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육군 동원사단에 복무하는 병사를 중심으로

        전계청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우수한 인적자원은 국방력과 관련이 되고, 우수한 인적자원은 국방력의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특히 군 조직은 일반 타 조직과는 다르게 국가방위라는 신성한 의무를 수행하며, 군기․군법의 강력한 행동규범을 요구하고, 고도의 충성심과 애국심을 전제로 하는 조직으로, 통제된 생활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와 욕구 불만에 자주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다. 반면 각개 병사들은 군에서 요구하는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군 생활의 활력과 보람, 그리고 긍지를 갖게되기도 한다. 물론 자신의 직무에서 더 큰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는 반대의 경우도 존재하기도 한다. 이처럼 군 생활에서 직무활동은 크게는 국가방위의 의무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행위의 표현이며, 국가로부터 인정받는 정당한 자신의 존재 근거가 될 수 있으며, 작게는 군 조직 내에서의 작은 직업으로서 타인과 구별되는 자아존중과 자아개념의 핵심이 된다. 따라서 직무활동에 대한 만족 여부는 자신이 처한 군대 내에서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육군에 복무하는 일반 병사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그들의 직무만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 대한 이론 및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여러 요인들 중 서로 관련이 있다고 보여지는 요인들, 즉 ① 조직적 특성요인 ② 심리적 특성 요인 등 2가지로 분류하여, 이러한 2가지 특성 중에서 어느 것이 가장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지를 상호 비교 검증하려는 것이며, 기타 다른 요인들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③ 인사행정(인구학적)의 특성요인을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조직적 특성에서 ❶조직안정성, ❷업무자율성, ❸조직내 대인관계, ❹사회관련성 등을 설정하였다. 심리적 특성에서는 ❶ 과업지향성, ❷ 긍정적 사고, ❸적극성 등을 설정하였으며, 인사행정의 특성요인으로는 ❶계급, ❷ 병과, ❸ 학력 등을 설정하여 각 변수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자료의 수집방법으로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표본은 동원사단인 00 사단에 복무하고 있는 병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으로는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함과 동시에, 요인점수를 산출하여 회귀분석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다중회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행정의 특성요인인 계급에 따라서는 조직내 대인관계가, 병과에 따라서는 조직안정성과 사회관련성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학력에 따라서는 차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병사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통계적으로 검증된 것은 총 7개 변수중 조직적 특성요인에서는 업무자율성, 조직내 대인관계, 사회관련성 등 3개 변수가, 심리적 특성요인에서는 긍정적 사고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안정성, 과업지향성, 적극성 등 3개 변수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업무자율성이었으며, 그 다음이 사회관련성, 긍정적 사고, 조직내 대인관계 순이었다. 따라서 육군에 복무하는 병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대의 임무와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업무자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훈련 및 복무여건을 마련해 주어야 하겠으며, 사회관련성이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예, 정보화 교육, 각종 자격증 취득 기회부여, 사회봉사활동참여, 환경정화활동참여 등)과 시행이 요망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에 관한 연구

        전계청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a nation, the Army has gathered all of its efforts under the slogan of detering war, achieving victory in ground warfare, and supporting civil interests. Army structure is hierarchical structure with pyramid form, yet it is divided by role and function. Therefore, the Army needs to embrace and place elite human resources who achieved professional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and efficiently use archives that are produced by each echelons and other staff units. However, in reality, the lack of personal to manage those archives is a problem in the field units. This paper will address this problem and analyze Army archive management procedure as well as give a solution to raise and place educated personnel in the right place by considering the personal capability and analyzing the demands for personal in each unit. First off, the paper sets the "Korea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Table" as a sample to analyze the function of each echelon. It showed that the each echelon has different role and function which demands different needs for archives. Furthermore, the paper address the individual capability and their weakness which points out the necessary knowledge level for each individual. This data became the basis for setting educational plans for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Moreover, the paper looks into estimated time for an individual to address one archive so that is could anticipate the necessary demands for archive personnel in that unit, along with determining the number of personnel to educate, and how to place this personnel in each echelons. This paper apply the concept of 「work performance」to analyze the education and placement of the archive personnel within the military. In other words, the paper will focus on military archive management personnel to set quota, recruitment, placement, and research. I hope this paper will serve as a milestone and invaluable data to further develop the archive management capability in the military. Key word : Army record management, Army archive, Work function, Competency Knowledge design, Record management personnel fostering and allocation 육군은 한반도에서 전쟁억제와 유사시 지상전 승리, 국민편익을 지원한다는 목표아래 적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영토를 지키고, 국가안전보장의 사명감으로 국가방위에 주력해 왔다. 피라밋 형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 군 조직은 임무와 기능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뉘며, 제대별, 참모기능별 조직과 계층에 따라 생산되는 각각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시대 흐름에 부합된 기구체계의 개선과 전문교육을 이수한 우수자원의 양성 및 배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육군 야전부대의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육군의 기록관리 기관별 업무기능 분석을 바탕으로 각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록관리 인력의 직무능력 수준과 필요인력의 소요, 그리고 그러한 인력을 어떻게 양성하고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한국기록관리역량표준(안)”을 분석모델로 하여 제대별 업무기능 분석을 실시하여 제대별로 핵심 업무기능이 다르다는 것과, 제대별 기록관 기능설계 시에도 각각의 기록관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이 상이하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과 실무자에게 필요한 역량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와 그들이 현재 갖고 있는 역량에 대한 정도를 측정하여 어떤 역량이 부족한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들에게 필요한 지식범주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관리자 양성방안과 실무자 양성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별로 1건의 기록물을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얼마인지를 분석하여, 각 제대별 기록관리 소요인력을 예측하였으며, 얼마만큼의 인력을 양성해야 하며, 이들을 각 제대별로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군(軍) 내 인력에 대하여 직무를 분석하여 인력소요 예측을 한 첫 사례로, 향후 군(軍)기록관리 인력에 대한 정원배정, 획득계획 및 편제반영, 직렬 신설 등을 위한 데이터로 활용되어 군 기록관리 발전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육군 기록관리, 육군 기록관, 업무기능, 직무수행능력, 지식설계, 기록관리 인력 양성과 배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