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삼축압축시험시 일정체적조건에서의 모래의 전단특성에 관한 연구

        정경주 호남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전단강도정수를 얻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구속압력을 일정하게 하고 전단시험을 실시한다. 모래의 경우에는 투수성이 양호하여 하중이 순간적으로 작용하거나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 배수조건을 만족한다. 이 경우에 느슨한 모래에서는 부피가 감소하고 촘촘한 모래에서는 부피가 팽창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부피가 변화하지 않고 전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속압력이 일정한 경우에는 입자가 입자위로 이동하면서 전단이 발생하고 부피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굴림 마찰과 미끄럼마찰이 발생하며 억물림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화된다. 그러나 부피가 일정한 경우에는 입자가 다른입자위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입자의 파쇄현상이 발생한다. 구속압이 일정할 때 부피팽창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입자의 파쇄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일정한 구속압조건에서 보다 일정체적조건에서 Peak Strength가 큰 경향이 있다. 실제에서 부피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실내 실험에서도 부피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험을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체적조건과 일정 구속압조건에서 Peak Strength 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모래의 상대밀도가 약 55% -85%정도인 공시체를 제작하여 부피변화를 허용하는 삼축압축시험과 일정체적 삼축압축시험을 각각의 상대밀도마다 행하였다. 상대밀도가 느슨한 정도(very loose, loose)와 매우 조밀한 정도(very dense)에 대해서는 공시체 제작의 어려움과 실제 현장조건에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중간정도(mediem)와 조밀한 정도(dense)의 시료만 제작하여 시험했다. 상대밀도가 55 % - 85 %까지 변화하는 동안 부피를 허용하는 경우 모래의 마찰각은 32.4˚ - 38.1˚까지 변화하였다. 일정체적조건에서 시험한 경우 상대밀도가 65 %이하인 중간정도의 밀도에서는 부피변화를 허용하는 일반적인 삼축압축시험에서 구한 마찰각보다 약 4.9 % - 8 % ( 1.3˚ - 2.7˚)까지 증가했고, 65 % - 85 % 까지의 조밀한 정도의 밀도에서는 중간정도보다 더 큰 약 8 % - 12.1 % ( 2.7˚ - 4.6˚) 까지의 마찰각의 증가가 있었다. In general the coefficient of shear strength is measured by triaxial test under constant confining pressure. Because of the relatively high permeability of sands, drained conditions are suitable mostly to them except the case of impact loading and repeated loading. Loose sands may be decrease in volume as they are compressed and dense sands increase in volume. But shear can happen without volume change at practical situations. In case that confining pressure constant, soil particles move around their neighbors and the volume of the soil changes as the shear proceeds. Consequently rolling friction and sliding friction are experienced, the degree of interlocking relatively decreased. But In case of constant volume, Fracturing of the particles is happened because they can't move around their neighbors. Generally, The dense specimen which has been held under constant volume can reveal a much greater peak strength than the specimen which remains under constant confining pressure more energy because needed in the case of fracturing of the particles needs more energy than expansion of volume. In this study, Specimens are made with sands to find out the change of peak strength under condition of constant volume and constant confining pressure, and ther relative density are about 55~85%. Constant volume triaxial test and triaxial test under constant confining pressure are practiced under about 55~85%. Test specimens are medium to dense because very loose to loose are difficult in practical and very dense is uncommonly at practical situations. In the case of constant confining pressure, as the relative density is increased to 55~85%, the friction angle is increased by 32.4~38.1。. In the case of constant volume, In the medium sands(65% less than), the friction angle of constant volume is increased by 4.9~5.8%( 1.3~2.7。) to the ordinary triaxial test and in dense sands(65~85%), the friction angle of sands is more increased than medium density sands by 8~12.1%(2.7~4.6。).

      • 누름 무게가 압화의 화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정경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물재료 15종 18품종의 꽃잎을 사용하여 압화 시의 누름 무게가 화색이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누름 무게가 무거울수록 명도가 높아지고 색상이 옅어졌는데, 이것은 꽃잎이 무게에 의해 얇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채도는 누름 무게가 무거울수록 옅은 색이 높아지고 짙은 색이 낮아졌다. 그러나 노란색을 지닌 큰잔수선 ‘아마다’와 장미 ‘시트란’만은 채도의 변화가 없었다. 누름 건조했을 때 화색이 변하지 않는 것은 노란색, 흰색, 크림색, 분홍색, 그리고 진분홍색이었다. 카네이션, 튤립 등의 적색은 채도가 낮아지고 a값과 b값도 낮아져 황갈색으로 변하였다. 주황색 글라디올러스는 a값과 b값이 낮아져 분홍색으로 변하였다. 적자색은 청변 하였는데, 그 이유는 청색이 높아진 것이 아니라 적색이 감소하였기 때문이었다. 보라색 역시 적색이 낮아져 청변 되었다. 청색의 참제비꽃과 아네모네는 a값과 b값이 모두 낮아져 청변 하였으나, 육안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장 효과적인 누름 무게는 종에 따라 다양하였다. 화색이 옅거나 꽃잎이 얇은 금어초 ‘오클란드’, 글라디올러스 ‘스틱앤드스판’, 장미 ‘시트란’, 큰잔수선 ‘아마다’, 타젯타 수선, 스토크, 오리엔탈나리 ‘메두사’, 덴팔레, 그리고 팔레놉시스의 경우에는 3kg이 적당하였으며, 아네모네, 장미 ‘이구아나’, 참제비꽃, 카네이션 ‘타우로’, 튤립 ‘아펠둔’ 등 대부분의 식물재료는 6kg이 적당하였다. 그리고 팬지, 거베라 등과 같이 꽃잎과 꽃받침이 두껍고 화색이 짙은 경우에는 9kg이 적당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E값이 생화와 비슷하다고 해서 가장 이상적인 누름 무게라 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같은 종이라 하더라도 명도, 채도, 색상이 일정하게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장 효과적인 누름 무게는 화색이 조금 변한다 하더라도 꽃잎이 수축되지 않고 일그러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명도와 채도의 변화가 적고 가벼운 것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sing weight on color or quality 05 petals. Fifteen species and 18 cultivars were used as plant material. Result shows that heavier pressing weight affected higher brightness and tinted color and it represents pressing weight resulted in thinner petals. Chroma was higher in pale color and lower in deep color effected by heavier pressing weight. However, chroma was not changed at all in yellow color of large-cupped narcissus(Narcissus pseudo-narcissus) and Rosa hybrida cv. Citran. Flower color of yellow, white, cream, pink, and deep pink were not changed by pressing dehydration. Chroma and value of a and b became low in Dianthus caryophyllus, Tulipa gesneriana, and so on and color of them changed into yellowish brown. Orange color of Gladiolus ×gandavensis changed into pink and value of a and b became low. Reddish purple turned into blue and it was caused not because of the increase of red but because of the reduction of red. Purple changed into blue owing to the decrease of red as well. Blue color of Delphinium ajacis and Anemone coronaria did not remained their original blue and it was because value of a and b, however,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y observation with eyes. The most effective pressing weight was diverse according to species. Proper weight was 3kg for pale flower color or thin petal of Antirrhinum majus cv. Auckland, Gladiolus ×gandavensis cv. Spic and span, Rosa hybrida cv. Citran, large-cupped narcissus(Narcissus pseudo-narcissus),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Matthiola incana, Lilium Oriental Hybrids cv .Medusa, Dendrobium phalaenopsis, and Phalaenopsiss schilleriana and 6kg for most of plant material including Anemone coronaria, Rosa hybrida cv. Iguana, Delphinium ajacis, Dianthus caryophyllus cv. Tauro, and Tulipa gesneriana cv. Apeldoorn. And 9kg was appropriate for deep flower color or thick petal and calyx such as Viola tricolor var. hortensis, Gerbera jamesonii, and so on. From above result, although value of ∆E value is similar to that of fresh flowers, it was not caused by optimal pressing weight. Because brightness, chroma, and color did not changed regularly in the same species. Accordingly, optimal pressing weight contributed to prevention of shrinking and rumpling in petals, little change of brightness and chroma, and light dry weight in spite of slight change of flower color

      • ICT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한 과학과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과학적태도에 미치는 효과

        정경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CT 활용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적용한 과학과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과학적태도에 미치는 효과

      • 동물체험활동에 대한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정경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wareness and demand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by parents and infant teachers supported by infant education agenc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the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i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and to stabilize and promote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surveys for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in Gunsan and Junju area. A total of 422 copies were distributed to parents and teachers, and 375 copi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except for non-recovered questionnaires. I measured the frequency of survey data using Excel and SPSS 19.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eachers and parents, more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were being conducted by parents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Most of the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information was posted, a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only write animal experience activity names and content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encourage children who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to participate as much as possible. Teachers conducted the most visits to zoos, while parents conducted the most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visiting infant education institutes. Both teachers and parents said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are necessary. The educational effect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was the development of a sense of respect for life and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Teachers and parents said that the most appropriate form of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is to visi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Also Teachers and parents said three to four years old is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start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Teachers and parents said they need to support animal experience activities by strengthening the animal protection law and offering national animal experience programs.

      • 고든법(Gordon Method)기반의 창의성 계발학습을 위한 디자인교육방법 연구

        정경주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대적 화두로 떠오르는 창의성은 디자인 교육에서 체계적인 교육의 계발과 도입을 필요로 하고 강조되어진다. 또한 현대 정보화 사회에서의 항상 새롭고, 의외성을 요구하는 것을 디자이너는 민감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스스로 사고하고 창조해 나가야 할 미래의 디자이너들에게 창의성은 날이갈수록 요구 되는 자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성은 기본 요소에 대한 재탄생의 개념으로, 하나의 문제에 대해 여러 가지 해결점을 찾고, 여러 가지 지식과 정보를 하나로 결합하는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 즉,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 지식의 기억과 재생이라는 개념을 뛰어 넘어 창의적으로 사고 할 수 있게 방법을 모색해 주는 디자이너 특유의 사고과정을 강조해야 하는 것이다. 사고하는 방법을 몸에 익히는 일이 중요하며 창의적 사고의 태도와 습관형성에 창의성 계발 학습의 바탕을 두어야 한다. 창의성 계발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학습자들의 가능성을 실현 시키며 교육을 통해 창의성은 계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창의성 계발 기법의 하나인 고든법(Gordon Method)은 진짜 주제는 제시하지 않고, 근본적인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방법이다. 주제와 상관있는 추상적이고 개면적인 주제를 제시한 후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내는 방법으로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문제가 지나치게 구체적이 되면 자칫 현실적인 문제에만 사고를 국한시키게 되어 기본적으로 아이디어를 발상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즉, 고든법은 주제와 전혀 관계없는 사실로부터 발상을 시작해서 문제 해결로 몰입하게 만드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기법들과의 접근방식이 다른 것으로 디자인 교육에서의 새롭게 시도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고든법(Gordon Method)을 기반으로 디자인 교육에서의 창의성 계발학습을 위한 기법을 연구해봄으로써, 디자인 교육에서 자유롭게 방법적 모색으로 인해 아이디어를 발산해 내며, 학습자들의 잠재되어 있는 창의성을 계발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연구 결과에 관한 의의와 활용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고든법(Gordon Method)기반의 창의성 계발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 할 수 있는 동기유발적 기회 제공으로 잠재되어있는 창의성을 계발 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 둘째, 디자인 교육에서 고든법(Gordon Method)의 활용은 기존 기법들의 교육적 도구로서의 연구의 새로운 시도로, 학습자들이 구속된 사고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자유 연상기법으로 다자인 관련 학과에서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셋째, 체계적인 단계에 걸친 방법으로 개인과제와 집단과제를 통한 토론 등으로 사회성을 키우며 사고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창의성의 가치로움을 인식하게 될 것이며, 창의적인 사고의 확장과 독창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을 목적으로 진행 되었으며, 고든법(Gordon Method)을 비롯한 기법의 활용과 수업방법을 통해 창의적인 디자이너를 육성하고 양성하는 발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는 다양한 교사와 학생들의 연수 프로그램과 지원으로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며, 교사는 학습자들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자유롭고 자발적으로 수업 할 수 있게 격려해주며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 습관화 될 수 있는 계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The creativity which has been impressed these days is a code that is vital to live. Creativity is a base that human being will be able to live as they are in the future, and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human being win skills and machinery. so, it needs that a human who thinks free and behaves with creativity rather than a man who is in fixed idea . Design is always new in the informational age, needs exception, and designers should accept it. Creativity which is needed for future designer who should think alone needs more and more for their life. Although, people thought creativity is important, they interfere student to think of it. Teachers think that result is more important than exact answer or procedure , in are design, to make, to result is thought to be more important. In art design, creativity is concept of rebirth of fundamental component, which finds various answers about one problem and ability to make various thought one thing . In short, we should stress more on though of designer which make the students think above their memories. In order to do that, student needs to be in cozy condition and we needs to encourage them to be inspired creativity. Like this situation, It is required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s and education in order to inner and outer of education creativity. It is also required in education of design, and continued to be developed creativity which can not be done in short time. I wan to look for the way how to express their idea which is underneath. I suggest that study is done by facilitating Gordon Method and focus on students express voluntarily and freely. Gordon method is a way that does not provide main answer and makes students think about the topic. Not knowing of the theme, we can think freely at the beginning point, and it is efficient to remove the origin of the problem. Gorden method is effective that students discuss fluently, and get a chance to presentation which can make thought creatively The procedure of design education that can get a lot of effect on all the design education provide positive thought.

      • 중등교사 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 체제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 연구 : 전국 사범대학 일반사회 전공을 중심으로

        정경주 성신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의 교사 임용시험은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는 가장 공식적이며 객관적인 시험방식이다. 국ㆍ공립 중등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 임용시험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래의 교사를 꿈꾸는 예비교사들에게 있어서 임용시험은 다른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는 시험 평가 체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것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교사선발제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둘째,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결과가 교사 임용시험 체제 및 교사선발제도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시험평가에 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교사 임용시험 체제의 특성에 맞게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16개 대학의 2010학년도 1학기 일반사회 전공과정을 이수하면서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총 286명의 4학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구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사(Cronbach'a),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즉, 남자 예비교사보다 여자 예비교사들이 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교사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전문 능력의 측정과 시험의 운영방식 및 절차-에 더욱 긍정적으로 동의하였다. 이것은 교직이 ‘여성의 직업’ 이라는 사회적인 인식과 분위기가 예비교사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성별에 따라 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에 상대적 차이를 가져오게 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둘째, (주관적)학업성취도에 따른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 중 시험의 절차적ㆍ형식적 합리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시험의 절차적ㆍ형식적 합리성에 더 불신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은 시험에 대한 치열한 경쟁과 합격에 대한 열망이 매우 강한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험 체제의 불합리성에 더욱 민감한 태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시험의 절차적⋅형식적 합리성에 불신하는 모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셋째, 시험 체제에 대한 신뢰성을 전형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1차 선택형 시험과 3차 수업능력 실기평가 시험보다 2차 논술형 시험을 가장 불신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차 논술형 시험이 시험 출제와 기준이 명확히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개별 출제자의 자의적 판단에 의한 시험 출제와 비공개 채점 방식이 이루어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불신감을 갖게 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 및 교사선발제도에 관한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이어질 필요가 있으며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체제에 대한 연구에서 좀 더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다듬어진 측정 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 기혼남녀가 지각한 심리적 독립과 성역할정체감유형에 따른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경주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현대사회는 부부중심의 핵가족 형태의 구조로써 가족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족관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족관계의 중심인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관심을 갖고 ‘결혼생활 전반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또는 태도로서, 결혼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개인의 만족정도’ 라고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이에 따라 먼저 결혼을 전 후로 하여 결혼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독립에서의 독립수준과 성역할 정체감에서의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결혼만족도 관련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194명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 하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6년에서 20년의 결혼기간을 갖고 부부와 자녀를 가족구성원으로 하는 가족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은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 정서적 독립, 갈등적 독립 등이며,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남성성, 여성성, 양성성, 미분화 형으로 나누어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test,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독립수준, 성역할 정체감유형, 결혼만족도 수준을 파악하였는데 이에 따른 차이는 정서적 독립과 태도적 독립 부분에서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은 심리적 독립 수준을 나타내었고, 성역할 정체감 유형은 남녀 모두 양성성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만족도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심리적 독립 수준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 결혼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어머니와의 심리적 독립에서 태도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높았고,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아버지와의 심리적 독립에서 갈등적 독립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성역할 정체감유형 중 양성성 유형은 결혼만족도 중 애정적인 부부관계, 결혼생활에 대한 적응, 결혼만족도 전체 수준이 높았고 반면 미분화 유형의 경우 결혼만족도 중 애정적인 부부관계, 결혼생활에 대한 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독립 수준 및 성역할 정체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결혼만족도 수준이 높아졌으며, 성역할 유형중 양성성유형의 결혼만족도가 높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는 다양한 관련 요인 중 심리적 독립 하위유형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요인은 결혼생활에 긍정적 적응을 가능하게 해 주는 변인임을 입증하였다는 것이다. 이 같은 결혼만족도 관련변인들은 대상자 본인 뿐 아니라 배우자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되돌아보고 서로를 잘 알게 되는 계기를 마련해주어 부부상담 장면에서의 핵심요소로서 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기혼남녀, 심리적 독립, 성역할 정체감, 심리적 양성성, 결혼만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