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통신언어에 나타난 준말의 유형 및 언어학적 특징 연구

        임유리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A new language is born following a new trend of the society, while some of the unproductive languages ignored by the public disappear from the society. In the present Information Era, we are constantly surrounded by various kinds of network devices. Especially, the Internet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media that symbolize the network in our current society. People uses the Internet in everyday life, e.g., in business, shopping, social networking, ticketing, etc. Due to the advanced technology that enables people to do almost anything in their routine life on the Internet, the Internet has become universal at a dramatic speed.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exceeded 35 million and continues to increase. As the conversation using the network became more frequent and natural, new language exclusively used on the Internet has appeared, i.e., the Internet language. The Internet language refers to every language used on the Internet. Any Internet user can use this common language, and moreover, anyone can create new Internet language. Nevertheless, most of the Internet language are created and used by teenagers. Since it is not commonly used or fully understood by the older generation, it is not productive. In the current state of the Internet language usage, derivations in form and writings that completely ignor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are frequently observed.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the abbreviations used in the Internet language and their linguistic properties, mainly focusing on their negative effec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abbreviationsin particular, and hence the forms ofInternet languages other than abbreviations are not considered. The types of abbreviation used in the Internet language can be examin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standard: phonological, morphological, syntactic, and lexical properties. As for the phonological matters that concern the phoneme and syllable, drop and omission of the phoneme, abbreviation, andusage of initials are most frequently observed. However, it is unlikely to find a certain rule in the Internet language since they are randomly created and used by the users. As for morphological properties, the use of an abbreviation in form and new compound words are most common. Especially, the new compound words usually span the derivatives created from a combination of prefix and suffix.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and the affix used in daily life is that the former only play a role as a marginal affix without derivation. Among the syntactic properties, usage of initials and omission of particles and components are commonly observed. The initials used in the Internet language are composed in a way similar to those used in daily life, by collecting only the meaningful syllables after excluding unnecessary vocabularies focusing more on the meanings of the words than on the their forms. As for the particles, nominative particle, adverbial particle, and objective particle arecommonly dropped, while subject, predicate, adverbial phrase and independent components are frequently omitted. As for lexical properties, deviations in form, argot, slang, and word coinage, which are commonly observed in the Internet language, are examined.

      • 드라마 속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연구

        임유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드라마와 영화 등 영상매체 속 PPL PPL이라는 용어는 제품 간접 광고(製品間接廣告, 영어: product placement, PPL)의 대표적인 형태로서, 좁은 의미에서의 PPL은 주로 방송 프로그램 속의 소품으로 등장하는 상품을 말한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의 PPL은 협찬을 제외한 대부분의 간접광고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의 PPL은 브랜드 이름이 보이는 상품뿐만 아니라, 협찬업체의 이미지나 명칭, 특정장소 등을 노출시켜 무의식중에 관객들에게 홍보하는 일종의 광고마케팅 전략을 일컫는다. 이 때 상표가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가 광고를 직접적으로 한다는 느낌 없이 TV와 영화 등의 매체의 맥락 속에 녹아 있도록 하는 것이 PPL이다. [위키백과] 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를 증진시키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PPL이란 ‘제품배치(Product Placement)’라고 하는데, 이는 브랜드를 가진 회사가 어떠한 대가를 지불하고 영화 속에 자사의 제품이나 브랜드를 노출시키는 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Clark, 1991). 초기의 PPL은 영화제작사의 소품담당자들이 영화에 등장할 소품들을 배치하는 업무를 이르는 말이었다. 영화 속에 등장한 특정 제품에 대해 관람객들이 관심을 가지자 해당 브랜드의 제품 매출이 급성장하면서 광고 커뮤니케이션으로서 PPL의 가능성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해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PPL의 정의 및 유형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해 드라마 속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드라마 속 PPL을 통한 방송 광고 산업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드라마 속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PPL은 일방적인 방향성을 가진 광고가 아닌, 드라마에 출연하는 등장인물들에 의해 자연스러운 브랜드와 제품 노출로 인해 매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에게 거부감이 없이 다가갈 수 있다. 둘째, 신뢰도와 인지도 지수가 높다. 상업적 목적을 가진 광고 속의 브랜드나 제품보다 드라마나 영화, TV프로그램 등 여러 가지 매체를 통해 노출되는 제품이 상황에 맞게 실제 사용법을 보여주면서 신뢰도와 그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질 수 있다. 셋째, 여러 가지 매체와의 연결이 용이하다. 영화나 드라마 속에 등장한 브랜드나 제품들에 대한 장면으로 또 다른 광고 속의 광고를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드라마가 홍보되면서 이를 통한 여러 가지 매체들과의 연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손진기,『PPL의 사용형태와 광고형태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의식에 관한 연구』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논문 p.32,2002 이처럼 드라마 속 PPL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PPL의 정의대로 드라마에 알맞은 제품과 브랜드가 자연스럽고 적절하게 배치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정의를 알면서도 광고주들의 무리한 요구로 인해 드라마의 본질이 변질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서로 윈윈(Win-Win)하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뿐이었다. PPL은 드라마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시청자들이 드라마를 보며 맥이 끊이지 않고 제품에 관심을 가게 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를 친숙함으로 느낄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문화를 조사하고 공통분야를 찾는 것이 중요했다. 본 연구에 있어 한계점은 현재 방송사와 광고주의 거래형태가 공개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아 PPL의 효과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매출에 대한 자료가 매우 미비하였다. 언론에 보도된 자료들을 토대로 PPL의 효과에 대한 부분을 어느 정도 입증할 수 있었지만 그동안 PPL이라는 개념으로 대금이 지급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정확한 PPL의 시장규모를 측정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더욱 발전할 시대에 맞는 새로운 광고기법을 개발해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PPL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한류로 문화를 수출할 수 있는 혁신적인 전략방법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PPL은 화면 속에 자연스럽게 상품을 배치하는 광고수단으로 작용하였다. 이로 인해 시청자들이 화면 속 배치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나치게 노골적인 PPL로 인해 드라마의 흐름을 방해하고 상업적인 측면을 강조하다보니 부정적인 시각을 가진 시청자들이 생겨났다. 이로써 PPL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한 편의 드라마에서 등장하는 PPL이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로 뻗어나가 경제적인 성장에 이르는 파급효과를 알아보고 조금 더 안정적인 PPL의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임유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creativ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88 teachers in 77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Gyeonggi – do and Seoul were surveyed. In order to measure the creativ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Chung, Na Young (2013) was employe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were measured with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Yeon – Soo (201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reativ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ha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Creativ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also predicte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care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reative institutional competences including encouraging diverse perspectives, ideas and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long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ors should be critical.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77곳에 재직 중인 388명의 유치원 교사,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수업역량에 대해 설문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은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을 예측하는가?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정나영(2013)이 제작한 설문지를 연구 대상이 영유아 교사인 것을 고려하여 문항의 내용 중 ‘유아’라는 표현을 ‘영유아’로, ‘수업’이라는 표현을 ‘수업(활동)’으로 수정하였다. 수업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김연수(2017)가 개발한 설문지를 연구 대상이 영유아 교사인 것을 고려하여 문항의 내용 중 ‘교과’이라는 표현을 ‘영역’으로 , ‘수업’이라는 표현을 ‘수업(활동)’으로 수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하위요인별 Cronbach의 alpha 값을 산출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수업역량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을 때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은 평균 4.12(SD=.30), 수업역량은 평균 4.12(SD=.48)로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과 관련이 있는 교사 일반적 특성은 기관유형, 설립유형이었다. 어린이집에 근무하거나 사립·민간의 기관에 종사하는 교사들에 비하여, 유치원이나 공립·법인·직장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수업역량이 더 높았다. 영유아 교사의 학력, 경력도 수업역량과 관련성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을 높게 인식할수록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은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과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교사의 수업역량을 높여 영유아에게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다양한 관점이나 시각, 자유로운 교수활동 등을 격려하며 원장과 교사의 교환관계가 질적으로 높은 창의적인 기관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In vitro 공배양을 이용해 신경세포가 T 림프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유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랫동안 뇌는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기관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과 함께 뇌에 많은 종류의 면역세포가 상주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뇌질환 발병 후에는 뇌에 면역세포의 분포도가 상당히 많이 변화됨이 관찰되었다. 특히나 T 세포는 신경질환에 많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뇌 안에 T 세포의 수가 상당히 적어 뇌세포가 T 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신경세포 또는 성상세포와 림프구를 공배양하는 in vitro 시스템을 확립하였고, 그 시스템을 이용해 신경세포 또는 성상세포가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우스 태아 뇌 신경세포를 비장과 림프절에서 분리한 림프구와 공배양한 결과, 신경세포가 CD44+CD62L- T 세포의 분포를 증가시키는 반면, 사이토카인의 IL-2, IL-4, IL-6, IL-13, IL-17A, IFN-γ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CD62L, IL-4, IL-6, IL-13, IL-17A, IFN-γ의 mRNA 발현도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즉, 신경세포가 T 세포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신경세포가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이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전달물질인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 노르에피네프린(노르아드레날린), 아세틸콜린 등을 림프구에 처리한 결과,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경우 공통적으로 IFN-γ의 발현을 억제시켰고, 신경전달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작용제인, terbutaline을 림프구에 처리했을 때도 IFN-γ의 발현 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차단제인 propranolol과 nadolol을 공배양에 처리한 경우, 신경세포에 의해 감소된 사이토카인의 발현이 회복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아마도 신경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는 일부 신경전달물질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나 β-아드레날린 수용체의 관여 여부는 좀 더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세포가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이 세포간의 접촉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에서 발현되는 CD40를 anti-CD40 항체로 억제시킨 후 림프구와 배양한 결과 anti-CD40를 처리한 신경세포에 의해 증가된 CD44+CD62L- T 세포의 분포를 약하게나마 감소시켰고, IL-17과 IFN-γ의 발현을 일부 회복시켰다. 그러나 anti-CD40가 처리된 신경세포의 경우 일부 세포사멸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여 T 세포의 CD40L와 신경세포의 CD40 결합은 림프구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갓 태어난 마우스의 뇌에서 성상세포를 분리해 림프구와 공배양하여 성상세포가 림프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경세포와 달리 성상세포경우는 T 세포를 활성화 시키지 않는 조건에서도 CD44+CD62L+ T 세포의 분포를 증가시키고 IL-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등 성상세포 자체가 림프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이 관찰되었다. T 세포를 활성화시킨 경우도 신경세포와 비슷하게 CD44+CD62L- T 세포의 분포를 증가시켰고, 신경세포와는 달리 IL-2와 IL-6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즉, 성상세포는 신경세포와 달리 naive T 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적으로, 뇌세포의 종류에 따라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신경전달물질이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들도 T 세포의 활성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에서 면역세포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제공됨과 동시에 뇌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을 극복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cently a large variety of immune cells have been found in brain of steady-state mice and the portions of immune cells were dramatically changed after brain inflammation. Especially, T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neuroinflammation. However, because of the limited T cell numbers in brain it is difficult to study T cell activation in vivo. Therefore, I established in vitro co-culture system between lymphocytes and brain cells (neurons or astrocytes) and analyzed the phenotype of T cells and levels of cytokine expression. Embryonal cortex neurons were co-cultured with lymphocytes from spleen and lymph node. For the activation of T cells, lymphocytes were activated by anti-CD3/CD28 antibodies. In the presence of neurons, the portion of effector CD44+CD62L- T cells were increased but cytokine levels (IL-2, IL-4, IL-6, IL-13, IL-17, IFN-γ) in culture media were decreased. Using qRT-PCR, I confirmed that neuron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CD62L (L-selectin) and cytokine expression (IL-4, IL-6, IL-13, IL-17A, IFN-γ). Since neurotransmitter secreted by neurons can modulate the activation of T cells, neurotransmitters (epinephrine, nor-epinephrine, acetylcholine) were treated in lymphocytes. Treatment of neurotransmitter leaded the modulation of cytokine levels.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FN-γ, whereas acetylcholine induced the level of IFN-γ. In addition, an agonist of β-adrenergic receptor terbutalin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IFN-γ. However, antagonists of β-adrenergic receptor propranolol and nadolol could not restore the cytokine expression. Probably neurotransmitter might be involved in the neuron-mediated cytokine inhibition. Treatment of anti-CD40 antibodies slightly restored the neuron-mediated phenotype of T cells and cytokine productions. However, neuronal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by anti-CD40. Probably, lymphocytes-mediated neuronal cell death might be induced by CD40-CD40L interaction. Lastly, astrocytes isolated from new born mouse brain were co-cultured with lymphocytes. In contrast to neurons, astrocytes could activate T cells without anti-CD3/CD28 stimulation. The CD44+CD62L+ T cells and IL-6 expression were increased by astrocytes. Under stimulation of anti-CD3/CD28, the percentage of CD44+CD62L- T cells tend to be increased like neurons. Expression levels of IL-2 and IL-6 were also increased whereas IL-4, IL-13, IL-17A and IFN-γ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culture media. Probably, unlike neurons astrocytes could induce the naive T cell activation.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eurons induced effector T cells while inhibiting cytokine expression. Astrocytes can activate T cells and increased IL-6 expression without TCR stimulation. It suggested that neurons and astrocytes are differently regulate T cell activ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t effects of neurotransmitters and their receptors on T cell activation. These results may provide an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brain cells on T cell activation when immune cells are invade into the brain. Furthermore, these results might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s of neuronal inflammation.

      • Henri Duparc의 Mélodie 반주 연구 : 「Soupir」·「Extase」·「Le Manoir de Rosemonde」·「Phidylé」를 중심으로

        임유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19세기 후반 프랑스 예술가곡인 멜로디(Mélodie)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대표 작곡가 앙리 뒤파르크(Henri Duparc, 1848-1933)는 동시대 작곡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품 수가 많지 않다. 그러나 뒤파르크는 동시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받은 작곡기법을 자신만의 음악적인 어법으로 흡수하여 19세기 고답파와 상징주의 시를 사용한 독창성 있는 멜로디를 작곡하여 프랑스의 예술가곡형식을 구축하였다. 적은 수의 작품이지만 뒤파르크의 16개의 독창 멜로디는 시에 담긴 언어의 의미를 균형 있는 음악적 표현으로 승화시킨 예술적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낭만주의에서 인상주의와 신고전주의로 넘어가는 후기 낭만주의의 과도기적 역할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뒤파르크의 4개의 작품을 통해 프랑스 예술가곡에서 뒤파르크의 입지적 위치와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뒤파르크의 생애와 작품 세계, 가곡 특징을 알아보고 「Soupir(한숨)」․「Extase(황홀)」․「Le Manoir de Rosemonde(로즈몽드의 장원)」․「Phidylé(피딜레)」의 시의 해석, 화성, 음악적 표현기법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뒤파르크는 시어의 의미보다 시의 분위기를 위한 음향적 표현을 주로 사용하였다. 꾸밈음, 당김음, 전타음 등의 리듬과 분산화음을 주로 사용하였고, 이명동음에 의한 전조와 해결하지 않은 연속적인 부속화음의 사용, 변성화음과 증6화음, 감7화음을 사용한 후기 낭만주의 양식이 지배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주가 수동적이고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시어의 섬세한 분위기를 표현하고 풍부한 음향으로 관현악적 색채를 연출하는 중요한 음악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우리나라 청소년의 체중에 대한 인식, 체질량 지수와 우울감과의 관련성

        임유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ed mood, body mass index(BMI), and body weight perception(BWP) as mediators in this study, as they relate to the gender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 We analyzed data based on the 2013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at was conducted with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36,655 boys and 35,780 girls. After adjusting the covariates, we us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 Low BMI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in boys before adjusting BWP (OR 1.097, 95% CI 1.025-1.175). Boys who perceive themselves as underweigh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OR 1.149, 95% CI 1.065-1.239). In girls, not only low BMI (OR 0.868, 95% CI 0.809-0.930) but also high BMI (OR 0.761, 95% CI 0.698-0.829)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before adjusting BWP. Girls who perceived themselves either as underweight (OR 1.083, 95% CI 1.002-1.171), or as overweight (OR 1.069, 95% CI 1.009-1.13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ed mood. There is no effect of BWP as mediators on BMI and depressed moo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BMI but also BWP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depressed mood in adolescence. We need to pay a lot of attention to thin and skinny adolescents as well as to obese adolescents, because all adolescents, both boys and girls, who perceive themselves to be underweight are at high risk for depression.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체질량 지수, 체중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우울감의 연관성과 체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체질량 지수와 우울감 사이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 2013년 제9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기반으로 전국 중고등학생을 대표하는 남자 청소년 36,655명. 여자 청소년 35,78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공변량을 통제한 후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주관적 체중인지, 체질량 지수, 우울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남자의 경우 저체중에서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OR 1.097, 95% CI 1.025-1.175) 스스로를 마른 편이라 인지할수록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OR 1.149, 95% CI 1.065-1.239). 여자의 경우 저체중(OR 0.868, 95% CI 0.809-0.930), 과체중(OR 0.761, 95% CI 0.698-0.829)에서 모두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더 낮았으나 스로를 마른 편(OR 1.083, 95% CI 1.002-1.171) 또는 살찐 편(OR 1.069, 95% CI 1.009-1.133)이라 인지할수록 우울감을 경험할 위험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체중에 대한 인식이 체질량 지수와 우울감에 미치는 매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체질량 지수뿐만 아니라 주관적 체중인지 또한 청소년의 우울감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스스로를 마른 것으로 인지하는 경우에도 우울감 위험도가 높으므로 비만 청소년 외에도 마르고 왜소한 청소년들의 정신건강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노인 암환자의 치료행태에 따른 생존율 분석

        임유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위암, 대장암, 폐암을 처음으로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16,379 명을 대상으로 치료 행태에 따른 사망 위험 요인과 생존율을 비교, 분 석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의 인적사항과 검사 결과, 진단명 및 치료에 대한 의료이용에 관해서는 2005년 12월1일 부터 2015년 12월31일까지 연세대학교 신촌 세브란스병원 의무기록 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암진단 병기나 사망 여부에 대해서는 2015년 12월 31일까지 암등록사업부에 보고가 되어있는 세브란스병원 종양등록사업 데이터를 우선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고, 노인 암환자의 치료 행태에 따른 생존율 비교를 위해서 콕스비례위험모형, 랜드마크 시점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9.4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암환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위암, 대장암, 폐암 모든 암군에서 사망 위험도가 증가 하였다. 암진단 Ⅰ기와 Ⅱ기 등 초기 암진단 에서 적극적인 치료 시행시 사망 위험도가 더 높게 나온 것으로 볼 때 고령 환자일수록 적극적인 치료 보다는 치료를 하지 않는 편이 낫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일 대학병원에 국한된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한점이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노인 암환자의 치료 시행 여부와 사망의 상관관계에 대해 여러 변수를 포함하여 분석을 시도한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방향은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들에게 수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치료 등 어떠한 치료방법이 환자의 생존율을 연장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치료방법에 따른 생존율 분석 및 예후인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동반상병이 암진행 병기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인 관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urvival rate and mortality risk of 16,379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and lung cancer for the first time. The medical records of the study subjects, test results,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used from December 1, 2005 to December 31, 2015, Yonsei University Shinchon Severance Hospital medical record data. For cancer diagnosis and death, the data on the Severance Hospital Oncology Registry, which has been reported to the Cancer Registry until December 31, 2015, was used as a priorit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hi - square test was used.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landmark time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mpare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behaviors of geriatric cancer pati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9.4 statistical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Elderly cancer patients increased the risk of death from gastric cancer, colorectal cancer, and lung cancer as age increased. In early cancer diagnoses, such as cancer diagnosis Ⅰ and Ⅱ, the risk of death was higher when the treatment was actively performed. Therefore, older patients should be treated better than active treatment. This study is limited to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are confined to only one university hospital. However,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ath and the treatment of elderly cancer patients. Further research should include comprehensive studies to determine which treatment modalities, such as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re most effective in prolonging patient survival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f age. In addition, the survival rate and prognostic factors should be studi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and i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whether the patient's accompanying disease affects cancer progression stage or survival rate.

      •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임유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각 변인들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일 것인가? 2.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할 것인가? 3. 사회적지지는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할 것인가? 3-1. 사회적지지 하위요인들 중 어떤 하위요인이 진로적응성을 더 잘 설명할것인가? 4.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할 것인가? 4-1.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요인들 중 어떤 하위요인이 진로적응성을 잘 설명할 것인가? 5.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할 것인가?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대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대학생의 실제적 자료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며, 예측변인과 잠재변인간의 관계를 타당하게 검증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는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가 높으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도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진로적응성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다섯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사회적지지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유의하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적응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적지지가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사회적지지를 제공할 때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함께 초점을 맞춰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find out relationship with each of the variables.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 First, do the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 a static correlation? Second, does the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oes the social sup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Which of the social support sub-factors better describes career adaptability? Fourth, do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Which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b-factors better describes career adaptability? Fifth, does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aningful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75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o measure social support,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Fourth,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meaningful effect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analysis were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and the prediction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dictors variable and the potential variable was valid. Seco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higher social support implies a direct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Thir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other words, higher social support implies a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well. 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Namely,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mplie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Fifth, social support partial mediating influenced career adaptability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Namely, social support implies a direct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an impact on career adaptability through partial media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is a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and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other words, when providing social suppor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focused.

      • 과업중심교수법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와 영어 음성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영어 학습자 3~4학년 중심으로

        임유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English becomes an essential tool used to sha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5) developed English curriculum that recommends leaner-centered teaching methods, task or activity based lessons, and interest-triggering lessons.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the objective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ask-based instructions (TBI)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spoken language skil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u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oes the TBI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second, does the TBI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istening skill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rd, does the TBI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eaking skill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study was conducted by targeting 3rd and 4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English programs at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as 60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3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30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performed with task-based lessons based on English textbook.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over a period of 8 weeks. The task-based modeling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pre-task, task cycle, and post-task of Willis and Skehan (1996). Task types were referenced of Pattison (1987) and Willis (1996)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first, in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mains of a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deal L2 self, attitude, self-confidence and interest. The post test results showed a lower level of amotivation than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In contrast, the post test results showed high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ideal L2 self, attitude, self-confidence and interest than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Through the task-oriented classes, those students who were not internally motivated showed an increasing interest as well as an improved confidence and attitude. Second, in terms of spoken English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wider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post listening evaluation 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listen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ontrol group learners mechanically repeated the audio files played by the teacher, while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rs practiced thinking and speaking with their classmates or through group activities, while they were performing tasks. These study results prove that the task-based instruc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not only on intelligence ability but also on the affective factors of the learners. This indicates that the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of learne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which kind of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s provide to their learners. This study provide several suggestions for a successful English class. First, the study has its own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effect of the task-based instruction, as it conducted a short-term experiment on 3rd and 4th grade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rograms at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refore, follow-up studies relating to task-based instruction need to be conducted by expanding the study population to a wider range of grades in various regions. Second, there was a limited time for a single teacher to develop tasks adequate to the different levels of learners. Therefore, English education program experts need to perform various in-depth studies on task-based instruction methods. It will be distributed for the in-service teachers in future to provide various integrated task-based instruction methods at the school education sites. 지금 영어는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공유하는 필수적 도구가 되고 있다. 교육부(2015)의 영어과 교육과정은 학습자 중심 수업, 과업이나 활동 중심 수업, 흥미 유발 중심의 수업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초등 영어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생활 영어를 사용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을 향상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과업중심교수법이 초등학생의 영어 학습동기와 영어 음성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중심교수법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과업중심교수법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과업중심교수법은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 대상은 본 연구자가 영어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두 곳의 방과 후 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3~4학년 영어 학습자이다. 참여 인원은 실험반과 통제반이 각각 30명으로 총 60명이며, 영어 교재에 근거하여 구안한 과업 수업을 바탕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은 주 2회에 걸쳐 8주간 16차시로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입증하기 위한 사전 동기 설문지와 영어 말하기·듣기 평가를 시행하였다. 실험 수업에 사용된 과업 수업 모형은 Willis와 Skehan(1996)의 과업 모형 절차를 참조하여 과업 전, 과업, 과업 후 세 단계로 구성하였다. 과업유형은 Pattison(1987)과 Willis(1996)의 과업 유형을 참조하여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과업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과업은 추론하기, 기억게임, 연결하기, 매칭하기, 정보차 활동, 나열하기, 질의응답, 조사하기, 의사소통, 문제해결, 역할놀이, 분류하기 등이었다. 수업을 종료한 후 두 집단 모두 사후 동기 설문과 영어 말하기·듣기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어 학습동기 변화는 과업중심수업 적용 후 실험반의 무동기, 내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학습 태도, 자신감, 흥미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무동기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낮아진 반면 내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학습 태도, 자신감, 흥미도는 사전에 비해 사후에 높아졌다. 과업중심수업을 통해 처음에는 내재적으로 동기화 되지 않은 학생들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흥미를 느끼고, 자신감과 수업 태도가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영어 음성언어능력의 경우 통제반에 비해 실험반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컸으며, 두 집단의 사후 듣기 검사에서 실험반과 통제반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실험반의 듣기 능력이 사전보다 사후에 더 높아졌으며, 특히 말하기 능력 평가에서 실험반의 사후 점수가 통제반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다. 이것은 통제반 학습자들이 교사가 들려주는 오디오를 단순히 기계적으로 따라 했던 반면, 실험반 학습자들은 과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짝이나 그룹 활동을 통해 생각하고 말하는 연습을 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과업중심교수법이 학습자의 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인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이는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어떤 교실 환경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동기와 의사소통 능력은 달라 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현장에 보다 효율적인 영어 수업을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방과 후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단기간의 연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 하였기에 과업중심교수법의 효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학년과 지역을 대상으로 과업중심교수법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동질성이 검증된 초등학교 방과 후 영어 학습자 두 집단만을 대상으로 실험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실험 집단과 과업의 난이도를 나누어 수준별 집단에 따른 과업중심수업의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한 교사가 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 과업을 개발하는데 시간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영어 교육 프로그램 전문가들이 과업중심교수법에 대해 다양하고 심도 깊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들을 위한 교육 지침서 등을 보급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양하고 통합적인 과업중심수업 지도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