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l/ in English Consonant Cluster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임예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실험을 통하여 한국인 화자가 /l/이 포함된 자음 결합이 있는 영어 단어를 발음하는 데 있어서 한국어 음운 현상이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한다. 총 7가지의 실험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며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을 영어 숙련도에 따라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뤄졌다. 또한 비교, 분석을 위하여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 그룹 또한 실험에 참가 하였다. 7개의 실험 별로 영어의 숙련도에 따라 /l/이 포함된 자음 결합이 있는 영어 단어를 발음 하는데 있어 한국어 음운현상이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한국인 화자들의 영어 숙련도에 따라 단계별로 /l/이 포함된 자음 결합을 영어 단어 속에서 바르게 발음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Korean phonology on the production of /l/ in the consonant clusters of English words. The phonological processes that were examined include l-nasalization, n-lateralization, t-lateralization in the /tl/ sequence and nasalization of (non-coronal) obstruent-liquid sequences. Seven produ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Korean learners were plac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proficiency. In addition, the production experiments contained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으로서의 세월호 참사 :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과 보웬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임예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후 트라우마 증상으로 고통 받는 생존자들과 유가족들이 정부의 트라우마 치료 서비스를 거부하는 현상과 전 국민이 참사를 목격함으로써 트라우마 증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현실의 원인을 알아보고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의 치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세월호 참사가 사회 구조의 모순으로 발생한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이며 사회적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와 치유를 위해서는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위해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트라우마와 세월호 참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적용하기 전 트라우마의 유지와 재발현의 핵심 요인이면서 사회 체계의 퇴보를 일으키는 ‘불안’을 6.25 한국전쟁과 IMF 경제 위기로 인한 트라우마와 만성 불안으로 제시하였고 이로 인해 한국 사회와 국민들의 기본불안 수준이 상승하면서 새로운 불안 사건과 그 트라우마에 취약할 수 없었음을 밝혔다.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의 적용을 통해 한국 사회의 모순된 구조와 관념이 세월호 참사를 발생시켰고,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공포 반응으로 과각성된 국민들의 트라우마가 재발현 되었을 뿐 아니라 국민들이 국가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린 트라우마의 증상이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웬의 가족체계 이론의 적용을 통해 대한민국은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정서적 과정을 주고받는 정서체계이며, 세월호 참사와 국민들의 트라우마가 대한민국이라는 사회 체계 안에서 구성원들의 정서적 과정을 통해 발생한 증상임을 밝혔다.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적용한 결과를 종합하여 사회적 트라우마의 구성요소를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불안으로 트라우마에 취약한 집단’, ‘사회 구조의 모순으로 발생하는 사건’, ‘사회와 가해자의 부정(否定)으로 강화되고 재연되는 외상’, ‘집단이 공유한 신념을 무너뜨리고 사회불안을 야기함’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의 방향성을 한국 사회 내의 ‘만성 불안’을 낮추는 것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을 충분히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의 구성요소는 허먼의 트라우마 회복 3단계에 따라 안전, 기억과 애도, 사회적 연결로 제시하였다. 피해자의 안전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피해자와 동맹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과 트라우마 사건과 피해자의 고통을 기억하고 인정하는 사회적 노력이 피해자의 기본신뢰를 회복하게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적 애도와 의례 행위를 통해 피해자가 사회 체계와 다시 연결되고 독립적이면서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이면서 사회 체계의 감시자로 회복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심리 상담 분야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트라우마의 사회적 관점을 제시하고 트라우마의 치료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국민들의 트라우마 치유 방향성과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인상주의와 상징주의를 바탕으로 한 음악과 창의·융합 교수-학습 방안 연구: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임예은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중심의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의 양성과 음악적 소양의 증진을 통한 학업의 즐거움을 경험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창의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폭넓은 음악적 지식을 쌓을 수 있도록 교과간의 연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근·현대 예술사조를 대표하는 인상주의와 상징주의에 관한 포괄적인 이해를 토대로 하여 다양한 학문 간의 상호·밀접성을 통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수업방법을 개발한다. 음악과 미술, 음악과 문학의 학문적 접목으로 학생들의 창의적이며 독창적인 사고를 이끌어 낸다. 이를 위해 학생 중심의 교육 방법인 협동학습모형을 활용하여 지도안을 작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지도안은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근·현대 예술사조를 대표하는 음악작품으로 제재곡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과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선택한다. 본 연구는 총 2차시로 구성되는 학습지도안을 중심으로 STAD 협동학습모형을 적용한다. 제 1차시 지도안은 인상주의 음악과 미술의 특징들을 알아보고 이해하여, 두 학문 간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고찰한다. 제재곡 드뷔시의 ‘달빛’의 감상을 토대로 악곡의 분위기와 느낌을 회화의 이미지에 투영시켜 다양한 이미지를 연상해보는 활동을 한다. 제 2차시 지도안에서는 제재곡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통해 인상주의 음악과 상징주의 문학의 연관성을 이해하여 학생들의 창의적인 사고를 유발시킨다. 음악이 주는 느낌과 분위기를 직접 글이나 시로 창작하는 활동을 통해 두 예술 간의 상호 융합적인 관계를 이해함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함으로서 보다 창의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사고를 이끌어 낸다. 본 연구는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사조 안에서 드뷔시의 ‘달빛’곡과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통해 근·현대음악에 대해 더 쉽게 접근하고 타 예술 및 관련 교과의 연계를 통해 융합적 사고와 창의성 계발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더불어 협동학습을 활용함으로서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능력과 공감과 소통능력을 향상시켜 학습효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주제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핵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음악, 창의·융합, 교수-학습 방안, 인상주의, 상징주의, STAD 협동학습 모형 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planand Creativity-Convergence of Music based on Impressionismand Symbolism - Centering the Grade 3 in Middle School -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s at experiencing the joy of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and enhancing musical literacy. It emphasizes that linking the curriculum to build a broad musical knowledge based on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mpressionism and Symbolism that represents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modern and contemporary art, we will develop creative and original teaching method through musical and clos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discipline. The integration of music-art, music-literature will lead students’ creativity and their original creative thinking. For this purpose, cooperative learning model, which is a student-centered education method, is used to create a guidance plan. The guidance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is targeted at grade 3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 song of Debussy’s suite bergamsque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Prelude to the Afternoon of a Faun) and “Clair de Lune”(Moonlight) is selected which is a musical work that represents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This study applies the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cusing on the guidance plan consisting of total of two chapters. The first chapter of guidance plan will exam and understand the feature of impressionist art and music, and exam commonal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discipline. Based on the appreciation of Debussy’s “Clair de Lune” (Moonlight), it suggests activities to remind various image by projecting the mood and feeling of music to the image of painting. In the second chapter, students will learn the connection between Impressionism and Symbolism literature through a song of Debussy’s “Prelude a l`apres-midi d`un faune”(Prelude to the Afternoon of a Faun), which induce students’ creative thinking. Through activity of creating the feelings and atmosphere of music directly by writing and poetr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utual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two arts and at the same time,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hereby leading to more creative and future-oriented thinking.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Debussy's “Clair de Lune” and "Prelude to the Afternoon of a Faun” in Impressionism and Symbolism make easier for students to approach modern and temporary music. And, enhance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 linkage of other arts and related subjects. In addition, by using cooperative learning, it is aimed to improve problem-solving, empath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collaboration, and to help learning effect to view and understand various phenomena from various point of views. Kewords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in 2015, Core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Music, Creativity-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lan, Impressionism, Symbolism,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 (A) qualitative analysis of pre-departure education in an international voluntary service program in South Korea : focusing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임예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2년, 유엔 사무국장은 세계화에 맞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세계시민교육을 제시하며 이를 전 세계가 달성해야 할 주요 교육목표로 채택했다. 이후 대학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을 주요 교육목표로 채택하고 관련 된 수업과 전공을 개설하며 교환학생프로그램을 활성화 하는 등 세계시민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학교 해외봉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해외봉사 경험이 세계시민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실증적인 연구결과와 함께 세계시민성을 함양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학자와 교육자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해외봉사에서 사용되는 세계시민이라는 용어가 철학적 근거와 실질적인 의미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며, 각 용어의 의미가 서로 상반되는 경우가 있어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해외봉사활동이 한국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만큼, 해외봉사는 ‘봉사의 탈을 쓴 여행’ 또는 ‘스펙을 쌓기 위한 수단’으로 남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해외봉사가 단순히 세계시민을 양성하기보다 개발도상국에서 현지 사람들을 열악한 타자로 간주하며 자만적인 인식과 태도를 기르게 되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해외봉사활동이 신(新)식민적이고 가부장적이며 문화적 제국주의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최소화하며 세계화에 대응하는 세계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봉사활동에서 사전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보다 더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봉사를 통한 세계시민교육은 주로 체험학습을 기반으로 이해됨에 따라 사전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해외봉사에서 진행하는 사전교육이 학생들의 활동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참가자들의 세계시민을 양성하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X 대학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18년의 사전교육 자료를 분석하고 총 16명의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분석틀은 기존 세계시민교육 유형에 대한 선행연구와 관련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한 개념틀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외봉사활동에서 ‘봉사’의 측면이 강조됨에 따라, 사전교육은 인도주의적 관점의 세계시민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지식, 기술, 행동의 3가지 요소 중 지식적인 측면에 많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간에 많은 지식을 전달해야하는 특성 때문에 사전교육은 주로 지식전달 방식에 가장 적합한 강의식 교육방법을 채택하고 있었다. 지식위주의 지식전달방식은 해외봉사를 여러 번 다녀온 학생이나 해외봉사활동에 대한 관심이 많고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체험학습을 이끄는 발판으로 작용하지만 처음 참가하거나 스펙 또는 여행의 목적으로 해외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에게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생들의 해외봉사 경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또래집단과의 상호작용임이 밝혀졌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교 단기 해외봉사활동의 한계를 최소화하고 세계시민을 양성 할 수 있는 잠재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사전교육이 어떠한 방식으로 설계되고 실행되어야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 분석을 통해 해외봉사활동에서 어떠한 내용으로 사전교육이 진행되고 있고 무엇이 부족한지 현황파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전교육의 의미를 밝히는데 기여하며, 본 연구결과는 여러 후속 연구의 기반으로써 이론적 발전을 촉발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Under the aim of nurturing responsible and active global citizens to meet the demands of globalization, the United Nations has present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as a core agenda in the education sector. South Korea understands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impact of GCED and has taken multiple approaches towards integrating it into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including utilizing an international voluntary service (IVS). This international voluntary service programs provide students with experiential learning and is thus perceiv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in students. However, the secure promise of global citizenship through volunteering abroad raises some concerns. Rather than fostering global citizenry, it can reinforce students' stereotypes about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or reinforce paternalistic attitudes and cultural imperialism towards the local people they try to 'help.' Further, it has a potential danger in perpetuating inequitable power relationships. Moreover, global citizenship lacks a clear definition in its delivery due to its multiple aspects of its definition. This results in different program curricula and orientations, thereby, promoting different, sometimes contradicting, global citizenship. Thus, without a clear definition or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IVS programs cannot effectively strategize to promote global citizenship it aims to achieve. The entire process of IVS – pre-departure, placement, and post-completion – needs to be carefully designed, planned, and executed to promote the kind of global citizenship that an IVS program strives to achieve and provide students with positive, beneficial experiences during their fieldwork.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how IVS programs' pre-departure education facilitates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students in the field, especially in promoting global citizenship. Under this objectiv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re-departure education of IVS programs from X University in South Korea. The data for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two program coordinators, four education specialists, and ten student participants; and teaching materials of pre-departure education from 2017 to 2018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rist, GCED implemented in pre-departure education i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umanistic approach as 'service' is greatly emphasized in IVS programs. Second, the current execution of GCED is heavily knowledge-based among three components of GCED, which are knowledge, sensitivity, and behavior. Consequently, GCED is delivered mainly through lectures. The finding also suggests that participants' interaction between peers, rather than education in the lecture form, is a critical element in triggering potential transformative experience at the dispatched fiel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fi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pre-departure education that promotes experiential learning and allows students to become more active and critical global citizens.

      • CMOS 센서와 Cortex‐M 시리즈를 이용한 범용 영상처리 모듈 개발

        임예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ARM 사의 Cortex-M 계열의 칩을 사용한 범용 CMOS 영상처리 모듈을 제안한다. 현재 사회가 개인화, 맞춤화 되어 가고 있음에 따라 개인의 개성을 살리고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넣을 수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맞춤 서비스가 화두가 되고 있다. 외부 영상을 입력 받아서 주변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 해 주는 물체 인식이나 증강 현실들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영상처리 구현을 위한 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안된 모듈은 기존의 CMOS 카메라나 영상처리 전용 IC에서 알고리즘을 지원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C언어와 간단한 MCU제어 경험만 있으면 원하는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쉽게 본인이 원하는 여러 영상처리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를 위해 Coretex-M 계열의 칩과 CMOS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였으며, 칩입자 감시와 같이 1장 이상의 영상이 필요한 알고리즘이나 입력영상과 결과영상 비교 등을 위해 외부 메모리 모듈을 추가하였다. 또한 UART나 이더넷, USB통신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범용 CMOS 카메라 설계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 대해 하드웨어적인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영상처리 알고리즘들의 속도 개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this thesis, I propose a general-purpose image processing module using CMOS image sensor and the Cortex-M series of chips manufactured by ARM Co. In keeping with the current societal trends of personalization and customization, tailor-made services such as smart phones, which allows the user to install applications of one's choice, are on the rise. Examples include Object Recognition, which takes input data and displays on the screen, and Augmented Reality. Such trends call for the need to develop the module for various image processing. The proposed module enables a user to run desired image processing functions even if he does not own an existing CMOS camera or image-processing IC which supports the algorithm, so long as he has experience with C language and MCU control. In the proposed module, I used the Cortex-M series of chip and CMOS image sensor, and for algorithms which require more than one display, such as intruder observation, I added an external memory module for comparison between input image and output image. In addition, the design allows for connection with computers via UART, Ethernet and USB. The development result of this thesis can be applied to a general-purpose CMOS camera design. It may also be used to improve the speed of existing image processing algorithm because of hardware treatment.

      • 초등수학영재들의 오목사각형 정의 구성 분석

        임예은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이 도형의 성질 탐색을 통하여 도형의 정의를 스스로 구성하는 활동을 할 때, 정의구성과정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하고, 모둠토론 및 전체토론을 통한 정의구성활동의 지도 사례를 통해 정의구성 지도의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과제는 크게 기본활동과 심화활동으로 이루어졌다. 기본 활동은 교사의 개입 없이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오목사각형 정의 구성 활동지를 해결한다. 심화활동에서는 오목사각형과 볼록사각형을 비교하여 제시하고 두 도형을 구분하는 성질을 찾아 오목사각형과 볼록사각형을 각각 정의하도록 하며, 교사의 발문 및 모둠별 토론, 전체토론이 주를 이룬다. 본 연구는 관찰자의 기록, 활동지 자료, 개별면담자료, 수업녹화자료 등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및 수업내용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은 정의의 완전성, 수학적 정의수준,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이루어졌으며, 심화활동 수업내용은 교사 발문에 대한 학생의 반응, 학생들의 토론 및 상호평가와 이를 통한 정의구성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활동 결과, 오목사각형의 정의의 완전성을 충족시킨 학생보다 불완전한 정의를 구성한 학생들이 더 많았다. 정의의 완전성을 충족시킨 학생들은 각과 대각선을 이용하여 정의를 구성하였으며 변의 연장선이나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한 선분을 이용하여 정의한 학생은 없었다. 정의의 수준은 전(前)수학적 수준인 0수준이 가장 많고, 그 다음 시각적 특성과 성질이 동시에 사용되어 정의되는 1a수준이 많았다. 성질과 관계만으로 정의하는 단계인 1b수준의 학생들은 가장 적었다. 오목사각형의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 분석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학적 정의를 위한 필수 조건인 무모순성을 충족시켰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명확성과 최소성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하지만 최소성의 조건 인식 후 학생들은 많은 학생들이 최소성을 정의에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정의를 수정하면서 정의 수준이 변화하는 학생도 있었다. 오목사각형 정의구성 심화활동에서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은 모둠별 토론을 통해 정의를 평가함에 있어서 정의에 대한 도형을 그릴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 비예의 포함여부, 동의어 사용의 적절성, 정의의 명확성 등 몇 가지 분석기준을 세울 수 있다. 둘째, 교사의 적절한 발문과 힌트가 제공된다면, 영재학생들은 각, 대각선, 변의 연장선, 임의의 두 점을 연결한 선분을 이용하여 오목사각형을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다. 셋째, 오목사각형 정의구성 지도 및 모둠토론을 통해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의 정의의 완전성과 정의 수준,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가시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영재학생들이 오목사각형에 대한 정의구성활동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가지고 자신의 정의를 평가하고 정의를 수정해나가는 과정을 거쳐 정의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학생들 개별적으로 오목사각형의 수학적 성질을 찾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으므로 정의구성활동에서 교사는 적절한 발문과 힌트를 제공하고, 모둠별 토론을 통해 학생들이 활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자신이 구성한 정의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수정할 수 있으며, 정의 수준뿐만 아니라 정의의 완전성과 수학적 정의에 대한 인식을 발전시킬 수 있다.

      • 단안 카메라를 활용한 실시간 3차원 선박 탐지

        임예은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interest in Autonomous Ships, leading to active research in the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cross various institutions. Among these, studies related to the recognition of obstacles and other vessels for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have consistently garnered attention. In the realm of unmanned ships' perception technologies, object dete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identifying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obstacles and other vessels. Unlike conventional 2D object detection, which predicts only two-dimensional information of an object, 3D object detection can predict three-dimensional aspects such as the size and direction of an object. Despite these advantages, research in 3D object detection technology for unmanned ships' perception has been relatively underdeveloped. Looking at previous research, methodologies primarily explored the use of various sensors for detection. Such an approach can lead to complexity in sensor integration and data processing.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for 3D ship detection using only monocular camera data. To reduce the prediction errors of the monocular camera, AIS data was utilized as initial labeling data for the location of ships. Additionally, to improve the accuracy of relative distance inference, vertical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horizon and ships, as well as horizontal distance information from the center point of the image to the ship, considering camera distortion, were added as input data. Data was acquired by installing sensors at the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gathering data on ships entering and leaving the Port of Busan. The 3D object detection learning was conducted using a keypoint detection-based network. The proposed method in this study was compared with results trained on the existing KITTI dataset, demonstrating higher prediction accuracy. keywords : 3D Object detection, Monocular camera, Keypoint detection, Pixel distanc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s of (Un)attended This and These in US and Korean English Newspapers

        임예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의 주요한 목적은 미국 신문과 한국 영자 신문에 등장하는 지시대명사와 지시형용사 this와 these의 용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담화 내에서 이러한 지시사를 이용하여 어떻게 응집성을 만드는 지를 분석하였다. 두 개의 코퍼스를 구축하였고, 각각 뉴욕타임즈와 코리아헤럴드/코리아타임즈의 기사로 구성하였다. 기사는 2018년도에 게재된 정치, 국가, 국제 분야에서 추출하였는데, 이러한 분야의 기사는 가장 객관적인 신문보도를 담고 있다. 뉴욕타임즈 코퍼스는 190,848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코리아헤럴드/코리아타임즈 코퍼스는 165,120 단어로 이루어져 있다. 지시사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지시대명사는 뒤따라 나오는 동사에 따라 "연결동사"와 "비연결동사"로 구분하였다. 반면에 지시형용사는 크게 "지시" ("단순 반복", "신문 기사", "동의어 반복")와 "추상" ("추상명사", "부사구", "기타")으로 분류하였다. 모호한 지칭을 피하기 위해 지시사 사용을 지양하라는 글쓰기 지침서의 언급에도 불구하고, 코퍼스는 저자들이 텍스트의 응집성을 유지하면서 지시사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미국과 한국 영자 신문 기자 모두 지시대명사와 지시형용사를 사용하였지만, 그것들의 분포는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지시사의 전체 빈도가 한국 영자 신문에서 더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와는 (Oh, 2012a) 달리, 한국인 저자가 지시대명사를 지시형용사보다 더 많이 사용한 반면, 미국 신문에서는 그레이 (Gray) 와 코르테즈 (Cortes)의 연구와 (2011) 비슷하게 지시형용사가 훨씬 더 많이 사용된 것이 발견되었다. 지시대명사는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 자리에 등장하였다. 미국과 한국 영자 신문 둘 다 상대적으로 주어 자리에 높은 분포를 보였지만, 한국 영자신문에서 더 압도적인 분포를 보였다. 지시대명사가 주어자리에 위치하였을 때, 그것은 “연결동사”나 “비연결동사”와 함께 나타났다. 두 신문 모두 “연결동사”가 더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이는 선행하는 담화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나 설명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미국 신문과 한국 영자 신문 모두 비연결동사의 분포가 적었으나,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come이었고, 한국 영자 신문에만 등장하였다. 이 단어는 대부분 시간 및 상황과 관련된 단어와 같이 사용되었다. 지시형용사의 경우는 응집성 있는 텍스트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뒤따라 나오는 명사를 분석하였다. 그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첫째, 미국 신문보다 한국 영자 신문에서 "동의어 반복"의 빈도가 더 높았다. 둘째, 한국 영자신문보다 미국 신문에서 "단순 반복"의 분포가 더 높았다. 셋째, 미국 신문에서만 신문 기사를 지칭하는 단어와 기타 다른 추상명사가 배타적으로 등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떻게 지시사가 응집성 장치로 사용되는 지를 보여주고, 이를 통해서 지시사의 사용을 피하라는 글쓰기 지침서를 준수하지 않고도 응집성 있는 담화를 만들어내는 것에 관한 이전 연구들을 (Swales, 2005; Atkas & Cortes, 2008; Gray, 2010; Oh, 2012a) 뒷받침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사용역 분석에 기여하였다.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Gray, 2011; Oh, 2012a) 학술 산문에 집중을 했기 때문에 신문 사용역을 분석하는 것이 유의미하고, 이로써 저자들이 신문 글쓰기에도 모호한 지칭을 하지 않고 지시사를 응집성 장치로서 사용한다는 추가적인 분석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본 논문은 법률 서류나 비즈니스 편지와 같은 다른 형식적인 사용역과 다른 종류의 지시사인 that과 those의 용례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암시한다.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uses of attended and unattended demonstratives this and these which appear in US and Korean English newspapers. It also examines how cohesion is made with the demonstratives in discourse. For the study, two corpora were constructed, one of which consists of the articles from The New York Times (NYT) and the other is comprised of those from The Korea Herald and The Korea Times (KH&KT). All the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fields of politics, national, and international in 2018, which represent objective news reportage the most. NYT contained 190,848 words whereas KH&KT had 165,120 words. In NYT, 75 attended uses and 14 unattended uses were found. In KH&KT, there were 44 attended uses and 94 unattended uses. In terms of categorization, unattended demonstratives were divided into two with respect to the verbs following them: “copular” and “non-copular”. On the other hand, attended demonstratives were categorized largely into “deictic” – “simple repetition”, “newspaper article”, and “synonymous repetition” and “abstract” – “shell nouns”, “adverbials”, and “others”. Despite the warning of style guide books that writers need to avoid using demonstratives in order not to generate vague reference, the corpora showed that writers employed demonstratives by making cohesion in text. Both American and Korean journalists used attended and unattended demonstratives, but their distribution was different across NYT and KH&K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otal frequency of them was higher in KH&KT than in NYT. Attended uses were less distributed than unattended uses in KH&KT unlike previous research (Oh, 2012a) while attended demonstratives occurred much more often than unattended ones in NYT, similar to the study of Gray and Cortes (2011). Unattended demonstratives were adopted either as subject or object of a sentence. Not only NYT but also KH&KT had higher distribution in the position of subject, but KH&KT presented overwhelming uses in the subject position. When the demonstratives were subject-positioned, they occurred either with copular or non-copular verbs. KH&KT as well as NYT had similar distribution in the way that copular verbs were used more frequently, which serves to present extra information or explanation of the preceding discourse. There were three notable patterns used by Korean journalists to make texts cohesive: 1) the pattern “this + be + the first + noun”, 2) the use of shell nouns, and 3) the pattern “somebody said + this + copular verb + evaluative or interpretative words”. In both NYT and KH&KT, non-copular verbs appeared less frequently. The most frequent word was come in KH&KT, and it was mostly followed by time-related and situation-related words. When it comes to attended demonstratives, the nouns following them were examined because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cohesion in text. There were three remarkable points when the uses in NYT and KH&KT were compared: 1) higher frequency of “synonymous repetition in KH&KT than in NYT, 2) higher frequency of “simple repetition” in NYT than in KH&KT, and 3) exclusive distribution of “newspaper articles” and “others” in NY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how demonstratives work as cohesive devices and backed up the previous studies on cohesion in discourse (Swales, 2005; Atkas & Cortes, 2008; Gray, 2010; Oh, 2012a).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the actual uses of demonstratives in newspaper writing although writing manuals do not recommend using them. This showed how writers encapsulate preceding information with demonstratives without vagueness. This also buttresses the argument that “tacit sense of tradeoff between economy and clarity which only come with considerable writing experience” (Swales, 2005). Journalists have expertise in writing articles; therefore, they are aware of the function of demonstratives as cohesive devices which can refer to the propositions in prior text with no confusion. Moreover, the study contributed to register analyses. Since most of the relevant studies were concerned with academic prose or student essays, investigating the newspaper register was able to provide additional evidence that writers use demonstratives in texts.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other formal registers (i.e. legal documents and business letters) as well as other demonstratives (i.e. that and tho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