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활성탄소섬유 흡착bed에서의 톨루엔 흡착 및 탈착 특성

        장예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oluene adsorption and desorption characteristics in the adsorption bed packed with activated carbon fiber(ACF) were studied. Experimental apparatus is composed of VOCs generation equipment, adsorption bed, and analytical instrument. Breakthroug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length of the adsorption bed which consisted of 3 or 5 sheets of the ACF and flow rate when toluene concentration are 400ppm and 800ppm respectively. When mass transfer zone(MTZ) comes out of the adsorption bed, toluene concentration is increased sharply and reached plateau region by saturation.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semi-empirical gas adsorption model proposed by Yoon and Nels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MTZ with adsorption time in the adsorption bed packed with ACFs, weight increment of each ACF was measured with the location of ACF at each run. When the weight increment of ACF by toluene adsorption which located at the exit of the bed reaches about 20%, toluene started to be detected. The purpose of desorption experiment is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with the variables such as bed length, carrier gas(N₂) flow rate, and time. Reactor temperature was set at 150˚C and saturated ACF with toluene was put into reactor. Previous investigation suggested a temperature of 150˚C to be effective in completely removing the adsorbed VOCs. When N₂ gas flow rate was constant, desorbed toluen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longer bed length at 150˚C bed temperature. When bed length was short(1-2 sheets of ACF), desorbed toluene concentration showed single peak. However, this trend was changed to zone peak with more ACF(3-5 sheets of ACF) 활성탄소섬유가 장입된 흡착bed에서의 톨루엔 흡·탈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장치는 VOCs 발생장치, 흡·탈착장치인 흡착bed, 분석 장치로 구성되었다. 흡착실험변수는 톨루엔 농도, 유량, 흡착bed 길이이다. 파과특성은 ACF 3장 또는 5장으로 구성된 흡착bed길이와 400ppm과 800ppm의 톨루엔 농도, 유량에 따라 조사되었다. MTZ가 흡착bed 통과하여 검출되면서 톨루엔 농도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였다. 실험적 결과는 Yoon and Nelson이 제안한 반경험식 가스흡착모델과 비교하였다. ACF가 장입된 흡착bed에서 흡착 시간에 따른 MTZ 이동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각의 ACF 위치 따른 ACF 무게 변화를 측정하였다. 반응기 출구 측에 위치한 ACF의 톨루엔 흡착에 의한 무게증가비가 약 20%에 도달하였을 때 톨루엔이 검출되기 시작하였다. 탈착실험의 목적은 베드길이, 캐리어가스(N₂)유량, 그리고 시간의 변화에 따른 농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반응기 온도를 150℃로 setting 한 후 반응기에 톨루엔으로 포화된 활성탄소섬유를 장입하였다. 150℃의 반응기 온도에서 활성탄소섬유에 포화된 톨루엔 제거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bed길이가 짧을 때(ACF1-2장) 탈착된 톨루엔 농도는 single peak를 나타내었지만, ACF가 3장 이상일 때는 zone peak로 변화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 Analysis of microscopic tumor spread pattern according to gross morphology in bile duct cancer

        장예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Introduction: Surgical resection is the only curative therapy in the extrahepatic bile duct (EHBD) cancer but guideline on optimal resection margin is not establish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tern of microscopic tumor spread and its length according to gross morphology and to suggest optimal resection margin in EHBD cancer. Methods: From 2007 to 2010, 79 patients with EHBD cancer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and analyzed. Pathologic findings including spread pattern of the tumor and its length were reviewed by one specialized pathologist. Results: Mucosal and mural/perimural spread was seen in 59 (37.3%) and 99 (62.3%) cases, respectively. Gross morphology were classified as papillary (n=13), nodular/nodular infiltrative (n=43), and sclerosing type (n=23) and spread pattern correlated with gross morphology (p < 0.001). In papillary type, 80.8% showed mucosal spread while sclerosing type had 16.9%. Mean length of tumor spread of each gross type were 4.5 ± 6.3mm, 1.8 ± 6.4mm, and 6.4 ± 6.7mm (p = 0.004), and 90 percentile of the length of tumor spread were 15.6mm, 10.0mm, 15.6mm,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pattern of tumor spread correlated with gross morphology and sclerosing type showed the longest tumor spread. Optimal resection margin in EHBD cancer should be 15mm in papillary/sclerosing type and 10mm in nodular/nodular infiltrative type.

      •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비교 분석

        장예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의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본문의 문화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영어교과서의 효율적인 문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올바른 문화교육을 통해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따라서 중학교 3학년 한국 교과서 3종, 중국 교과서 3종, 일본 교과서 3종으로 총 9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의 문화내용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지, 문화내용이 각 국가마다 어떤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교과서의 본문내용을 문화유형과 문화배경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 중국, 일본 교과서의 문화내용이 문화유형별로 균형 있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가? 둘째, 한국, 중국, 일본교과서의 문화내용이 문화배경별로 균형 있고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가? 셋째, 한국, 중국, 일본의 교과서의 문화적 내용이 문화유형, 문화배경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유형별 비교에서 한국, 중국, 일본이 문화유형의 기준인 물질문화, 행동문화, 정신문화의 요소가 전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나라에서 물질문화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행동문화와 정신문화 비교에 있어서 한국이 중국, 일본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중국과 일본은 정신문화가 행동문화보다 더 빈번하게 제시되었지만 한국은 행동문화의 비율이 정신문화보다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3학년의 수준에 적합한 정신문화의 비율보다 행동문화의 비율이 높게 나왔기에 한국 교과서는 행동문화보다 정신문화의 문화내용을 늘릴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 배경별 분석에서 한국, 중국, 일본은 공통적으로 보편문화의 비율이 높게 나왔다. 그러나 세 국가는 모두 다문화와 비영어권문화에 대한 비중이 낮아 다양한 국가별 문화 소재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배경별 분석에서 주목할 것은 일본 교과서에 자국문화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는 점이다. 중국도 보편문화를 제외하고 영미문화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여주어 각 국가별로 문화교육에 힘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국 교과서는 보편문화를 제외한 다른 문화배경 요소의 비중이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기에 다양한 소재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나라의 교과서의 문화내용 구성 방식을 분석한 결과, 한국, 중국, 일본 교과서에 문화 활동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일본은 불규칙적으로 문화 활동이 제시되었으며, 한국은 본문과 관련이 없는 문화내용을 제시한 교과서도 있었다. 세 국가는 각 본문에 문화 활동을 수록하고 문화 활동을 본문과 연계시켜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고 올바른 문화교육을 할 수 있도록 시정해야 할 것이다. 문화교육은 단순히 그 나라의 언어뿐만이 아니라 그 나라의 문화와 의사소통 환경 역시 습득하는 것이다. 외국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자국문화를 바르게 인식함으로서 학습자의 열등감을 해소하고 국제적 안목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교과서는 다양한 문화요소에 대한 내용보다는 보편적인 문화내용들을 주로 사용하였다. 또한 중학교 고학년에게 필요한 정신문화에 해당하는 문화내용보다는 행동문화에 더 집중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적 요소와 학년 수준에 적합한 문화내용을 적절히 교과서에 반영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여성 운전자를 위한 자동차 정비 서비스 제안

        장예림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내 자동차 산업이 성숙기에 진입하면서 성장률 둔화와 함께 자동차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계기로 국내 자동차 시장은 판매 중심 사업에서 자동차의 유지 관리에 관한 서비스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다. 다만, 자동차 정비 서비스는 전문 기술적 문제로 고객이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이기 때문에 정비 서비스 시장에서 고객이 소비자로서의 주도권을 잡기가 어렵다. 더 나아가 상대적으로 자동차 관련 지식에 대해 자신감이 없는 여성들은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 정비 과정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을 최소화함으로써 여성 운전자가 자동차 정비 서비스를 안심하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안한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자동차 정비 서비스의 정의 및 시장 형성 과정과 여성 운전자의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고 고객여정지도를 작성하여 여성 운전자와 정비사 각각의 기회 영역을 도출하였다. 이후 디자인 전문가 9명이 참여한 아이디에이션을 통해 서비스 컨셉을 구체화하였다. 서비스 컨셉은 사용자 검증을 거처 실효성과 한계점을 검토한 후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으로 자동차 정비에 자신이 없는 여성 운전자에게 개인화된 대인 정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서비스 프로세스에 주체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 컨셉을 제안하였다. 서비스 시나리오, 서비스 이해관계자 맵, 서비스 블루프린트,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시각화를 통해 제안하려는 서비스를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운전자들의 자동차 정비 서비스 과정에서 여성이 원하는 서비스 요소가 무엇인지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여성 운전자의 니즈를 반영한 새로운 정비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하며, 이로 인해 여성 운전자가 정비 서비스 프로세스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domestic automobile industry entered the mature level, the automobile market became repressed. With this crisis, domestic car market changes the focus of their service to the maintenance of it from the focus of sales previously. However, the car maintenance service deals with professional and technical issues so for a client, it is very hard to approach. As a result, it is hard for a client to lead the process as a customer. Furthermore, women who are not confident about the information related with the cars are vulnerable to go through a lot of stresses on the process of the car mainten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minimize the information asymmetry to alleviate the mistrust on the maintenance service and to have more convenient service during the maintenance process. This study is mainly about the definition of the automobile maintenance service and the formation of this market and also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drivers through the research of the related articles. Based on these literature review, I adopt the methodology of focused interview and make the customer journey map so I conclude the opportunity areas for the auto mechanic or the maintenance technician and the female driver each. Subsequently, I articulate the concept of the service on the ideation process collaborating with the 9 professional designers. Finally I suggest the concept of this service personalized to the female driver who is not confident regarding this issue to keep providing the customized services updated subsequently, so they can participate actively to the service process. So I hereby articulate this as following: the service scenario, service stakeholders map, service blueprint, service business model and the visualization of the service. This study helps you to understand what the female drivers want more exactly during their car maintenance. Besides I intend to suggest the new maintenance service based on the female drivers' needs, and I expect to take more active part to the car maintenance service for the female drivers.

      •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고립감을 통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예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신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감을 통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4년재 대학교에 재학생중인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고립감이 코로나19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감과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사회적 고립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심리자본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긍정심리자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고립감의 매개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social isolation,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COVID-19 stress and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u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34 undergraduates attending 4-year university located at Busan Metropolitan City and data was processed with SPSS 21.0 Program for analyze moderated mediation effect.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social isolation partially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t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declined if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high. Third, it turned ou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d the influence of COVID-19 stress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social isolation, which validat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When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high,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isolation increased. Based on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ed significant implication, limitation in the research and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as well.

      • 문화예술 관람(체험)의 SPI가 감정반응 PAD, 트랜스포메이션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장예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경제성장과 산업발전으로 인해 전반적인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여가만족의 중요성과 인식이 높아졌다. 특히 문화예술 활동 향유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면서 문화예술 여가활동 욕구가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가활동의 트랜드가 이전에는 노동 후 남는 시간으로 인식했던 반면, 현대사회에서는 일상생활 속의 재충전을 넘어 새로운 에너지 생산을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가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체험적 활동으로 분류되는 문화예술 여가활동에 대한 활성화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체험을 통해 자신의 삶에 긍정적인 자극을 받을 수 있으며 그로인해 성장하고 개선되는 욕구를 일컫는 트랜스포메이션 경제시대를 앞두고 있는 현재에 문화예술 체험은 관광산업에서도 주목하고 있는 바이다. K-POP, K-Entertainment가 전 세계적으로 성행하고 있는 이 시점에 문화예술 시장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문화예술 관람(체험)의 감각자극이 문화예술 소비자의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트랜스포메이션,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 문화예술 분야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각 변수들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문화예술 관람(체험)의 감각자극이 감정반응과 트랜스포메이션 및 여가만족에 미치는 상관관계를 파악한 뒤 실증 분석을 위하여 문화예술 관람(체험)을 1회 이상 경험해 본 수도권 중심의 문화예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020년 5월4일부터 5월 1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최종적으로 264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문화예술 관람(체험)의 SPI(Sense Profile Index : 감각 프로파일 지표)는 문화예술 관람(체험)시 자극되는 오감 중 주요감각(시각,청각)과 부감각(후각,미각)으로 나뉘며 이 중, 주요감각은 감정반응 PAD(즐거움, 각성, 지배) 요소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부감각은 각성과 지배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관람(체험)의 감각자극은 감정반응에 유의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둘째, 감정반응 PAD는 트랜스포메이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문화예술 체험의 감각자극을 통해 형성된 감정반응은 문화예술 소비자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감정반응 PAD 중 즐거움과 지배는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각성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를 통해 감정반응 PAD는 여가만족에 유의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트랜스포메이션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체험을 통해 소비자의 삶에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는 여가만족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 관람(체험)을 SPI(감각 프로파일 지수)라는 관점에서 바라본 연구과제이다. 또한 각 변수들의 선행연구들을 취합하여 개념을 보완하고 설문지 구성을 확정하였기에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변수들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낸 요인들은 각각의 한계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아직은 SPI와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지만 이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 및 감각자극에 대한 연구 기반을 만들고자 하였다. 고로 향후 연구에서도 SPI 및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overall living standard has improved due to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leisure satisfaction have increased accordingly. With the significance and need for exposure to culture and arts being recognized more, the desire for leisure activities on culture and art has been on rise. Leisure activities, in old days, used to be thought as something one would invest if there’s time available after work. In modern society, however, it is aimed to be used as a momentum to produce new energy which is beyond something that gives refreshment in daily life. This trend brings highlights to cultural and artistic leisure activities and activities that are classified as experiential are more preferred. In the time of transformation economy, people want hands on experience where they can feel growth and improvement more directly. They believe these experiences bring vivid impact to their lives. This is the primary reason the tourism industry pays attention to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At this success time of K-POP and K-Entertainments around the world, this paper seeks to revitalize the culture and arts sector by looking at how one’s sensory stimulation obtained from experiencing cultural arts would impact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 its transformation, and their satisfaction of leis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ere conducted in parallel. It first analyzed prior researches of different variable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mong emotional response, transform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by sensory stimulation derived from watching or experiencing culture and arts. For empirical analysi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4 to May 15, 2020. The subject was consumers mainly from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ve experienc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more than once, and total of 264 copies were realiz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SPI (Sense Profile Index) of watching or experienc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s divided into major senses (visual, auditory) and minor senses (olfactory, gustatory). While the result shows that major senses have meaningful impact on all elements of emotional response which are PAD (pleasure, arousal, and dominance), minor senses have meaningful impact on arousal and dominance only. This presents that sensory stimulation by experiencing culture and arts is a significant factor in producing emotional response.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PAD emotional respons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transformation. Emotional response formed through the sensory stimulation is important factor for positive changes and growth in the lives consumers. Third, among PAD emotional responses, pleasure and dominance have crucial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but arousal. This still could assert that PAD are significant factors in leisure satisfaction.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ransformation has meaningful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which proves the fact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consumers' lives increase their leisure satisfaction. This paper focuses on interpreting cultural and artistic experience from SPI (Sense Profile Index) perspective. And its academic significance comes from collecting different variables from prior researches, refining and supplementing each variable’s concept, and drawing a meaningful conclusion through conducting survey. In addition, this paper also presen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factors that are found to be insignificant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s of variables. Though prior researches on SPI and transformation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intends to create a foundation for research on culture and arts and its relationship with sensory stimulation. Further studies on SPI and transformation should actively be conducted in future studies.

      • Determin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in-bus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matter (PM2.5) and carbon dioxide (CO₂)

        장예림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People can be exposed to significant air pollutant levels during transportation, since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from transportation are often higher than other microenvironments. Bus is one of the main public means of transportation.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n-board bus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such as PM2.5 and C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rnal bus concentrations of PM2.5 and CO2. PM2.5 and CO2 concentrations in bus were measured using MicroPEM and CO2 data logger, respectively. The measurements from 5 different bus routes were conducted from 8 A.M to 7 P.M over a 5-day period in Seoul, Korea. The concentration of ambient PM2.5 was obtained from 25 fixed monitoring stations in Seoul (AirKorea, 2017). The in-bus PM2.5 and CO2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onditions such as operation/non-operation and rush hour/non-rush hour. The on-board bus PM2.5 concentration was characterized using a peak analysis. The internal bus PM2.5 concentration was influenced by sampling date and ambient PM2.5 concentration. On-board bus CO2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when buses were in rush hour and on long distance routes (p < 0.05). Peak PM2.5 concentrations occurred mainly at traffic facilities such as traffic lights and crosswalks where buses stopped. Internal bus PM2.5 concentration was affected by ambient air. Internal bus CO2 concentration was associated with operation status, rush/non rush hour and distance of route. The sudden increase noted for internal bus PM2.5 concentration was associated with traffic facilities. However, as this study did not take videos during the sampling period, other operational factors were not fou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eak PM2.5 concentration in-bus. 일반적으로 교통을 이용하는 시간은 24시간 중 6.9%로 비중은 적지만, 교통시설 내부의 PM2.5와 CO2 농도는 다른 미세환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교통시설에서의 노출은 전체 노출에 기여하는 바가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운행하는 조건의 버스 내부에서 PM2.5와 CO2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결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2016년10월부터 11월 중의 5 일간 장거리, 중거리, 단거리의 서로 다른 5개 노선에서 오전 8시부터 오후 7시까지 실제 운행하는 버스 내부에서 PM2.5 농도와 CO2 농도를 측정하였다. PM2.5의 경우 MicroPEM을 이용하여 측정을 하였고 CO2 농도의 경우 CO2 data logg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전/차고지의 위치, 혼잡 시간대/비 혼잡 시간대와 같은 조건에 따라 농도를 비교하여 버스 내 PM2.5 농도와 CO2 농도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버스 내 PM2.5 농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피크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버스는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 장거리 노선에서 CO2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 p < 0.05). 버스 내부의 PM2.5 농도는 대기의 PM2.5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R2 = 0.201). 하지만 버스 내부의 PM2.5 농도는 버스의 속도와는 연관이 없었다. 버스의 PM2.5의 피크 발생은 교통시설물에 근접할 때 주로 발생하였다. 하지만 버스가 교통시설물과 근접하더라도, 농도가 항상 높지는 않았다. 버스 이용객들의 단시간의 높은 개인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버스 내 PM2.5 농도의 피크를 이해하고 결정요인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 박봉술 《춘향가》의 음악적 특징 연구 : ‘초입’ 대목을 중심으로 : ‘초입’ 대목을 중심으로

        장예림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전승되는 판소리 다섯 바탕 중 백미(白眉)로 일컬어지고 있는《춘향가》는 문학적·음악적·연극적 층위 등 판소리의 모든 층위에서 그 예술성이 단연 돋보이는 작품이다. 동편제《춘향가》는 김세종-김찬업-정응민-정권진·성우향·성창순·조상현으로 전승되는 소리와 송흥록-박만순-송만갑-박만조-박봉술로 전승되는 소리가 있다. 박봉술은 1973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적벽가》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박봉술의《춘향가》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적벽가》와는 달리 전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전인삼은 2011년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의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에서 박봉술《춘향가》음원을 바탕으로 복원·발표하여 현재 다양한 방식의 연행으로 전승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박봉술《춘향가》는 사설 면에서 장자백 창본의 내용과 거의 유사한 고제(古制)적 특징을 보이며, 선율 면에서도 19세기 여러 명창의 더늠 소리를 큰 변화 없이 전승하여 고조(古調)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본 연구는 박봉술《춘향가》‘초입’인 <기산영수 별건곤>, <방자분부듣고>, <적성가>, <앉었다 일어서> 대목의 붙임새와 시김새를 파악하고, 선율을 분석하여 박봉술 《춘향가》의 음악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붙임새는 주로 대마디 대장단을 사용하였으며, 엇붙임은 밀붙임과 당겨붙임을 사용하였으나 빈도수는 매우 낮았다. 둘째, 선율은 박봉술《춘향가》‘초입’인 <기산영수 별건곤>에서 <앉었다 일어서>로 대목의 진행과 동일하게 출현음 및 음역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평우조의 골격음이 사용되며 대목 내에서 청과 선법을 변화시켰다. 셋째, 시김새는 주로 1음절 2음의 시김새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대목이 진행되면서 음형의 시김새보다 꾸밈음 시김새의 사용 빈도수가 높아졌다. 그 중 2~4도 안에서 상·하행 진행하는 시김새를 주로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박봉술《춘향가》‘초입’ 대목은 주로 대마디 대장단으로 이루어져 있고, 평우조 선법을 사용하며, 1음절 2음의 간결한 시김새를 사용하였다. 박봉술《춘향가》‘초입’을 구성하는 네 대목은 공통의 특성을 통한 유기적인 상관관계의 음악적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hunhyangga (Song of Chunhyang)", known as the highlight of the five works of pansori, is without a doubt a work that demonstrates outstanding literary, musical, and theatrical artistry on all levels. While there is a line of "Dongpyeonje Chunhyangga" passed down from the genealogy of Kim Sejong - Kim Chaneop - Jeong Eungmin - Jeong Kwonjin, Seong Woohyang, Sung Changsoon, and Jo Sanghyun, another line of transmission can be found in the work of Song Heungrok - Park Mansoon - Song Mangab - Pak Manjo - Park Bongsul. 1973 saw the recognition of Park Bongsul as the holder of pansori "Jeokbyeokga", the fif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Korea. His "Chunhyangga" has not been transmitted successfully, unlike his "Jeokbyeokga",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1, as part of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s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Restoration and Reproduction Project, Jeon Insam restored and produced an album based on the recording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that resulted in diverse transmission work for the art. Park Bongsul's "Chunhyangga" demonstrates Goje(the old style) substantially comparable to Jang Jabaek's text in terms of Saseol(lyrics) and preserves the Gojo(old-fashioned melody) specifications transmitted from the deonumsori(personal styles) of the 19th-century pansori master melodies.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s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including the part of "Gisanyeongsu Byeolgeongon", "Bangja Bunbu Deudgo", "Juksungga", and "Anjeotda Ireoseo". It investigates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is "Chunhyangga" by analyzing their buchimsae(adding lyrics to music), sigimsae(ornamentation), and melo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s buchimsae primarily uses daemadi daejangdan(regular addition of lyrics) for utbutim(irregular addition of lyrics), accompanied by an infrequent use of milbutim and dangyubutim. Second, it was found that both of tone and range are gradually widened at the melody, same as progress of the part from the "Gisanyeongsu Byeolgeongon"(as an introduction of "Chunhyangga") to "Anjeotda Ireoseo". In addition, they modulate their pitch and scale while employing the main melody of pyeongujo frame. Third, one-syllable and two-note sigimsae are generally employed, with ornamental sigimsae used more regularly than rhythmic figures during the progression of the melody. Sigimsae that ascend and descend within the second and fourth scales are widely utilized. Accordingly, the introduction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is predominantly composed of daemadi daejangdan employing pyongujo scale and concise one-syllable and two-note sigimsae. The four parts comprising the "Introduction" of Park Bongsul's "Chunhyangga" demonstrate music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rrelation through share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