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要約結果知識 提示類型이 "오자미" 던지기 課題의 正確性에 미치는 효과

        임재현 공주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rstigate the effects of Summary Knowledge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three knowledge of result groups to 10 person respectivly with respect to the length of the Summary : immadiate(Summaryl), Summary3. Summary6 group. This Study used OUZAMI throwing task throwing the OUZAMI exactly on the given 6M distant line. After 5 time practise trials. Subjects were acted 10 times practice trials. The absolute errors of 60 times acquisition trials and 20 times retention trials were calculated to know the accuracy of OUZAMI throwing performance by useing gathered data. The one - 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statiscal significance and the posthoc analysis employed this study was Duncan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acquistion performance stage, The mean absoulate errors were the differences among the performence of immadiate KR group, Summary 3 KR group and Summary 6 KR group were not detected. 2. During the retention performance stage the mean absoulate errors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formances of Summary 3 KR group and Summary 6KR group were not detected. But the summary 3KR group and Summary 6KR group performed more accurately than the immadiate KR group

      •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 견인용 IPMSM의 축 방향 길이 최적화 연구

        임재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의 기존 설계 방법론에서 추가로 실제 대차 장착을 위해 코일의 축 방향 길이를 고려한 상 세 설계 연구이다. 최근 대기오염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화석연료의 지속적인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하며 이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철도차량 중 대부 분 전기로 구동하게 되나 전기철도를 운용할 수 없는 특수한 상황에서나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디젤을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차량들이 존재한 다. 디젤의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해 수소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고 회생전력으로 충전 가능한 2차 전지 하이브리드 방식이 제안되는데 이는 수소연료탱크, 연료전지, 2차전지가 추가됨으로 기존 차량대비 중량이 증 가되었다. 이는 대차 내 장착 공간은 한정적인 것에 반해 모터 1대 당 출력이 증가한 것이며 전동기가 허용된 공간 내 장착 가능한지를 확인해 야한다. 기존 IPMSM 설계에서는 코일의 엔드턴을 포함한 축 방향 길이 를 고려한 설계가 정확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 존 설계 알고리즘에 엔드턴 길이 산정식을 추가하여 축 방향 길이를 고 려한 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시하며 이를 통해 한정적인 대차 공간에서 실 제 장착이 가능한 모터 설계론을 제안한다.

      • 사용자 경험에 최적화된 웹 리소스 프리로딩

        임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웹 앱 및 페이지에서 로딩에 걸리는 시간인 로딩 타임은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준다. 로딩 타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 하나는 리소스 로딩이다. 특히, 스마트 TV와 같은 환경에서 콘텐츠와 관련된 많은 리소스들을 가져와야 하기 때문에 리소스 로딩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로딩 타임을 단축하고자 리소스 프리로딩이라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리소스 프리로딩은 사용 예정인 리소스를 식별하고 프리로딩 순서를 정하기 위해 profile을 기반으로 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리소스 프리로딩 방식은 전체 웹 로딩 시간을 단축시키지만 사용자가 실제로 느끼는 타임에는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소스 프리로딩 방식을 제안한다. 이는 웹 로딩 과정에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비교하여 사람들의 시선이 주로 향하는 리소스들을 빠르게 가져오는 방식으로 리소스 프리로딩 순서를 계산하였다. 이 방식을 기존의 프리로딩 시스템에 구현하여 실제 스마트 TV 웹 앱과 SNS, 쇼핑의 웹 사이트에서 로딩 시간을 측정하였다. 사용자 경험을 나타내는 매트릭스인 AFT에서 최대 18%, SI에서 최대 20%의 성능 효과가 나타났다. Loading time affects the user experience in web apps and pages. One of the biggest factors in load time is resource loading. Resource preloading which uses a profile-based techniques to identify resources has been proposed to shorten the loading time.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es shorten the overall web loading time, bu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time which related to the us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source preloading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It calculates the resource preloading order by comparing parameters that can improve the user experience during the web loading process. A matrix representing the user experience showed up to 18% of performance in AFT and up to 20% in SI.

      • 축구선수가 인식하는 주장의 역할

        임재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축구 팀에서 선수들이 인식하는 주장의 역할을 탐색하고 구체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한축구협회에 정식으로 등록된 초등학교부터 대학교 학생선수 12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주장의 역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 뒤, 이 중 주장의 경험이 있거나 혹은 현재 주장선수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고, 귀납적 내용분석과 신뢰도 검증, 연역적 자료 전개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주장의 역할에 대한 선수들의 인식은 동기부여자, 중재자, 관리자, 대표자의 4가지 일반영역으로 추출되었다. 구체적으로 동기부여자는 모범자, 격려자, 노력자, 활력자, 귀감자의 세부영역으로 추출되었고, 중재자는 구성원관계형성자, 지시전달자, 대변자로 추출되었으며, 관리자는 권위자, 배려자, 이해자, 평등자로, 마지막으로 대표자는 헌신자, 체벌자, 실력자, 지시자, 항의자, 책임자의 순으로 추출되었다. 참여자 8명의 사례를 토대로 캡틴십의 구성개념을 투영하여 유소년 축구선수의 인식을 범주화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령별로 주장선수를 선별하여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했다. 구체화된 내용을 요약하면 주장의 역할은 일차적으로 결과를 중시하는 과제지향인지, 대외적 활동을 중시하는 사회지향인지에 따라 양분되었다. 또한 팀을 대표하는 실력을 보이거나 배려나 권위를 이용해 집단을 관리하는 개인지향인지, 모범, 노력, 활력, 지시전달의 역할을 중시하는 집단지향으로 구분되었다. 집단지향은 집단에 대한 개인의 요소로, 개인은 노력 등의 자기관리 측면으로 구분된다. 이 같은 연구를 비추어 볼 때, 대외적인 활동을 중시하고, 개인역량 증진에 주목하는 국외의 주장의 역할과는 상이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개인보다 집단을 더 선호하고, 과정보다는 결과중심적인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이를 통해 축구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우리나라만의 토착화 된 축구문화를 확장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측면이 요구된다.

      • 장애인가구의 빈곤특성과 빈곤 결정요인 연구 : 비장애인가구와 비교를 중심으로

        임재현 충남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previous studies with both domestic and overseas,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d that poverty risk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is higher compared to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because of their low income and extra costs due to disability. Based on these no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poverty between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and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in terms of the transfer income and extra costs. Also this study included the heads of the households’disability existence for comparing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poverty. For this, ‘The 4th year Korean Welfare Panel Study(2009)’data were analyzed. Total number of analysis unit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as 1,000 households, meanwhile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were 5,207 households.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extra costs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the standard of living approach was taken account into calculation. And the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of the households with and without the disabled. Major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andard of living and ordinary income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Using the standard of living approach, the extra costs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ere estimated as 158,700 won. As a result,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ould live in low living standards in order to expense their extra costs caused disability. From this situation, the deficit-covering of extra costs per month with a certain amount of cash is necessary for all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in order to let them have the same standards of living as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Second, the results presented that poverty rates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ere 13.29%, and thos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were 7.27%. Included the extra costs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poverty rates were increased, and it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Therefore, more accurate estimation of poverty rates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could be obtained when their extra costs are included in determining the poverty lin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dependency of the public transfer income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are mo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Related to this, the transfer income influenced more than two times of differences in poverty rates between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and without the disabled. When both whole transfer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were included into poverty rates,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were higher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compared to thos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meanwhile including their private transfer income into the poverty rate,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unterpart. It was important result that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n public transfer income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as higher than the effect on private transfer income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Therefore, income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is decreased due to disability, that must be supplemented by public transfer income in order to reduce their risk of poverty.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overty depending on whether a householder is disabled or not among the research targets from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As a result, poverty rates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ouseholders were 15.24%, meanwhile those of the households with the non-disabled householders were 10.13%. Therefore,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are more poor than the households with the non-disabled head. As including extra costs of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poverty rates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ouseholders were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of poverty rates between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and non-disabled householders became bigger. Therefore,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need more the deficit-covering of extra costs than the households with non-disabled head. As taking account into the public transfer income, the differences between poverty rates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and non-disabled head also became bigger. Including the public transfer income into the poverty rates,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had higher poverty reduction effects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 On the contrary, using private transfer income into the poverty rates, more higher poverty reduction effect was showed among the households with non-disabled head compared with their counterpart.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are more vulnerable to poverty because their earned income decrease due to disability of the breadearner in the household. In this situation, the public transfer income could contribute to reduce risk of poverty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Forth, determinants of poverty of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wer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household type, number of household member,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Meanwhile, determinants of poverty of the households without the disabled were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number of household member,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proportion of dependents, house ownership. Regarding disability of householders in the research target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determinants of poverty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head were number of household member,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Meanwhile, determinants of poverty of the households with the non-disabled head were education level of heads, number of household member,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type of disability among household members(physical disability and mental disability). In all types of households,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proportion of economic activity are major determinants of poverty.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households with or without the disabled, all households have the higher risk of poverty as the lower number of household member and economically active household member. In addition, the households with and without the disabled have the higher risk of poverty as the lower education level and in part-time position of heads. In this context, the risk of poverty among the households with the disabled could be reduced if the heads of the households are not only employed, but also are engaged in full-time position. 장애인가구는 낮은 소득수준과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지출로 인해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빈곤의 위험성이 더 높다는 것이 국내외 선행 연구를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가구의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지출과 감소된 가구소득을 보전하는 이전소득의 영향을 고려한 빈곤특성과 빈곤 결정요인을 비장애인가구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장애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주의 장애여부에 따른 빈곤특성 및 빈곤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4차년도(2009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장애인가구는 1,000가구였으며, 비장애인가구는 5,207가구였다. 장애인가구의 추가비용을 계측하기 위해 삶의 수준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가구는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삶의 수준과 경상소득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수준 접근법을 활용한 장애인가구의 추가비용은 월 15.87만원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장애인가구는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 지출로 인해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삶의 수준이 떨어지고, 비장애인가구와 동일한 삶의 수준을 누리기 위해서 모든 장애인가구는 월 일정액의 추가비용 지출에 대한 보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은 13.29%로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율 7.27%보다 약 1.8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가구는 추가비용을 고려할 경우 빈곤율이 22.61%로 증가하여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빈곤의 위험성이 3배 더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빈곤선 설정에서 추가비용을 고려해야 더욱 정확한 장애인가구의 빈곤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애인가구는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을 고려할 경우 장애인가구와 비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은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장애인가구는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전체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빈곤완화효과가 비장애인가구의 사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가구의 전체이전소득에 대한 빈곤완화효과는 비장애인가구에 비해 높고, 특히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빈곤완화효과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가구는 장애로 인해 가구소득이 감소하고, 이렇게 감소된 소득을 공적이전소득을 통해 보전하여 빈곤의 위험성을 완화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장애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주 장애여부에 따라 빈곤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은 15.24%,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은 10.13%로 가구주가 장애인의 경우 더 빈곤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비용을 고려할 경우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이 증가하여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와의 빈곤율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구주가 장애인인 경우 추가비용 지출에 대한 보전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적이전소득을 고려할 경우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빈곤율이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빈곤율보다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는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가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보다 더 높았으며, 사적이전소득의 빈곤완화효과는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가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결국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는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에 비해 근로소득이 감소하여 빈곤에 더 취약하지만, 공적이전소득을 통해 빈곤의 위험성을 완화한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장애인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교육수준 및 정규직여부, 가구형태, 가구원 수, 경제활동 비중 변수가 빈곤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가구의 경우 가구주 연령 및 교육수준, 가구주의 비정규직 및 정규직여부, 가구원수, 경제활동 비중, 부양가구원 비중, 자가여부 변수가 빈곤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주의 장애여부에 따른 빈곤 결정요인을 살펴보면, 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경우 가구원 수, 경제활동 비중 변수가 빈곤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가구주 장애인가구의 경우 가구주의 교육수준, 가구원 수, 경제활동비중, 신체적 장애, 정신적 장애 변수가 빈곤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든 가구 유형에서 가구원 수와 경제활동비중 변수가 빈곤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인가구이든 비장애인가구이든 상관없이 모든 가구는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경제활동을 하는 가구원이 적을수록 빈곤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인가구는 가구주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가구주가 정규직이 아닌 경우에 빈곤의 위험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장애인가구는 가구주가 미취업인 경우보다는 취업을 하는 경우에 빈곤의 위험성이 감소하긴 하지만, 취업을 하더라도 비정규직에 종사하기보다는 정규직에 종사할수록 빈곤의 위험성이 더 감소된다고 할 수 있다.

      • 전 고상 고체 변색 거울의 제작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l solid state electrochromic (EC) mirrors

        임재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기변색이란 외부 인가 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전하의 주입과 추출을 통해서 가역적으로 물질의 색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전기변색 소자는 일반적으로 (1) 낮은 소모 전력 (low power consumption), (2) 높은 색상 효율 (high coloration efficiency), (3) 열린 회로 (open circuit) 상태에서의 메모리 효과 등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전기변색 소자는 smart window, smart sunroof, rear-view mirror, 디스플레이, 전자 종이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전기변색 소자는 에너지∙환경∙자원의 보존 및 절약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차세대 연구분야 가운데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와 같은 형태의 전기변색 소자는 컨덕터/전기 변색층/전해질 층/이온 저장층/컨덕터 구조를 갖는다. 전해질 층에 의해서 두 전극층이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열린 회로 상태에서 좋은 메모리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전기변색 소자는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는데 (1) 용액이 누출되는 문제, (2) 박막화 및 (3) 소형화의 어려움과 같은 단점을 갖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 고상 전기변색소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고체 전해질을 이용하면 (1) 비용을 절감 할 수 있고 (2) 소자의 두께를 조절이 가능하며. (3) 대면적 소자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고체전해질 중의 하나인 Li-P-O-N을 포함한 소자의 특성 분석과 (2) 새로운 고체 전해질인 Li-P-W-O-N을 포함한 만든 소자의 특성 분석 및 (3) Li-P-O-N을 이용하여 만든 소자와 비교하기 위해서, Li-P-O-N과 WO3에 의해 개선된 Li-P-W-O-N을 포함한 전 고상 전기변색거울 소자를 만들었다. 먼저 전기변색거울 소자를 만들기 전에, 변색물질인 WO3를 XRD, RBS, AFM, FE-SEM, UV visible spectrometer 의하여 분석하였고, 고체전해질은 XRD, FE-SEM, AFM, 이온전도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나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각 증착 조건으로, ITO / WO3 / Li-P-W-O-N(or Li-P-O-N) / LiCoO2 / SUS구조로 제작하였다. (Li-P-W-O-N 와 Li-P-O-N은 같은 조건으로 증착 하였다.) 그리고 전 고상 전기변색거울 소자 특성을 CV (cycle voltammorgram), 반사도, UV-visible photo-spectroscopy로 분석하였다. Potential cycle 특성은 Li-P-W-O-N을 포함한 전기변색거울이 Li-P-O-N을 포함한 전기변색거울 보다 더 안전성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bleached state에서도 Li-P-O-N을 포함한 EC mirror은 56%, Li-P-W-O-N을 포함한 EC mirror 58%로써 2%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그 이유는 전기변색거울은 Li-P-W-O-N 전해질에 WO3가 Li-P-W-O-N 전해질의 crystallographic 구조에 비결정성 성질을 증가 시키었고 WO3 계층과 전해질 사이의 Li 이온의 화학 역 반응을 줄이기 때문에 EC 특성들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기변색 거울은 WO3에 의해 개선된 Li-P-W-O-N이 EC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높은 지속성과 신뢰도를 보였다. 고체 전해질 중에 하나인 Li-P-O-N보다 새로운 고체 전해질인 Li-P-W-O-N이 우수함을 증명하였고, 다른 분야에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Electrochromic (EC) is the reversible and visible change in transmittance and/or reflectance that is related with an electrochemically through oxidation–reduction reaction. Generally, electrochromic has following advantage; First, it operates low power consumption. Second, it has high coloration efficiency. Third, it has memory effect of open circuit. Because of these advantages, EC device can be applied application field: smart window, smart sunroof, rear-view mirror, display, E- paper. An EC devic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conservation of energy, environment, resource, saving and resources, which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s. Generally, EC structures are consisted of glass, conductor layer, electrochromic material layer, electrolyte layer, ion storage layer, conductor layer and glass. And among the recent commercial products, mostly the liquid electrolytes are used. However, EC device using liquid electrolyte has some problem; First, leak problem. Second, limit thickness. Third, difficult of smaller device. Recently,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EC mirror device by using solid-state electrolyte, advantage following such as: First, saving cost. Second, control of thickness. Third, application of large device However, we are using a solid state electrolyte instead of a liquid state electrolyte. And the solid state electrolyte used here are Li-P-O-N and Li-P-W-O-N. In this study, (1) all solid state EC mirror device by using Li-P-O-N was characterized and (2) EC mirror device by using Li-P-W-O-N was characterized and (3) compare the results between them. So, we fabricated all solid state EC mirror device. Prior to fabricate of EC mirror device, WO3 analyzed by XRD, RBS, AFM, FE-SEM, UV visible spectrometer, and solid state electrolyte analyzed by XRD, FE-SEM, AFM, ionic conductivity. Then, we fabricated ITO, Li-P-W-O-N (or Li-P-O-N), LiCoO2, Stainless steel on a WO3. (The Li-P-W-O-N and the Li-P-O-N electrolyte were deposited at the same conditions). EC mirror device analyzed by CV (cycle voltammorgram), reflectance, UV-visible photo-spectroscopy. EC mirror confirmed that the WO3 in the Li-P-W-O-N electrolyte has more stable potential cycle property than the Li-P-O-N electrolyte. And bleached state of EC mirror device by using Li-P-O-N show 56%, bleached state of EC mirror device by using Li-P-W-O-N show 58%. Colored state show similar reflectance. So, EC mirror device by using Li-P-W-O-N improve 2%. EC mirror confirmed that the WO3 in the Li-P-W-O-N electrolyte improves the EC properties because the WO3 in the electrolyte increases the amorphous property at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he Li-P-W-O-N electrolyte and decreases the ir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of Li+ ion between the WO3 layer and the electrolyte. Therefore, the EC mirror demonstrated that the Li-P-W-O-N which is improved by the WO3 not only improves the EC property but also has high durability and reliability. So, one of the solid state electrolyte, Li-P-W-O-N expect application of other field.

      • 평면 피팅 알고리즘 기반 3차원 객체 복원 연구

        임재현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ly, digital twin technology, which reproduces or creates objects, systems, and environments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as they are in digital space, and the use of virtual spaces in which existing types are converged are increasing. As a result, the utilization of 3D modeling data constituting virtual space is also increasing, and interest in realistically and precisely implementing 3D model data like real objects is increasing. Representative digital three-dimensional model implementation methods include a drawing method by a worker and a photogrammetry method using a 3D scanning system. The photogrammetry method was mainly used in the modeling process of a wide range of terrain, but recently it has been widely used for modeling relatively small objects such as human and animal models. It is possible to obtain 3D data by acquiring photo data through a camera with a small budget. As a result,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that are accessible and do not require high precision. The photogrammetry-based 3D model production method takes pictures from various angles around an object to generate 3D data, and creates 3D data. It is to collect 3D data and create 3D model data. Since it is possible to produce 3D model data faster and more quickly tha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the traditional 3D modeling process, the 3D modeling production method based on photogrammetry technology is expanding its use to various areas. The above image-based restoration method has greatly improved its accuracy due to the development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this expansion is leading to the launch of restoration programs by global companies, showing excellent results. However, despite these results, there are several technical challenges that have not been resolved so far. For example, reconstruction of a transparent or highly reflective object or reconstruction of a 3D object based on an image of a simple surface lacking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three primary colors of RGB light does not yield satisfactory results. In this paper, based on the fact that 3D reconstruction is difficult due to the simple geometric shape of the exterior of urban buildings or the surface of internal structures, smooth and uniform We propose a method for restoring a flat surface into a 3D object. This method first extracts enough features for the image description of a realistic 3D object and subdivides the density points generated by the depth values of pixels using the Plane Fitting method to align the surface with the detected plane. Improv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First, planes were deleted among the points created through the MVS-based 3D restoration process, and the location of the dense point cloud was changed in place of the deleted points. Finally, a triangular 3D mesh with a uniform plane was derived by correcting the direction of the point normal, and a quant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similarity based on the C2M (distance between point cloud and mesh) algorithm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ixed method of 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and AKAZE (Accelerated-KAZE) image extraction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can restore a very robust 3D object and can be restored even with a small sample. there is. In addition, by applying 3D points to be projected onto the detected absolute plane through a RANSAC (Random Sample Consensus) based approach,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could be improved with the tight Poisson equation. In the comparative evaluation (C2M)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considerably maintain the superiority and smoothness of the 3D object restoration results. If the research method developed in this paper is combined with other fitting methods previously studied, the range of 3D object restoration with a uniform surface can be further expanded, further strengthening the role as a basic model for restoring building exteriors or internal structures. .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guidelines for surface restoration methods of 3D objects and photogrammetry research in the future. 최근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시스템, 환경 등을 디지털 공간에 그대로 재현 또는 만들어보는 디지털 트윈 기술, 그리고 기존 유형들이 융복합된 가상공간의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가상공간을 구성하는 3D 모델링 데이터들의 활용도 역시 증가하고 있으며, 3차원 모델 데이터들을 실제 존재하는 물체처럼 현실적이고 정밀하게 구현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디지털 입체 모델 구현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그리는 방식, 3D 스캔 시스템을 이용한 포토그래메트리(Photogrammetry) 방식 등이 있다. 포토그래메트리 방식은 주로 광범위한 지형의 모델링 과정에 한정하여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사람이나 동물 모형과 같은 비교적 작은 사물의 모델링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적은 예산으로 카메라를 통해 사진 데이터를 취득하여 3D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접근성이 좋고 고도의 정밀함을 요구하지 않는 다양한 분야에 두루 활용되고 있다.포토그래메트리 기반 3D 모델 제작 방식은 대상물 주변의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을 촬영하여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3차원 데이터를 수집하여 3D 모델 데이터를 제작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방식의 3D 모델링 프로세스를 통해 제작하는 과정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3D 모델 데이터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포토그래메트리 기술 기반의 3D 모델링 제작 방식은 다양한 영역으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위와 같은 이미지 기반 복원 방법은 영상처리 기술과 딥러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확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확장세는 글로벌 기업들의 복원 프로그램 출시로 이어지고 있으며 우수한 결과물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해결하지 못하는 몇 가지 기술적인 난제들이 있다. 예를 들어, 투명하거나 반사가 심한 객체의 복원이나 빛의 RGB 삼원색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부족한 단순한 표면에 대한 이미지 기반의 3차원 객체 복원은 만족할만한 결과 값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 건축물 외관이나 내부 구조물의 표면이 단순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3차원 복원이 어렵다는 점에 근거하여, MVS(Multi-View Stereo)를 기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혼합한 하이브리형의 알고리즘을 통해 매끄럽고 균일한 평면 표면을 3차원 객체로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우선 사실적인 3차원 객체의 이미지 설명을 위한 충분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평면 피팅(Plane Fitting) 방법을 사용하여 픽셀의 깊이 값에 의해 생성된 밀도 포인트를 세분화하여 표면과 검출된 평면의 정렬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본 실험은 크게 3가지 단계에 걸쳐 진행됐다. 첫째, MVS 기반 3차원 복원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포인트 중 평면을 삭제하고, 삭제된 포인트를 대신해 조밀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위치를 변경했다. 마지막으로 포인트 법선의 방향을 수정하여 균일한 평면을 가진 삼각 형태의 3차원 메시를 도출한 뒤 C2M(포인트 클라우드 대 메시의 거리) 알고리즘에 기초한 유사성의 정량적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AKAZE(Accelerated-KAZE) 이미지 추출 알고리즘의 혼합 방법은 매우 견고한 3차원 객체를 복원할 수 있고, 작은 샘플로도 복원이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기반 접근 방식을 통해 검출된 절대 평면에 투영할 3D 포인트를 적용하여 빈틈없는 Poisson 방정식으로 표면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실험결과의 검증을 위한 비교평가(C2M)에서도 제안된 방법이 3차원 객체 복원 결과의 우수성과 부드러움을 상당히 유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 진행된 연구방법을 선행 연구된 다른 피팅 방법들과 결합한다면 균일한 표면의 3차원 객체 복원의 범위가 더욱 확장되어 건축물 외관이나 내부 구조물의 복원을 위한 기초 모델로써의 역할을 더욱더 강화할 수 있다. 추가하여, 향후 3차원 객체의 표면 복원 방법과 포토그래메트리 연구 분야의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