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담 사상에 나타난 자연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

        임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학은 '세계와 인간'에 대한 물음이다. 인간은 세계를 자기이해의 지평으로 삼기 때문에 인간에 대한 이해는 언제나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은 항상 '세계 안에서 내가 놓여진 위치가 어디인가'를 찾으려는 노력으로 연결된다. 본 논문은 세계로서의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화담 사상을 고찰하였다. 화담이 우리 앞에 존재하는 자연을 무엇으로 이해했으며 그 자연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화담이 자연 안에서 인간의 위치를 어떻게 정위(定位)하고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화담이 이해한 자연은 '불멸하는 기의 세계'이다. 기는 우주 만물의 근원이자 원질이며 모든 존재의 생성·변화의 궁극 원리로서 그 기의 열림과 닫힘, 모임과 흩어짐에 의해 자연만물이 형성되고 변화된다. 기는 무시무종(無始無終)하여 취산(聚散)만 있을 뿐 유무(有無)가 없다. 이러한 기의 영원 불멸성은 자연이 부단히 생생화화(生生化化)하는 근거가 된다. 기의 세계 안에 있는 모든 존재는 기의 산물이기에 인간도 기의 응취(凝聚)에 의해 형성된 수많은 물(物)들 중의 하나인 인물(人物)이다. 화담은 인간의 생사(生死)를 '일기(一氣) 중에 부침(浮沈)'하는 것으로 보고 '삶과 죽음은 둘이면서도 하나'라고 하였다. 죽음은 완전한 소멸이 아니라 존재의 고향인 태허(太虛)로 되돌아가는 것이며 인간이 태허의 영원에로 회귀하는 계기이기에 삶보다도 더 근원적인 것이 된다. 태허일기(太虛一氣)라는 존재의 근원에서 보면, 삶과 죽음이 하나이듯 모든 존재들도 하나가 된다. 우주 만물이 모두 일기(一氣)로부터 파생되었으므로 천지만물 가운데 '나' 아닌 것이 없고 모든 만물은 일체가 된다. 인간은 기라는 연결고리를 통하여 자연과의 합일 가능성을 찾을 수 있다. 이렇듯 화담은 자연과 인간의 동질성을 태허일기에서 찾아내어 공존과 화해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하나됨을 지향한다. 인간이 기의 소산이라는 점에서는 다른 만물들과 같으나, 인간은 기의 모임이 크고 또 오랜 '정신지각'을 소유하고 있음으로 해서 자연 내에서 특별한 지위에 놓이게 된다. 인간의 정신지각은 자연의 물리(物理)를 인식하는 인지수단에만 그치지 않는다. 자연이 지닌 중(中), 선(善), 신(信)의 덕을 각득(覺得)하여 실현함으로써 자연의 질서에 합일하도록 한다. 인간이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자연의 덕을 인간 삶에 구현하는 도덕적 측면에서이며 인간은 그러한 가능성을 이미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자연의 덕을 도덕성으로 구비하고 있을 때 인간은 천지와 더불어 삼재(三才)가 되고 자연의 생육활동을 도와 자연의 공동 경영자가 된다. 인간이 천지와 병위(竝位)하면서 그 천지의 화육을 도와 공동 창조자가 된다는 것은 자연 안에서의 인간의 위치를 자연과의 조화 속에 놓으면서도 존귀하고 위대하게 만드는 것이라 하겠다. 화담에게 있어 '기의 세계'인 자연은 모든 존재의 본원이자 귀착지이다. 그래서 인간은 자연에서 와서 자연으로 돌아간다. 자연으로의 귀의는 인간의 숙명이고 인간은 어떠한 경우에도 자연의 밖에 위치할 수 없다. 화담 사상에서 보여지는 인간은 항상 자연 안에 머물러 있으며 그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곳에 놓여져 있다. 이러한 화담의 자연관은 우리의 옛 산수그림에서 보여 지는 자연관과 상통한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살리면서 자연과 인간이 가장 잘 어우러질 수 있는 지점에 인간을 위치시킴으로써 인간도 자연의 한 부분인 것처럼 그려내는 것이 우리의 산수화이다. 한국 전통의 미는 자연 그 자체와 그 자연에 귀의하는 인간의 조화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찾을 수 있다. 화담의 자연관은 현대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환경오염 및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는 데에 사상적 지침이 될 수 있다. 화담에게 있어 자연은 지극히 선하고 지극히 진실된 하나의 도덕세계이며 자연운행에서 드러나는 규칙이나 법칙은 곧 인간 삶의 기율이자 도덕규범이 된다. 화담은 자연의 법칙에서 인간 삶의 윤리·도덕적 가치와 규범들을 이끌어내고 그것이 마땅히 지키고 실천해야할 절대적인 법칙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인간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실천해야 할 보편적이며 이상적인 가치들과,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생활의 기준이 되는 도덕규범과 가치들을 내면화시켜야 하는' 도덕교육에 있어서 내재적 당위성 확보하고 도덕규칙의 자율적, 능동적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이론적 뒷받침이 된다고 할 수 있다. Philosopie ist die Frage nach 'der Welt und dem Menschen'. Da der Mensch die Welt als Horizont des Selbstversta¨ndnises betrachtet, beruht das Versta¨ndnis zum Menschen immer auf dem Versta¨ndnis der Welt, und es fu¨hrt immer zum Streben zu suchen, 'wo der Platz des Menschen innerhalb der Welt ist.' Folgende Arbeit betrachtete die Hwadam-Philosophie unter dem Schwerpunkt von Beziehungen der Natur und Mensch als Welt. Indem ich folgende Fragen abhandelte, was Hwadam unter Natur vor uns verstand und als was er die Menschen in der Natur sieht, erlauterte ich, wie Hwadam den Status des Menschen innerhalb der Natur platziert. Die Natur, unter der Hwadam verstand, ist 'die Welt der unsterblichen KI(氣)'. KI(氣) ist die Quelle bzw. die grundlegende Substanz des Kosmos, das Grundprinzip von Entstehung und Entwicklung jeder Beschaffenheit, durch das O¨ffnen und das Schließen von KI entsteht und entwickeln sich alle Beschaffenheiten. KI hat weder Anfang noch Ende, nur Sammeln und Verstreuen, also weder Existieren noch Nichtexistieren. Die Unsterblichkeit von KI ist die Grundlage des sta¨ndigen Entstehens und des Entwickelns der Natur. Da alle Beschaffenheiten in der Welt von KI auch das Produkt von KI sind, ist der Mensch auch ein humanes Wesen unter den vielen Beschaffenheiten, die durch den Zusammenhalt von KI entstanden sind. Hwadam betrachtete das Leben und den Tod des Menschen als 'die Wechselfa¨lle im ILKI(一氣)' und meinte, dass 'das Leben und der Tod gleichzeitig zwei und doch eins' sind. Der Tod bedeutet nicht die ewige Tilgung, sondern etwas, was in die Heimat des Wesens, zur TAEHU(太虛) zuru¨ckkehrt. Er ist etwas Wesentlicheres als das Leben, weil er der Anlass ist, wodurch der Mensch in die Ewigkeit von TAEHU zuru¨ckkehrt. Wenn man es aus der Quelle des Wesens im Sinne von TAEHUILKI(太虛一氣) betrachtet, werden alle Wesen eins, wie das Leben und der Tod eins bedeuten. Da alles im Kosmos von ILKI(一氣) abgeleitet wird, gibt es unter der Beschaffenheit im Kosmos nichts, was nicht 'ich' ist, und alles wird eins. Der Mensch findet durch die Anschlußkette, KI die Mo¨glichkeit zur Einheit. So findet Hwadam die Gleichwertigkeit von Natur und Mensch aus TAEHUILKI heraus und erstrebt somit die Einheit von Natur und Mensch durch die Koexistenz und die Verso¨hnung. Der Mensch wird mit den anderen Wesen in dem Sinne gleichgesetzt, dass er das Ergebnis von KI ist, er besitzt jedoch große Konzentration von KI. Indem er lange 'Geisteserkenntnis' besitzt, nimmt er einen besonderen Platz innerhalb der Natur. Menschliche Geisteserkenntnis bleibt nicht beim Erkenntnismittel, das die physikalischen Prinzipien der Naur begreift. Indem die Tugend von CHUNG(中, Mitte), SEON(善, Gu¨te)und SHIN(信, Treue) erkannt und verwirklicht wird, veranlasst sie mit der natu¨rlichen Ordnung eins zu werden. Dass der Mensch und die Natur sich zu einem finden ko¨nnen, ist aus der moralischen Sicht der Fall, die die Tugend der Natur im menschlichen Leben verko¨rpert. Der Mensch ha¨lt schon diese Mo¨glichkeit bereit. Wenn der Mensch mit der Moralitat der naturlichen Tugend ausgestattet ist, wird er mit dem Universum SAMCHAE(三才, drei Komponente der kosmischen Schaffens) und gemeinsamer Leiter, indem er bei den Aufziehaktivitaten der Natur hilft. Dass der Mensch mit dem Universum gemeinsam besteht, das Universum schafft und aufzieht, und dadurch zum gemeinsamen Scho¨pfer der Natur wird, bedeutet, dass er innerhalb der Natur die Position des Menschen mit der Natur harmonisiert und gleichzeitig sich selbst zu einem noblen und bedeutenden Wesen macht.

      •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임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Local governments have undergone multiple reforms to make their systems small and efficient under the banner of neo-liberalism since 1980s. It seems tough for them to improve performance merely through system reforms, however, because successful local government reforms require establishment of diverse aspects including organizational goals, structures, incentive systems and desirable culture. Organizational culture is a major source of an organization along with its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ursue further studies regarding it. Chief executive leadership also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an overall transformation process and effec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fficials working for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explaining various cultural types of public organizations. By selecting chief executive leadership styles as parameters,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leadership styles have mediator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effectiveness. Goals of this study with characteristics above are concretely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s effects of each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public agenc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inspects effects of chief executive leadership styles -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 upon effectiveness. Third, it uses a comparison to verify whether specific combinat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and chief executive leadership style are able to improve effectiveness. To attain those goals, this study chose organizational culture, chief executive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as key variables.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time scope, a survey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0 of 2008, aiming at officials of the local government. When it comes to chief executive leadership, it was limited to the leadership style of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or elected at May 31 local elections in 2006. Second, its spatial scope was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The reason it chose a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as its subject was because it was possible to provoke an empirical discussion on the chief executive leadership of the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through a survey of key government officials despite lack of past empirical studies on leadership. Another reason was that officials of a lower level local government are easier to be affected by the chief executive leadership than those of an upper level local government because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directly meet the chief. Third, fo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research along with the empirical research through surveying. It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reports and data from research institutes as well as relevant books and then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The analysis frame consisted of several major theories such as organizational culture theory by Quinn & McGrath (1985), leadership theory by Bass & Avolio (1992),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ories by Meyer and Allen (1993) and Quinn & Stains (1979). Based on those theories, a questionnaire was established. Independent variables were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 rational, development, consensus and hierarchy –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how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wo leadership styles were chosen as paramet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categorized into charisma,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had two categories of contingent reward and management-by-exception. SPSS 14.0 for WINDOWS was used to empirically analyz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AMOS 5.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oftware, was employ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analysis model of this study is shown in the Figure 1.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ffects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evelopment and consensus culture types showed significance while rational and hierarchy revealed no significance. With analyzed differences in influence patterns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nsus culture types on the effectiveness, it could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culture was more effective to improve effectiveness than the consensus culture. It means that the development culture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novation, creativity, growth and adventures motivates and leads people, showing comparatively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gure 1) Model of this Study Second, leadership was classified into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and the two categories were analyzed to measure effe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which have meaningful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m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tegories. Contingent reward leadership of the two categories of transactional leadership solel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veral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revealed a bigger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Third, for the mediator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effectiveness, rational, development, and consensus culture types had significantly indirect influences. When th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were classified for verifying the mediator effects, however, the development and consensus culture showed significance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hile the only developmental leadership had a meaningful indirectness effect on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With the results, it is noticeable that chief executives of organizations which have consensus, development or rational culture types have to s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is also seen that consensus culture is the most suitable type of culture for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development culture seems to be proper for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showing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others. It means that the key point is chief executive’s ability to effectively and properly display leadership - transformational or transactional – under his organization’s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had been established. First, it is clear to develop the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evenly, however, more efforts are required for improving development and consensus culture types. Second, human-centered leadership focusing on relationships should be intensified rather than job-centered leadership to improve official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Third, for desirable cultural change, human-centered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hould be more required than job-centered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mitigating rigidity of the organization. Fourth, it is needed to realize that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differs by gender, age, or position.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suitable for age or position groups should be applied. Adoption of a new system could be another solution. Fifth, following countermeasur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to effectively change organizational culture have to be taken. It canthus lead to bigger synergy effects from reforming culture. Countermeasures inside the organization are ⅰ) changes in leadership style, ⅱ) development of incentive systems to improve members’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ⅲ) methods for reducing members’ job stress and increasing job satisfaction. As countermeasures outside the organization, methods for expansion and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systems designed for effectiveness of public service will be required. 지방자치단체는 1980년대 이후 신자유주의의 기치아래 보다 작고 효율적인 조직을 구축하기 위한 다각적인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방자치단체들의 성과향상은 제도의 혁신만으로 달성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즉, 지방자치단체의 성공적인 개혁은 조직목표나 구조, 인센티브시스템과 아울러 바람직한 조직문화가 구축될 때 가능하며, 조직문화가 조직의 효과성과 주요 원천임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전반적 변혁과정과 지방행정조직의 효과성에 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매우 크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행정조직문화유형을 통하여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의 조직문화유형이 공무원들의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으며, 자치단체장의 리더십 유형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리더십 유형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지닌 본 연구의 목적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조직문화의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단체장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행정조직문화와 단체장의 리더십 유형간의 조합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초자치단체의 조직문화유형을 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8년 12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초단체장의 리더십은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 행태에 한정하였다. 둘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상남도 기초자치단체를 연구범위로 선정했다. 기초자치단체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기초자치단체의 주요 행위자들과의 설문조사를 통해 기초자치단체장의 리더십에 대한 실증적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는 점과, 광역자치단체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에 비해 기초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이 자치단체장과 직접 접촉할 기회가 많아 자치단체장이 발휘하는 리더십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연구와 연구기관의 보고서 및 자료, 단행본 등을 수집․분석하여 조직문화유형과 리더십, 조직효과성간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문화유형에 관한 이론은 Quinn & McGrath(1985)의 이론을, 리더십에 관한 이론은 Bass & Avolio(1992)의 이론을, 조직효과성에 관한 이론은 Meyer & Allen(1993), Quinn & Stains(1979)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독립변수는 조직문화유형으로 합리문화, 개발문화, 합의문화, 위계문화를 종속변수로는 조직효과성(조직몰입,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는 변혁적 리더십(카리스마, 개별적 고려, 지적자극)과 거래적 리더십(조건적 보상, 예외에 의한 관리)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또한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으로서 AMOS 5.0 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틀은 아래의 (그림 1)과 같다. (그림 1)연구의 모형 본 연구에서 행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개발문화와 합의문화가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합리문화와 위계문화는 조직효과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문화와 합의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개발문화가 합의문화보다 조직효과성의 향상에 조금 더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쇄신, 창의, 성장, 모험 등을 특징으로 하는 개발문화가 부하들의 동기를 부여하고 직원들을 이끌며, 조직효과성에 조금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둘째,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변혁적 리더십 변수 중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별고려와 지적자극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조건보상 리더십만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 보다 조직효과성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리더십의 매개효과에 대해서는 합리문화, 개발문화, 합의문화가 유의적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을 구분해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에서는 개발문화와 합의문화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거래적 리더십에서는 개발문화만이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문화유형이 합의문화, 개발문화, 합리문화인 조직에서는 단체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며 합의문화가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조직문화유형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개발문화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모두 적합한 조직문화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어 다른 조직문화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단체장이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을 조직의 문화 유형에 맞도록 효율적으로 발휘하는 것이 관건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네 가지 조직문화를 균형 있게 발전시켜야 하겠지만 조직문화유형 중 개발문화와 합의문화를 증진시키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공무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기적 처방으로는 업무중심적 리더십 보다는 관계에 초점을 맞추는 인간중심의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바람직한 문화변동을 위해서는 업무중심보다는 인간중심이, 거래적 리더십보다는 변혁적 리더십이 강화되어야 하고 조직의 경직성을 완화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행정기관에서 성별, 연령별, 직급별로 존재하는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파악하고, 행정의 집단 단위별 조직문화특성의 활용방안으로 조직문화의 새로운 제도 내지 관리기법의 도입과의 관계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조직문화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직내․외부적 대응방안이 병행되어야만 조직문화쇄신의 시너지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조직 내부적 대응방안으로는 ⅰ) 리더십의 변화, ⅱ)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의 개발, ⅲ)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을 증대시키는 방안 등이 있고, 조직 외부적 대응방안으로 행정효과성 제고를 위한 시민(단체)참여 확대 내지는 시민(단체)참여 활성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中等學校 美術敎育의 價値觀 형성에 關한 硏究 : 회화 표현을 중심으로

        임채숙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중등학교 미술교육이 학습자의 가치관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해명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중등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미술은 학습자의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을 통해 형성된 각자의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중등학교 과정의 학습자에 해당되는 청소년기는 특히 자아 발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시기이다. 또한 중등학교 미술교육은 사물의 특징을 다양하고 심도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력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무한한 시각 정보들을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하게 함으로써 전인적인 인격을 육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교과목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중등학교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을 도울 수 있도록 계획되고 실천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청소년기에 해당되는 학습자의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중등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다. 우선, 현행 미술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서 회화 표현 중 창의성에 관련된 내용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미술교육을 통한 전인적 가치관 형성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첫째, 학습자의 개성적 표현능력을 신장시켜야 한다. 둘째, 미적 감각을 육성하는 데 교육의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심미적 태도를 육성하고, 넷째, 정서적 안목을 계발하며, 다섯째, 긍정적 사고를 기르도록 해야 한다. 중등학교 미술교육은 특히 학습자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창의력 신장을 위해서는 우선 미술 교육의 목적과 내용이 현실적이고 체계적이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의 창의성은 특별한 동기나 경험이 부여되지 않으면 발휘되지 못하는 것이므로, 미술 수업은 저마다의 개성이 발휘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했을 때 중등학교 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과 자기정체성 확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rts are a artistic genre that not only can express a learner's idea and emotion freely but also enhance a creative idea and original imagination. Thus, arts can be defined a artistic genre helps increase emotional development and intellectual ability of a person. Especially, the era of juveniles is a period when the development of self is formed. For this reason, the fine arts education of the middle class schools should meet the various personalities and needs of the learners. With this, the education of fine arts can help them form the right sense of human value. This study examined the needs and goal of fine arts education of the middle class schools by associating them to the region of forming the sense of value of the learners. And classified the articles on the creativity among the painting expressions that could help form the right personality. As a result, the study could find out that the painting expressions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value of the learner who is in his juvenile period. And the study could reach a conclusion that increasing the unique expressions and considering the artistic senses of the learners of arts education are essential to help the learners make the whole man.

      • 음악극을 통한 창작활동 지도방안 : 중학교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임채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시대에는 창의성을 가진 인재를 으뜸으로 여긴다. 창의인재 대회, 창의인재 개발학과, 창의인재 동반사업, 창의인재 전형 등은 이에 부응하여 등장한 것들이다. 창의성에 대한 국어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는 특성’이다. 그것은 지금까지 있은 적이 없었던 것을 생각해내거나 있었던 것을 전과 달리 생생하고 산뜻하게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음악과 교수・학습의 네 영역인 가창, 기악, 감상, 창작영역 중 창의성 발현에 직결된다 생각되는 창작영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작은 주입식 수업에 안정감을 느끼고 경험해보지 않은 것에 대한 막연함을 어려움으로 인식하는 학습자에게 까다롭고 난해한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창작은 표현을 통해 빛을 발한다. 그런 까닭에서 교수 ‧ 학습의 내용으로 학습자의 표현력을 드러낼 수 있는 <음악극 만들기>를 선정하였다. 이는 학습자에게 신선함과 흥미를 유발하여 진취적인 학습태도와 전인교육을 이루는데 고무적인 작용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주제는 중학교 음악과 2009개정 교육과정과 그에 근간을 두고 집필된 음악 교과서 통합본(2013. 3. 1 초판 발행)을 보던 중에 선정하였는데 음악극 만들기 활동에서 음악 만들기에 대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것에 주목하였다. 음악극은 음악과 연극 그리고 무용(신체 표현)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결합을 통하여 예술의 총체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활동이나, 본 논문에서는 무용(신체 표현)의 내용을 다루지 않고 대본 작성하기와 음악 만들기에 중심을 두었다. 먼저 <대본 작성하기>는 사회적 쟁점으로 떠오른 ‘층간 소음’에 대한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의 내용, 기사와 뉴스, 연구자의 직접 체험을 통해 임의로 작성하였고 학습자가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일부는 밑줄 처리하여 남겨두었다. <음악 만들기>는 앞서 완성한 대본을 토대로 하여 등장인물의 감정(심리)과 행동 묘사, 상황과 분위기를 표현하는 음악을 만들고자 하였는데 작곡 방법으로는 순차진행과 도약진행, 장 · 단조의 대비, 리듬 대비, 관계조를 사용하였다. 학습형태는 또래와의 협동학습으로 소집단 구성을 통해 학습자들의 보완補完성을 유도해내어 구성원 간의 신뢰감 증진, 언어와 동작을 통한 자기 표현력 향상, 타자의 입장 이해 증진, 상상력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은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이나, 교수자와 학습자가 만나는 교육상황에서 ‘사회 속의 학습자의 잠재력을 찾아 더 나은 배움과 삶을 열어 주기 위한 교수자의 배려와 활동’이다. 이는 교수자가 교수 ‧ 학습의 수월성을 위해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뜻이다. 교수 ‧ 학습의 일면에서 다양한 학습경험(학습요소)을 충족할 수 있는 교수법을 강구한다면 효율성 제고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음악교육의 발전과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다양한 시도의 창작학습 교수법이 숙고의 과정을 거쳐 고안되고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기를 바란다.

      • 학교 부적응과 귀인성향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임채숙 순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plore effects of learned helplessness on the school maladjustment and Attribution Tendency, and figure out what variables have high explainability for the learned helplessness of children in order to come up with the measure to solve the problem of learned helplessness of children at school and propose the educational recommendation to ensure an effective Attribution Tendency based instruction and upbeat(positive) school l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employed to get to the bottom of the effect that the experience with the school maladjustment and Attribution Tendency have on the learned helplessness of children, involved 412 5th to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191 children who were very likely to suffer the helplessness.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gender and grade of students, using SPSS 12.0 for Windo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with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learned helplessnes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Mal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propensity to physical and linguistic violence than female students. The upper graders were found to have a tendency to be afraid of self expression and have low self esteem. Children with high propensity to the learned helplessness were found to have low self esteem and aggressive hostility. Therefore, the learned helplessness can be reduced by inducing those children to have less aggressive hostility against people around, have more self confidence or self esteem and changes their lives for the better in school to overcome the school maladjus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tribution Tendency and the learned helpless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the controllability has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learned helplessness, rather than the Locus of Control. Therefore, the learned helplessness is considered higher if it is attributable to the power, coincidence and luck of others which he or she seemed to assume to have nothing to do with his or her own will. So, the learned helplessness gets relatively alleviated by the increased motivation to learn, given that the outcome can change depending on his or her own will if it is attributable to controllable factors. Third, the experience with school maladjustment has approximately 9 times powerful explainability as to the learned helplessness than Attribution Tendency. The experience with school maladjustment has a greater explainability for the learned helplessness than the Attribution Conviction, which implies that maladjustive behaviors which children generally display in school are accumulative and aggravate the learned helplessness.

      • 지역축제의 실태분석과 활성화방안 : 경남 함양군을 중심으로

        임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Festivals at local level have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of local autonomy. Local governments tried to use festivals as a strategy for boosting local economy by commercializing festivals. Regional festivals solidify local identity based on local history and traditions. They contribute to continuing and furthering local culture, because festivals are produced by local residents with their own will and idea. Local festivals have proliferated since mayors and governors were elected directly by the people. Local governments have introduced festivals as if they do races. The proliferation has at the same time caused problems. The most critical problem would be too much spending with little return. This study is looking at realities, finding problems, and suggesting directions for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it reviews theoretical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Next, the study does survey local residents in relation with six festivals done for the last three years. It also analyzes cases of each festivals. Finally, the study comes up with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estivals in Hamyang County should be much more customized and differentiated with their own theme, variety, unique experience opportunity. Second, festivals should be able to meet economic requirements and accessibility to the region. Third, Hamyang festivals should be able to satisfy various needs of participants. Festivals should be themselves educational and interesting in nature. Fourth, local festivals need to commercialize festivals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of festivals. Fifth, Festivals should provide festivities and enjoyment. Six, Hamynag County needs to create an administrative unit to exclusively deal with festivals and to strengthen program evaluation. Seven, public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relation with festivals. Eight, local residents should play more active role in producing festivals. Finally,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increased to make festivals better. (초록) 지방자치제도가 실시됨에 따라 지역축제도 증가되기 시작했다. 즉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특성개발과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으로서 지역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하였다. 즉 축제를 관광상품화 하거나 각종 이벤트들을 기획・개발하여 활성화하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의 역사와 전통을 바탕으로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으로서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연출하는 지역의 자존과 화합의 행사이기 때문에 지역문화의 계승,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지역축제는 1995년 민선자치단체장이 출범한 이후 급격히 늘어났다. 특히 한 개의 지역에서 여러 가지 축제를 경쟁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축제 본래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그리하여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과 유희성 보다는 유흥오락성만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에 국내의 많은 연구들은 지역축제의 효율적인 수행방안에 관한 연구가 경쟁적으로 발표되기에 이른 것이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지역축제가 안고 있는 실태적 문제점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바람직한 지역축제가 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이론적 검토를 통해 기존의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기능과 역할 및 한계와 문제점들을 재검토하고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시대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창조적 전략수단으로서 가치와 필요성을 인식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의 바탕위에서 지난 3년간에 걸쳐 개최된 경상남도 함양군의 6개 축제를 대상으로 1차적으로는 지역주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다음은 개별 축제별로 그 동안 지적되어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검토함으로써 함양군의 지역문화축제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대상에 선정한 축제는 함양군의 여섯 가지의 축제만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함양물레방아축제, 지리산천왕축제, 용추국제자연예술제, 함양산삼축제, 함양군 예총제, 함양고사리채취축제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 함양군의 축제가 지역축제로서의 가치와 지역발전의 견인차로서의 기능수행을 이해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테마가 있는 다양화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색다른 경험이 가능해야 하며, 나아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둘째 함양군 축제는 앞으로 함양지역으로의 접근성과 함양군발전을 위한 경제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축제의 참여자 및 외래방문객이 원하는 각종의 수요에 부응하고 혜택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지역축제는 그 자체가 흥미롭고 교육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앞으로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다양한 소재(컨텐츠)의 발굴을 통한 축제 자체의 상품화와 다양한 연계상품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앞으로 함양군의 축제는 제(祭)가 있어야 하고 신명나는 한판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축제의 본질인 제의성(祭儀性)과 유희성(遊戱性)을 동시에 갖춰나가야 할 필요성이 높다. 여섯째 앞으로 지방정부 내외를 막론하고 지역축제를 전담하는 부서설치와 주체 측의 축제운영방식에 대한 분석과 개선노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일곱째 축제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대외홍보가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함양군의 모든 축제는 축제기획과 추진 못지않게 국내외적 홍보전략도 중요함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함양군의 지역축제는 지역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축제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즉 주민들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지역주민들의 축제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아홉째 함양군의 축제가 보다 발전된 축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지역축제에 대한 함양군 당국의 행정적 지원을 전향적으로 늘려나갈 필요가 있다.

      •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과정 순환성 분석 : 정책집행 요인을 중심으로

        임채숙 중부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정책평가‧환류 단계에서의 각각의 핵심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한 후 정책결정과 정책집행 간, 정책집행 요인 간, 정책집행과 정책평가․환류 간 연계성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집행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결정 단계에서의 핵심요소는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집행 단계에서의 핵심요소는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평가․환류 단계에서의 핵심요소는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과정 순환성 분석 요소는 무엇이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과정 순환성 분석틀을 확정하고, 문헌조사와 심층집단면접(fgi), 질적 메타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과정 순환성 분석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의 정책집행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정책 목표달성에 결정적인 요소는 타당성 있는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등의‘정책내용 특성’과 ‘정책대상집단의 순응 여부’였다. 즉,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목표가 명료하여 정책수단과의 인과관계타당성을 확보하였을 때 정책대상집단의 순응이 이루어지고, 학교 현장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의 정책결정 요인 중 핵심적인 요소는 문제의원인을 인과 타당하게 분석하여 도출한 ‘정책문제 정의’와 정책대상집단의 숙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민주성’이었다.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정책문제 정의의 타당성이 부족하여 그에 따른 정책목표와 정책수단과의 인과성이 미흡하였기 때문에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목표인 ‘학교폭력 감소’를 달성할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정책결정과정과 관련하여 정책대상집단의 숙의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부족하였기 때문에‘실체적 민주성’은 확보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의 정책평가‧환류 요인으로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정책평가의 타당성’과 ‘정책환류 활용도’이며, 정책과 학교폭력 감소 간의 타당한인과적 관계를 분석하는 ‘정책평가의 타당성’이 미흡하였고, 실태에 근거한 정책변동 분석의‘정책환류 활용도’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정책변동 내용과 학교폭력 실태에 근거하여 학교폭력예방 정책의 정책변동 효과성을 평가하면 학교폭력 감소 효과가 낮았으며, 정부의 정책과정과 그부작용,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근거한 바람직한 정책 환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의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평가‧환류 요인 간의상호 연계성을 분석했을 때 핵심적인 요소는 정책결정-정책집행 간 연계성에서 정책문제 정의를바탕으로 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과의 ‘인과성’, 그리고 정책결정기관과 정책집행기관 간의‘상호적응성’이었다. 정책집행-정책평가‧환류 간 연계성 분석 결과, 민주적인 정책집행구조가갖는 ‘정치적 합리성’과 대상집단 간에 정책효과와 정책비용이 얼마나 ‘형평성’ 있게 배분되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다섯째, ‘제3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은 전체적으로 평가할 때 학교폭력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기에 정책목표 달성에 실패한 정책이다. 자세한 실패 원인을 분석하면 정책결정시에 학교폭력 발생 원인을 타당하게 분석하지 않았으며, 정책결정과정과 관련하여 정책대상집단의숙의와 합의를 이끌어내는 ‘실체적 민주성’확보 과정이 부족했다. 정책집행 요인 분석에서는효과적인 정책수단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수단의 목적이 현장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다소 적합하였으나 학교 현장의 주체인‘정책대상집단의 순응’을 확보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정책평가‧환류요인에서는 학교폭력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않았고, 정부의 정책과정과 그 부작용, 교육수요자의 요구에 근거한 ‘정책 환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정책결정과정책집행 간 연계성 분석에서는 횡적 정책집행기관 간 상호적응성이 미흡하였으며, 정책집행과 정책평가‧환류 간 연계성 측면에서 정책집행 결과 정책효과와 정책비용이 모든 학교와 피․가해․일반학생들에게 형평성 있게 배분되지 않았던 점이 미흡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내용과 수단을 사회적․경제적․정치적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결정․집행하였으나 정책집행자와 정책대상집단의 순응을 확보하지 못하였고, 국민과 언론의 지지가 낮았으며, 비공식적 참여자의 개입이 많았다. 앞에서 분석한 정책 실패 원인을 중심으로 학교폭력 예방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학교폭력 예방 정책은 학교폭력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학교 구성원 등의 집단적 숙의와 합의를 통해 정책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정책집행 과정에서 ‘정책대상 집단의 순응’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실현될 가능성이 있는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을 제시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의 결정, 집행, 평가 단계를 총체적으로 평가하여 환류할 수 있는 평가지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는 학교폭력과 관련하여 그동안 수립했던 정책들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정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ot only the key elements of the policy decision, policy enforcement, and policy evaluation/feedback of the school violation prevention policy, but also the relationship among the policy decision, the policy enforcement, and policy evaluation/feedbac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policy enforcement for achieving the objective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The research questions for carrying out the research purpose a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key elements in the policy decision stag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hat effect do they have? Second, what are the key elements in the policy enforcement stage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hat effect do they have? Third, what are the key factors in the evaluation/feedback stag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hat effect do they have? Fourth, what is the policy analysi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hat effect do they have? Based on these research problems,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policy proc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as confirmed, literature survey, in-depth group interview and qualitative meta-analysis(fgi)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olicy proc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upon the analysis of policy enforcement factors of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the crucial factors in achieving the policy objective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content, such as valid policy objectives and policy instruments, and the compliance of the target groups. It is found that when the validity of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policy means and the clarified objective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is secured, the feasibility of the compliance of the target group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at the school becomes higher. Second, the core elements of the policy decision factors of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were 'definition of the policy problem' which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democracy' which decides the policy based on deliberation and agreement of the policy target group. The lack of validity of the definition of the policy problem i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nd the lack of causality between the policy goal and the policy means resulted in the failure to achieve the goal of school violence reduction.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there is a lack of process to elicit the deliberation and consensus of the target group, so it can be said that it did not secure ‘substantive democracy.’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s are 'validity of policy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policy feedback' in the policy evaluation/feedback of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In the policy evaluation/feedback, ‘validity of the policy evaluation’ for analyzing the vali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y and the reduction of school violence was insufficient and the lack of ‘policy feedback utilization’ of the policy analysis based on the actual situation was obviou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it was less effective in decreasing school violence and it was unable to provide the adequate policy feedback regarding the governmental policy making process, its side effects,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 consumer. Fourth, when policy making, policy enforcement and policy evaluation/feedback of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are analyzed, the two key elements are 'causality' between policy objectives and policy means and 'mutual adaptability' between policy decision makers and policy enforcement agencies. As a result of the linkage analysis between policy enforcement - policy evaluation/feedback, it became apparently important to evaluate the 'political rationality' of democratic policy enforcement structures and to gauge the fairness of policy effects and costs among target groups. Fifth, ‘The 3rd Basic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is a policy that fails to achieve the policy goal because it has resulted in an increase in school violence as a whole. Detailed analysis of the failure reveals not only that causes of the school violence were not adequately analyzed in the process of the policy decision making, but also that there was not enough effort to secure 'substantive democracy' which led to deliberation and consensus of the target group concerned with policy decision process. In analyzing the policy enforcement factors,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policy means became more appropriate by providing effective policy suggestions, but it was not able to secure the ‘compliance of policy target group'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school. The causes of school violence wer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in the process of the policy evaluation/feedback. The policy feedback which is based upon the governmental policy process, its side effects,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 demanders was not effectively achieved. In terms of the analysis of linkage between policy making and policy enforcement, the mutual adaptability between horizontal policy enforcement agencies was insufficient. Policy effects and policy costs were not equitably distributed to all schools and students in the aspect of the linkage between policy enforcement and policy evaluation/feedback. Last, the contents and mean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were determined and implemented in response to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 changes. However, they failed to secure compliance of policy executives and policy groups, to get enough support from the public and the media and, to exclude unnecessary informal participants. Based upon the analysis of causes of policy failure, suggestions for improv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should be decided not only through accurate analysis of causes of school violence but also through collective deliberation and agreement of school members Second, in order to secure 'compliance of policy target group' in the process of policy enforcement, policy objectives and policy measures that can be realized in the field should be present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holistic evaluation index system that not only assesses the step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enforcement, and evaluation but also provides feedback. Fourth, the education authority needs to systematically integrate and select polic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in relation to school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