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식물플랑크톤과 물벼룩을 이용한 저농도 비점오염원의 영양염류 제거

        정다운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For removal of nutrients from eutrophic stream water polluted by non-point sources, an artificial microbial food web (AMFW) system comprising processes of phytoplankton growth and Daphnia magna grazing was developed. The AMFW system was a continuous flow system constructed with one storage reservoir of 3 m³ capacity, one phytoplankton tank of 3 m³ capacity and one zooplankton growth chamber of 1.5 m³ capacity. The system was optimized by setting hydraulic retention time of phytoplankton tank as 3 days and D. magna density as 740-1000 individual l-1. When the system was operated on a eutrophic stream water that was delivering 471 g of total nitrogen (TN) and 29 g of total phosphorus (TP) loadings for 45 days, 250 g (53%) of TN and 16 g (54%) of TP were removed from the water during its passage through the phytoplankton tank. In addition, 64 g (14%) of TN and 4 g (13%) of TP were removed from the water by harvesting zooplankton biomass in the zooplankton growth chamber, resulting in significant overall removal rates of TN (69%), nitrate (78%), TP (73%)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94%). Whil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AMFW system is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eco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wetland technology, its operation is less limited by availability of space or seasonal shift of temperatur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AMFW system is a highly efficient, flexible system for reducing nutrient levels in tributary streams and hence nutrient loading to large aquatic systems receiving the stream water.

      • 입학사정관제의 현황 분석과 조직 간 협력모형 개발

        정다운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입학사정관제의 시행 현황과 이에 대한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대학, 고교 간 바람직한 협력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들이 실시되었다. 먼저 입학사정관제가 시행되고 있는 현황의 전반적인 경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1년에 정부 지원을 받은 4년제 대학 60곳의 2012학년도 입학사정관제 전형유형과 활용된 평가자료들을 대상으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평가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입학사정관 3명과 고교 교사 4명, 그리고 입학사정관제 전형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조사한 결과들을 수합하여 현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조직 간 협력모형’을 Chen이 제시한 프로그램 논리의 개념적 틀’에 근거하여 구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내용 및 방법들을 통해 도출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사정관제의 전형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자기추천 및 전공적합 유형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기회균등, 농어촌‧지역균형‧지역인재, 전문계 고교 및 재직자, 재외국민 유형 순으로 그 뒤를 따랐다. 둘째, 현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활용되는 평가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전형들이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활용하였다. 추천서 역시 절반 이상의 전형에서 활용되었으나, 포트폴리오와 수능최저학력은 상대적으로 활용 빈도가 낮았다. 셋째, 대학 입학사정관과 고교 교사, 입학사정관제 입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평가 이해관계자들은 모두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대학생들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대학 생활의 만족도도 높다는 긍정적인 시각을 나타냈다. 또한 입학사정관제 도입 이후에 교내 활동과 고교-대학 간 연계가 활성화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현 입학사정관제가 지닌 문제점 및 한계로 애매모호한 평가준거, 새로운 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 부족, 입학사정관의 평가전문성에 대한 의문, 공정성 논란, 평가의 부담, 입학사정관의 불안정한 지위, 대학의 소극적인 태도, 효과성 검증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였다. 전형 유형 및 평가자료에 대한 양적 분석과 평가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들은 고교와 대학, 그리고 정부 간 협조 체제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각인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의 핵심 조직인 고교-대학-정부 간 협력모형을 구안하였다. 변화모형에서는 ‘조직들 간의 협력’과 ‘입학사정관제의 원활한 시행’이라는 궁극적인 목적을 성취하는 데 조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처치들을 인과적 논리에 따라 정리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행위모형에서는 변화모형을 통해 정리된 여러 가지 처치들이 서로 유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절차 및 작동 방식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이제까지 실시된 입학사정관제 관련 연구들 중 체제 중심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전무했던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의 운영 방안을 모형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직 간 협력모형은 정부-대학-고교 간의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침을 제시한다. 따라서 여러 이해관계자들이 협력적으로 업무를 이행함에 있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 향후 입학사정관제의 운영에 관한 정책 수립 시 유용한 정보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조직 간 협력모형은 입학사정관제의 운영뿐만 아니라 평가에 있어서도 평가준거로서 활용 가능하다. 조직 간 협력모형을 통해 입학사정관제의 운영지침과 평가준거가 일치를 이룬다면, 평가 활동 및 결과가 제도의 개선과 발전에 효과적으로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among adults in South Korea

        정다운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among adults in South Korea Abstract The term “multimorbidity” refers to one person with two or more diseases at the same time. This is a concept that has emerged as diseases continue to accumulate with the ongoing increases in life expectancy. It signals the need for better patient management because it increases mortality rates and the cost of medical care and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individuals. Multimorbidity pattern study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its complexity and designing management protocols. On the other hand, several dietary factors such as food and nutrient intake, dietary habits, and dietary quality index have been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multimorbidity. To date, there has been a lack of investigation regarding multimorbidity in Korea.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mmon multimorbidity patterns in Korean adul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cardiometabolic diseases pattern (CMP).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design, and multimorbidity patterns were ident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Dietary factors including food and nutrient intake, dietary quality index, and diet habits were evalu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factors and multimorbidity pattern was estimated by multivariable regression analysis. Three multimorbidity patterns were identified: CMP, an inflammatory diseases pattern (IP), and a cancer and other diseases pattern (COP). The three multimorbidity patterns overlapped, and CMP was the most common [52.5%]. The CMP subjects were older and were more likely to be male and less educated, have a lower income, and be laborers. A higher number of them were smokers and high-risk consumers of alcohol a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in this group, intake of carbohydrates, calcium, fruits, sugar, and sweetener was lower than in the non-CMP group. Moreover, the intakes of calcium (OR=0.809; 95%CI=0.691-0.945), potassium (OR=0.838; 95%CI=0.704-0.998), fruits (OR=0.841 ; 95%CI=0.736-0.960), and vegetables(OR=0.857; 95%CI=0.746-0.985)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CMP, while the consumption of irregular meals(OR=1.164; 95%CI=1.034-1.312) and skipping breakfast(OR=1.279; 95%CI=1.078-1.518)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MP.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CMP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the multimorbidity patterns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and highlighted that CMP was associated with reduced calcium, potassium, fruits, and vegetables intakes. An unhealthy lifestyle including eating irregular meals, skipping breakfast,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was also found to increase the risk of CMP in this study.

      • BMS 빅데이터를 이용한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효과 분석 : 강남대로 사례를 중심으로

        정다운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2004년 서울시는 도시 내 혼잡을 해소하고 버스 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해 주요 간선도로 중앙에 버스통행을 위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도입하였다. 그런데 2014년 기준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는 19.9km/h로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속도 20.2km/h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서울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평균통행속도 감소는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 정차용량 초과에 의한 것이라는 견해가 대다수이나 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내 정류장들의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용량 초과 현상이 통행시간과 정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기위해 BM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행시간, 정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정차용량 초과 분석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정류장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양방향 모두 강남역 정류장에서 평일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통행시간을 분석한 결과 강남대로 양방향 모두 대부분의 정류장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는 버스의 통행시간(초/km)이 일반차로를 이용하는 버스 통행시간보다 짧게 나타났는데 강남역 부근에서만 역전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시성 분석 결과 양방향 모두 0~1사이의 정시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지역의 버스차로 정시성과 비교했을 때 나쁘지 않은 정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과 통행시간, 정시성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의 상관관계는 0.38로 나타났고 정차면 용량초과와 정시성의 상관관계의 경우 0.36으로 나타났다. 즉, 정차면 용량초과와 통행시간, 정시성의 상관관계는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차면 용량초과 현상은 정시성보다 통행시간에 미비하지만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녹색시간비율(g/C), 정차시간, 정차대수와 정차면 용량 초과 현상과의 상관관계도 분석해 보았는데 그 결과 정차대수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다음으로 정차시간이 정차면 용량초과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C의 경우에도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경우 5월 한 달 자료를 이용하여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만 분석하였기 때문에 향 후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서울시 전체 중앙버스전용차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운영평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In 2004,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Seoul were supposed to improve Bus Service quality. However now, Bus travel speed(km/h)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19.9km/h. This speed is slower than Bus travel speed in ordinary Bus Lane. Many felt that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diminished bus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analysed the Bus stop excess, travel time and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Using BMS big data. A Bus stop capacity excess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exceeded the capacity limit. Such a capacity excess phenomenon mainly appears on weekday. A Bus travel time in Gangnam-daero analysis showed that most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is less than ordinary bus lane. but, the bus travel time in Exclusive median bus lnae near Gangnam station is more than ordinary bus lane. A Bus stop Reliability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analysis showed that all bus stop in Exclusive median bus lane reliability were between 1 and 0. so, Exclusive median bus lane in Gangnam-daero reliability is good. In this study analysed two correlation analysis. One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travel time of 0.38,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Another correlation analysis is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There is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us stop capacity access and bus reliability of 0.36,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 샴푸 테크닉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정다운 광주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샴푸 테크닉의 표준화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현재 뷰티 숍(Beauty shop)에서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는 샴푸 매뉴얼(Shampoo manual)이 각기 다름에 따라 직원의 숍 간 이동 및 미용 초보의 숍 적응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샴푸 테크닉(Shampoo technique)의 표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 지역 중심으로 직급에 제한 없이 현재 뷰티 숍에 근무하고 있는 헤어 종사자와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헤어 종사자 230명, 고객 3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헤어 종사자 209부, 고객 30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다중범위 검정(Scheffe's multiple range test), Cronbach‘s 의 계수를 통해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 된 샴푸프로세스 및 샴푸 테크닉에 대한 필요성에 대하여 전체 대상의 52.4%가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고, 필요성의 이유로서 뷰티 숍의 각기 다른 샴푸 프로세스로 인한 효율성에 대하여 58.7%가 답하였다. 대체적으로 학력이 높고 직급이 낮을수록 표준화 된 샴푸 프로세스의 필요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표준화 된 샴푸 프로세스의 교육적인 효과의 차이를 검정해 본 결과, 샴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던 연구 대상자들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높았고,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던 연구 대상자들의 샴푸 프로세스의 교육적 효과가 가장 낮았다. 셋째, 표준화 된 샴푸 프로세스 교육 이수 후 고객 만족도를 5점 척도를 사용하여 검정한 결과, 고객 만족도가 평균 4.47을 보였다. 따라서 표준화된 샴푸 프로세스가 필요하며 이를 통한 교육으로 헤어 종사자의 이직과 초보 미용인의 뷰티 숍 적응력을 높이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며, 고객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샴푸 서비스를 받음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가 향상되어 미용경영에 있어서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조사의 지역이 전남지역으로 한정되어 있고 뷰티 숍에 근무하는 헤어 종사자의 비율에 미치지는 못하므로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조사 지역의 확대를 통해서 지역적 편중에서 벗어난 연구 및 헤어미용 종사자의 비율을 높여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에서 수술 전 낮은 근육량과 수술 후 조기 예후의 연관성: 후향적 연구

        정다운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말기 간 질환이 있는 소아 환자에서 골격근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수술 후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 환자에서 수술 전 낮은 근육량이 수술 후 조기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2007년 2월부터 2018년 1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에서 생체간이식을 받은 12세 미만 소아 환자의 전자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4-5번 요추간판과 같은 위치의 요근(psoas),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척추기립근(erector spinae)의 단면적을 측정하였고, 각각 키의 제곱으로 나눈 뒤 합하여 전체 골격근 지수(Total skeletal muscle index, TSMI)를 구하였다. 연구집단의 두 번째 오분위수의 중앙값인 전체 골격근 지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다. Clavien-Dindo classification 3등급 이상의 조기 (수술 후 30일 이내) 수술 후 합병증을 주요 수술 후 합병증으로 정의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수술 전 낮은 근육량과 조기 수술 후 예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SMI점수1859.1 mm2/m2에 따라, 생체간이식을 받은123명 환자 중 (연령 중앙값, 14개월; 범위 8-38 개월), 29%는 Lower muscle mass 군 (평균 TSMI 1642.5 ± 187.0 mm2/m2), 71%는 Higher muscle mass 군 (평균 TSMI 2188.1 ± 273.5 mm2/m2 )으로 분류하였다. 주요 수술 후 합병증 발생 (36% vs. 37%; P = 0.944), 기계 환기 기간 > 96 시간 (17% vs. 10%; P = 0.369), 중환자실 재원기간 > 14일 (14% vs. 16%; P = 0.758), 입원 기간 연장 > 30일 (50% vs. 58%; P = 0.448) 및 병원 내 사망률 (6% vs. 5%; P = 1.000) 측면에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을 사용하여 전체 골격근 지수에 의해 정의된 수술 전 낮은 근육량은 생체간이식을 받는 소아 환자의 조기 수술 후 예후와 독립적인 관계가 없었다. Background: Low skeletal muscle mass may develop in children with end-stage liver disease, affecting postoperative outcomes.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is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Methods: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children (age< 12 years) who underwent LDLT between February 2007 and January 2018 were reviewed. The cross-sectional areas of the psoas, quadratus lumborum, and erector spinae muscles at the level of the fourth to fifth lumbar intervertebral discs were measured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divided by the square of the height, and combined to obtain the total skeletal muscle index (TSMI).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dian TSMI for the second quintile. Early postoperative (within 30 days after surgery) complications classified as Clavien-Dindo grade 3 or higher were considered as major.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and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Based on the TSMI score of 1859.1 mm2/m2, of 123 patients (median age, 14 months; range 8–38 months) who underwent LDLT, 29% were classified in the lower muscle mass group (mean TSMI 1642.5 ± 187.0 mm2/m2), and 71% in the higher muscle mass group (mean TSMI 2188.1 ± 273.5 mm2/m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incidences of major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36% vs. 37%; P = 0.944),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 96 hours (17% vs. 10%; P = 0.369), intensive care unit stay > 14 days (14% vs. 16%; P = 0.758), hospital stay > 30 days (50% vs. 58%; P = 0.448), and in-hospital mortality (6% vs. 5%; P = 1.000). Additionall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dverse postoperative outcomes according to PELD scores and sex, respectively. Conclusions: Preoperative low muscle mass defined by TSMI using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as not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LDLT.

      • 농민 재배의향을 반영한 양파 재배면적 증감률 예측

        정다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파는 양념채소 생산액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가격변동이 심한 품목으로 국내 채소류 5대 물가 민감품목 중 하나이다. 최근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인용하는 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본부의 통계 조사방식 차이에 의해 두 기관의 재배면적 통계 결과가 크게 달라 언론과 농민의 질타를 받고 있다. 또한 통계청에서는 양파 재배면적 통계 결과를 다음 해 4월에 공표하여, 시의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민의 양파 재배의향면적 증감률과 양파의 전년도 8월 도매가격, 전년도 마늘․양파 재배 농가의 10a당 순수익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지역의 양파 재배면적 증감률을 예측하였다. 또한, 재배의향면적 증감률 변수 유무에 따른 모형별 실제 재배면적 증감률의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2017년부터 2019년 전남 양파 재배면적 증감률을 예측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모형과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모형을 사용하였다. Onion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production of seasoned vegetables, and are one of the top five price-sensitive items for vegetables in the country as price-rigging items. Recently, the two organizations have been criticized by the media and farmers for their far different statistics on the area of cultivation due to differences in the statistical survey methods of the agricultural observation headquarters of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which are ci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lso, the issue of timeliness has emerged as the NSO published the results of onion cultivation statistics in April of the following year. In this study, the growth and reduction rate of onion cultivation area in Jeollanam-do area was predicted by using the farmer‘s growth directional area increase rate of onion cultivation and the wholesale price of onion in August of the previous year and net income per 10a of garlic and onion cultivation in the previous year. In additi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actual growth area increase and decrease rate by model was compar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variable of the forward area increase and decrease of farmer’s cultivation. Data from 2002 to 2016 were used to predict the increase or decrease rate of onion cultivation in Jeollanam-do from 2017 to 2019 and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the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model were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다운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 조선족 사회는 1990년대 개혁개방과 한중수교를 계기로 대규모 인구이동이 일어났으며 그 이후 조선족 인구 절반 이상이 원 거주지를 떠나 중국의 대도시나 연해부 더 나아가 한국, 일본 등 해외로 진출하게 되었다. 이처럼 부모 세대의 빈번하고 반복적인 해외 이주로 인하여 가족구조의 안정성이 취약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불안정한 관계가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조선족 사회현상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며, 심리치료적 접근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조선족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2.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자녀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3. 모래놀이치료 후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은 어떠한 변화과정을 보이는가? 4. 모래놀이치료에서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와 자녀의 모래상자 장면에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계는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모래놀이치료의 개별 단일 사전․사후 실험설계로 구성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에게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아동의 행동평가척도(CBCL), 부모자녀관계를 실시하였으며, 자녀 또한 부모와 마찬가지로 부모자녀관계 척도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사전 설문지를 위한 사전세션 2일, 사후 설문지를 위한 사후세션 1일, 부모자녀상호작용 2일, 그리고 6일 동안 격일로 40분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검증을 위해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는 오정자, 김영아가(2010) ASEBA 체계하의 CBCL 6-18(2001)을 2007년 말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예비 출시를 거쳐 2010년 정식 출시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부모자녀관계 측정도구는 박영신(2013)이 제작한 부모용 부모자녀관계와 자녀용 부모자녀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양적 분석 방법인 통계프로그램 SPSS 20.0을 사용하여 사전‧사후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을 실시하였고, 비모수 검정 가운데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하위 변인 별 분석에서는 실험집단이 문제행동총점, 내제화, 외현화, 위축우울, 주의집중문제, 기타문제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다. 둘째, 모래놀이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부모자녀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하위 변인 별 분석에서는 부모 실험집단이 통제와 갈등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으며, 자녀 실험집단에서는 정서적 지원,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기대일치, 통제, 갈등, 거부, 적대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가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한 결과, 놀이에서의 변화와 의사소통에서의 변화를 불 수 있었다. 놀이변화에서 초기 조선족 부모는 놀이를 강압적으로 통제하거나, 놀이를 주도하였는데 모래놀이치료 후 자녀가 놀이를 선택하길 기다려주고 함께하고자 하는 욕구를 표현하였으며 자녀는 부모의 눈치를 보며 소극적으로 행동하다 모래놀이치료 후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하며 주도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의사소통의 변화에서도 초기 조선족 부모들은 자녀와의 대화함에 있어서 차가운 말투를 사용하거나 나무라는 말투 등을 사용하였는데 모래놀이치료 후 자녀의 행동을 다독여주거나 행동들을 받아주는 모습이 보였다. 자녀들은 모래놀이치료 후 주도적이며 적극적으로 대화를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조기분리를 경험한 중국 조선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에서 나타난 대표적 주제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경우 자녀와의 관계의 걱정, 삶에 대한 인식, 자녀의 경우 관계에 대한 욕구, 안정 및 돌봄에 대한 욕구가 나타났다. 이는 조기분리를 경험하여 부모와 자녀 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국 조선족의 사례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발생되는 어려움에 대한 내용들임을 알 수 있다. 부모의 경우 조기분리를 통하여 자녀에 대한 불편감과 중국 조선족의 특성상 자녀에게 대리욕구를 표현하며 발생되는 갈등 등이 나타나고, 자녀의 경우 그러한 부모와의 갈등과 어려움을 표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연구 결과는 아동의 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치료적 프로그램으로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키워드 : 모래놀이치료, 조기분리, 행동문제, 부모자녀관계 The Korean Chinese society has experienced mass migration since chinese economic reform and Korea-China diplomatic ties in the 1990s, more than half of their population have departed from their residence and moved to large cities in China, the Maritime Province and one step further Korea, Japan and other oversea countries. Like this the vulnerability of family structure by frequent and repeated oversea movement of parents generation, and the unstabl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have been issued. Accordingly the study on the social phenomenon of Korean Chinese has been performed, the necessity of psychotherapy approaches have been emerged. This study is to research if it is effective to the enhancement of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nd the reducement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s study set following study topics. 1. Sand play therapy program can reduce the problem behavior of Korean Chinese children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2. Sand play therapy program may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f Korean Chinese experienced 3. Interaction between parent and child of early separation Korean Chinese who have experienced is, look to the process of what kind of change? 4. Whether the process of theme changes in the sand play scene of the parent and the child of Korean Chinese who have experienced an early separa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individual, single, advance and post experiments of sand play therapy program to research the effect of sand play therapy targeting the Korean Chinese parents and children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The advance and post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Behavioral Assessment Scale of children(CBCL) was performed to research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the level of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arly separation,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scale was also performed to children. Program operation included the advance session of 2 days for advance survey, the post session of 1 day for the post-survey, the interaction of parents and children of 2 days and 40minutes sand play of every other day for 6 days. For the verification of study, we used scale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for parents and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for children scale produced by Park Yong Shin(2013), the CBCL 6-18(2001) under ASEBA system by Oh Jeong A, Kim Yong A(2010), which was formally released in 2010 after pre-release and standardization work in the end of 2007.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study, we conducted non-parametric test by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0.0 which is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to search the prior and post implication, we conducted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mong non-parametric test. We can summarize the result researched by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parents relationship was meaningfully improved for the test group that participated the sand play therap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participate to the program. In sub variables specific analysis, parents test group showed the meaningful elevation in control and conflict, children test groups showed the meaningful elevation in emotional support, parent’s sacrifice, parents respect, the compliance for parent’s expectation, control, conflict, rejection and hostility. Second, the children’ problem behavior was meaningfully reduced for the test group participated the sand play therap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n’t participate to the program. In sub variables specific analysis, tested group showed the meaningful reduction in behavior problems total scor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contraction and depression, attention problems and other problems. Therefore above study result reports that it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parents children relationship, reduci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it has a possibility as a therapy program. Keyword : Sand play therapy, early separation, behavior, parents relationship.

      •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 : 로마서 11장 25-32절의 석의적 연구

        정다운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은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에게 구원의 능력이 되며(1:16), 하나님은 감람나무에서 잘려나간 이스라엘의 가지들을 다시 접붙일 능력도 갖고 계신다(11:23). 하나님께서 본래 유대인들과 언약을 맺으셨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현재 불신앙 가운데 있는 이스라엘의 역사적 삶의 정황가운데 이 약속은 어떻게 성취될 수 있을까? 이스라엘의 선택과, 그리스도의 복음이 동일한 하나님의 두 행위라면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는 다름 아닌 하나님의 신실성의 문제가 된다. 하나님이 신실하시다는 진리자체가 이 두 사실을 부인 하실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해답을 제시한 곳이 로마서 9-11장이고, 특별히 본문 11장 25-32절은 이 물음에 대한 최종적 결론이자, 절정이다. 사도 바울은 그 절정의 한 복판에서 “그와 같이,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얻으리라”(11:26)고 확신 있게 선포한다. 그러나 이 명백한 선포는 다름 아닌 ‘신비’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므로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가 풀려질 때, 로마서의 중심주제인 ‘하나님의 의’는 비로소 모든 믿는 자에게 구원을 주시는 복음의 능력으로서 궁극적인 완성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본문에서 질문되고 그 질문에 답하는 하나의 주제로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가 어떠한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밝히기 위하여 각 장에서 다음과 같은 논의들을 개진하였다. 그것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로마서에 나타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언어적 고찰을 통하여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dikaiosu,nh,, dikaiosu,nh qeou/, pi,stij, avlhqh,j, o` qeo.j avlhqh,j, avlh,qeia, avlh,qeia tou/ qeou/와 같은 중요 단어들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특별히 ‘하나님의 의’는 구약적인 배경에서 그 언약의 약속에 대한 신실하심으로 정의 되었고, ‘믿음’과 ‘진리’역시 하나님의 신실하심으로 해석되었다. 다음으로 로마서의 구성을 통해서 로마서의 중심 주제 가운에 나타난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해 살펴보았다. 로마서에는 바울의 두 강조점이 나타난다. 첫째로, 칭의론이 계진되는 곳에서 바울은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을 향해서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동등한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로, 로마서 9-11장에서 바울은 이방인 그리스도인들을 향해서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에게 우월감을 갖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필자는 두 가지의 주장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중심주제로 로마서 1장 16-17절을 제시했다. 어휘적 고찰과 함께 중심주제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는 그 백성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의로운 행위였으며, 이것 또한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관련되었다. 그 다음에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로마서의 전체 맥락가운데 어떻게 통일성과 연관성을 이루는지 살피기 위해 본문 상호간 연구를 하였다. 한(F. Hahn)은, 로마서 1-8장과 9-11장의 통일성을 복음과 약속의 관계로 보았다. “먼저는 유대인에게요 그리고 헬라인에게로다”라는 주제적 선포에 따라 하나님의 의, 믿음으로 말미암은 의, 그리고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유대인과 이방인 즉 모든 대상에게 확대되고 적용되어져야 할 보편성이라는 방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을 토대로 로마서의 전체의 구성을 살펴보니, 로마서 1-8장에는 유대인과 이방인을 위한 하나님의 의로서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복음’으로 타나났다. 또한 로마서 9-11장에서는 이스라엘을 위한 하나님의 의로서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약속’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복음과 약속의 관계는 한마디로 이 둘을 제정하신 하나님의 신실성이라는 신학적 문제로 압축되고, 이러한 1-11장에 대한 바울의 신학적 주해는 12-15장에서는 각각의 권면에 대한 이념적 토대를 제공했다. 즉, 하나님의 신실하심으로 정의되는 하나님의 의가 온 세상을 향한 복음으로(1-8장), 이스라엘을 향한 언약의 약속의 성취로(9-11장), 그리고 공동체 안에서의 해석학적 적용(12-16장)으로 구현되었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로마서 전체의 맥락 속에 통일성과 연속성을 가지는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딜레마에 부딪히는 곳이 바로 로마서 9-11장의 이스라엘 문제였다. 하나님의 약속을 받았음에도 현재 복음을 거절하고 있는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는 하나님의 신실성과 인간의 불신실성이 충돌하는 곳이었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로마서 9-11장의 결론이요, 절정인 이스라엘의 구원 문제를 신비의 형태로 전하고 있는 로마서 11장 25-32절의 석의가 요구되었다. Ⅲ장에서는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 위하여, 로마서 11장 25-32절의 석의를 수행하였다. 로마서가 상황서신임을 감안하여, 로마서 전체의 맥락 속에서 수사학적인 구조로 본문을 분석하였다. 특별히 본문에서 신비의 형태로 전하는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해석의 열쇄인 kai. ou[twj에 대한 학자들의 입장을 정리, 검토하였다. 필자는 kai. ou[twj를 양태적인 의미로, ‘그와 같은 방법으로’ 해석되는 것이 옳으며, 또 본래의 ‘신비’(11:25b-26a)와 뒤에 나오는 성서 인용(11:26b-27)을 분리시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함을 살펴보았다. 유대인의 궁극적인 구원을 선포하는 본문은(11:25-32) 바울이 전하고자 하는 신비(25a)와, 신비의 내용(25cd-26a) 그리고 첫 번째 논증으로 신비에 대한 성서의 인증(26bcd-27ab)과 두 번째 논증으로 신비에 대한 해석의 근거를 제시(28-32)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바울이 전하고자 하는 이스라엘의 구원에 대한 신비는 “온 이스라엘이 구원을 얻으리라”는 희망적 선포에 의해 그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본문에 대한 석의를 통해 얻게 된 해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에 나타난 ‘신비’의 내용은 1) 이스라엘에게 부분적으로 완악함이 일어났다. 2) 그러나 이스라엘의 완악함은 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들어오기 까지 이다. 그리고 그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이스라엘’은 구원될 것이다. 본문의 석의를 통해 밝혀진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는 다음의 3가지로 해석된다. 첫째, 이방인의 충만한 수가 찰 때까지라는 ‘이스라엘의 부분적인 완악함의 시기가 끝이 있다’라는 신비이다. 둘째, 그러나 그것이 참으로 신비인 것은 그 구원의 때가 언제라는 시간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은 방법’으로 주어진 다는데 있다. 즉 이방인이 구원을 받게 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스라엘의 구원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말이다. 셋째, 이방인의 충만한 수의 유입과 온 이스라엘의 구원은 서로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게 될 것이다. 또한 이 구원의 순서가-이방인 그리고 유대인으로- 역전됨으로서 과거의 언약 안에서의 이스라엘의 특권이 아닌, 예수그리스도에 관한 믿음 안에서 유대인과 이방인의 동성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온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에 대하여 바울은, 2번의 논증을 통하여 확증하는데, 첫째로 구약성서의 인용을 통해, 오직 예수그리스도의 복음 이외에 특별한 다른 길이 없음을 증거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이스라엘의 구원이, 하나님의 우주적이고 보편적인 차원의 구속사 안에서, 모든 불순종한 자들에게 긍휼을 베푸시는 하나님의 취소될 수 없는 신실하심에 근거되고 보증됨을 주장한다. 이상의 본문에 대한 주석적인 연구를 통하여 마지막 Ⅳ장에서는 본문에서 제기되는 신학적인 질문들에 답해보았다.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이스라엘의 구원의 신비’에 대한 해석학적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바울과 이스라엘에서는, 바울이 말하는 ‘온 이스라엘’은 과연 누구를 말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답한다. 이들은 먼저, 영적인 교회로서의 이스라엘이 아닌, 이방인과 구별되는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된 혈통상의 이스라엘임이 밝혀졌다. 더 나아가, 온 이스라엘의 범주는 그리스도를 믿는 신앙과 관계없이 역사 속에 존재했던 모든 혈통적인 이스라엘이 아니며, 또한 역사상 구원 받은 남은 자 전체로서의 믿는 유대인만도 아님을 살펴보았다. 온 이스라엘의 범주는 구원사적으로 남겨진 자와 여기서 제외되었던, 현재는 완악해져 있으나 마지막 때에 구원을 얻게 될, 이방인의 충만한 수에 상응하는 인종적 이스라엘의 많은 수이다. 즉, 이방인들의 충만한 수가 구원으로 들어가면, 그 후에야 ‘전체 이스라엘’이 구원을 받는다는 맥락 속에, ‘하나님에 의해서 정해지고 채워진 선택된 백성으로서의 전체 이스라엘’을 말한다. 이것은 개별적인 것이 아닌, 집합적인 의미로서, 개개인을 말하는 것이라기보다 전체로서의 이스라엘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로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구원에서는,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구원사적 상호관계와 구속사의 완성인 이스라엘의 구원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관계는 한 부류가 다른 부류에 대해 우월하다는 개념이 아닌, 이스라엘과 이방인 사이에 차별이 없다는 동등함의 차원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방인의 구원은 서로의 역할 속에서 그 역동성을 드러낸다. 이스라엘의 불복종이 이방인 선교를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되고, 동시에 이방인 선교는 차례로 이스라엘의 시기와 개종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마침내 이방인들의 종말론적인 구원은 이스라엘의 종말론적 구원에 앞서 수행될 것이다. 또한 바울은 이스라엘의 구원을 하나님의 구속사의 궁극적인 완성으로 본다. 바울에게 약속의 백성 이스라엘이 빠진 하나님의 복음 역사의 완성은 상상할 수 없다. 왜냐하면 바울에게 구원은 창조자가 자신의 약속을 성취함으로써 세상에 대한 그의 권리를 확립시키는 바로 그런 의이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의 역사의 의미, 약속의 유효성,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진리는 서로 분리될 수 없이 결부되어 있다. 만약 유대인에 대한 약속이 그 효력을 상실한다면 복음은 더 이상 궁극적인 확신을 줄 수가 없을 것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속과 복음의 변증법적 관계는 반드시 이스라엘의 구원을 통하여 풀려져야할 신비였다. 셋째로 이스라엘과 믿음에서는, 이스라엘의 구원이 하나님의 구속사에 있어서 궁극적인 완성을 이룰 만큼 중요하다면, 이스라엘을 위한 특별한 구원의 길이 있다는 말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답한다. 이스라엘 역시 ‘특별한 방식’이 아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에 의존한다. 하나님께 접근할 수 있는 단 한 가지 가능성은 오직 믿음의 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신비는 ‘온 이스라엘은 특별한 긍휼에 의해서 구원을 받을 것이지만, 그것은 남은 자들이 구원을 받은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방인들이 구원받은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이다’로 해석되었다. 여기서 바울이 제시한 믿음의 방식은 로마서의 주제에 나타난 ‘믿음에서 믿음으로’를 통해 해석된다.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인간의 믿음을 말한다. 이 믿음은 하나님께 대한 절대적인 충성의 의미라기보다는 무조건적인 신뢰로 이해되어지는 믿음이다. 믿는 자가 구원을 가져오시는 하나님과의 관계로 들어와서, 그것을 유지하고 있을 때, 그가 하나님의 계속되는 신실하심을 믿는 믿음에 의존하여 살 때, 그 믿음에 대한 하나님의 신실하신 손길로 인해 하나님이 인류에게 의도하셨던 삶의 충만함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스라엘에게도 믿음 이외에 다른 어떤 구원의 가능성이란 있을 수 없음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하나님의 신실하심은 이스라엘의 구원을 통해 증명되고, 이스라엘의 구원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통해 근거되고 보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바울에게 있어서 온 이스라엘의 구원은 이신득의 복음과 분리 될 수 없으며 이방인과 분리될 수 없고 하나님의 신실하심에서도 분리될 수 없다. 이 모든 것과 분리되지 않은 채 완성되는 온 이스라엘의 구원은 바울에게 있어서 하나님의 신비이자 능력임을 살펴보았다.

      • 삼차신경 손상 환자에서의 적외선 체열 검사의 진단학적 유용성

        정다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치과치료 후 발생한 편측 삼차신경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적외선 체열 검사를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손상부위 피부의 온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적외선 체열 진단 검사의 유용성 및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연구 대상 및 방법: 2011년 11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안면부 감각저하 및 감각이상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하여 구강안면통증검사 및 간이신경검사를 통하여 편측 삼차신경 하악분지 손상으로 진단된 환자 중, 전류인지역치검사 결과 편측 삼차신경 하악분지의 감각이상이 객관적으로 입증된 총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적외선 체열 검사를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였다.결과: 삼차신경 하악분지의 좌, 우측 피부온도 차이(ΔV3; 이환측-비이환측)는 -0.21±0.25℃로 상악분지의 좌, 우측 피부온도 차이(ΔV2) 0.00±0.17℃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00).그러나 전류인지역치검사 차이의 수준, 통증 유무, 이질통 유무, 통각과민 유무,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를 통하여 평가한 하악관의 손상 정도에 따른 ΔV3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결론: 적외선 체열 검사를 편측성 삼차신경 하악분지 손상의 객관적인 평가기준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향후 더 많은 삼차신경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 randomizes controlled trial)로 설계된 적외선 체열 검사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