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우산업의 경영구조와 판매전략에 관한연구

        정근정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한우산업은 축산물의 수입자유화(1997년), 구제역 및 광우병 가축의 소모성 질병 다발로 인하여 소비정체 등 국내외 시장의 급격한 환경 변화로 과도기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한우농가에서는 개방화·국제화시대에 대응하고 수입쇠고기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브랜드화를 통한 차별화를 강화하고 있다. 브랜드화가 전국적으로 붐을 일으켜 현재 한우브랜드는 153개(2002년 말 현재) 업체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브랜드활성화 조건에 있어서 생산농가는 사육규모 및 사육기반이 영세하고 사료 및 사양관리 등에 있어서 일정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선 연구자료 및 통계자료 등을 이용하여 한우산업의 현황을 개관하고 브랜드 한우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제일한우농장의 사례조사를 통하여 경영평가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조사 내용은 경영비 ·생산비 조사와 수익성 분석 및 기준비교를 실시하였다. 또한 손익분기점 분석과 함께 경영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조사결과, 생산비 면에서는 사육규모 50두~60두 미만(2004년) 국립 농산물 품질관리원 「축산물 생산비 조사결과」 전국평균 163,442,960원에 비하여 제일한우 농장의 생산비는 574,754,411원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창업시 고정자본 투자에 대한 부담이 컷음을 의미 한다. 한편, 손익분기점 분석결과 손익분기 제로가 되는 매출액은 1,151,306,280 원, 송아지 생산두수는 149.6두 였다. 기업경영은 무엇보다도 경영자 능력에 좌우된다. 경영자의 고급육 생산의욕과 우수한 밑소의 개량을 통하여 일정 소득을 확보할 수 있다. 제일한우농장은 초기 번식경영으로 시작하였으나 점차적으로 일관경영체계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원가절감 및 우량 한우집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축산물의 수입자유화에 대응하는 원가절감의 목표, 고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브랜드 화 에는 반드시 우량암소 및 유전자원의 다양성 확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소득확보야 말로 가장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Domestic Hanwoo beef cattle industry is in time of transition stage with the severe change in the market situation by the liberalization of import for animal products, and frequent occurrence of cattle dissipative diseases such as foot-and-mouth disease or mad cow disease. On this situation, Hanwoo breeding farm fortified the specialization of their products from others to increase the compatability with imported beef and therefore they can cope with liberalization and globalization. So far, 153 specified Hanwoo brand beef(at the end of year 2002) have been registered. However, Hanwoo beef cattle farms are still small in breeding and farming size. and feeding technology also is not reached yet to high grade.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up-to-date of Hanwoo beef industry by using former research and statistical data. In order to study the improvement in management, we made case study for randomly selected JEIL Hanwoo beef cattle farm.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management expense, producing expense and analysis of earning rate. Further evaluation for the profit-and-loss account and the safety in management were made. In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found that JEIL Hanwoo beef cattle farm showed higher production cost of 574,754,411won compared to 163,442,960won of average level of total farms(50~60 heads of farming size) in our country from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for production cost" reported by National Quality Evaluation Center. This may due to the high investment cost for the fixed assets. Meanwhile, sales account for profit-and-loss diverging point were 1,151,306,280won in and 149.6 heads of calf production. The management of business depends on the ability of manager. For example, profit from beef cattle farm may be promising when the manager has strong enthusiasm for high quality beef production and the breeding improvement of growing cattle for fattening. It is suggestable that JEIL Hanwoo farm gradually have to change their feeding stratege from reproduction based management to total managing system. Then, they can reduce production cost and keep the excellent Hanwoo colony. All together, it is demonstrated that, how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to cope with import liberalization and brand-beef production for additive profit raising are guaranteed by keeping good genetic ability for female beef cattle.

      • 소 생산이력관리시스템 생산단계 정보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정근정 韓京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육)우산업은 농업 산출액 기준으로 보면 쌀, 돼지, 다음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산업으로 농가의 주요 소득원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이후, BSE(영국, 1997년), 구제역(국내, 1999년) 등 축산식품 관련사고 다발, 쇠고기 및 생우시장 개방(2001년 7월) 등 한우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국내외 급격한 환경변화의 대응방안으로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안심·안전 축산물의 생산-유통-소비에 관한 근본적인 대책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그 동안 진행되어온 소 전산화사업, 쇠고기 생산이력관리시스템 시범사업의 성과를 비교 · 정리하고 소 생산이력관리시스템 구축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어려움이 큰 한(육)우 산업의 이러한 다면적인 과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사육농가의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전제로 하여 문제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것은 관련 제도개선 및 체계적인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조사 결과,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개체식별을 확립함으로서 생산, 도축, 가공, 판매단계 정보의 통합관리 외에도 가축의 개량 및 경영진단 활용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정보 이용이 가능하다.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의 개체식별 확립은 체계적이고 자발적으로 농가 참여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생산이력관리시스템에 대한 농가의 인식은 미흡하고, 그에 따라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의 생산단계 정보구축이 어렵다. 소 전산화사업 및 쇠고기 생산이력관리시스템 시범사업에서 실패의 원인 중 생산단계 정보구축과 농가 인식에 문제점 들 수 있다. 생산단계 정보구축은 농가정보, 개체식별번호, 개체정보 등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농가가 체계적인 기록관리를 통하여, 자발적으로 관련기관에 신고하여 개체식별 이표를 발급 받아 부착하는 사항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농가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의 관련기관은 시스템에 대한 농가교육과 홍보를 강화시켜 농가의 인식을 높이고, 생산이력관리시스템과 함께 연계사업을 실시하여, 생산단계 정보구축이 필요하다. 소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이 소비자들에게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한 축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은 생산단계의 개체식별의 확립 및 정보구축에 있으나 시행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로 인해 몇 가지 어려움이 있다. 첫째, 운영체계 구축 및 추가 비용부담 문제이며, 둘째, 영세 양축가 및 유통담당자의 적극적인 참여문제, 셋째, 소비자들의 생산이력관리시스템에 대한 인식문제, 넷 째, 부정유통에 대한 문제, 다섯째, 공통된 D/B구축이 절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산·학·관·연 제휴 부족과 전문가의 의견을 적절히 반영하지 않는 행정 및 정보 공개의 누락, 소비자의 이해 부족 등의 법률과 제도의 문제점을 수정하고 개혁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향후 바람직한 방안으로 소비자 건강 신뢰확보를 최우선을 목적으로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을 통한 리스크 분석은 식품 안전성의 확보와 관련되는 기본적인 내용을 들 수 있으며, 가축전염병 예방과 공중위생 시점의 강화로 쇠고기에 제로·리스크는 있을 수 없다는 정보를 기초로 개개인이 선택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소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의 구축은 생산자에게는 관련 교육을 통하여, 개체의 정보구축, 개량과 고품질 한(육)우 생산에 이용하고, 소비자에게는 안전성과 투명성을 제시하고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평가, 가공에서 소비까지의 전 과정을 철저한 리스크 관리 확립과 가축질병 전파의 신속한 역추적 및 소급이 가능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rom the perspective of agricultural out-turn, the Korean beef cattle industry takes up an important place, following rice and pork, securing a position as a major source of income for farm households. Since the mid-1990s,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Korean beef cattle industry has rapidly and dramatically changed including such frequent incidents related to livestock food products as BSE(England, 1997) and foot-and-mouth disease(domestic regions, 1999)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market of beef and living cattle(July 2001) to the world. As a response to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 diverse studies on food safety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hardly exist some fundamental measures regarding safe and secure production-distribution-consumption of livestock farm products. In view of this, this study attempted a comparative summary on the outcomes of the electronic database project on cattle and the beef traceability system project that have been under way so far and carried out a case study of the cattle traceability system implementation. As an alternative to get over the multi-lateral challenges the Korean beef cattle industry in trouble faces on the assumption that a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of breeding farm households is performed as a complementary measure,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s and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traceability system should be prioriti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the improvement and the diagnosis on the management of the livestock through the traceability system by establishing object identification in addition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ion, butchery, processing and sales. The establishment of object identification in the traceability system should be in operation based on systematic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 households. However, the awareness on the traceability system of domestic farm households is not sufficient, which makes it hard to implement the information on the production stage for the traceability system. The causes of failure of the model projects of the electronic database build-up on cattle information and the beef traceability system include the hardships of setting up the information on production stage and the lack of awareness of farm households. The information establishment regarding production stage includes farm household information, object identification number and object information, all of which need be recorded in a systematic way and reported voluntarily to related authorities by farm households to get earmarks to be attached to the cattle. To promot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farm households, the authorities in charge of the traceability system are to enhance th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n the system toward the farm households to improve their awareness on the system and to establish the information system on production stage by undertaking some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traceability system. The huge advantage of the cattle beef traceability system to provide consumers with more hygienic and safe stock farm products depend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s for object identification in production stage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which faces some obstacles caused by problems that may rise in the course of operation. First, it is a problem of the construction of the operation system and of the burden of additional cost; second, a problem of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distribution cost; third, the problem of the customer recognition of the traceability system; fourth, the problem of corrupt distribution; fifth, the pressing need of the construction of a common D/B. There is the need to correct and revolutionize the problems of law and system that cause lack of consumer understanding, omission of information and administration that doesn't appropriately consider the professional opinion and that is suffering from lack of coalition amongst industry . education . government . research. The securing of food safety and related basic information can be realized by the risk analysis through the traceability system which primarily targets on ensuring the consumer health trust as a desirable scheme for the future. There is also an absolute need of recognition that providing the ability for individuals to self-select on the basis of information by strengthening public hygiene and prevention of cattle-related contagious diseases. The construction of the cattle traceability system can be used in the improved construc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individual and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Korean beef cattle by education the producers with appropriate content. The same cattle should present safety and transparency and make possible the establishment of strict risk management and retroact and countertrack the propagation of cattle-related diseases for the entire process of evaluation, manufacturing and consumption in order to gain trust from consu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