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를 위한 체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의 모형과 그 효과

        전원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contends that a planed exercise program has an influence on the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of children. It observed 246 4 through 6year old children in the YMCA sports academy and H kindergarten in Ulsan city. The children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the experiment group, followed a model exercise program. The second group, the comparative group, followed a normal program. The results concerning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of the children are as followed. 1. Physiqu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erning changes in physique. There was also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n the amount of growth after 20 weeks. 2. Physical fitness There were clear improvement in every item, in each age group, and each sex(P< .05),except for foot and toe balance, one of the balance items of 4years old boys. This shows that the experiment group improved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atistically there were also some differences in these next items: ① Standing long jump - 4 year old girls. ② Sit up - 5, 6 year old boys and girls. ③ Shuttle run - 6year old boys. ④ foot and toe balance - 6 year old girls. ⑤ Standing trunk flexion - 5, 6 year old girls.

      • 프로젝트 접근법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전원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접근법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워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1>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2>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요소 점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2-1.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교우관계 점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2-2.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학습활동 점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 2-3.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한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교사와의 관계 점수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D시에 위치한 Y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76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학교생활만족도 사전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 후, 실험 집단에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적용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전통적 교수?학습 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의 프로젝트 접근법의 수업 적용 기간은 2007년 4월부터 7월까지 총 74시간으로 <여행>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증진에 효과적이다. 둘째,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 요소인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 증진에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프로젝트 접근법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project approach affects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3rd grader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formulated: Hypothesis 1.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will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ative group with regar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will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ative group with regard to the subfactor of school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1.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will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ative group with regard to companionship, a subfactor of school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2.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will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ative group with regard to learning, a subfactor of school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3. The experim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will different significantly from the comparative group with regard to student-teacher relations, a subfactor of school life satisfaction. To verify hypothesis, 76 students of 3th graders from 2 classes of Y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ere sampled. Pretest proved the homogeneity of the children from 2 classes regarding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with project approach, the comparative group with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pproach under restructured curriculum centered on the project approach for 74 hours from April 2007 to July 2007. To verify hypothesis, pre and post test were implement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project approach improved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project approach improved companionship and student-teacher relations, subfactors of school life satisfaction. Consequently, project approach positively affecte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3rd graders.

      • 체육전공 학생들의 하지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의 상관성 연구 : 모아레 근・체형 사진 촬영을 통해

        전원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and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ysical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management of body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e-experimental characteristics of 34 students aged over 19 of M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he body forming test (Inbody 3.0) was conducted on them, and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by TMM measuremen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And then video patterns were photographed and read by using Moire muscle somatotype tester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examined.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in the bodily development condition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TMM measurement showed that the length of right lower limb was 98.0cm on the average, and the length of left lower limb was 97.8cmm, with the right limb being longer on the average.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ower limbs was found to be 0.55cm. Second,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the higher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as found to be. This means that greater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greater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between the group of less than 0.5cm and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e score of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group of less than 0.5cm was average 70.36 which was higher than 50.26 of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This means that the balance of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is caused in the group of 0.5cm or greater. Fourth,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s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shoulders was also parallel.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of shoulder was also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84.2%, which was higher than 10.5%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 Whe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the direction of the slope was all on the lef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is mostly the same as the direction of the slope. Fifth, the cases where the back was high in the contour measuremen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ere examined as follows. Wh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two legs without shorter lower limb side,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was parallel and 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right side,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right side accounted for 94.7% which was greater than 5.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left side.Th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was on the left side, and the higher direction of the back was on the left side accounted for 91.7% which was greater than 8.3% of the cases of being on the right side. This shows that the direction of shorter lower limb side and the direction of the higher back are mostly the same. It can be seen from these results that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causes the unbalance in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When such bodily unbalance continues to exist, a lot of diseases such as back pain, scoliosis and lordosis of the lumbar, and lumbago can be caused.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make further researches on the correction exercise programs to correct the balance between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wo lower limbs and the upper limbs musculoskeletal system and on the effects of the programs.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M대학 만 19세 이상의 남자 체육전공 학생들 34명을 대상으로 실험 전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체조성 검사(Inbody 3.0)를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의 TMM측정을 하여 양하지 길이의 차이를 분석한 후, 길이차이 정도에 따라 0.5cm미만 집단과 0.5cm이상 집단으로 분류했다. 그 후 모아레 근·체형 검사기를 사용하여 영상무늬를 촬영, 판독하고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하지길이 차이와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신체발달 상황 중 하지길이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MM측정 결과 오른쪽 하지 길이는 평균 98.0cm, 왼쪽 하지 길이는 평균 97.8cm로 오른쪽 다리가 평균적으로 좀 더 길었다. 하지 길이 차이의 평균은 0.55cm로 나타났다. 둘째,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 균형과 높은 음(-)의 상관을 가지고있었다. 이것은 하지 길이 차이가 클수록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더 크게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하지 길이 차이 0.5 미만 집단과 0.5 이상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의 상지 근골격계 균형 점수는 평균 70.36점으로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의 평균 50.26점보다 높아하지 길이 차이 0.5cm 미만 집단이 하지 길이 차이 0.5cm 이상 집단보다 상지근골격계 균형 점수가 높았다. 이것은 하지길이 0.5cm 이상 집단에 상지 근골격계의 불균형이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어깨 기울기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어깨방향도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오른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84.2%로 왼쪽인 경우 10.5%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어깨 기울기 방향은 모두 왼쪽이었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어깨 기울기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섯째, 단하지측 방향에 따른 등고선 측정상 배면이 높은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하지측이 없이 두 다리 길이차이 없는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평행이었으며, 단하지측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가 94.7%로 왼쪽인 경우 5.3%보다 많았다. 단하지측 방향이 왼쪽인 경우 배면이 높은 방향이 왼쪽인 경우가 91.7%로 오른쪽인 경우 8.3%보다 많았다. 이는 단하지측 방향과 배면이 높은 방향이 대부분 같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로 하지길이 차이는 상지 근골격계 불균형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몸의 불균형이 지속될시 back pain, 요추의 측만증과 전만증, 요통 둥 많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양쪽 하지 길이 차이와 상지 근골격계 균형을 바로 잡기 위한 교정운동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국내 건설기업의 스마트 건설기술 도입 활성화 방안 연구

        전원정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기업들이 공사 기간 단축과 공사비 절감 등 생산성 향상과 수익성 증대를 위하여 다양한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추진 중이다. 정부도 2017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에너지, 환경, 교통, 시티 등 분야 12개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기 위하여 「혁신성장을 위한 사람 중심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을 발표하였으며, 2018년 국토교통부는 「건설 생산성 혁신과 안전성 강화를 위한 스마트 건설기술 로드맵」을 발표하고 건설산업에 접목할 주요 ‘스마트 건설기술’을 지정,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로드맵을 제시했다. 그러나 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 방안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기업은 해외 선진국과 비교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을 활용할 범위와 수준이 낮고, 스마트 건설기술을 적용한 사례도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따라서 건설산업의 혁신을 유인하고 새로운 혁신 기술을 활용하는 스마트 건설기술을 국내 건설산업에 도입․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스마트 건설기술에 관한 기존의 연구논문, 보고서, 단행본 및 간행물 등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 건설기술의 적용현황과 현실적인 문제점을 파악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적 방법에 따르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해외 선진국들의 주요 스마트 건설기술 현황을 살펴보면서, 국내 건설기술과의 상호 관계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여 시사점 및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건설산업의 혁신을 유인하고 새로운 혁신 기술을 활용하는 스마트 건설의 활성화 방안으로 ‘정부의 주도적 역할 통한 정책과 법령의 정비’, ‘건설기업의 스마트 기술개발 유도를 위한 제도적 개선’, ‘인력양성 지원 확대를 통한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스마트 건설기술 기반의 환경 조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설기업의 스마트 기술 활용 전략과 방향, 정부와 건설업계의 역할 등을 제시하여 국내 건설산업의 스마트 기술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onstruction companies are pushing to introduce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to improve productivity and increase profitability, such as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s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s. In 2017, the government also announced the 「People-centered 4th Industrial Revolution Response Plan for Innovative Growth」 in order to apply digital technology to 12 fields such as energy,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city jointly with related ministries. In 2018,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nounced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Roadmap for Innovation in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Safety Reinforcement」, designated major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to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presented a roadmap to effectively promote it. However, despite various government-level support measures,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 lower scope and level of using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abroad, and cases of applying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are very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innov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introduce and revitalize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into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we identify the application status and practical problems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based on previous research papers, reports, books, and publications. To solve these problems, we will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major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in advanced countries abroa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method, review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domestic construction technology to derive implications and activation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has introduced ‘Reorganization of policies and laws through the government’s leading role’,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induce smart technology development in construction companies‘, ‘Strengthening R&D capabilities by expanding support for manpower training’ and ‘Creating an environment based on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as a plan to revitalize smart construction that attracts innov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utilizes new innovation technology.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technology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by suggesting strategies and directions of smart technology utiliz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roles of government and construction industry.

      •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전원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the 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 (MLA) on elementary students's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of amotivation in Korean classroom, and many Korean students study hard without thinking what they want to do or knowing why they should study. In this paper 86 elementary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mmunity child center in Gwanak-gu replicated Kim's (2013) MLA, based on Dörnyei's (2009) L2 Motivational Self-System. Motivational activity without languaging was conducted to 29 elementary students in another community child center in Gwanak-gu. The 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languaging conditions: 1) written languaging 2) verbal languaging 3) written and verbal languaging. Two grade groups, (grade 3, 4 and grade 5, 6) were in each languaging type. The thirty-minute MLA was implemented for 8 weeks to six different groups. The students first watched a short video clip of a well-known and popular Korean who can be a role model to students as a fluent English speaker and while watching the screen they read one page reading about the person. After watching the video, students visualized their thinking concerning language motivation. Different activities were given to each languaging group for the next ten minutes. 1) For written languaging groups: think and write their response to the questions on the worksheet. 2) For verbal languaging groups: students are asked to think and speak their response to the questions in groups of four. 3) For written and verbal languaging groups: students answered to the questions on the worksheet and shared their thinking in a group of four. For the same period and conditions, 29 control group students watched the same short video clip of a well-known Korean and read one page reading about the person. Teacher told students about motivation and set their ideal model or goal about English learn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activities to examine changes in students’ motivation. English test was also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whole activity to see the possible increase of their English ability.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written and verbal languaging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and written languaging groups achiev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ir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Ideal L2 self, motivated behavior and instrumental-promotion increased the most among seven different motivational components. However, English test score did not increase 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paper provides support of the effectiveness of Kim’s (2013) the Motivational Languaging Activity on elementary students’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MLA affects more on younger grade (3rd and 4th grade) students who might have less clear thinking about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it can see bigger motivation changes when there is less extraneous cognitive load. 영어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최근 제 2언어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가 늘어가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학업성취도 검사를 보면 한국 학생들은 최상위권의 점수를 내고 있다. 하지만 다른 상위권 국가에 비해 주당 공부시간이 2배가량 많으며 학습에 대한 흥미 또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 영어교실에서 동기 없이 학습을 하거나 처음에는 동기가 있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동기가 사라지는 탈동기현상에 대한 문제가 있다. 이렇게 많은 시간을 들여서 하는 영어 공부를 왜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특별한 이유나 목적도 없이도 공부하며 심지어 좋은 점수를 내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눈에 보이는 점수이상으로 학습 동기는 중요하며 학습자가 자기 내면으로부터 나온 동기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Kim(2013)의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이 초등학생 학습자에게 왜 내가 영어를 공부하며 이를 통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생각하고 구체적인 이상적 제 2언어 자아를 형성하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이 활동을 통해 초등 학습자의 동기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의 효과성을 언어 유형별로 음성, 문자, 문자+음성으로 나누어 검증하고 학년과 성별에 따른 동기 변화의 특징을 가지는지 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세 가지 방식의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은 초등 학습자의 영어 학습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 시행 후 변화를 보이는 영어 학습 동기 구인은 무엇인가? 3.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 시행 전후 학습자의 영어 능력에 변화가 있을 것인가? 위 연구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 관악구 네 곳의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115명에게 주 1회 8주간 학습 동기 증진 활동을 시행하였고 그 중 세 곳에서만 언어하기 활동을 추가적으로 실행하였다. 언어하기 활동을 통한 동기의 변화와 영어 점수의 차이를 보기 위해서 사전과 사후에 영어 학습 동기 설문 28문항과 영어 능력 평가10문항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은 동기의 분석에는 Wilconxon 비모수 검정방법을 사용하였고 영어 점수의 변화는 대응 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언어하기 유형 중 문자언어 집단과 음성언어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둘째,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후 7가지 하위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그 중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동기화된 행동, 도구적 동기(장려)에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와 도구적 동기(장려)는 같은 맥락으로 영어를 배움으로 상상할 수 있는 긍정적 미래에 대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동기화 된 행동은 이상적 제 2언어 자아의 강화와 함께 발현된 것으로 장기적으로 영어 학습에 대한 태도나 영어 실력 등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시행 후 영어 점수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실험집단은 언어하기 활동을 통해 동기화된 행동이 강화되었기 때문에 이 동기가 유지 된다면 장기적으로 영어 점수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 학습자에게 언어하기 활동을 시행했을 때 동기가 증진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강화된 동기를 어떻게 유지하며 영어 학습과 연계하여 학습 결과에도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을 지에 대한 꾸준한 교사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