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私立幼稚園의 運營 方向과 運營 實態에 關한 硏究 : 忠南 地域을 對象으로

        장화순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운영정책의 올바른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유치원의 실무에서 전체 취원아의 2/3를 담당하고 있는 사립유치원의 운영실태를 정확히 파악한 연구나 보고서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치원 운영에 대한 영역 및 기준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충남지역 사립유치원의 운영방향과 운영실태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 운영의 방향을 유아, 교사,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 부모, 원내행사 및 홍보와 운영에 대한 정보의 입수의 측면을 알아본 결과 그 의견은 매우 다양하였지만, 각 인식이 상당히 현실적이라는데 그 공통성을 찾을 수 있다. 유아의 측면에서 보면 사회성을 중요시하고 교사의 채용기준 또한 좋은 인성을 바탕으로, 주제를 설정하고 계획하는 능력을 지닌 아동중심의 교육관을 가진 신규 교사를 선호하였다. 유치원 교수 · 학습방법 및 평가를 보면, 영역별 활동자료의 효과적인 활용과 유아에 대한 관찰 기록을 중요시하였으며, 원내장학은 교수학습지도면을 우선시하였다. 다음, 부모의 측면에서 보면 부모의 유치원 방문횟수와 부모교육 내용이 유치원마다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원내행사 및 홍보의 측면을 보면 유치원의 행사가 유아와 원의 성장에 도움이 되며, 재원생 및 졸업생 학부모의 신뢰 및 평판이 유치원의 홍보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원 운영에 대한 정보의 입수방법은, 각종 세미나 및 연수, 원장의 대인 관계망 등 사적이고 실제적인 부분을 들었으며, 대학원 진학도 소수의 응답이 있어 학문적인 분야에도 관심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사립유치원의 운영의 실태는 어떠한가는 인적 자원 운영, 물리적 자원운영, 재정적 자원 운영, 교육과정운영, 행정운영으로 영역을 설정하여 조사하였다. 인적자원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교사관리, 부모 및 가정과의 연계, 지역사회와의 연계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교사관리는 교사의 자질함양을 위한 지원은 잘 되고 있지만 교사의 직무만족도면에서는 부족하였다. 부모 및 가정과의 연계는 부모교육 및 참여의 이상적인 면에서 부모와의 유대관계는 잘 형성하고 있으나 기관의 정책결정과 부모자원 프로그램에 참여는 부족하였다. 지역사회와의 연계는 유치원에서 지역사회의 자원은 잘 활용하고 있으나, 지역사회에 대한 봉사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물적 자원 운영실태는 유사시를 대비한 보험가입은 되어 있으나, 실내 · 외 시설설비는 원마다 차이가 있었다. 재정적 자원 운영실태는 수업료가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립유치원의 재정은 인건비가 지출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재투자나 학교운영비의 지출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인건비는 같은 학력의 타 직종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운영실태는 유치원의 교육철학에 대한 교사 오리엔테이션, 새로운 교육방법에 대한 수용 및 현장에의 적용, 교육계획의 평가, 개별관찰기록은 잘되고 있으나 원내장학은 그에 미치지 못하였다. 행정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교무분담 및 조직체계의 구성이나 사무처리의 전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유치원도 상당수 있었으며, 교육행정당국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이 부정적이었다. 또한 행정업무를 전담하는 직원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고 있으나 전담직원이 있는 유치원은 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사립유치원의 특수성에 입각하여 운영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현대적 발상과 현대적 기법에 대한 연구가 좀더 강구되어야 한다. 둘째, 사립유치원의 교육과정 정상화와 유아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 거론되고 있는 유아교육의 공교육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is to the examine the directors' values and realities of management in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I took up two problems. One is about the directors' values of childiren's development, teacher, parent education, teaching method, and material resources. And another is about the realities of management in kindergarten : faculty & organization, financial & material resources, and curriculum.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 selected 90 subjects directors of kindergartens in Chungchongnamdo, and I used a questionnaire. The data obtained,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1. The directors thought tha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early childhood. And they prefer non-experienced teacher. But they thought that faculty was very important factor in kindergarten management. And they also thought that parent education in kindergarten is good for parenting children, and they wanted to the higher level of academic course. 2. The faculties' income in kindergarten was very low, so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job was low, too And also the condition of the financial & material resources was poor. And a director of a kindergarten have the low satisfaction about the servi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On the bases of the above results, I suggest as follows; we need the financial and the organizational support of a government, the compulsory education of a private kindergarten and a professional's the effective encouragement of learning.

      •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화순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권리와 요구, 의견, 느낌 등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그대로 솔직하게 상대방에게 나타내면서 상대방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려 하고 살아간다. 그러나 정신분열병을 않고 있는 사람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발병하여 인지, 지각, 정동, 의지, 행동, 사회활동 등 다양한 정신기능의 이상을 초래하게 되어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행동에 위축이 오며 사람들로부터 점점 멀어져 친구나 가족까지도 소원해지는 대인관계상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정신분열병환자들의 대인관계 증진을 도모하고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주장적으로 표현 할 수 있도록 자기주장훈련을 실시하여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주장행동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의 Y정신병원에서 입원한 환자 중 연구 대상자를 편의 추출하여 임의 할당한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19명이며, 연구 도구는 자기주장척도, 주장행동관찰평가척도, 대인관계변화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은 변창진과 김성희(1980)가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한 프로그램과, 홍경자(1988)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정신질환에 맞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연구대상자를 선정한 후, 2003년 5월 2일부터 2003년 6월 9일 까지 매주 3회, 70분씩, 16회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실험 처치 전·후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자기주장행동, 주장행동관찰평가와 대인관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8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처리 하였고 연구대상자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하여 동질성검정은 카이(χ^(2))검정으로 분석하였으며 가설 검정을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 검정은 내적 일관성 신뢰도 계수(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전보다 훈련 후 자기주장이 강해졌으며, 주장행동 관찰평가 점수도 높아졌다. (자기주장 t=-26.41, p= .000, 주장행동관찰평가 t= 10.63, p= 000). 2.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보다 자기주장이 강해졌고 주장행동관찰평가 점수도 높아졌다. (자기주장 t=201 p= 050, 주장행동관찰평가 t= 5.29, p= .000). 3.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 전과 후에 대인관계 점수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t= .11, p= .910). 4. 자기주장훈련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훈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와 대인관계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t=-1.35, p= .180). 연구결과 자기주장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정신분열병환자는 자신의 주장행동이 향상되고, 훈련을 받지 않은 정신분열병환자보다도 더 주장행동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후 대인관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후 대인관계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교육의 효과는 있으므로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 재 적응을 돕고 정신간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Human beings want to show their rights, demand, opinions, and feelings straightforwardly to others while trying to avoid infringing on others' rights. Howeve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impair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not only by severe deficits on cognition, perception, affect, behavior and social skill but also by persistent isolation from a society, families, and rela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training which was designed to help schizophrenic patients improve their relationship and express their opinions more assertively on self assertive behavior and relationship. 39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at Y psychiatric hospital in a Y city in Kyungi Province were randomly assigned with a experimental group of 20 and control group of 19. Outcome assessment was rated by using self assertiveness scale,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scale and measure of change in relationship. The sel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re-adapted to be suitable for the mental illness based on the program revised by Chang-jin Byeon and Seong-hwe Kim according to Korean circumstances and a program developed by Kyoung -ja Hong,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patients with self-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participated in a total of 16 sessions, three times a week for seventy minutes at a time, from May 2, 2003, to June 9, 2003. Self assertiveness,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and change in relationship were used to assess program effects on a pre-post basis. Data was analyzed with SPSS 80 and differences in proportion of categorical variables were assessed by a Chi square test. Research hypotheses were also verified with paired t-test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produced for the internal-consistency of the research instruments. Results of experiments are as following 1. Schizophrenic patients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showed greater improvement on the self-assertiveness and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in comparison with pre-training. (self-assertiveness t= -26.41, p= 000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 10.63. p= .000) 2. Schizophrenic patients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revealed higher scores on the self-assertiveness and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han those who had no training program. (self-assertiveness: t=2 01 p= .050. assertive behavior observation: t= 5.29. p= .000) 3 There was no change on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mong schizophrenia who were trained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pre-training. ( t= 11, p= 910) 4. Th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chizophrenia who were trained with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ose who were not trained. ( t= -1.35, p= .180) Research results show that patients receiving self-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revealed greater improvement in assertive behavior compare to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sca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ut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was showed.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icacy of self-assertive training program for schizophrenic patients. Therefore self-assertive training program will be used as an mental health care intervention for helping social adaptation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