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분야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이미지 및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임희경 강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현장중심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 되면서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체험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 실험실습 중심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의사이미지와 진로성숙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강원도 1개 고등학교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12월까지 9개월 동안 주 1회 3시간씩 총 25회 의료분야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의사이미지에 대한 DADT(Draw-a-Doctor Test) 검사, 설문 및 진로성숙도 검사를 진행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현상학적 접근법 중 Van Kaam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현상학적 분석 결과 의사이미지는 정형화된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높은 빈도로 언급되었다. 진로성숙도는 독립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다른 부분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진로성숙도는 전공 선택과 진로에 대한 확신과 적성 타진의 기회가 되었다는 언급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의사의 내적이미지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에서는 단정한 의사이미지와 확신성, 단정한 의사이미지와 진로정보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체험중심의 의료분야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의료분야 진로선택에 있어 올바른 직업관을 갖게 함과 아울러 본인의 적성과 소질을 타진하여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적절한 기회의 제공이라고 사료된다. Recently, th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was introduced as one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medical doctor image and career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medical field. For this purpose, the 12 students participated in B high school in 2015. This program consisted of basic medicine, clinical and research topics. we conducted DADT(Draw-a-Doctor Test), career maturity test,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Van Kaam's method amo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he cross-analysi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Excel and SPSS Win 18.0. In the result of DADT, they had same stereotypical images of medical doctor both pre- and post-test. In career maturity test, independe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hown in pre- and post-test. In phenomenological analysis, it revealed that the stereotypical images of medical doctor were converted to diverse ones such as teacher and researcher. The internal images of medical doctor were related to certainty and occupational information gathering, significantly.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is program could be a tool of career exploration in medical field and provide a ideal occupational view of medical doctor.

      •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

        임희경 백석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가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현상의 본질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탈북자 상담 및 심리적 지원과 관련된 기초자료로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특성을 드러냄으로 탈북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남북한 사회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전문적 분야에서 경력을 구비한 자들로, 남한에 입국한 이후 현재까지 남한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참여자들은 모두 7명으로 2차에 거쳐 심층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여기에서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115개의 구성의미, 36개의 주제, 14개의 주제군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학력 지식인의 탈북 동기’,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심리사회적 특성’, ‘고학력 지식인 탈북자의 남북한 사회 경험의 심리적 통합’으로 구분하여 제시했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탈북 동기는 지배이념과 현실 간의 갈등경험, 생존을 위한 탈북선택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가족배경과 교육을 통해 국가관과 민족의식,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받으면서 성장하여 북한 당국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후 국가의 인재로 충성했다. 그러나 지식인이 체제저항세력이 될 것을 차단하는 정책에 의해 지식인 본유의 속성이 억압되고, 대중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주의 사회의 지식인의 역할은 수행될 수 없었다. 따라서 참여자들은 국가 충성이 오히려 대중의 빈곤, 박탈과 억압으로 연결되고 독재체제 유지를 위한 도구로 전락되는 현실에서 두려움, 무력감, 책임의식과 같은 심리적 갈등으로 국가에 대한 충성 동기를 상실하게 되었다. 충성 동기가 상실된 상태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의지와 관계없이 정치적 사건에 연루됨에 따라 생존을 위해, 가족들을 국가반역자의 희생자로 만들지 않기 위해 탈북을 결심했다. 둘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사회적 특성은 탈북 후 불확실한 환경에 대한 불안감, 사회활동을 통한 죄책감 방어, 전문영역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한 소외감, 분단국가라는 환경으로 인한 불안정감, 이상적 세계 추구에 대한 자기한계, 자기수용을 통한 환경의 수용, 지식의 실천을 통해 확인한 존재감으로 드러났다. 참여자들은 남한으로 탈북을 결정함에 따라 이질적인 환경에 대한 불안뿐만 아니라 분단국가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한 불안정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참여자들이 겪는 우울, 긴장, 불면, 죄책감 등과 같은 심리적 고통 가운데 북한에 두고 온 가족에 대한 죄책감이 이들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죄책감을 극복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남북한 통합, 통일과 관련된 사회활동에 참여하면서 가족과의 재회를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이질적인 환경에서 소수자 집단원으로 겪는 차별 이외에도 전문분야에서 경험한 사회적 배제와 상대적 박탈감, 탈북자 안에서 과거 특권계층에 대한 반감과 견제로 인해 가중된 소외를 경험했다. 이와 같이 새로운 사회적·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과 더불어 참여자들은 이상적인 세계 추구에 대한 자기한계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겪었다. 북한의 사회주의체제에 대한 이상이 좌절된 이후, 남한의 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일시적 실망으로 인해 이상적 세계에 대한 회의, 지식인으로서의 존재적 슬픔과 삶의 허무함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자기한계를 수용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경험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남한사회의 소수자 집단원, 수혜자라는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 사회구조에 맞춰 자신의 위치를 수용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남북한 사회경험의 심리적 통합으로는 대인관계에서 경험한 안전감, 민주적 환경에서 확립한 정체성, 개인적 이익을 초월한 통일의 꿈, 남북한 통합의 교량 역할 소망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남한출신 한국사람들과 북한출신 한국사람들이 공통된 주제로 협력하는 시간과 공간 안에서 안전한 관계를 경험했다. 이와 같은 경험은 이들이 속한 사회에 대한 소속감, 정체성의 재확립과 연결되었다. 남북한 사회를 앞서 체험한 담지자로서 참여자들은 국토의 분단으로 인해 한국사람들의 심리적 분열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하여 아픔과 슬픔을 체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두 체제에서의 모든 체험이 남북한 통합 및 북한의 민주화를 위해 사용되기를 소망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는 북한의 특권계층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제한된 정보로 인해 이들의 삶의 경험과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소속된 사회적 맥락 안에서 이들이 경험한 심리적 현상과 사회구조적 특징, 그리고 이 둘 간의 상호연관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드러내고자 했다. 이러한 심층적 이해를 통해 탈북자들을 둘러싸고 있는 생활환경으로서 이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 MLNN을 이용한 실시간 얼굴인식에 관한 연구

        임희경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oposed stable and fast fac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system. First, for reliable and stable face detection, Haar-like Feature and AdaBoost were proposed. AdaBoost can calculate simple features using integral image fast. Its cascade structure can calculate them fast by removing much of the background data in initial stage with different number of features in each stage. As it needs less cost for calculation than existing approaches, its real-time detection performance is remarkably improved. The face recogni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obtains Eigenvector from face image set and analyses Principal Component using Eigenspace only consisting of useful vectors. It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tests that it is simpler and more stable to process in comparison with approaches using geometric data or stereo image. However, the Principal Component tends to have lower recognition rate when there is change in illumination of images.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differences in illumination of learning images, as they may work as wrong feature points, the recognition rate may significantly lower. Therefore, this study equalized histogram to recognize who is in database even when there is change in illumination of input images, resulting in decreased change of lighting. It is not affected by changes in lighting and has maintained consistent recognition rate in comparison with PCA approach and approach using Intensity Normalization. In matching input image with model image, matching failure may occur even though real face images are successfully matched in face space where many faces are projected. To solve the problem, this study used Error Back 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which is Multiple Perceptron learning. Using feature vectors obtained through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input data for neutral network, this study presents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recognition performance. As a result, recognition rate of the proposed approach was 95.3%. A mean of 6.5% was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approaches. In particular, matching failures occur frequently when there is hardly change in feature data such as rotated image of face. However, in this approach, only 2% of failure rate was found. This study obtained the optimal learning value by testing changes in recognition rates under a variety of environments. Finally, the proposed face detection system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real-time application, but changes in face expression and face detection in complex backgrounds should be further considered. If stereo vision is applied and face recognition is added for it to improve security and recognition rate, i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iverse systems.

      • 영어과 수준별 수업에서 사용되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전략 연구 :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비교 중심으로

        임희경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른 집단과 비교되는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하여 그들의 효과적인 영어 학습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일반 수업에서 소외되어 소극적인 태도로 학습에 임했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학습 전략 사용을 조사하여 그들의 학습 능력 개선과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준별 수업을 받고 있는 서울의 한 남자 고등학교 1•2학년 학습자 553명을 대상으로 Oxford(1990)의 SILL(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학습 전략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 대상자들의 영어 학업 성적은 학습자들의 2학기 중간 고사 점수를 사용하였고 실험결과는 SPSS 18.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설문지에서 발견되지 않는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학습 태도 및 전략 사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13명의 학생으로 이루어진 하위 집단 수업을 관찰하였고, 3명의 하위 집단 학습자들을 인터뷰하는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영어 학습 전략의 사용은 학업 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영어 학습 성취 수준이 낮아질수록 6개의 모든 학습 전략 영역의 사용 정도 역시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의 조절 및 계획과 관련된 상위인지 전략에서 집단별 점수차가 가장 컸다. 다음으로 수준별 집단에 따라 학습 전략의 각 영역별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상위 집단 학습자들에 비하여 모든 영역에서 전략을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기억 전략에서 선행 지식과 새로운 지식과의 연관성 활용과 복습하기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였다. 인지 전략에서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원어민 화자처럼 말하려는 시도를 많이 하지 않고, 영어의 규칙적인 패턴을 찾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보상 전략에서는 모르는 어휘의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을 덜 선호하며 상위인지 전략에서는 영어 공부에 대한 목표 및 노력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정의적 전략에서도 영어 학습 중 생기는 실수에 대한 불안감과 두려움이 컸다. 사회적 전략에서는 다른 사람이 영어로 말하는 것을 이해하지 못할 때 천천히 말해달라고 부탁하거나 다시 말해달라고 요청하는 전략을 잘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수업 관찰과 인터뷰를 통하여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들은 수업 중 본인이 알고 있던 단어와 새로 배우는 단어와의 연관성을 찾아내고 의미를 추측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성공적으로 연관성을 찾아내는 것에는 실패하였다. 또한 자신의 오류나 무지를 다른 학습자들로부터 숨기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하위 집단 학습자들은 부정적인 영어에 대한 인식과 자아개념을 갖고 있고 영어 공부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가 낮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효율적인 영어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학습 전략을 잘 사용하고 있지 못하는 하위 집단 학습자들에게 자아와 영어 학습에 대해 긍정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교사가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수업 이해도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퀴즈, 게임 등의 활동과 학습 목표를 연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들이 학습 전략 사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하위 학습자들을 포함한 모든 학습자들이 학습 전략들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즉, 교사들은 하위 집단 학습자들이 학습 계획을 직접 세워볼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를 해주고 꾸준히 그 계획을 점검하고 수정하는 활동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도를 통해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효율적이고 흥미 있는 수업을 실시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개별화,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조기 유학생 귀국 후 한국어 어휘력에 관한 연구

        임희경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적으로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것은 이미 오래이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와 한국 부모들의 교육열이 부합하여 아예 해외 조기 유학을 떠나는 학생들도 많다. 더불어 조기 유학 후 귀국한 학생의 적응 문제 또한 교육계의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귀국 학생들은 일반 학교의 통합 학급에 그대로 들어가 한국 학교에 적응을 하고 있는데 그들이 부딪히는 문제들을 살펴보면 학업과 관련된 문제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이 겪는 학업 부적응의 이유는 한국어 능력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필자는 그들의 한국어 어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본고를 통하여 필자는 해외 유학 후 귀국한 조기 유학생들의 국어 어휘 사용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그들이 갖고 있는 국어 어휘력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조기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어휘 교수학습 모형 및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서론에서는 조기 유학생들의 어휘에 관한 배경 이론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군산시 중, 고등학생 중 조기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 그룹 10명과 유학 경험이 없는 일반 학생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어휘에 관한 1차 실험을 하였다. 실험지로는 S-TOPIK을 이용하였다. 2차 실험은 S-TOPIK 25회 고급 어휘 부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1차 실험의 결과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어휘 실험지의 난이도를 고급으로 높였고 유학 기간도 2년 이상인 학생들로 구성하여 1차 실험과 동일한 인원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조기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들의 어휘력은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하여 실제로 어떠한 수준인지 확인하였다. 또한 유학 그룹 내에서도 어휘력 차이가 있다면 유학 기간, 유학 시기, 귀국 후 경과 시기가 변수로 작용하는 지 알아보았다. 실험의 모든 결과는 각각 독립 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론에서는 실험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조기 유학 경험은 한국어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시기에 외국에 있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영어 실력은 좋아질 수 있으나 조기 유학 경험이 없는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볼 때 전반적인 한국어 어휘 능력은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학 시기와 기간, 경과 시간 모두 조기 유학 경험이 있는 학생들 간의 차이를 일으키는 변수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귀국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단어를 정하여 등급에 맞게 체계적으로 가르친다면 귀국 학생들의 어휘 부담은 크게 줄어들 것이며 효율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사고 도구어의 이해 정도와 학업 성취도가 높은 상관관계에 있다는 여러 연구들이 있으므로 귀국 학생들에 대한 어휘력 검증 실험을 상기해볼 때 사고 도구어의 교육은 귀국 학생들에게 우선시 되어야 할 교육 부분이라고 여겨진다.

      • 웹 기반 인터액티브 멀티미디어 시나리오 모델의 설계 및 구현

        임희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는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객체의 시간적 공간적 재생 순서와 관계, 그리고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기술하며, 멀티미디어 시나리오 데이터베이스는 이 시나리오를 저장, 관리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의 객체들은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응용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개체로, 데이터베이스의 효과적인 관리와 접근을 위해 그룹으로 통합되기도 한다. 같은 방식으로 멀티미디어 시나리오도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관리와 접근을 위해 시나리오 객체와 객체를 통합한 그룹에 대한 계층적 구조(시나리오 객체, 프레임, 페이지)로 정의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시나리오 모델을 다단계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고, 시나리오 객체 정보와 객체간의 관계에 대한 계층적 정보가 여러 단위로 공유되고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계층을 구성하는 원소들에 대해 시간적 공간적 속성과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시나리오의 구성이 미디어 객체의 관계만으로 기술되었던 시나리오에서보다 복잡하고 다양하게 표현된다.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의 재생은 시나리오 객체의 시간 관계와 시나리오 객체의 그룹인 프레임의 시간 관계의 합성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의 시간적 관계는 시나리오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나타내기에 충분하지 않다. 멀티미디어 시나리오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은 시나리오 객체, 프레임 또는 페이지의 재생을 제어하는 것과 시나리오의 진행 방향 선택에 대해 이루어지며, 본 논문은 시나리오 구성 성분의 하나로 분기(Link) 객체를 두어 시나리오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다룬다. 또한 기존의 시나리오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모델링에 그쳤던 반면 본 논문에서는 시나리오 저작과 재생을 위한 시스템을 웹 기반 환경에서 실제로 구현하였다. Multimedia scenario describes the temporal or spacial relationships of multimedia objects and their processing order. It also controls the way of the interaction between multimedia applications and users. A set of multimedia scenarios can be stored and managed by a multimedia scenario database. As in a general multimedia database system, multimedia objects which are elements of multimedia applications can be integrated to a group in order to support their efficient access and management. Likewise, the multimedia scenario model proposed in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support some hierarchical structure such as scenario frames and scenario pages which are groups of scenario objects.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scenario is represented hierarchically in order to support flexible sharing and reusing the information embeded in scenario objec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different dimension.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cenario information which has been represented as simple relationships among media objects could be expressed in a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manner by defining not on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cenario objects but also between the groups of objects. Based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scenario, multimedia scenario is presented by a composition of the temporal association of scenario objects and its scenario frame. However it is not sufficient to present the interaction of users and multimedia scenario. This is because the operations of users and its reaction can not be controlled by scenario object, scenario frame or scenario pages. This problem will be treated with link-object introduced in this research. While the former studies on multimedia scenario models were focused on the modeling of its structure, we implemented an interactive multimedia scenario system based on web environment.

      • 예비 초등교사의 교직실무 수강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임희경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직실무과목을 이수한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교직실무과목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교직실무과목을 경험함으로써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교직실무의 운영방안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로서, 심층면담을 주된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고, 교직실무과목을 수강한 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7명을 주된 면담 대상자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초등 교사들은 교직실무 과목에 대해 ‘부담’, ‘기대감’, ‘휴식’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용고사 준비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4학년 때 편성된 교직실무과목은 부담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교직과목과 비교해 봤을 때, 교직실무 과목은 상당히 실용적인 교육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을 것 같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었고, 교직에 진출할 시기가 멀지 않았음을 느끼며 예비교사가 아닌 ‘진짜 선생님’이 되는 것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다른 과목들에 비해 비교적 내용이 어렵지 않고 흥미로우며, 수업의 방식이나 평가, 과제에 대한 부담이 크지 않아서 학생들은 쉬어가는 과목으로 교직실무과목을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비 초등 교사들이 교직실무 과목에서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본 결과, ‘당황’, ‘가벼움’, ‘만족’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예상과는 다른 내용과 방식의 수업진행, 직업훈련과 학문 사이의 갈등, 임용고사 준비를 위한 과도한 배려가 예비초등교사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다. 그리고 교직실무의 범위가 광범위하고, 교육내용에 대한 지침이 상세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복된 내용이 많고, 배움의 깊이가 얕았다는 점에 대한 불만이 나타났다. 하지만 교직실무과목의 수강의 경험에서 만족하는 부분도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단기간에 총체적으로 교사의 실무를 다루는 과목이 기존에 없었다는 점에서 교직실무 과목의 도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학교 현장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점에 대해 특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직실무 과목 수강 중 예비교사로서 다양한 영역의 성장을 이루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려보다’, ‘입문하다’, ‘의외의 성과’로 의미를 찾을 수 있었고 이는 교육실습에서 주로 정의적인 측면의 성장을 이룬 것과 더불어 통합적인 성장을 이루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교직실무를 통해 배운 내용이 비록 겉핥기 뿐이었을 지라도 학생들은 한번이라도 전반적인 예습을 할 수 있었다는 것 자체에서 교직 적응에 대한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고, 예비교사로서 교직에 사회화되는 직업인으로서의 성장을 발견하였다. 그 밖에도 교직소양을 함양하면서 더불어 얻게 되는 임용고사 2차 면접에서의 자신감, 인상 깊은 자료들을 통한 성찰 등을 추가적인 성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 초등 교사들은 ‘조정’, ‘연계 강화’, ‘정체성 확립’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실무과목의 내용, 시기, 방법의 조정과 더불어 교육실습과의 연계, 현장 전문가와의 연계를 요구하였다. 그리고 종합적으로 교직실무과목의 내용과 운영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제안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직실무 과목에 대한 보완이 이루어져서 예비교사들이 현직 진출에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첫발을 내딛는데 도움이 되는 과목으로서의 ‘교직실무’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in a professional teacher-training course by focusing on its influence on pre-service teachers’ future caree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trategies for an effective professional teacher-training program.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eni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ducation, who had enrolled in the practicum of a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cours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commented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raining course were either “overwhelming,” “exciting,” or a “chance for respite.” Due to the intense pressure from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majority of Education students felt that it is a burden to take a practicum course during their senior year in the university. However, a number of students gave positive feedback on taking the course in their senior year. They reported that learning practical skills is advantageous to pre-service teachers especially when they are in the final stage of becoming a “real teacher” rather than a pre-service teacher. In addition, some student thought that the practicum course provides them with some respite from their other stressful schoolwork because they find the practicum easier and more interesting than that of other education courses. Second, the students also reported that during their practicum, students experienced feelings of “embarrassed,” “lightness,” and “satisfaction.”: They were embarrassed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course did not provide students with the knowledge that they expected to learn. Second, students experienced a gap between academic and practical training. Third, the course did not offer satisfactory training to students but was rather oriented toward preparation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ination. The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course has also frustrated many students because of its repeated contents. Furthermore, the course has failed to offer in-depth and essential knowledge to students. Nevertheless, students also reported positive opinions of the training course. Based on their responses, the course has provided them with holistic training on actual school affairs and the opportunity for in-situ experiences on the school education scene beyond the traditional university classroom setting. It is also noticeable that the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course has helped students achieve an overall balanced development as pre-service teachers. Students reported that through the practicum, they understood further the meanings of “sketching,” “entering,” and “accomplishing the unexpected.” Although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y have not acquired all of the necessary knowledge and lesson to become a full-fledged teacher in the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course, they experienced personal and professional growth as pre-service teachers and were prepared for their future career and workplace adapt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Engaging with the training course is also beneficial for students because it provides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for self-examination and confidence boosting, which in turn, would help them perform a successful interview at the second round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examination. Lastly, the students highlighted “adjustment,” “connection reinforcement,” and “identity building” as crucial for an effective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program. They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modifying the practicum course’s content, timing, and methods as well as the need to strengthen its liaison with student teaching practices and on-site specialists. In addition, the students further argued that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learly the program’s long-term purpose and goal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n order to help pre-service teachers accomplish successful performance in their future careers and experience fewer complications, the practice of teaching profection program should be amended and improved on so that it may be delivered more effectively.

      • 공공도서관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만족도 연구

        임희경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job creation projects for the elderly to overcome their economic hardship and to maintain healthy life since 2004. The public libraries have also been conducting 「Library Management Support Projects」and support projects for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types since 2009 in order to respond to government policie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support project and public library support project of 20 participants in「Support Project for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in Seoul and Seoul-Inche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ce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support project and public library support project regarding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support projects and to find out the ways to connect library projects with other satisfactory projects. The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interview method was mainly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partially conducted by using the questionnaires. Also,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upport project and public library project in the perspectives of economic satisfaction, health improvement satisfaction, self-esteem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etc.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by 6 categories was as follows: the participants of「Support Project for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showed the greatest interest in the economic satisfaction. In the comparison of the participation satisfaction between the general support project and the public library support project, the public library support project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in the categories of self-esteem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work environment satisfaction. In the economic satisfaction, the general support project was more satisfactory, and in the health improvement satisfaction, the general business and the public library business showed similar results. In the public library support project, besides the work of arranging the books, the degree of job adaptation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in the book reading business and the traditional play training cour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business because the participants of these business programs are placed on-site after the re-training program so that the competence of the participants can be enhanced. It is hoped that support project for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will make a supportive business environment so that the elderly can use their accumulated experience connected with the vocational abilities before retirement rather than the simple task. Also, it is hoped that the economic satisfaction of the support projects will be increased in the future by developing the abilities of the elderly. 2004년부터 노인들의 경제적인 어려움과 건강한 삶의 유지를 위해 노인 일자리 사업을 펼치고 있다. 공공도서관도 정부의 시책에 부응하기 위해 2009년부터「도서관 관리지원사업」및 유형별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인지역「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참가자 20명을 대상으로 일반 지원사업과 공공도서관 지원사업간에 참여만족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사회활동의 일반사업과 공공도서관 사업의 참여만족도 차이가 지원사업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고, 참여만족도가 높은 사업들 중 공공도서관 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의 노인사회활동에 대한 참여만족도 조사를 위해 인터뷰 방법을 이용한 질적연구가 중심이 되었고, 부분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 지원사업과 공공도서관 지원사업간에 경제적 만족도, 건강개선 만족도, 자존감 회복 만족도, 삶의 긍정적 만족도, 대인관계 개선만족도, 근무환경 만족도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사회활동 참가자들의 6가지 영역별 참여만족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가자들은 경제적 만족도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일반 지원사업과 공공도서관 지원사업간 참여만족도 비교에서 공공도서관 지원사업이 자존감회복 만족도, 삶의 긍정적 만족도, 근무환경 만족도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만족도에서는 일반 지원사업이 조금 더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개선 만족도에서는 일반 사업과 공공도서관 사업이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공공도서관 지원사업 중 도서 배가 업무 외에 책 읽어 주기 사업, 전래 놀이 양성과정 사업은 참가자의 능력을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재교육 과정 후 현장에 배치되기에 업무의 적응과 참여만족도가 일반사업보다 월등히 높았다. 노인사회활동 지원사업의 단순 업무 보다는 노인의 퇴직 전 직업 능력과 연계된 축적된 경험을 발휘 할 수 있는 지원사업 환경이 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노인의 역량을 개발하여 참여하는 지원사업들에 있어서 경제적인 만족도가 향후 높아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