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터 디자인 발상에 있어서 Visual Pun의 발상법 연구

        임화진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가 형성되면서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급격한 기계문명의 발달과 함께 정보의 홍수라 일컫는 현대에 이르러 신문, 잡지, TV, 라디오 등의 전파매체에서 시선을 끌기 위한 방법들이 동원되고 있다. 사람의 5감(시각, 촉각, 미각, 청각, 후각)중에 80%를 차지할 만큼 가장 민감하고 반응이 빠른 감각이 시각이다. 이를 볼 때 시각적인 표현에 의한 것은 언어적인 것보다도 더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정보전달의 개념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래픽디자인에 있어서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의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대적인 상황, 관습, 감정, 정서, 사고, 경제적인 욕구를 반영한 아이디어는 곧, Visual Pun을 주게 된다. 이로 인해 판매를 촉진하고, 정보를 정확히 전달하며, 내용을 명확하게 해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 정서적으로 고갈되어 가는 현대인들에게 시각적 표현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요즘과 같이 정보가 무수한 오늘날에는 다양화와 대형화, 각 기업간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지는 가운데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은 기업의 생명을 좌우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식되고 있고 각 기업들간의 차별화와 마케팅 활동은 전 과정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을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는 문제들이 되었다. Visual Pun에 있어서의 올바른 발상법과 아이디어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한 본 논문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자 한다. 제 I 장에서는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과 선행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제 II 장에서는 Visual Pun의 이론적 배경을 연구하여 어원과 역사적인 형성과정, 유형과 함께 시각디자인에서 Visual Pun의 표현방법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 III 장에서는 발상법의 일반적 개념과 Visual Pun의 연관을 발상법의 개념과 아이디어의 접근방법, 발상과 창의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창조적인 시각적 아이디어 사고가 Visual Pun,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제 IV 장에서 포스터디자인에 나타난 Visual Pun효과의 사례별 연구를 통해 직접적인 접근방법으로 설문조사방식을 채택하여 사례에 대한 반응으로 분석하고 결과에 따른 문제점 등에 의해 디자이너가 포스터디자인을 제작하는데 지향해야 할 점을 정리하며 마무리 했다. 올바른 아이디어에 의한 Visual Pun의 실현을 위해 독창적이며 대중적인 발상과 자유롭고 바른 사고를 지향해야 한다. 또한 각박한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전달할 수 있도록 아름답고 편안한 디자인을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점과 모든 디자인의 기본은 인간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할 때 좀 더 나은 작품을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ince the formation of the society, the importance of visual communication has been appreciated. With rapid development of mechanical civilization, in this modern time which is called the time of flooding information, methods of attracting eyes are actively engaged in newspaper, magazines, TV programs and other electronic wave media. Vision, which takes up 80% of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our senses, is the most sensitive and fast-responding sense among the 5 senses (vision, smelling, taste, hearing and touch). Therefore, visual expressions are more effective in communication than the languages. Concept of communication or delivery of information is vital in the modern society. Visual communication in graphic design has tremendous effect on the human thinking. Ideas reflecting the situations of the current age, customs, emotions, sentiments, thinking and economic desires give Visual Pun. This pun provides catharsis to the mentally and emotionally depleted modern men, as well as promotes sales, accurately delivers information, and clarify any contents of information. Especially, in this age of bombarded information with ever hectic diversification and competition of businesse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 is regarded as a vital issue exerting influence on the very life of business. All the stages of differentia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of businesses cannot be thought of apart from the communication. This paper, which is to explore the right way of creating Visual Pun and importance of idea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 In the chapter I, the motivation and objectives of the study, scope and methods of study, and the information on preceded studies are dealt with ; In the chapter II,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Visual Pun such as the origin of the word and types and history of the Visual Pun and the methods and effects of Visual Pun in graphic design are discussed ; In the chapter III explains basic concept of thinking and idea and its relationship with Visual Pun in term of the concept of idea thinking, approaches to idea, and relationship with idea and creativity, and explore the effect of visual idea on the Visual Pun ; In the chapter IV, analysis of direct questionnaire on the Visual Pun effect in Poster Designs is analyzed and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and the suggestions for poster designs are presented. Creative and popular idea and free and rightful thinking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realize Visual Pun through right ideas. Beautiful and cozy designs should be sought to provide catharsis to those living in this dull and dry modern society. These findings and the fact that the all the designs are basically for human beings will help us produce better artworks.

      • K-means 군집기법을 이용한 한강유역의 확률강우량 산정

        임화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강 유역을 비계층적 군집기법 중 K-means clustering을 적용하여 한강유역을 4개의 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에 속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빈도해석을 통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군집해석을 위한 입력자료는 지형자료와 수문자료로 채택하였다. 입력자료는 지형자료인 표고, TM좌표값을 선정하였으며, 수문자료는 각 지점의 2000~2008년까지의 월평균강우량, 월별 최대일강우량, 년강우량, 계절별 강우량, 일최대강우량을 선정하였고, 군집 수 K값은 한강유역의 지형적인 특징 및 수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4로 결정하였다. 군집간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유클리안 거리를 사용하였으며, 지역빈도해석 방법은 홍수지수법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최적분포형은 GLO분포형이 채택되었으며, 각 지점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지역빈도해석을 통해 산정된 확률강우량의 빈도별, 강우지속기간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 지점에 대한 지점빈도해석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일 빈도에 대해 강우지속기간이 길어질수록 확률강우량 산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증가하였으며, 동일 강우지속기간에 대해 빈도가 증가할수록 두 빈도해석에 의한 확률강우량의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다양한 파랑 하중에 대한 수중 데크의 동적 거동 특성 분석

        임화진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Dynamic responses of a submerged deck under incoming waves are evaluated and the parametric analysis are conducted to see the dynamic characteristic of the submerged decks with different support conditions. Four support conditions considered are 1) simply supported; 2) overhanging; 3) fixed ends; and 4) one fixed support at the middle. The wave forces are calculated and applied to the deck using the linear wave theory. The sequential procedure to apply the moving wave forces passing the deck is proposed and examined. The proposed procedure is found to work properly for applying the wave forces upon the given submerged deck. The effects of various components such as wave lengths, wave periods and wave heights are thoroughly examined for all the structures with different support conditions.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displacements occur under waves with rather long wave lengths and short periods. The simply supported deck shows this trends more clearly than the structures with any other support con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more response evaluations of deck with various span lengths would be needed to generalize the response trend under incoming wave excitations.

      • 어머니의 문해 신념 및 유아의 그림책 읽기 집중도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의 관계

        임화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1)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ook reading concentration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during shared book rea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1 pairs of a mother and a child aged four years from 10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This study measured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with ‘Parents' Attitude and Practices Regarding Emergent Literacy’ used in Kim and Kwon (2002)’s study. Children’s picture book reading concentration was assessed by ‘Children's Orientation to Book Reading Rating Scale’ developed by Kaderavek and Hunt (2009). Children’s emergent literacy was evaluated by ‘Early Literacy Parent’s Questionnaire’ which is developed by Boudreau (2005) and revised by Kim and Park (201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partial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interactions in reading picture books between mother and child’ in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and ‘Orientation toward literacy’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elief of linguistic development’ in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and ‘alphabet knowledge’ in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book reading concentration’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ability’ during shared book reading between mother and child. In conclusion, mother's belief of literacy development and children's picture book reading concentration are related to the child’s emergent literacy ability. 본 연구는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에, 그리고 교사와 유아들의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그림책 읽기 집중도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10개 어린이집의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81쌍이었다. 어머니의 문해 신념을 조사하기 위해 Fitzgerald, Spiegel과 Cunningham (1991), DeBaryshe와 Binder (1994)의 자녀의 문해 발달에 대한 부모 태도 및 실행 질문지(Parents' Attitude and Practices Regarding Emergent Literacy)를 김명순과 권희경(2002)이 수정·보완한 부모 질문지로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그림책 읽기 집중도를 측정하기 위해 Kaderavek과 Hunt (2009)에 의해 개발된 아동의 책읽기 집중도 평가척도(Children's Orientation to Book Reading Rating Scale)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Boudreau (2005)가 개발한 조기 문해 부모 질문지(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를 김길숙과 박찬화(2013)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부분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문해 신념의 하위 요인 중 ‘책읽기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의 하위 요인 중 ‘문해에 대한 관심’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책을 읽어줄 때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시도하여 자녀의 적극적인 언어 참여를 이끌어야 한다고 생각할수록 유아는 책이나 읽을거리, 글자에 높은 관심을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어머니 문해 신념의 하위 요인 중 ‘언어 발달에 대한 생각’과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의 하위 요인 중 ‘철자 지식’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어머니가 유아의 언어 능력은 타고난 것이라고 생각할수록 유아가 철자를 인식하고 해당 소리를 내거나 이름을 말하는 능력이 덜 발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유아의 그림책 읽기 집중도와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은 상관이 있었다. 이는 교사가 유아들에게 그림책을 읽어주는 시간동안 유아의 참여수준이 높고,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잘하고 언어적 상호작용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의 그림책 읽기 집중도는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관련이 있다.

      • 기업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임화진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orporate welfare achieves active role which provides motivation and improves productivity because inculcate morale of employees by resources that secure melancholy manpower along with side that company is wages or the labor enemy who is basis enemy of work hours etc.. as various measure or system enforcing for worker and the family welfare elevation. Together, I contribute in stability of labor-management relation exalting co-operative community living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and improve enterprise's competitive power ultimately. Hereupon, this study wishes to present plan that recognizes truth that Corporate welfare is very important pers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grasps Corporate welfare actual conditions through Corporate welfare of advanced nation and is beaconed in worker's quality of life and enterprise competitive power elevation by efficiency of welfare of enterprise dimension. Also, basis purpose of this study wished to grasp existing circumstances of Corporate welfare to go forward to right direction and grope improvement plan through decision factor of realization and Corporate welfare satisfaction, and company satisfaction about workpeople's welfare program preference and our Corporate welfare while desire about workpeople's welfare facilities is various. As data for actual proof analysis, does questionnaire to 229 company employees and investigated Corporate welfare preference. Analysis of data executeded frequenc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o search general special quality of searcher because use SPSSWIN 12.0 programs and t-test and member fluent analysis (One-way Anova) to examine variety difference of realization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and examined difference between group through crossing analysis. The following is summary of study finding. First, it is raising of equability of welfare benefit. I do enterprise function that promote my inequality because Corporate welfare mitigates wage differentials and is understood by function of redistribution within enterprise but Corporate welfare contains difference of division. Necessity of welfare and fairness of welfare division solved inequality of Corporate welfare strengthening identity of Corporate welfare with nucleus and fair policy and division and operation is decided though fairness of welfare division is coincided. Second, it is diversification of welfare item. Corporate welfare not means the life protection enemy simply but hunting of life and self realization that becoming to worker's human is pottery manufacturing on basis right the zone of life enemy. Therefore, development of program should be achieved by territory that can fulfill spiritual desire of worker departing in material welfare dimension that do program that is necessary directly in worker's real life by priority. Third, is based on worker's grant of benefit choice and various demand of awarding formality simplification recipient and designs system contents and individual and enterprise can receive various welfare benefit that expense efficiency is high at the same time by giving workpeople choice of use expense. Fourth, in operation of worker participation workfare in welfare policy book deterministic process worker when introduce suitable desire reflection and interest lateral gland about workfare operation, and new workfare if is participated public information effect about workpeople raise but gets worker's satisfaction and get maximum effect of enterprise. When recognize can not take the responsibility for quality of life of worker of company life, when basic working conditions and welfare facilities are equiped as there is balance, will have to be concluded and is materialized as Corporate welfare system is sense for the real in this side because rich company life can be materialized. 기업복지는 기업이 근로자와 그 가족의 복지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여러 가지 시책이나 제도로서 임금이나 근로시간 등의 기본 적인 근로적인 측면과 더불어 우수인력을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근로자들의 근로의욕을 고취시켜 동기부여를 제공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아울러 노사 간의 협력적인 공동체 의식을 고양하여 노사관계의 안정에도 기여하여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킨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복지는 국제 경쟁력의 요인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선진국의 기업복지를 통하여 기업복지 실태를 파악하며 기업차원의 복지의 효율성으로 근로자의 생활의 질과 기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기본목적은 근로자들의 복리후생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기업복지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기업복지의 현황을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복지 프로그램 선호도 및 기업복지에 대한 인식과 기업복지만족도, 그리고 직장만족도의 결정요인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로서 229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기업복지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인식과 만족의 다양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교차분석을 통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은 연구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복지수혜의 형평성의 제고이다. 기업복지는 임금차등을 완화하여 기업 내에서 재분배의 기능으로 이해되나 기업복지가 분배의 차별성을 내포하고 있어 기업 내 불평등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한다. 복지의 필요성과 복지 분배의 공정성을 핵심으로 기업복지의 정체성을 강화하여 기업복지의 불평등을 해소하고 복지 분배의 공정성이 부합되어야 공정한 정책 및 분배 그리고 운영이 결정된다. 둘째, 복지항목의 다양화이다. 기업복지는 단순히 생활 보호적 수단이 아니라 근로자의 인간다운 삶과 자아실현의 추구는 생활권적 기본권에 관한 제도이다. 따라서 근로자의 실생활에 직접 필요한 프로그램을 우선으로 하는 물질적 복지 차원에서 벗어나 근로자의 정신적 욕구를 충족 시켜 줄 수 있는 분야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근로자의 수혜선택권의 부여 및 수여 절차 간소화 수혜자의 다양한 수요에 기초하여 제도내용을 설계하고 근로자들에게 운용비용의 선택권을 줌으로써 개인과 기업이 동시에 비용 효율성이 높은 다양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다. 넷째, 복지정책권 결정 과정에 근로자 참여 복지제도의 운영에 있어 근로자를 참여하게 되면 적절한 욕구 반영 및 복지제도 운영에 대한 관심유도, 그리고 새로운 복지제도 도입 시 근로자들에 대한 홍보효과를 제고하는데 근로자의 만족을 얻고 기업의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직장생활의 근로자의 삶의 질을 책임질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할 때 기본적인 근로조건과 복리후생이 균형 있게 갖추어 질 때 풍요로운 직장생활이 실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에서라도 기업복지제도가 현실감 있게 성립되어야 하고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 Young female consumers reactions to social media influencers' negative information : the moderating role of identification

        임화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Previous studies argue that people tend to differently attribute the others’ outcome of immoral behavior or cause of the negative events to the external factors or internal factors. And the different attribution style is affected by their own cultural orientations. In other words, how consumers perceive or understand the negative events will be affected to their own subsequent behavior. Sometimes people tend to continuously support the immoral person and understand their bad behavior because of their strong attachment with them. Therefore, the immoral person has a chance to justify their immorality and maintain their public reputations without suffering a blow. This study conducted survey for analyzing effects of different attribution style based on cultural orientation and identification effects. Furthermore, comparing the different cultural attribution style (Collectivism vs Individualism) and examining how these factors affect to consumers attitude toward influencers’ moral transgression and brand that the immoral influencers are endorsed. Key words: Moral transgression, Negative information, Social Media Influencers, Attribution style, Brand evaluation, Purchase intention, Cultural Orientation, Iden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