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監査報告書의 變遷에 관한 硏究 : 美國의 適正 監査意見을 中心으로

        임승빈 단국대학교 198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thought to be after 1880 that the Brittish-style close audit system was introduced to and applied in America. As a certified public accountant system has ever since been legislated in America, the American audit system began to make a rapid progress. Sinc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were much different in between America and England, the close audit did not, take root in America and it developed in the form of an independent trust nudit or a balanoe sheet audit. At the time ths expression of "In our opinion, we certify that …" was employed. Those days as tho study on accounting principles were not worked out, they were of the opinion that "We certify that" ,,, reveals the date of making out the financial statements, the current financial positiona, and the results of the operations of the (undertaking) year ending on that day. On ths one hand, at the beginning of 1917, the Americ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 made out a memorandum on the balance sheet audit and in 1918 revisad some part of it and made public the Approved Method for the Preparation for Balance sheet Statemont. Looking back the transition of the audit opinion, the auditors' reports for 1902 make clear that "The balance sheet referred to above certifies that the accompanying ledgers and accounts reveal clearly the finn's financial conditions and are worked out correctly. Audit's scale and opinion hayij buen separated since 1905. That is, an expression of "in our opion" hag been employed. The above-mentioned formation has been invariably employed from 1917 through 1929. It is noteworthy that, the auditor's reports for 1929 were nob confined as a past form of the balance sheet audit but they cover the audits on profit and loss accounts, on the side of a so-called financial statement audib. As stock investors suffered enormous loss due to the great panic Initiated in 1929, in America the Securities Law and the Securities Exchange Act were an-acted and a legal audit initiated. From that time on, an expression of "fairly present" has been employed in auditors' reports and another expression of "in conformity with accounting principles" has also been used. Henceforth the audit opinion of "fairly present" has been invariably pub into use. In 1968's a court trial on the "fairly present" opinion forced It to be reap art-dated and in 1975 the AICPA mapped out a revision on the "fairly present" opinion and held a public hearing on it. The contents are already shown on chapter 4. As to the results to come, though the revision itself may be liable to variation as time wears on, the; expression of "fairly present" can not be found in this revision. That will for sure make a great sense to reappreciate our nation's "fairly present" audit opinion which uses the American short-sentence-style fair audit opinion at the same time, as it is.

      • 프라이자흐 모델링을 이용한 단상 유도형 동기 전동기의 히스테리시스 해석

        임승빈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자기 포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립 구조를 갖고있는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해석을 위해 비선형 해석 루틴에 히스테리시스 현상을 고려한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히스테리시스 현상은 전동기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요소로서 정확한 해석과 설계를 위해서는 히스테리시스 현상에 대한 해석이 필요하다. 히스테리시스 해석 기법으로는 프라이자흐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해석 결과를 토대로 제안된 해석 기법이 자성체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정확하게 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이용해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계산하였다. 또한 단일 B-H곡선을 사용한 해석과 히스테리시스 영향을 고려한 해석시의 토크 출력 파형을 비교하여 히스테리시스 현상이 토크 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 으며 단상 유도형 동기전동기의 설계시 보다 정확하고 향상된 해석방법을 제안했다.

      • 자기등가회로법과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클로우-폴 모터의 효과적인 형상 최적화

        임승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형 정보화기기에서 위치결정용 모터로 사용되는 클로우-폴 모터의 클로우-폴 형상을 효과적으로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클로우-폴 모터의 자기회로 해석 시 축 방향으로 물리적 형상이 일정하지 않은 클로우-폴 형상에 따른 공극퍼미언스를 계산하기 위해 클로우-폴의 위치와 높이를 변수로 하는 푸리에 급수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유도된 공극퍼미언스를 이용한 자기회로 해석으로 클로우-폴 모터의 정특성 해석을 하였으며 Matlab Simulink와 연계하여 풀 인 및 풀 아웃 속도시의 정상상태 해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클로우-폴 모터의 보다 정확한 특성해석을 위해 3차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였으며 자기회로해석 및 측정결과와 비교하여 각 해석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클로우-폴 모터의 연속운전영역인 풀 아웃 속도 시 손실(동손)을 줄이기 위한 클로우-폴 모터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효과적인 최적화 수행을 위해 자기회로법과 다원 배치법을 사용하여 클로우-폴 모터의 설계변수들에 대한 주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선정된 설계변수인 클로우-폴 형상에 3차원 유한요소법과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근사최적설계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클로우-폴 형상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모델에 비해 최적화 모델에서 풀 아웃 속도 시 발생하는 손실(동손)이 약 15% 저감되었다. The Efffctive Shape Optimization of Claw-pole motor using Magnetic Equivalent Circuit Methodand 3 Dimension Finite Element Methodby SEYNG-BIN LIM under the superyision ofProffssor JU LEE, Ph. DDepartment of Elertriral EngineeringThe Graduate Srhool of Hanyang YniversityThis thesis presents the efrective shape optimization method of claw-pole motor which has been applied to positioning decision in small electric drvicessuch as digital camera, mobile phone and optical disk drive. Generally, an analysis of claw-pole motor is used to 3 dimension fuiteelement analysis (3D FEA) for stator with claw-pole. A 3D FEA has a fewproblems; diffculty of modeling and enormous computation time due to manyelements. In this research, analytical method is used to deriye modeling ofthe claw-pole motor in order to oyercome problem haying 3D FEA. Toderiye the modeling, a Fourier series representation of the air-gap permeanceconsidering claw-pole shape is established This analytical method and full factorial design are used to analysis characteristics of claw-pole motor and main efffct about design variablesafffcting motor's perfermance. Also, the approximate optimization based on aresponse surface method has been used to design the claw-pole motorefficiently. In the approximate optimization of the claw-pole motor to reduce copperloses at pull-out speed, the claw-pole shape in geometrical design parameterhas been adopted as design variable. The optimum design which minimizescopper losses could be obtained from this work.

      • NR마케팅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기법 및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모델

        임승빈 배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비즈니스 환경에서 성공을 하기위해서는 경쟁사에 비해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충성도 높은 고객이 필요하며, 경영자가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조금 더 많은 이익을 얻는 것과 비용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비즈니스 활동을 돕는 많은 시스템 중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데이터마이닝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기업은 데이터 조사그룹과 업종 전문가, 그리고 의사결정자로 구분되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의사결정과정이 복잡하다. 하지만 비즈니스의 최종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들은 보다 사용하기 쉬워지고 있으며, 데이터마이닝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속에서 비즈니스에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발굴해내는 과정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활용도를 위하여 데이터마이닝은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표준 모델이 필요 되고 있다. 또한 많은 경영자들은 자신들의 제품과 서비스 등을 제공받은 고객들이 자신의 제품에 대해서 만족하길 원하며, 그 고객을 통하여 다른 고객들을 만들어 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이러한 희망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근원적 마케팅 방법론 중 하나가 NR(network-relationship)마케팅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하여 고객을 관리한다는 기존의 개념은 IT환경의 발전으로 고객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고객과 소통하는 관점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의 활성화 방법 중 NR마케팅의 개념과 NR 마케팅 기업이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어떤 상품과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것인가의 전략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이터마이닝 모델을 정리하고,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실행 단계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념을 수립하고자 한다. 비약적인 정보기술의 발전은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더불어 데이터분석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이러한 유용한 정보는 지식의 발견으로 인식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지식의 발견 과정 중 데이터마이닝은 하나의 도구가 아닌 과정 그 자체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데이터마이닝은 오늘날 소매, 금융, 통신업종 등의 강한 고객 지향적 관점을 기반으로 마케팅이 요구되는 기업에 의하여 활용되어지고 있다. NR마케팅 기업은 우리나라에서는 피라미드 기업과 동일시하게 인식되어지며,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NR마케팅은 네트워크(Network) 마케팅과 관계(Relationship) 마케팅의 혼합 마케팅 전략으로써 품질이 우수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중간 유통단계를 줄여서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며, 이러한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를 경험한 고객이 자신의 협력사, 또는 친구들에게 홍보함으로써 비즈니스의 성장을 도모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인터넷 사용을 위한 인프라의 지속적인 발전과 스마트폰을 비롯한 개인용 휴대기기의 발전으로 인하여 판매자와 소비자의 거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거래방식의 변화는 NR마케팅 기법이 미래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을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NR마케팅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조직원의 인맥을 중심으로 확장되어 고객에 대한 분석 등의 전략의 구체화 작업에 있어서 타 업종에 비해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NR마케팅 기업에 대한 데이터마이닝의 적용은 NR마케팅 기법의 고도화를 위해서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NR마케팅이 적합한 상품과 서비스는 화장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NR마케팅 기업에 적용하기 위하여 화장품 생산 및 판매 기업을 선정하고,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떻게 데이터마이닝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을 통하여 많은 기업들은 고객을 관리하고자 노력하여 왔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인구의 급격한 증가와 Facebook, Twitter등의 Social network service의 발달은 ‘고객을 관리하여 매출액을 높인다.’는 개념을 ‘고객과 소통을 통하여 성장한다’는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도록 CRM의 발전방향을 본 논문에서는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정의하고 개념을 정리한다. 변화의 폭이 큰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기업이 성공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고객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구체화된 비즈니스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 수립을 위하여 무의미하게 축적된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식을 발굴하여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객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향후 고객과의 관계성 속에서 신뢰 지수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과 어떻게 다시 데이터마이닝 변수로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업종에서 쉽게 참조가 가능한 데이터마이닝 모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In order to success in business environment, superior products, Service and loyal customers are needed. However, the best way to get profit and reduce the expenses is the owner’ strong interest in business. Exclusive increase of accumulated data and explosiv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vide helpful information through data analysis. Moreover, data mining technique is using for the companies which are in the customer-oriented base businesses type of industries, such as retail, finance, communication. On the condition of excellence quality, the products and service through NR(Network Relationship) Marketing can have chance to upsell continuously to the customers. Also, the products have to be expendable goods and have certain advantage compare to other products. This dissertation describes how data mining is applied to present NR Marketing company based on company’s holding data. A lot of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manage their customers using the existing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However, fast growing internet population and Social network service development, like Facebook, Twitter, changed business concept to "Grow together with customers thru Communication" from "Increasing sales by managing customers." The process for th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s defined as "Business communication model"in this dissertation To be successful business in a industry prone to chang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an establishing specific business strategy based on customers’ data. In order to set up specific business strategy, company needs to analyze accumulated massive data and try to find the knowledge from the data. Then, this specific business strategy forms the foundation of mutual communication based on customer trust. In the future, this study needs do further research about method of consumer confidence measurement in customer relations and how to utilize it.

      • 스마트폰 환경에서 행동 데이터 기반 모바일 친밀도 시각화 모델 개발

        임승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days, there’s a tendency for many people to rely a lot on their smartphones for communicating with others. This trend makes possible to gather user behavioral data through functions and services in a smartphon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intimacy model between a smartphone user and other people as numerical scores based on behavioral data in smartphone app and functions such as calling, SMS, KakaoTalk, Facebook, and Twitter. I defined this score obtained from the model as Mobile Intimacy. I classified three factors of intimacy: Self-Disclosure, Frequency of Interaction and Duration of Relationship.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and Duration of Relationship in Mobile Intimacy can be figured as numbers of using the previously referred functions and app. For getting final Mobile Intimacy score, Self-Disclosure weights are calculated by applying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to assessing the functions and app about the Self-Disclosure. There are two sets of AHP weights for the 20-30 and 40-50 age groups. One of weight set is multiplied to the prior figured intimacy for calculating a Mobile Intimacy, so Self-discloser is considered for Mobile Intimacy. Also, in this study, I developed a system which visualizes the set of Mobile Intimacy score as an orbit system which is similar to Target Sociogram. The system shows orbits of which radius is in inverse proportion to Mobile Intimacy score and icons on the orbit which represent peoples connected with a user of this model through the smartphone. An Icon in a center of the orbits stands for the user. Moreover, in this visualization system, the icons can be shown separately seven at a time, and the user can change a position of one of the icons. For identifying validity of this Mobile Intimacy model, I analyze 60 Mobile Intimacy score sets from 30 of 20-30 age group and 30 of 40-50 age group. The Mobile Intimacy score set from 20-30 age group shows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ir actual feeling Intimacy rank, and the score set from 40-50 age group reveal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ir actual intimacy status. Also, the Mobile Intimacy model shows 83.3% accuracy in 20-30 age group and 90.0% in 40-50 age group. In this study, I could draw the intimacy and visualized it by analyzing the user behavior data showed through the smartphone. This visualization can help understand the human relationship efficiently which are built in the mobile environment, the smartphone use.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사람들 간의 상호관계가 스마트 폰을 통해 맺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서비스들로부터 발생되는 행동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통화, 문자메시지,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모바일 친밀도 모델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모바일 친밀도 정의를 위해서 고려한 친밀도 요소는 자기노출(Self-Disclosure), 상호작용 빈도(Frequency) 그리고 기간(Duration) 3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이것을 모바일 친밀도의 기준으로 하였다. 앞서 언급한 스마트폰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횟수 및 교류 기간 상호교류 행동 주기성을 모두 반영하여 상호작용 빈도 및 기간에 따른 모바일 친밀도를 계산하였다. 스마트폰에서 제공되는 기능 및 서비스들에 대하여 자기노출을 주제로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20대~30대와 40대~50대의 각 두 집단에 대한 2개의 가중치 Set을 도출하고 앞서 계산한 친밀도에 결합하여 자기노출을 친밀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측정 모델에 따라 얻어진 모바일 친밀도 수치를 Target Sociogram의 형태 요소인 원형 궤도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원형 중심에 놓고 사용자와 스마트폰을 통해 관련된 사람의 모바일 친밀도 수치에 원형 궤도의 반지름이 반비례하고 그 사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그 궤도를 따라 돌게 하는 형태로 시각화 하였다. 또한 여기에 한 화면에서 비교하기 쉽게 한 번에 7개씩 나누어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부 결과 값이 실제 값과 다를 경우 이를 사용자 입력을 받아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친밀도 측정 모델은 두 개의 나이 집단에 따라 30명씩 대상으로 실제로 모바일 친밀도를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모바일 친밀도를 얻고 이것을 피실험자들이 생각하는 친밀도와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통해 이 모델을 검증하였다. 20대~30대에 적용되는 모바일 친밀도는 적당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40대~50대에 적용되는 모바일 친밀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각 집단의 모바일 친밀도의 정확도는 전자의 집단에 대해서는 83.3%, 후자의 집단에서는 90.0%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환경에서 일어나는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친밀도를 도출하고 이를 시각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각화는 사람들이 모바일 환경,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를 시각적 측면에서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y and Transcriptome analysis of Stachys sieboldii fermented with Henricium erinaceus mycelia

        임승빈 The Graduate School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growing interest in skin whitening has recently renewed attention on Chinese herbal medicines with whitening activity for esthetic applications. Stachys sieboldii has been used as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has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cosmetic material because of its astringent effect. In this study, with an aim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with whitening effects, Stachys sieboldii tuber hot water extracts were fermented with four different mushroom mycelia (Hericium erinaceus, Ganoderma lucidum, Lentinula edodes, and Wolfiporia extensa). After 2 weeks of fermentation, the mycelia with most potent melanogenesis-inhibiting activity was selected for large-scale fermentation. Stachys sieboldii hot water extract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s mycelia showed the strongest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and treated cells had the lowest melanin content. Thus, Hericium erinaceus mycelia, the most potent inhibitor of melanogenesis, was used for largescale fermentation and fractionated. The whitening activity of sub-fractions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and melanin content in B16F10 cells. The ethyl acetate fraction, which had the strongest whitening activity, was separated and purified using HPLC system equipped with a C18 column. Finally, the compound present in the active fraction was isolated, and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und was determined based on NMR and LC-MS/MS spectrum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ound isolated from Stachys sieboldii hot water extract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s mycelia was acteoside, which has promising whitening activity. We investigated the whitening activity of the isolated acteoside on B16F10 and HEMn-MP cells. Acteosid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effects of acteoside on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was analyz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which showed that acteoside also reduced the protein levels of TYR, TRP-1, TRP-2, and MITF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identify the biological potent pathway of anti-melanogenesis affected by acteoside, HEMn-MP cells were cultured with acteoside for 5 day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and sequenced. The RNA sequencing data were processed by trimming low quality reads and removing sequencing adapters, and mapped reads were processed using Samtools.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eq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teoside treatment on gene expression levels in HEMn-MP cells. The gene expression analysis identified 759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including 298 upregulated genes and 461 downregulated genes (log2 fold change >2, p < 0.05). The DEGs were mainly involved in melanogenesis, the cell cycle, PI3K-Akt signaling pathway, p53 signaling, cellular senescence, cGMP-PKG signaling, phospholipase D signaling, and Rap1 signaling. Pathway analysis of the DEGs identified some key genes associated with pigmentation, such as MITF, CREB3L1, and WNT4. In summary, a hot water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s mycelia had enhanced whitening activity, and the active compound in the extract was identified acteoside. Genome-wide analysis of acteosidetreated human melanocytes showed regulation of melanogenesis-relate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 and WNT signaling. These results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molecular mechanisms regulating melanogenesis, and suggest that the identified compound, acteoside, is a human-friendly anti-melanogenesis agent with potential in hyperpigmentation therapy. 피부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최근 미백 효능이 있는 약재에 대한 미용적 응용도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초석잠은 예로부터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수렴작용이 있어 화장품 소재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백 기능성 신소재 개발을 위하여 초석잠 열수추출물을 4종의 버섯 균사체 (노루궁뎅이, 영지, 표고, 복령)로 발효하였다. 그 결과, 노루궁뎅이 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소재에서 가장 강한 타이로시나아제 억제효과와 가장 낮은 멜라닌 함량을 보여, 대량 발효에 사용하였다. 이후, 분리정제 및 구조동정을 수행하여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단일 화합물질은 엑테오사이드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 유래 멜라노사이트에서 엑테오사이드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의 생물학적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RNA를 추출하여 시퀀싱 하였고, 통계 분석을 수행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에 대한 분석을 수행였다. 그 결과 298개의 상향 조절된 유전자와 461개의 하향 조절된 유전자를 포함하여 총 759개의 유의 발현 유전자 (DEG)를 식별하였다. 총 759개의 DEG들은 68개의 KEGG 경로에 매핑하였고, 주로 멜라닌 생성, 세포 주기, PI3K-Akt 신호 경로, p53 신호, 세포 노화, cGMP-PKG 신호, 포스포리파제 D 신호 및 Rap1 신호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 경로들 중 Cytoscape를 사용하여 주요 유전자를 선별하였고, 이 중 MITF, CREB3L1 및 WNT4와 같은 색소 침착과 관련된 주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엑테오사이드는 cAMP 및 WNT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을 통해 피부 미백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멜라닌 생성을 조절하는 분자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확인된 화합물인 엑테오사이드가 과색소침착 요법에서 잠재력을 가진 무독성 미백 소재임을 시사한다.

      • 강릉대성황사의 변천과 역사성

        임승빈 江陵原州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Gangneung Danoje’ was listed as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05, and it has become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not only for Korea but also for all humanity. Although its values are recogn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folklore, religion, and arts, the shape of the prototype has been transformed and destroyed as the ‘DaeSengwangsa Shrine’, the central space of the ‘Gangneung Danoje’, was demolish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Daeseonghwangsa Shrine’ includes the history and folklore of the ‘Gangneung Danoje’ and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who has been long cherished the way of thinking based on the various gods. The Daeseonghwangsa Shine is the object of restoration in ‘Gangneung Danoje’. The seonghwang-faith, which was originated from China, spread through out the nation as least the end of the king Seongjong in the Goryeo Dynasty(918~1392).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seonghwang-faith was accepted as a religion that could be utilized as a proper means to govern the local people both in the central and local political circles through the common belief of seonghwang god by local entities. The seonghwang-faith was run as a national ritual throughout the 'Koryo' and 'Chosun' dynasties, and it became a religion in praying for goodwill and good harvest in the local area. Thus, seonghwang-faith contributed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and served as a psychological haven for the people. The ‘seonghwangsa Shrine’ was mainly located in the 'Chisso', that is, the administrative center, and later the Shrine was also installed in the mountains as it was combined with the mountain seonghwang-faith. The ‘seonghwangsa Shrine’ was commonly located at the central area of both government and religion. It can be seen from the location that the seonghwang-faith was the main religion recognized by the state and local people. It seems that the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was built at least in 1392 according to the national ritual maintenance policy expressed as 'Sasa Supan' as a facility related to 'Chisso' in these standards. The center of governing area in Gangneung was formed from the early age of Goryeo Dynasty around the “Im Young-gwan’, but the typical form of castle city was established at Jeonson Dynasty(1392~1897). The castle town of Gangneung was built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and rebuilt as a stone castle at the mid Joseon Dynasty, it was intermittently repair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Since there was no change of the castle 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it can be said that the there was no change in location of the sacred place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throughout the dynasty as it was one of constituents of the castle c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nation ritual was improv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tat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order. In this process, local ceremonies were also systematized to include the whole country in Confucian order. The local governors had a responsibility to hold all local ceremonies and rituals at the ‘samdan-ilmyo including 'seonghwangsa Shrine', 'sajigdan', 'yeodan' and 'munmyo'.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was the place for the ‘Eupseong Sanghwangje’ led by the local governor in the spring and autumn, and for special ritual ‘Gangneung Danoje’ led by the villagers. Many records shows that the ‘Daeseonghwangsa’ was the place for Danoje. Nowadays, ‘Gangneung Danoje’ is being held on the side of the Namdae Stream tentative altar. However, the prototype ‘Gangneung Danoje’ was held at the ‘Daeseonghwangsa Shrines’, while making tour administrative building and down town area. In ‘Gangreung Daeseonghwangsa Shrine’, there were 12 god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y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gods from historical figures, as there are many historical docu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gods, people rely on the inference based on folklore rather than the document data.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this field can be regarded as a task of both historical and folklore studies. It seems that the ‘Gangreung Daeseonghwangsa Shrine’ was transformed by Park Yeong - hyo 's reform proposal on April 4, 1895. People became not to serve th 12 gods any more, and naturally the role of ritual and festival disappeared. In addition, Japanese imperialism carried out the 'hyangsalijeong' as part of the colonial policy. As a result, national rituals at the Seonghwangdan and Sancheondan were forbidden, the tradition of ‘Gangneung Danoje’ was further shrunk. If the prototype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is restored,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current structure and contents of ‘Gangneung Danoje’.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the shape of ‘Gangneung Danoegye’ of the past 100 years should be reorganized again. Therefore, after the ‘Gangneung Daeseonghwangsa Shrine’ is restored, we need to decide whether we would use it as a place for the ritual of the protype Danoje or place for educational and historic site. It seems thae more discussion needs to build social and cultural consensus on the place. Recently, the cultural democracy has become common in building cultural policy direction. In other words, policies on culture have been decided by citizens by themselves who are direct beneficiaries of those policies. The way of utilization of Gangneung Daeseonghwangsa should also follow the policy direction. 강릉단오제는「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2005년)되면서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되었다. 이에 역사·민속·종교·예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강릉단오제의 제의적 중심 공간이었던 ‘대성황사’가 일제강점기에 훼철되면서 원형의 모습은 축소·변형되어 전승되고 있다. ‘대성황사’에 대한 이해는 강릉단오제라고 하는 역사성과 민속성을 아우르는 우리 민족의 오랜 祭神的 사고와 강릉 대성황사의 諸神的 특성을 담고 있는 것이며, 강릉단오제의 마지막 복원 대상이기도 하다. 중국에서 기원된 성황신앙은 늦어도 고려 성종대 이후부터 널리 확산되어 갔다. 이에 성황신앙은 지역별 성황신이라는 공통된 믿음의 대상을 통해 중앙은 지방세력을, 지방세력은 지역사회를 통치하기 적합한 수단으로 활용 가능한 신앙으로서 받아들여졌다고 볼 수 있다. 성황신앙은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국가의 공식 제의로 치제되었고, 지역에서도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신앙으로 자리잡아 계승되었다. 따라서 성황신앙은 지역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민들의 심리적인 의존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이르렀다. 성황사는 주로 治所 즉, 행정 중심지나 이와 관련되었던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였고, 산신신앙과 융합되면서 산중에 설치되기도 하였다. 성황사 입지는 통치와 신앙의 중심지역이라는 공통적인 부분이 있다. 즉, 성황신앙은 국가와 지역민들이 인정한 지역의 중심적 신앙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입지형태를 보아 알 수 있다. 강릉대성황사도 이러한 기준 속에 치소와 연관된 시설로 “使司受判”으로 표현되는 국가의 사전정비책에 따라 최소 공양왕 4년(1392) 이전에 건립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강릉지역은 고려초부터 임영관을 중심으로 한 통치의 중심지역은 형성되었으나 조선조에 와서 전형적인 읍성의 모습을 갖추어 갔다고 볼 수 있다. 강릉읍성은 고려말에 축조되어 조선 중기에 석성으로 개축되고 조선후기까지 간간히 수보하고 개축되는 과정을 거쳤다. 조선시대를 통해 읍성의 변동이 없었던 까닭으로 읍성의 구성요소로서 제의 공간이던 강릉대성황사는 건립 당시부터 그 위치에 대해서는 큰 변화없이 강릉 읍성내에 존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조선 왕조는 성립 이후 유교적 질서에 따라 국가의 체제를 확립해가는 과정에서 국가의례를 정비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가 전체를 유교적 상징질서에 포괄하기 위한 군현의 의례 역시 체계화되었다. 군현을 통치하는 수령은 군현의 의례를 주관해야 하는 의무를 가졌는데, 군현의례는 三壇一廟 이른바 성황사, 사직단, 여단과 문묘에 대한 제사가 그것이었다. 강릉 읍치지역에서도 삼단일묘의 제례 공간을 갖추고 있었다. 사직단이 부의 서쪽 1리, 성황사가 부의 서쪽 1백보, 여제단이 부의 북 1백보의 거리에 각각 전승되고 있었으나, 일제강점기로 접어들면서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강릉대성황사는 춘․추로 수령이 주제하는 관주도형 읍치 성황제와 호장 중심의 ‘別祭’인 강릉단오제가 이루어지던 곳이다. 여러 기록을 통해 대성황사를 중심적 공간으로 강릉단오제가 시작되고 끝이 났음을 알 수 있다. 지금은 강릉단오제가 남대천 임시제단을 중심으로 난장, 공연, 단오굿이 진행되고 있지만, 강릉단오제 원형의 모습은 대성황사가 중심이 되어 관아와 도심 일대를 순회하며 축제가 펼쳐졌음을 알 수 있다. 강릉대성황사에는 지역의 역사와 지역민들의 삶과 관련이 깊은 12신을 모시고 있었다. 이 중 역사적 인물에 대한 자료는 풍부한 편이라 강릉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쉽지만, 그 외 신들에 대해서는 자료가 매우 부족한 사항이라 강릉과의 연관성을 문헌자료보다 민속성에 근거한 추론에 의지하고 있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연구는 사학계와 민속학계 모두의 과제라 할 수 있다. 강릉대성황사는 갑오개혁 중 제2차 갑오개혁기인 1895년 4월 4일 박영효의 개혁훈시에 의해 변화를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즉 이를 계기로 12신을 모시지 않게 되고 자연히 제례의 역할도 사라지게 되었다고 본다. 또한, 일제는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享祀釐正’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라 성황사를 비롯한 산천단 등에 대한 제사를 국가적으로 제사를 지내지 않게 되었고 강릉단오제는 더욱 위축되었다. 강릉대성황사의 복원’이 이루어지면, ‘강릉단오제’의 틀과 내용은 지금과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강릉대성황사 훼철 이후 지금까지 이어져 온 백년의 강릉단오제의 모습이 다시 재편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대성황사 복원에 따른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먼저 원형 보존을 위한 제례 공간으로 활용할 것인지, 아니면 전통 교육과 역사적 장소로서만 활용할 것인지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사회 문화적 공감대 형성 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최근 문화민주주의가 새로운 문화정책의 방향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즉, 지금까지의 일방적인 문화정책 결정이 아닌, 문화정책의 직접적 수혜자인 시민들에 의해 결정되고 추진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대성황사 복원 후 활용 방안도 마찬가지다.

      • 거푸집 공사의 합리적인 공사비 산정 방안에 관한 연구

        임승빈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건설 산업은 신기술·신공법의 적용으로 인해 고층화, 전문화, 복합화 구도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설공사의 예정가격은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건설공사의 공사비를 산정하는 방식은 공공공사는 원가계산방식, 민간공사는 실행예산방식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공공공사의 예정가격을 산정하는 방식은 관련 법령에 의해 1962년부터 표준품셈에 의한 원가계산방식을 적용하여 왔다. 하지만, 표준품셈이 시장의 실제 투입가격이나 생산가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04년부터 실적공사비 제도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실적공사비는 100억 이상 대형공사의 공종별 단가를 기초로 작성되기 때문에 공사의 규모나 특성을 반영하기 힘들며, 저가 입찰에 의한 계약단가의 하락과 건설공사의 품질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실적공사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가산정 방법의 개선이 요구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사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지수의 기준 마련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적공사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거푸집 공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문건설업체의 계약내역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설계/견적회사, 종합건설회사, 전문건설회사의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문건설업체의 계약내역은 실적공사비제도가 도입된 2004년 이후의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거푸집 공사의 합리적인 실적공사비 산정을 위해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물의 종류 및 공사의 규모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공사비를 산정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부에서 공시한 실적공사비보다 공사비가 더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푸집 공사의 실적공사비를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종류 및 공사의 규모뿐만 아니라 공사의 난이도와 같은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실적공사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적공사비를 구성하는 공공공사에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모델등을 도입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제도적인 개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수반응 고체추진제의 연소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임승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켓어뢰란 프로펠러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기존의 추진방식을 이용한 어뢰가 아닌 마치 로켓처럼 고체추진제를 이용해 추진제의 연소로 생성되는 가스를 강하게 분사시켜 추력을 얻는 새로운 개념의 추진 방식을 탑재한 어뢰를 말한다. 이러한 로켓어뢰는 램제트와 유사한 원리로써 수중에서 외부(해수)로부터 연료의 산화제를 얻어 주 연료인 금속 연료와의 연소를 통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고효율 추진제로 수중에서 어뢰의 속도 향상 및 운항 거리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현재 로켓어뢰는 러시아에서는 개발이 완료되어 실전 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란과 독일 등도 실전 배치 예정이라고 알려져 있다. 로켓어뢰의 핵심기술은 크게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는데, 물속에서 어뢰가 추진할 때 물과의 저항을 줄여주기 위해 공동(空動)화 현상을 이용하는 기술과 로켓어뢰용 수반응 고체추진제 제조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수반응 고체추진제는 일반적인 stoichiometric상태의 고체추진제의 금속연료/산화제 조성보다 금속연료의 함량이 높은 고체추진제로 연소를 하게 되면 과함유된 금속연료 입자가 에너지를 얻어 활성화 되고, 이 때 외부에서 흡입된 해수를 반응시켜주면 2차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같은 무게의 일반적인 고체추진제와 비교했을 때 금속연료의 함량은 많고 산화제의 함량은 적은 대신 해수로부터 부족한 산화제를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반응 고체추진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일반 고체추진제와는 다른 연소 메커니즘을 갖기 때문에 새로운 추진제 조성에 대한 연소특성 및 연소속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로켓어뢰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수반응 고체추진제를 개발하기 위해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금속연료 후보로, AP와 KClO4를 산화제 후보로 선정하고 이들의 혼합비를 변경하며 후보조성을 결정하고 이를 스트랜드버너를 이용해 압력대별로 연소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압력지수를 계산하여 추진제로써의 안전성을 판단하였다. 또한, 각 추진제 시료들의 점화 온도와 화염 온도를 측정하여 수반응 고체추진제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