실생활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지 인지할 수 있었다. 즉, 학생들이 수학적 가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실생활에서의 여러 가지 상황을 수학적 눈으로 바라보는 수학적 안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용 수학 ‘공간’단원의 교수·학습 자료는 수업에 활용하기에 적합한 교수·학습 자료이고 학생들에 수학이 실생활과 연관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징에 대해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 온다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hecking the change of character of affective domain for students after developing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mathematics teachers are able to use in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 of 'Practical mathematics' in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se purpos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How the learning materials constitute about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in the Practical mathematics? 2. What ar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3. What is the change of defining features when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apply to students? For achieving first research problem, I set development direction after analyzing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I chose a sketch map, a planar figure, a tessellation, a truss as my subject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a book about substance and achievement standard and goals and characters of Practic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n I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For achieving second research problem, I did a survey about suitability and validity to eight mathematics teachers as based on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To achieve the last research problem, I lectured to two students who are in I highschool in Jeollabuk-do Province for using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Through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I checked what the change of defining feature of students about mathematics is. For checking, I recognized the change of value cognition, confidence, and interests through the paper of activities of the class, face-to-face talk after and before class, and camcorder recording. I got the result from this study. First, the learning materials about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makes the students lose an interest of mathematics or do not recognize a worth of mathematics feel aesthetic impression and usefulness about mathematics and experience pleasure of mathematics' activity. Moreover, these materials are able to use in the class of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Second, the learning materials about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makes the students helps th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mathematics and there are changes of confidence about mathematics. As using material which can access easily, it makes having more interested and confidence about mathematics as natural. Therefore, the learning materials as using the materials which can access easily affects positive about students' defining features. Last, as using the learning materials about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students recognized that mathematics and real life are very closed. Through this, the students can find answer why they need to learn mathematics by themselves. And also they recognized how many mathematics are used in real life as approaching mathematically about a plane figure and a solid figure. In other words, the students could recognize mathematical worth and have mathematical perspective in several real life. Fi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learning material in 'Figure expression' of 'Space' unit is a suitable material for class. And this study provided the chance of cognition how mathematics and real life are closed. Moreover, it brings positive change about defining features in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