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장선량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유형의 어떠한 요인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진로발달 이론을 기초로 개인의 특수한 상황변인으로서 학년 수준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중요성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진로상담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설정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성격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성격유형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5】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가운데 임의로 표집한 503명(1학년 207명, 2학년 121명, 3학년 93명, 4학년 8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Jung의 심리유형론에 근거하여 Myers-Briggs가 개발한 성격검사인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를 김정택, 심혜숙(1991)이 표준화한 한국판 MBTI(GS형)를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Osipow 등이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areer Decision Scale: CDS)를 고향자(1992)가 우리 문화에 적절한 문장표현으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검사는 김봉환(1997)이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차이분석, 상관분석, 단계적(Stepwise)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 수준 '.05' 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유형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1은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성격유형의 하위요인별 상·하 집단 중에서 진로결정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t=-2.080, p<.05)이었고, 진로준비행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t=-3.161, p<.01)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t=-3.323, p<.01)이었다. 둘째,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2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학년 수준에 따라 진로결정수준에서는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진로준비행동에서는 '.001'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3은 긍정되었다. 진로결정수준에서는 인식기능을 제외한 3가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과 '.05'수준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각각 에너지방향(r=-.092), 판단기능(r=-.100), 생활양식(r=-.106)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서 가장 높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에너지방향과 생활양식에서 '.01' 수준의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각각 에너지방향(r=-.185), 생활양식(r=-.197)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이 진로준비행동과 가장 부적상관이 높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4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진로준비행동만이 학년 수준과 '.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r=.292)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과 진로결정수준은 '.05'수준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5는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Beta=-.108)과 에너지 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Beta=-.092)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년 수준은 진로결정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 의해 1.2%가 설명되고, 그에 이어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에 의해 0.8%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있다. 두 요인의 공동 설명력은 2.0%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격유형과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 6은 긍정되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 (Beta=-.019)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Beta=-.0183)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학년 수준 중 4학년 (Beta=.286)이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1학년(Beta=-.0127)이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4학년에 의해 8.2%가 설명되고, 그에 이어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이 3.6%의 변량을 추가 설명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에 의해 3.3%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마지막으로 1학년에 의해 1.4%의 변량이 추가 설명되고 있다. 이들 4 가지 변인이 공동으로 갖는 설명력은 16.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인 외향형/내향형과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인 판단형/인식형이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 수준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결정수준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유형의 하위요인 중 에너지방향에 따른 분류 중 내향형, 생활양식에 따른 분류 중 인식형의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학년 수준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이 모두 낮은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격유형을 가진 학생들의 경우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학년 수준이 상승함에 따라 진로 선택에 확신이 부족한 상태로 준비에만 치중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방향 없는 진로 준비를 하지 않도록 진로 선택 및 준비에 대한 세심한 지도가 필요하겠다. 다시 말하면 진로 지도 및 상담을 함에 있어서 성격적 요인을 고려한 상담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Hypothesis 1】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ype of personality. 【Hypothesis 2】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be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ade level. 【Hypothesis 3】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ype of personal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 4】 There will b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ypothesis 5】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ill b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Hypothesis 6】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ill b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hypotheses which set up this study sampled randomly 502 university students(freshman 207, sophomore 121, junior 93, senior 81) in Seoul, Korea. The measurement scales used were the Myers-Briggs' MBTI, the Career Decision Scale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he data analyzed by difference test,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stepwise method) using SPSS/WIN 10.0 program. All statistical values were tested in the level of significant p<.0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ype of personality. Only life style is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was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level by grade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ly(p<.05)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level. Third, there was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among type of personality,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ion of energy, function of judgment and life style showed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i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showed significant(p<.05) negativity correlation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p<.05)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 was no significant(p<.05) correlations among grade level and career decision level. But, grade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ed significant(p<.05) positive correlation. Fifth, type of personality had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had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Grade level had no significant effect(p<.05) on career decision level. Sixth, type of personality and grade level were partially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ion of energy and life style had significant nega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enior and freshman had significant positivity effect(p<.05)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nd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