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자주요 분장기법과 조선분청기법을 융합한 도자표현연구

        장혁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류 문명 발전과정에서 도자기는 문화, 기술, 예술을 아우르는 선진문명의 기준이 된다. 이는 역사적으로 진화를 거듭하는 가장 새로운 신소재였다. 세계 4대문명에서 시작된 도기의 생산에서 중국은 한걸음 더 나아가 가마기술을 발전시키고, 자기생산을 위한 태토를 발견하여 자기를 처음 제작한 국가가 되었다. 앞선 중국의 도자 생산 기술은 이웃된 한국으로 전파되었고, 한국은 사회, 문화, 예술 등의 시대적 상황과 민족성을 반영하여 독자적인 도자기의 미감을 완성해 왔으며, 고려청자, 분청사기, 조선백자라는 고유의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이렇듯 중국과 한국, 두 양국의 도자기 역사는 세계 도자기 흐름의 중요한 축을 형성하고 이끌어 왔으며, 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이다. 특히, 중국 자주요계에서 제작된 분장기법 도자기와 한국 여말선초(麗末鮮初) 시대에 나타난 분청사기는 독특한 미학과 다양한 기법들이 돋보이며, 현대의 조형적 미감에도 어울리는 뛰어난 예술성을 가진 도자기라 판단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장기법을 활용한 중국과 한국의 도자기 유물 실견과 문헌 자료를 살펴 역사적 사실과 배경 고찰을 하였고, 마지막으로 양국의 도자기에 나타난 양식 비교 분석 과정을 거쳐 연구자의 해석을 가미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자주요와 분청사기는 발생 배경과 시대 차이는 있으나 몇 가지 공통점과 이어지는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자주요와 분청사기의 공통된 특징은 ‘화장토’ 사용에 있다. 화장토의 사용은 도자기 장식 방법에 기법과 문양의 새로운 시도를 가능하게 하였고, 다양한 주제를 포용할 수 있는 발상의 확장을 가져왔다. 이후 다양한 문양과 기법은 성숙되어 모든 계층의 취향에 부합하는 도자기가 완성되었고, 당대의 의식이 여실히 반영된 하나의 독창적인 도자기 장르로 자리매김 하였다. 본 연구 작업에서는 과거 자주요 분장기법 도자기와 조선의 분청사기가 가진 미감을 전통과 현대, 중국과 한국의 고유 문양을 융합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흙을 빚어 합과 화기의 형태로 제작하였고, 형태의 내벽, 외벽에 조화기법과 박지기법 등을 활용하여 문양을 새겨 넣었다. 문양의 종류는 자주요 유물에서 참고하여 구름, 꽃, 풀, 파도 등의 주변 자연환경에서 영감을 얻어 장식 문양을 선택하였다. 특히 구름을 주 문양으로 삼아 구름의 자유로움, 해학적, 친숙함 등의 심상을 작품 곳곳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표현 방법에도 화장토를 활용하여 문양을 새기거나, 입체적으로 제작한 구름 조각을 작품에 올려 표현하였다. 내벽에는 분청사기의 귀얄 기법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움과 자유로운 질감을 표현하였다. 또한 새로운 기법의 시도를 통해 제작된 작업을 추가하여 실험적이고 신선한 도자 표현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국 자주요 분장기법과 조선 분청사기의 융합을 위한 비교 분석과 작품 제작을 통해 양국의 분장도자기에서 나타난 미의 본질과 의미를 알 수 있었고, 작업 과정에서 고뇌와 성찰을 통한 완성된 작품의 책임과 사명감을 가지게 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한 중국과 한국 도자 교류와 융합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되었으면 한다. In the process of human civilization development, ceramics become the standard of advanced civilization encompassing culture, technology, and art. It was the newest new material that has historically been evolving. From the production of pottery that began in the world's four major civilizations, China went one step further, developed kiln technology, discovered clay soil for porcelain production, and became the first country to manufacture porcelain. China's advanced ceramics production technology has spread to neighboring Korea, and Korea has perfected its own aesthetics of ceramics by reflecting the social, cultural, artistic,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ethnicity of the times. pottery was made. As such, the history of ceramics between China and Korea has formed and led an important axis of global ceramics flow, an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 very interesting topic. In particular, the Buncheong technique porcelain produced in China's Cizhou kiln and the Buncheong porcelain ware that appeared in the end of Goryeo to the beginning of Joseon in Korea stands out for its unique aesthetics and various techniques. Therefore, it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 this study, historical facts and background were examined by examining the actual findings and literature data of Chinese and Korean ceramic relics using the makeup technique. Finally,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ative analysis of styles that appeared in the ceramics of both countries, a work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s was added . In the course of the study,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and period of occurrence of Cizhou kiln and Buncheong ware, some commonalities and subsequent research results could be derived. A common characteristic of Cizhou kiln and Buncheong ware is the use of ‘white slip’. The use of white slip made it possible to try new techniques and patterns in ceramic decoration methods, and brought about the expansion of ideas that could embrace a variety of subjects. Since then, various patterns and techniques have matured and pottery that meets the tastes of all classes has been completed, and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pottery genre that clearly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 In this research work, I tried to produce a work that fuses traditional and modern, Chinese and Korean unique patterns with the aesthetics of the past Jado-style porcelain and the Buncheong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made in the form of a box and a vase by forming clay, and patterns were engraved on the inner and outer walls of the form using the harmonization technique and the padding technique. As for the type of pattern, the decorative pattern was selected with inspiration from the surrounding natural environment, such as clouds, flowers, grass, and waves, by referring to the relics. In particular, with clouds as the main pattern, images of freedom, humor, and familiarity of clouds are visually expressed throughout the work. The expression method was also expressed by using white slip to engrave a pattern or to put a three-dimensional cloud sculpture on the work. On the inner wall, naturalness and free texture were expressed by using the ear-yal technique of Buncheong porcelain.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experimental and fresh ceramic expression was presented by adding the work produced through the trial of new techniqu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and work production for the convergence of Chinese Cizhou kiln white slip techniques and Joseon Buncheong ware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know the essence and meaning of beauty in the white slip pottery of both countries. had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duty.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tudy that suggests the necessity of exchange and fusion of Chinese and Korean ceramics.

      • 자아불안 요소를 주제로 한 도자 표현 연구 : -불안감정의 표현과 극복에 관한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장혁신 국립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도자예술을 매개로하여 연구자의 내면적인 불안 감정을 표현하고, 이 과정을 통해 내면의 균형과 치유를 찾고자 한다. 불안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감정으로 정신분석 분야에서 자주 언급되는 불안 개념과 일치한다. 연구자는 일상생활 속에서 느끼는 불안을 표현함으로써 심리적 해방과 존재를 드러내고 도자 예술에 정신적인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도자기를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으로 간주하며 그 기능성과 미적 가치에 주목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불안에 대한 추상적인 개념을 담는 상징적인 매개물로서 인식하고, 이를 통해 자아 인식을 탐구하는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어린 시절 조기에 부모로부터 분리되고 학교 폭력에 시달리는 등의 경험을 겪으며 내면은 연약해지고 자기 비하와 불안으로 가득 차서 자기 부정의 심리를 가지고 있었다. 연구자 내면의 불안한 감정은 예술의 표현을 통해 불안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 뒤에 숨겨진 무의식적 불안의 근원을 이해하며, 재현함으로써 내면의 병적인 심리를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극복할 수 있었다. 자기 탐구와 표현은 자기 부정의 사이클에서 벗어나 자기 동일성과 가치를 발견하고 연구자 내면의 불안한 감정을 구상적인 형태로 전환시킬 뿐만 아니라 창조적인 잠재력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불안에 대한 심리적 문제를 문헌 연구와 탐구를 통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정신분석학과 심리학에서 다루는 불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학의 불안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해리 스택 설리반과 카렌 호나이의 연구를 통해 불안의 근원을 이해하고,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일련의 심리 방어 기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 대상관계가 개인 성장에 미친 영향을 주장하는 존 보울비의 애착 이론을 설명함으로써 불안정 애착의 근원을 파악하였다. 불안이 예술을 통해 완화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불안과 예술에 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불안과 예술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통해 무의식을 의식화한 내면적 심리문제를 이해하였다. 또한, 예술은 무의식적인 감정에 영향을 미치며 개인과 사회적 차원에서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고 해소하는 유용한 매체로 작용한다. 도자기 재료인 점토는 재료의 다양한 표현과 제작과정에서의 은유기능을 통해 불안을 예술로 전달하며 불안을 완화하고 자기 치유 및 정신적 회복 그리고 불안한 경험과의 화해를 이루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도자제작의 성형 과정에서 재료가 가지는 취약한 특성으로 인해 흠집이 발생하여 종종 실패작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불완전함은 인간 내면의 상처, 고통과 유사하여 인간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신세계를 유사하게 비유한다고 생각한다. 작품 '갑옷'에 부착된 균열 모양의 갈라짐 효과는 자신에 의해 발생한 불안 요소의 자기 보호 기제를 비유한다. 갑옷은 사람을 모호 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그 무게와 단단함으로 오히려 파괴적 일수 있다. 작품 '불안의 항아리 '는 초벌소성 된 항아리 내부에 물을 담은 후 건조된 흙 상태의 작은 그릇을 넣고, 그 그릇이 물에 녹아가는 작업의 형태로 인간이 불안에 시달리고, 자신의 힘으로 빠져 나올 수 없는 무기력한 상태를 비유한다. 불안의 표현에서, '불안의 상자'와 '불안의 항아리'는 내부구조가 뚜껑으로 닫혀 있어 내부의 형태를 알 수 없다. 도자기를 감상할 때 사람들은 내부구조의 관심보다는 외형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연구자는 열어보지 않은 내부에 자신의 모습을 표현하여 마치 사람들이 표면적으로만 타인을 이해하고 상대방의 내면세계를 무관심 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부분의 작품들은 숨겨진 불안한 감정을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연구자는 도자기 제작 과정을 재료 선택부터 성형, 장식, 초벌, 유약을 바르고 장식하며 재벌까지, 인생의 출생, 성장, 개성 형성, 성숙, 완성, 최종적인 성인이 되는 과정의 은유로 여기고 있다. 불안의 재현에서 작품 'Beneath the Surface'는 도자기의 성형 과정을 자신의 감정과 요구를 숨기는 습관을 갖기 시작하는 성장 과정을 비유하고 있다. 도자기 위에 화장토를 발라 표면을 감추어 버리는 제작 방법은 불안한 감정을 결함이라고 생각하여 가리고 싶어 하는 행위를 은유로 사용하고 있다. 작품 'Lost Self'에서는 여러 번에 걸쳐 화장토를 바르며 자신을 지속적으로 부정하고 완벽해지려는 내면적 고민을 은유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들은 불안한 심리 형성에 기인한 감정 표현 방식을 대표한다. 마지막 불안의 극복의 작품 'Metamorphosis to Light'는 유골함을 제작하였다. 이는 불안에 대해 깊이 고찰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새로운 삶의 시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도자기의 제작 과정의 은유를 통해 내면의 불안, 감정 및 정신 상태를 표현하고 자자신의 감정과 정신적 경험을 탐구, 표현, 감정적 해방, 정신적 안정, 그리고 자기 성장을 의미하고자 한다. 따라서 감정 전달을 통한 내면의 균형과 치유를 찾아가는 과정을 강조하는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접근 방식으로 제시되기를 바라며 도자예술의 다양한 조형세계를 추구 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express the researcher's inner anxiety through the medium of ceramic art, using a non-verbal form of expression, and seeks to find balance and healing through this process. The anxiety referred to here is the emotional state frequently experienced by the researcher in daily life, aligning with the concept of anxiety often mentioned in the field of psychoanalysis. The researcher intends to give psychological value to ceramic art by formalizing the expression of everyday anxiety, transforming anxiety into artistic works, revealing aspects of the self, and exploring the inner balance and healing. While ceramics are commonly perceived as functional and aesthetically valuable objects, this research views ceramics as symbolic artifacts conveying abstract concepts such as emotions and psyche.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se artistic works as a means of emotional communication and communion between individuals. The researcher, having experienced early separation from parents and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during childhood, has an inner vulnerability filled with self-deprecation and anxiety, often harboring a sense of self-negation. These pathological psychological experiences are challenging to express in words, and the researcher explores ways to convey the inner anxiety through the integration with ceramic materials. The diverse textures, colors, and expressive forms of ceramic materials provide a means for the researcher to indirectly convey the inexpressible inner anxiety. Artistic creation becomes a process of self-exploration and expression, allowing the researcher to delve into self-awareness, contemplate the origins of underlying anxieties, and explore the value of the self. Art serves as a medium for the researcher's self-expression, providing a bridge for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with others, holding significant meaning for the researcher.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manages to break free from the cycle of self-negation, discovering their identity and self-worth. The expression not only transforms the researcher's inner anxious emotions into tangible forms but also allows the discovery of creative potential and value. This process not only liberates emotions but also enhance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inner anxiety for others through empathy and inspiration. The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nxiety in psychoanalysis and psycholog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xploration. Initially, the researcher delves into Freud's psychoanalysis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inner anxiety and explores interpretations of anxiety through the works of Harry Stack Sullivan and Karen Horney. This exploration helps the researcher confirm the origins of personal anxiety and understand a series of unhealthy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s. To further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art, the researcher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anxiety and art and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contemporary ceramics influenced by abstract expressionism. To enhance the portrayal of anxiety in artworks, the researcher deeply examines the works of artists such as Chiharu Shiota, Louise Bourgeois, Chen Zen, Alexandra Engelfriet, Viola Frey, and Peter Voulko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the researcher classifies the research artworks into categories such as 'Awareness of Anxiety,' 'Expression of Anxiety,' 'Reproduction of Anxiety,' and 'Overcoming Anxiety,'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distinction of inner self. The researcher perceives ceramic materials as analogous to the complex and diverse inner world of humans. The various clay used in pottery possesses different textures and colors, and during the shaping process, the vulnerability of ceramics often leads to perceived flaws resembling emotional scars and pain within the human psyche. Artworks like 'Armor' symbolize the protective mechanism of self against anxiety, but in reality, it is destructive. The piece 'Jar of Anxiety' symbolizes the inner turmoil and helplessness of anxiety by depicting a small jar melting in water. In the 'Expression of Anxiety' section, works like 'Anxiety Box' and 'Anxiety Jar' draw parallels between the researcher's perception of people's interaction with ceramic crafts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artworks suggest that, similar to how people seldom inquire about the internal structure of ceramic crafts, they superficially understand others during interpersonal interactions without delving into their inner worlds. These pieces are used to express hidden anxious emotions. The researcher often considers the pottery-making process as a metaphor for the stages of life, from birth and growth to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maturity, completion, and finally becoming an adult. In the 'Reproduction of Anxiety' section, the artwork 'Beneath the Surface' applies the interpretation of the shaping process of ceramics to depict the researcher's growth, beginning to hide emotions and demands to conform to societal expectations. The researcher uses the material 'slip' as a metaphor for covering perceived flaws, symbolizing the act of hiding characteristics deemed negative. In the 'Overcoming Anxiety' section, the artwork 'Metamorphosis to Light' represents the researcher's deep reflection on anxiety, anticipating the future, and undergoing psychological growth. This piece encapsulates the researcher's contemplation on anxiety, prospects for the future, and psychological evolution. These artworks, created through the artistic expression of ceramic materials and forms, decorations, and the metaphor of the firing process, aim to express the researcher's inner anxiety, emotions, and mental state, with the purpose of gain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self-awareness. Through these works, the researcher explores, expresses, emotionally liberates, achieves mental stability, and fosters personal growth. Simultaneously, these artworks employ artistic methods to concretize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the artist's inner world, enabling the audience to better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intricacies of the artist's psyche. Through artistic creation, the researcher interprets and expresses various facets of human beauty and the anxious mental realm, seek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by resolving anxious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