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혈액 검체에서 분리된 장내세균의 16S rRNA Methylases 보유률과 특징

        전민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minoglycosides antibiotic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severe infections caused by gram-negative bacteria. Recently, several 16S rRNA methylases-mediated high-level resistance to aminoglycosides has been identified in clinical isola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solate Enterobacteriaceae producing 16S rRNA methylases isolated on blood cultures in Korea.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6, a total of 149 of Enterobacter spp. were consecutively collected from blood cultures, and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6, 204 of Escherichia coli and 202 of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s were consecutively collected from blood cultures. We screened the armA, rmtA, rmtB and rmtC 16S rRNA methylase genes by PCR. Conjugation experiments were done with azide-resistant E. coli J53 as the recipient. Agar dilution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MICs for the parental clinical isolates, their derived transconjugants and E. coli J53. Results: Overall, 27 armA-positive (22 from K. pneumoniae, 5 from Enterobacter spp.) and 8 rmtB-positive (6 from K. pneumoniae, 2 from Enterobacter spp.) isolates were identified, and the rmtA and rmtC genes were not found. 16S rRNA methylases-positive isolates produced extended-spectrum-lactamases (ESBLs), predominantly type CTX-M-1 and -9. Interestingly, some 16S rRNA methylases-positive isolates have both armA and rmtB genes. Conjugation experiments were done to determine whether both armA and rmtB genes are transferable. Some tranconjugants contained both genes, but some had only armA or rmtB gene. All 16S rRNA methylases-positive transonjugants showed high-level aminoglycoside resistance. Conclusions: To my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emergence of clinical isolates having both armA and rmtB genes. 16S rRNA methylases were relatively more prevalent in K. pneumoniae than in Enterobacter spp.. ArmA was found to be more prevalent than rmtB among 16S rRNA methylases-positive isolates 연구 목적: Aminoglycoside는 β-lactam 항생제와 병합요법으로 사용되어 그람음성세균에 의한 중증 감염증의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항생제이다. 그 동안 aminoglycoside-modifying enzyme, 표적 부위의 친화도 감소, 유출 펌프(efflux pump)의 증가, 투과도(permeability)의 감소 등에 의해 내성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16S rRNA methylase가 aminoglycoside 고도내성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 검체에서 분리된 장내세균들을 대상으로 16S rRNA methylase의 생성율과 이와 관계된 분자생물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혈액 검체에서 수집된 Enterobacter spp. 149균주(103 E. cloacae, 41 E. aerogenes, 4 E. agglomerans and 1 E. asburiae)들과, 2006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동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혈액 검체에서 수집된 K. pneumoniae 202균주, E. coli 204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armA, rmtA, rmtB 그리고 rmtC allele의 존재 여부를 중합연쇄반응(PCR) 및 염기서열분석으로 조사하였다. 내성 유전자의 전파여부를 알기 위해 E. coli J53을 recipient로 하여 conjugation 실험을 시행하였고, 임상 균주와 transconjugant, E. coli J53의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여 16S rRNA methylase가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K. pneumoniae 23균주, Enterobacter spp. 6균주에서 16S rRNA methylase allele 양성이었고, E. coli에서는 16S rRNA methylase allele이 발견되지 않았다. armA allele 양성인 균주는 K. pneumoniae 22균주(10.9%), Enterobacter spp. 6균주(3.4%)로 총 27균주였고, rmtB allele 양성인 균주는 K. pneumoniae 6균주(2.97%), Enterobacter spp. 2균주(1.3%)로 총 8균주였으며, rmtA와 rmtC allele은 발견되지 않았다. 16S rRNA methylases 양성인 Enterobacter spp.는 모두 CTX-M type의 extended-spectrum β-lactamase(ESBL) allele도 함유하고 있었다. K. pneumoniae의 경우 rmtB allele 양성인 균주는 모두 CTX-M type의 ESBL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armA allele만 양성인 17균주에서는 2균주만 CTX-M allele 양성이었다. 16S rRNA methylases 양성인 균주들 중 6균주는 armA 와 rmtB allele을 모두 가지고 있었는데, Conjugation 실험을 시행하였을 때,. 두 gene을 모두 가지고 있는 tranconjugant들이 있었고, 둘 중 하나만 함유하고 있는 transconjugant들도 있었다. 모든 16S rRNA methylases-positive transonjugant들은 aminoglycoside계 항생제에 고도내성을 보였다. 결론: 16S rRNA methylase는 Enterobacter spp.보다는 K. pneumoniae에서 좀 더 흔히 발견되었고 armA가 rmtB gene보다 흔히 발견되었다. armA와 rmtB gene이 임상검체에서 동시에 발견된 것은 이전에 보고된 적이 없는 첫 보고이다.

      • 악성 종양 환자에서 라이노바이러스 감염의 임상적 의미와 분자생물학적 특성

        전민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Human rhinoviruses (HRVs) are known as the most frequent cause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hich is mostly mild.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HRVs may cause serious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in immunocompromised hosts including elderly and infants. However, to date, only a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clin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viral pneumonia in cancer pati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linical impact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 HRVs isolated from the cancer patients and analyzed their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and those with solid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ed clinical information by reviewing the electrical medical record of the HRV-positive cancer patients presented in asan medical center from June 2012 to May 2013. We confirmed the genotypes of HRV strains by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and examined HRV viral loads by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RT-PCR) method. Based on this, we compared the difference in clinical and molecular biologic characteristics between solid cancer group and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Risk factors for death in patients complicated with pneumonia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57 patients with malignancy were infected with HRV during the study period, of whom 102 were solid tumor patients and 53 were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Two people had both solid tumor and hematologic malignancy. The most common symptom was cough (76.4%). Dyspnea (38.9%) was more common than rhinorrhea (21%) or sore throat (12.7%). Fever was less common in solid tumor group than in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48.0% vs.75.5%; p = 0.001). The most common genotype of HRV is HRV-A in both solid tumor group and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42.2% and 50.9%, respectively). Mean value of the HRV titer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3.58 log copies/ml (SD 1.96) vs. 3.46 log copies/ml (SD1.87); p = 0.715]. Respiratory viral coinfection was more common in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than solid cancer group[13 (24.5%) vs. 8 (7.8%); p = 0.004)]. Pneumonia was complicated in 88 patients: 53 (52.0%) in solid cancer group, 33 (62.3%) in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and 2 in both solid and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16 of 88 (18.2%) died upon admission. Predictive factors for death among pneumonia patients were the use of immunosuppressant, dyspnea, and shock[Adjusted Odds Ratio 5.15 (95% CI 1.19-22.23); p = 0.028, 6.22 (95% CI 1.57-24.67); p = 0.009, 15.14 (95% CI 3.42-67.03); p = 0.009, respectively]. Conclusions: Presence of fever and respiratory virus coinfection were less common in solid cancer group than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However, distribution of HRV genotypes, HRV titers, incidences of pneumonia, and mortality rat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연구 목적: Human rhinoviruses (HRVs)는 경증의 상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영아나 노인, 또는 면역저하자에서 폐렴과 같은 중증 감염을 일으킬 수도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폐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별로 없으며, 특히 암환자와 같이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의 임상적 또는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보고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에게서 분리되는 HRV의 분자생물학적 특징과 임상적 특징을 확인하고 혈액암과 고형암 환자군 사이의 차이점, 폐렴 환자에서 사망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과 방법: 2012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한 암환자 중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에서 HRV 양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조회하여 임상정보를 수집하였다. 암환자에게서 분리되는 HRV 균주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genotype을 확인하고 viral load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연쇄반응(real time RT-PCR)법으로 검사하였다. 혈액암 또는 고형암 여부, 폐렴여부, 그리고 폐렴환자 중 생존군과 사망군간의 임상적 및 검사실 소견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다변량분석으로 사망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RV에 감염된 암환자는 총 157명이었고, 고형암 환자가 102명, 혈액암 환자는 53명이었다. 두 명에서는 고형암과 혈액암이 모두 있었다.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76.4%)이었고, 객담(60.5%), 발열(57.3%), 호흡곤란(38.9%)이 콧물(21%)과 인후통(12.7%) 보다 더 흔하였다. 발열은 혈액암군에서 고형암군보다 더 흔하였다(75.5% vs. 48.0%; p = 0.001). HRV의 유전형은 두 군 모두 HRV-A가 가장 많았고(각각 50.9%, 42.2%), HRV titer의 평균값은 혈액암군이 3.46 log copies/ml (SD 1.87), 고형암군은 3.58 log copies/ml (SD 1.96)로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 = 0.715). 고형암군에서는 HRV-B의titer가 HRV-A보다 유의하게 낮았다(mean ± SD, 2.55 ± 2.18 vs.4.11 ± 1.81).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은 고형암군이 혈액암군보다 더 적었다[13 (24.5%) vs. 8 (7.8%); p = 0.004)]. 고형암군에서 53명(52.0%), 혈액암군 33명(62.3%), 고형암과 혈액암 있었던 2명 모두에서 폐렴이 합병되었다. 폐렴이 합병된 88명 중 16명(고형암 10명, 혈액암 6명)이 입원 중에 사망하였고, 폐렴이 발생한 환자에서 사망과 관련된 요인은 호흡곤란, 객혈이었다[Adjusted Odds Ratio 31.83 (95% CI 2.19-463.48); p = 0.011, 41.54 (95% CI 1.99-866.10); p = 0.016, respectively]. 결론: 고형암 환자군은 혈액암 환자군에 비해 발열이 적고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 중복 감염이 적었다. 하지만, HRV genotype과 titer, 폐렴 합병률, 사망률에는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 원통형 복합재 격자 구조 Subelement의 강성 및 파손 거동

        전민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consist of a hoop and helical rib. These structures ar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or conical shape which are used for aerospace structure. The most commonly used one is the structural linkage and interstage of the launch vehicle. When the launch vehicle lifts off, the lattice structures are mainly used to support the compressive load. These structures are fabricated by the filament winding technique and each rib consists of unidirectional layers which intersect at knot. The number of layers of knot is twice of those of rib due to the constant thickness of lattice structure. Therefore, there are variations of the fiber volume fraction between the rib and the knot region where the ribs and ribs intersect, and the thickness of each plies are also different. Since the ply must be overlapped, many voids and defects can be occurred in the knot region. For these reasons, the stiffness and strength can be deteriorated and structural reliability may become decreased. In case of the lattice structures under compressive load, buckling and compressive failures can be occurred. The critical buckling load and strength of lattice structures should be predicted to prevent these failures. Since critical buckling load is mainly affected by the stiffness of the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tiffness of each rib. The compressive failure of lattice structure can be predicted by using the strength of each rib.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results of compression fracture test with the finite element model considering the fiber volume fraction distribution in the lattice structure. In this paper, the stiffness and failure behaviour of the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were examined. For the stiffness of each rib, the compression test of single unit cell and the four point bending test of hoop rib were performed. The failure behaviour and strength of the subelement were also examined through the compressive fracture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e stiffness of helical rib, compression tests for single unit cell which contains one unit lattice structure were carried out. The calculated stiffness was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In case of hoop rib, instead of the tensile and compressive tests, the four point bending tests were performed. The strains at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were measured. For the comparison of the test results, the stiffness of the hoop rib was predicted by numerical model and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commercial program, MSC.NASTRAN. The compressive failure tests for subelement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failure behaviour of structures. The subelements consists of five single unit cell were prepared to simulate the loading of real structures. The matrix cracking, delamination and fiber breakage were occurred in the knot. In order to examine the failure behaviour of the test, finite element model considering the continuity of the fiber and the resin rich area was chosen and failur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sai-Wu failure criterion. The failure index was calculated and the contribution of interlaminar shear stress and normal stress in the fiber direction to the failure index were dominant. The failure behaviour of test showed good agreement with failure analysis. The test methods for stiffness and failure behaviour of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For the stiffness of each rib, compression test of single unit cell and four point bending test of hoop rib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est were compared wit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considering fiber distribution and resin rich layers. The compressive fracture test was also performed to examine the failure behaviour and strength of composite lattice structures and compared with failure analysis. The failure load of entire structures can be predicted by applying appropriate boundary conditions of real lattice struetures and failure analysis method.

      • 예술작품 제작에서의 물질적 상상력 : 바슐라르의 개념을 중심으로

        전민혁 고려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철학자이자 상상력의 철학자였던 가스통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1884.06.27~1962.10.16)는 세계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던 인물이다. 그는 이성을 기반으로 한 객관적 과학의 세계 속에서, 오히려 이미지와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주관적 상상력의 세계가 가지는 힘이 더욱 중요함을 천명했다. 바슐라르가 이미지와 상상력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가장 관심을 갖게 된것은 이미지 대상의 물질성이었다. 즉, 우리에게 이미지를 제공해주는 대상을 형태로만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물질로서 파악하는 것이다. 바슐라르는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인간의 상상력을 두 가지로 구분했는데 그 중 하나는 형식적 상상력이고, 다른 하나는 물질적 상상력이다. 형식적 상상력은 대상의 형태에 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상상력이다. 그것은 변주가 쉽지 않고 정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반면 물질적 상상력은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물질, 즉 질료에 대한 상상력으로서 단순하게 대상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상상력이 아니라 대상을 변형 가능케 하는 상상력이다. 그것은 유동적일 뿐 아니라, 확장과 변형의 역동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개념은 질료와 형상의 새로운 관계 설정에 대한 단초를 제공한다. 물질적 상상력에서 물질, 즉 질료는 형상에 귀속되거나 정태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물질적 상상력은 유동적이며 역동적이다. 그것은 이미지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변형시키는 상상력이다. 즉 단순히 어떤 대상의 형상을 모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물질의 상상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형상을 산출해낸다. 요컨데 물질적 상상력은 형상의 변형을 가능케 하는 ‘질료의 정신적 운동’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질적 상상력은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관계, 즉 예술가의 손 끝에서 하나의 특수한 사물이 만들어지는 그 사이의 과정을 설명해 준다. 감상자로서 예술작품을 대하는 것과, 예술가가 예술작품을 대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층위에 속한다. 감상자와 달리 예술가는 예술작품의 질료와 더욱 가까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가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관계 자체에 주목하면 질료와 형상에 대한 전통적인 도식, 다시 말해 형상보다 열등하며 그에 복속되는 질료의 도식을 전복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예술작품의 이해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새로운 가능성’이란 새로운 표현에 대한 가능성이다. 실제로 비평가나 철학자가 아닌, 많은 예술가들은 작품을 만드는데 있어 재료의 선택과 이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 개념 안에는 감각과 신체적 경험에 대한 요소가 다분하고, 기술적 속성 또한 매우 크게 자리잡고 있다. 바슐라르는 물질적 상상력을 설명할 때마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물질에 대한 감각 경험을 수반시켰다. 물질적 상상력에 필연적으로 전제되는 감각 경험은 또 다시 ‘기술’에 대한 사유를 불러오게 된다. 왜냐하면 감각 경험의 과정 안에서 물질을 촉각하는 그 신체적 행위도 사실은 매우 기술적인 것이고, 또 우리가 신체 이외의 도구를 통해서 물질을 감각하게 될 때 그 도구는 언제나 기술 도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술 자체 혹은 기술 도구는 결국 감각 경험의 형식과 결과를 변형시킨다. 이는 곧 물질적 이미지의 변형을 지시함과 동시에 물질적 상상력 자체를 나타낸다. 이렇게 물질적 상상력의 구체적인 과정은 예술가가 재료를 만지고 느끼며 예술작품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과정과 정확히 일치한다. 예술가는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물질, 즉 ‘재료’를 이해하고 다양하게 다룰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물질적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물질, 즉 ‘예술작품’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물질적 상상력을 단순히 ‘물질적인’ 상상력, 혹은 물질에서 기인하는 상상력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그보다는 물질 안에서 상상하는 능력, 나아가 물질로서 상상하는 능력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물질과 더욱 더 깊고 깊게, 그리고 내밀하고 내밀하게 관계를 맺는 방식이다. 물질과의 내밀한 관계맺음, 다시 말해 물질의 수용과 생산은 예술가의 창작 과정에 언제나 필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예술가의 상상력은 절대적으로 물질적 상상력이다.

      • In-situ 열중합을 통한 에피설파이드기를 지닌 고성능 LIB용 겔 폴리머 전해질의 합성 및 특성 연구

        전민혁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advent of an era in which all objects, from small objects to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are powered by batteries,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high output, and high stability has increased.Electrolyte, one of the battery componen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erformance, lifespan, and efficiency of the battery, but currently commercialized liquid electrolytes have potential safety problems such as electrolyte leakage and explosion. Therefore, as research on solid electrolytes and gel polymer electrolytes progresses as an alternative, electrolytes based on poly(ethylene oxide) (PEO) are attracting great att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solid polymer electrolytes, there are still problems of interference with the movement of lithium ions due to the strong interaction between oxygen and lithium, and poor ionic conductivity due to high interfacial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Therefore, this paper uses a poly(ethylene sulfide) (PES) structure that is cured with 'Thiirane', in which oxygen in the epoxy structure is replaced with sulfur, and has a lower bonding strength to lithium ions with a lower electronegativity than that of oxygen, thereby improving the smooth flow of lithium ions. In addition, it maintains an amorphous state by reducing the crystallinity within the polymer due to a shorter curing time than epoxy, and is expected to provide excellent interfacial contact with the electrode. Polymer chains were produced using LiFSI as an initiator, and structural properties were analyzed using H-NMR and FT-IR. U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EC/DEC solvent, the produced electrolytes showed an ionic conductivity of 1.31x10-4 S/cm at room temperature and a lithium transference number (TLi+) of 0.83 at 50℃, and TGA and DSC Measurements showed a wide range of thermal stability from –41℃ to 150℃. In addition, in the case of electrolyte GPE-2, the LFP//Li battery shows an excellent discharge capacity of 140mAh/g at 50℃. After 100 cycles, the coulombic efficiency shows excellent performance of over 98%, and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electrode surface through SEM,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stability of LIB.

      • Failure criterion for compressive load bearing capacity of anisogrid cylindrical composite lattice structure

        전민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항공우주 분야에서는 구조체의 경량화 및 성능 향상을 위해 격자 혹은 샌드위치 형태의 보강재를 사용한다. 복합재는 비강성 및 비강도가 우수하므로 우수한 경량 및 보강 설계가 가능하다. 일방향 섬유강화 복합재로 구성된 복합재 격자 구조를 이용하면 적은 무게로 높은 면내 및 굽힘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재 격자 구조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중형 위성체의 원통 구조체, 안테나 붐, 우주 발사체의 인터스테이지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우주 발사체에 사용되는 복합재 격자 구조는 주로 페이로드의 무게에 의한 압축 하중을 감당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압축 하중을 받는 구조는 구조 형상 및 하중 형태에 따라 좌굴 및 압축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복합재 격자 구조의 좌굴 및 파손 강도 예측을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섬유교차, 불균일한 물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균일, 등가 모델로 가정하여 성능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시 발생할 수 있으며 복합재 격자 구조의 단면에서 관찰되는 섬유체적비 분포, 수지응집층, 섬유교차부에서의 섬유체적비 변화와 복잡한 실제 파손 거동을 고려한 압축 성능을 수치적, 실험적으로 제시하였다. 복합재 격자 구조를 구성하는 리브, 섬유교차부의 단면으로부터 섬유체적비를 측정하였고 섬유 및 수지응집영역의 분포와 제작 결함 등의 특성을 관찰하였다. 나선 방향의 헬리컬 리브의 단면에서는 섬유와 수지가 혼합된 층과 순수하게 수지만 존재하는 수지응집층이 분리되어 관찰되었고 원주 방향의 후프 리브에서는 두께방향으로 불균일한 섬유체적비가 측정되었다. 섬유교차부 부근의 수지응집영역에서는 와인딩 공정에서 섬유 다발의 적층시 발생할 수 있는 기공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단면 특성을 압축 강성 및 강도 해석 모델에 적용하였다. 수지응집층 및 불균일한 섬유체적비가 적용된 적층판의 강성행렬을 계산하였고 실제 단면 특성에 의한 강성행렬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섬유-수지 혼합층과 수지응집층의 적층이 적용된 유한요소모델과 등가 모델을 이용하여 수지응집층에 의해 변화되는 좌굴 하중을 비교분석하였다. 수지응집층은 구조체의 면외 굽힘 강성 및 좌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수치적으로 제시하였다. 복합재 격자 구조의 압축 파손 거동 확인을 위해 구조체를 대표할 수 있는 단위 형상인 Subelement와 복합재 격자 원통의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Subelement의 압축 시험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시험 치구를 이용하여 하중 및 경계조건에 따른 압축 강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파손이 발생한 영역의 파손 모드 및 형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복합적인 섬유 손상 및 균열 성장이 발생하였다. Subelement 및 원통 구조에서 발생한 파손 형상은 유사하였다. 복합재 격자 구조의 강도 예측을 위한 점진적 파손 해석을 수행하였다. 단면으로부터 측정된 섬유 및 수지 분포의 형상을 모델링하였고 파괴 에너지 기반의 섬유 다발의 손상 모델 및 균열 성장 및 층간분리를 예측할 수 있는 응집영역모델을 적용하였다. 수지응집영역의 형상 및 기공 결함을 모델에 적용하여 점진적 파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제작 결함을 고려한 점진적 파손 해석으로부터 계산된 강도는 시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복합재 격자 구조의 압축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실제 파손 거동이 적용된 단순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Subelement의 압축 시험으로부터 파손이 발생한 단위 격자 내에서의 면내 및 면외 굽힘 변형과 압축 강도와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면내 및 면외 굽힘 변형을 표현할 수 있는 변수 –굽힘에 의한 응력 대 순수 압축에 의한 응력비–를 정의하였고 압축 강도와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두 관계식을 이용하여 압축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파손 기준 함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함수를 이용하여 원통형 격자 구조체의 강도를 예측하였고 시험 결과와 비교하여 예측 기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복합재 격자 구조의 제작 결함을 고려한 단면 특성 및 실제 파손 거동을 고려한 압축 성능과 예측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절차 및 기법들은 복합재 격자 구조의 설계 및 최적화 단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보다 향상된 압축 성능과 경량 구조 설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