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령자의 편의성을 위한 웹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국내 고령자 대상 사이트를 중심으로)

        임성희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사회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평균 수명이 증가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인구구조도의 형태가 변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인구가 7.9%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로 접어들었고, 이는 UN의 규정에 의한 65세 이상의 고령인구의 인구 구성비가 14%를 넘는 ‘고령 사회(Aged Society)’를 맞이하게 됨을 암시한다. 고령자 증가 속도는 더욱 가속화 되고 고령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현대 사회의 노인은 과거,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거나 단순히 늙고 나이든 사람의 개념에서 점차 학력과 지적 능력을 가지고 경제활동을 하며 사회 활동의 능력, 사회적 위치, 학력, 경제적 능력 등 다양한 면에서 과거 노인의 개념과 많이 다르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인터넷의 급증과 급속히 변화하는 뉴미디어 매체는 사회 전반적인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령자들과의 정보적 소외감과 정보격차를 줄이지 못하고 있다. 급속하게 발전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웹의 다면적 구실은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인터넷은 시·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고 정보를 고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 전반적 구조적인 변화와 생활 패턴의 변화를 가져왔다.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회지수(DOI: Digital Opportunity Index)에서 3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함으로써 정보사회 국가로서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은 일반인 및 정보화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정보로부터 소외받고 있는 계층의 정보 격차는 매해 줄어들고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등의 정보화 인프라가 취약한 곳에 초고속 인터넷 망을 구축하여 그 기회를 제공하고 고령자들에게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이렇게 인터넷을 통하여 고령자들의 사회 참여 기회와 심리적 소외감을 덜어주고 정보의 격차를 줄이고자 많은 노력과 정책이 시행되고 재교육이나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 대한 적응도가 낮아 장애인을 비롯한 고령자들은 정보의 혜택으로부터 여전히 소외를 받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웹 콘텐츠는 고령자들의 이용 측면에서 그 가치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웹 사이트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는 이용대상에 대한 사전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 그 대상이 고령자의 경우 고령자의 신체적․심리적 특성과 요구사항을 잘 파악해야하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있어야만 제대로 된 웹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령자들의 보다 나은 실버생활과 여가 활동을 위한 사회 참여와 웹 콘텐츠의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고령자들의 웹 콘텐츠 활용 편의성을 위해 인터넷을 통하여 웹 콘텐츠를 사용할 때, 보다 접근성이 용이하고 활용도가 편이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인터페이스의 요소를 크게 공간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공간적 구성요소는 레이아웃(lay-out), 내비게이션(navigation), 하이퍼링크(hyperlink)를 선정, 시각적 구성요소에서는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색채(color), 그래픽(graphic)을 선정하여, 고령자를 대상으로 개설된 국내 웹 사이트 중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를 중심으로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들이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분석 하여, 각 영역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Today, advance in medical technologies lead to increase in average lifespan, causing change in population structure. Korea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wher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occupies more than 7.9%, implying that Korea will soon enter an 'Aged Society' defined by UN wher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occupies more than 14%. As older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rapidly and Korea closes to an aged society, attitudes toward the old have changed from hopeless and weak old people to those contributing to a society with outstanding social/intelligent/financial capabilities. Unfortunately, however, rapidly increasing Internet and ever-changing new media cause old people to be separated from IT society in spite of various efforts made across the nation. In a rapidly growing IT society, web has affected many aspects across the nation. In particular, Internet with remarkable advantage that it can allow users to share information anywhere anytime resulted in structural changes and life pattern across the nation.Korea ranked first in DOI(Digital Opportunity Index) for three consecutive years, being recognized as an outstanding IT powerhouse. In addition, according to results of researches targeting normal people and those separated from IT conducted by MIC(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KADO(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IT gap of those separated from IT has decreased every year. Moreover, ultra high speed Internet network has been deployed in areas with lack of IT infrastructure such as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accessing advanced IT to many people including the old. A lot of efforts and policies have been made to increase old people's participation to social activities, remove emotional loneliness and decrease IT gap. However, lack of training and lack of adaption to a rapidly changing digital society cause old people including the disabled to feel strange. To make matters worse, most web contents are not fully leveraged by old people. The key to website interface design is prior knowledge regarding potential users. For example, if potential website users are old peopl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find out the old's physical and emotional requirements and to make utmost efforts to understand them in order to create the best web interface meeting various requirements. Therefore, various actions must be taken to encourage old people to enjoy more convenient and comfortable silver life, participate in more social activities and increase use of web contents. Easy-to-access and useful interface designs are necessary to allow old people to improve convenience of using web contents through Internet. Therefore, this research mainly classifies web interface factors into two: spatial factors and temporal factors. As spatial factors, layout, navigation and hyperlink are selected. As temporal factors, typography, color and graphic are selected. This research focused on currently-operating domestic websites designed for old people to find out interface design factors. Besides, by analyzing how interface design factors are designed, this research tried to find out any challenges and problems of interface design factors and suggest how to solve those challenges and problems.

      • 그로서란트의 체험요소가 고객 만족과 브랜드 애착,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성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the experiential aspects of consumer behavior has been frequently emphasized in studies on consumer behavior. In particular, the space for experiential elements is expanding. To reflect this trend, grocerants are expanding into department store grocery sections and hypermarket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grocerants, among restaurant retail space, and examines the changes from a sales-centered space to a consumer-centered space with time. Moreover, examines how experiential elements impact customer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nd then how customer satisfaction and attachment affect customer loyalty. This study selected four grocerants in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for two days, from October 11th to the 12th of 2017, using an intercept survey method targeting 30 customers, in Seoul or the Gyeonggi region and who have visited grocerants within the past six months. This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Olive Market” located in Jung-gu, Seoul.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367 people for four days, from November 18th to the 21st of 2017, at “Eataly” in Pangyo Hyundai Department Store, “PK Market” in Goyang Starfield, “Olive Market” in Yeouido, Seoul, and the “SSG Market” in the main branch of Shinsegae Department store,. An intercept survey method was used and a total of 367 responses were collected. Ultimately, three surveys that lacked sincerity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364 surveys were used for this study. To investigate such connections, a total of four hypotheses were derived for this study, using SPSS win 24.0 and AMOS 24.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grocerants, the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escapism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he cognitive experience has no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ly, analyses showed that the experiences at a grocerant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s at a grocerant and brand attachment, by each experiential element, the emotional experience, sensory experience,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escapism at a grocerant all positively affected brand attachment. Therefore, all hypotheses were adopted. Thus, among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grocerants, the emotional experience, sensory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escapism have a direct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that the cognitive experience does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customers who visit grocerants do not gain new information. Thus, to constantly attract customers, grocerants must provide sensory experiences that stimulate the senses of the consumers, and use storytelling for the emotional experience of customers. Moreover, grocerants must constantly provide experiences of escapism through cultural experience marketing, thus consumers consider grocerants as a special space. Only then can grocerants height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attachment. Thirdly, this study found that the customer satisfaction at grocera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According to a study by Kim Jong-hoon (2015), customer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customer attitude, while customer attitude has a direct impact on use intention. Meanwhile, Han In-kyoung (2011) states that customer attitude affects brand loyalty. As such, customer satisfaction affects brand loyalty, which may lead to consistent repurchase. Therefore, if grocerants provide a special memory for customers visiting grocerants and provide satisfactory experiences, securing loyal customer, then grocerants would be able to have a competitive marketing edge amid fierce competition in the restaurant and retail industry. Lastly, brand attachment to grocer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A study conducted by Lee Hyung-joo and Seo Ji-yeon (2012) support preceding study results that brand attitude is an immediate emotional response based on cognitive assessment however brand attachment is an emotional bond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brand, which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In this sense, the formation of brand attachment towards grocerants will continue to create emotional bonds between the customers and grocerants, thereby creating a long-term relationship.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grocerants to adopt long-term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based on emotional and sensory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escapism. 최근 소비자행동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경험적 측면(experiental aspects of consumer behavior)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자주 언급되고 있다. 특히 시대가 바뀌면서 판매 중심의 공간에서 소비자 중심의 공간으로 변모하고 고객이 누릴 수 있는 체험적 요소의 공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국내에서는 그로서란트가 백화점 식품관과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식 유통공간 중 그로서란트에서의 체험 요소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하여 체험요소들이 고객만족과 애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고객 만족과 애착을 통하여 고객의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의 그로서란트 4곳을 선정하여, 예비조사를 2017년 10월 11일부터 12일까지 2일간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6개월 이내에 그로서란트 방문 경험이 있는 고객들 30명을 대상으로 인터셉트 설문조사방법(Intercept survey method)으로 서울 중구의 ‘올리브마켓’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 조사를 실시한 서울 중구의 ‘올리브마켓’을 제외한 4곳에서 367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8일부터~21일 까지 4일간 현대백화점 판교점 “Eataly”, 스타필드 고양점 “PK마켓‘, 서울 여의도 ”올리브마켓“ 신세계 백화점 본점 ”SSG 마켓“에서 인터셉트 설문조사방법(Intercept survey method) 진행하였으며, 이중 총 367부를 회수하고 불성실한 설문지 3부를 제외한 364부를 설문에 사용하였다. 이러한 관계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의 가설은 총 4가지로 도출되었고, 통계방법은 SPSS win 24.0, Amos 24.0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로서란트의 체험 요소 중은 감각, 감성, 현실 도피체험은 고객만족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나 인지체험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로서란트에서의 체험은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체험 요소별로 그로서란트에서의 체험과 애착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그로서런트의 감성체험, 감각체험, 인지체험, 현실도피 체험은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쳐 가설이 모두 채택되었다. 이는 그로서란트의 체험 요소 중 감성체험과 감각체험, 현실도피 체험은 고객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나, 인지 체험은 고객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그로서란트를 방문하는 고객들은 그로서란트에서 새로운 정보의 수집등의 목적으로 그로서란트를 방문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따라서 그로서란트에서의 지속적인 고객관계형성을 위하여 고객들을 대상으로 소비자의 오감을 자극하는 감각적 체험, 스토리텔링등을 이용한 감성적 체험, 그리고 소비자로 하여금 그로서란트를 특별한 공간처럼 느낄수 있도록 하는 문화마케팅을 통한 현실도피적 체험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방문 고객들의 만족도 및 브랜드 애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그로서란트에서의 고객만족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훈(2015)의 연구에 따르면 고객만족이 고객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고객태도는 이용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객만족은 지속적인 재구매를 할 수 있는 브랜드 충성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그로서란트에 방문한 고객들에게 또 하나의 특별한 기억과 체험의 만족을 통해 충성 고객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면 체험 유형을 통한 치열한 경쟁에서 좋은 마케팅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그로서란트에서의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주, 서지연(2012)의 연구에 따르면 브랜드 태도는 인지적 평가에 의한 즉각적인 감정반응이나, 브랜드 애착은 소비자=브랜드 관계를 볼 때, 특정 브랜드와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지된 정서적 유대감이라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그로서란트에서의 브랜드 애착 형성은 향후 지속적으로 그로서란트에서 고객과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여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 유지가 가능하게 하여 그로서란트에서는 고객의 경험관리(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단어 정의하기 능력의 변화

        임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쯔하이머 치매(Alzheimer's desease: AD)는 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치매로 병이 진행될수록 인지장애와 언어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 환자들이 보이는 특징 중 하나는 단어 정의하기 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것인데 이는 AD 환자들이 목표 단어에 대한 의미적 지식이 손상되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또한 단어를 정의하기 위해서 목표 단어의 의미를 활성화 시키고, 주요한 개념을 기억하면서 설명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을 동시에 거쳐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같은 단어 정의하기 능력의 결함은 AD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특징으로 외국의 경우 초기 치매를 선별하기 위해 단어 정의하기 과제를 사용하고 있다. 단어 정의하기 과제는 정상군에서 치매의심군 및 경도치매군을 판별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되리라고 본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AD환자의 단어정의하기 과제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군, 치매의심군, 경도치매군, 중등도치매군의 총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단어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하고, 정의점수가 치매의 어느 단계에서부터 손상을 나타내며,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의 유형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단어정의하기과제에서 나타나는 오류유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알쯔하이머 치매로 진단받은 환자 24명과 정상군 8명이다. 치매 집단은 CDR(Clinical Dementia Rating) 척도에 따라 치매의심군 (CDR 0.5) 8명, 경도치매군(CDR 1) 8명, 중등도치매군(CDR 2)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단어 정의하기 과제는 총 11개의 범주에서 각각 2개의 단어를 선정하여 총 22개의 목표단어를 선정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친숙하고, 교육년수가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빈도의 단어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Kruskal-Wallis test와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어정의하기 과제를 실시한 결과 정상군, 치매의심군, 경도치매군, 중등도치매군의 네 집단 간에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군이 가장 높은 정의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치매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정의점수가 낮아졌다. (2) 집단별 단어정의하기 과제에서 보이는 각 정의유형의 출현율을 살펴보면 치매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기능적 정의의 출현율이 높아지고, 관계적 정의와 분류적 정의의 출현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집단별 단어정의하기 과제에서 보이는 오류유형을 살펴보면, 모든 집단에서 불충분한 정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증도에 따라 AD환자들의 단어정의하기 능력이 결함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단어정의하기 능력이 치매의심군부터 손상을 보인다는 것을 밝혀내어 치매의심군에서 부터 의미적 지식의 결함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단어 정의하기 과제는 임상에서 치매의심군과 초기 AD환자를 판별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compare the word definition score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of different severities. (2) to compare error pattern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of different severities. Twenty-two concrete nouns were used to elicit the word definitions. Two concrete words in each eleven class: appliances for bath, transportation, furniture, animals, vegetables, fruits, dishes, clothes, body parts, electrical appliances and stationery were given to all subjects for the task. Four definitional categories were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and categorical.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4 patients with AD (8 questionable AD: 8 mild AD: 8 moderate AD) and 8 normals. Those with AD and normals were adequately matched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years. The performances of all subjects were analyzed via Kruskal -Wallis test, and when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onferroni test analysis was employed to find out more specific group differenc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In word definition scor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four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the normal ones got the highest score in the word definition task. The more severe the AD the lower the score in the task(2) The ratios of functional definition was increased in the severe AD group. However, The ratios of relational, categorical definition was decreased in the severe AD group. (3) The non-adequate definition was highly occurred in all groups. The result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word definition task could be a sensitive indicator of the status of identity-specific semantics in patients with AD.

      • 광고를 활용한 영어 교육에 관한 연구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임성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xercises in textbooks using advertisem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o provide more improved learning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11 kinds of English textbooks for 1st year 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chosen for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7th English Curriculum.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by 3 criteria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7th English Curriculum which are ‘language functions’, ‘achievement criteria’ and ‘topic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xtbook exercises aimed at learning the functions of the language tended to be more focused on written English than spoken English. Furthermore, integration of the four functions –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 is the least practiced exercise of the functions of the language. Second, exercises based on achievement criteria were extensively related to the written English. This is the result of placing more importance on activities written English than spoken English in learning the functions of the language. Third, topics of advertisements in the textbooks were associated with the theme of each chapter with advertisements and selections of advertising materials were limited to a very narrow selection of topic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I have suggested various methods to improved learning activities in each criterion. By integrating all these results into one, to achieve more effective exercises using advertisements, I have chosen advertising materials which were related to the theme of each chapter in the textbooks and shown theme-based integration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for English language education provides to learners some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opportunities to learn natural English expressions and English culture and to develop creativity. These effects are in accordance with the 7th English Curriculum which emphasizes practical English training, learning English culture and developing creativity. Also, it can help learner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conclusion, we need to develop various media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using advertisements to facilitate English education more effectively.

      • 청일전쟁 전후 청국(淸國)내 청류(淸流)의 대외인식

        임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은 청일전쟁 전후 청국 정부내 정치세력 중 실질적 정치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서태후와 이홍장을 비롯한 소위 양무파들의 정책에 대하여 비판·견제 세력이었던 청류의 실체와 그들의 대외인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이 과정에서 청류가 국가적인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시대적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책을 찾았으며, 청류의 대외인식이 지니는 외교사적인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하였다. 청일전쟁 전후 청류의 대외인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적인 중화사상에 근거하여 국제관계를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일본을 비롯한 서구열강들의 對동아시아 정책에 대한 반응으로서 나타나고 있었다. 전통적인 중화사상에 근거하여 국제관계를 인식하였을 경우, 청류는 조공관계에 집착하는 소극적인 자세와 주전 강경론을 주장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었다. 청국의 군사력이 주변 국가를 제어할 만큼 중분한 실력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조공관계에 대한 강한 집착을 통해 현실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의 문화를 전수받아 온 東夷小國인 일본이 전통적인 중국 중심의 국제질서를 부정하는 것을 용압하는 일은 유교적인 도덕과 명분에 어긋나는 것 이었으며, 上國의 체면도 손상시키는 행동이었기 때문에, 적극적인 주전론을 주장하였다. 서구 열강들의 對동아시아 정책에 대한 반응으로써 나타난 청류의 대외인식은 청국 정부 내에서 러시아와 영국 중 어느 국가와 연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반된 의견 차이로 나타났다. 러시아는 청국과 국경을 인접하고 있어 오래 전부터 청국 북방지역의 안보문제 차원에서 인식되어진 반면에, 영국은 통상을 통한 경제적 이권이 가장 큰 국가였으며, 1880년대 영국이 동아시아에서 추진한 현상유지 정책은 조선에 대한 청국의 종주권 우위에 유리한 것이었다. 영국과 러시아 사이의 오랜 모순관계를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던 청류가 親英的인 태도를 갖게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청류가 비록 서태후와 이홍장의 권력을 극복하지 못하였고, 그들의 대외인식 또한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었지만, 청일전쟁 이후 새로운 개혁성향의 인물과의 관계를 통해 청류의 정치적 활동을 지속시켰으며 이 과정에서 청류의 대외인식은 무술변법시기 대외정책을 이해하는 데에 단서를 제공해 주었다. Yangmu fraction that Seo Tae-hoo and Lee Hong-jang belonged to, one of the political powers in Qing Dynasty, had the substantial political power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 War, and Qing-liu was the power who criticized and checked Yangmu fraction's policy. This paper purports to investigate the substance of Qing-liu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Especially, it intends to discuss how Qing-liu recognized the situation of the times under the national crisis, what countermeasures they found out, and what diplomatic significance Qing-liu'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had. Qing-liu'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efore and after the Sino-Japan War can be explained in two aspects. First, they looked at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traditional Chinese nationalism, and secondly, they were for England in relation to Japan's and the western powers' policy against East Asia. Qing-liu stuck to the relationship that other countries rendered tributes to China while they insisted on Jingoism. As Qing Dynasty's military power was not strong enough to control its neighboring countries, Qing-liu intended to cope with the reality through strong attachment to the relationship of other countries' rendering tributes to China. It was against Confucian morality and justice, and further, it was to damage a higher ranked country's face to admit that Japan, who had received China's cultures, denied the international order oriented in China. Therefore, Qing-liu strongly insisted on Jingoism. Qing-liu'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in relation to the western powers' policy against East Asia caused different opinions within the government of Qing Dynasty - with whom should they combine with, Russia or England. Russia lies adjacent to Qing so it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national security problems of the northern area of Qing, and England was the country getting the largest economic profit through trade. England' policy of maintaining the present situation in East Asia in 1880s helped Qing take the suzerainty over Joseon Dynasty. That was the reason why Qing-liu who had fully understood long-cherished contradiction between England and Russia got to stand for England. Qing-liu couldn't overcome the power of Seo Tae-hoo and Lee Hong-jang,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had some limitations, but they continuously took political activities through relationships with new reformative men, and in this process, Qing-liu's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provided clues to understand their foreign policy in the period of making modernism through amendment of the laws.

      • 중소규모 이러닝 사이트의 컨텐츠 보안 솔루션에 관한 연구

        임성희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evelop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s has aused rapid changes in society and affected the education. Cyber-oriented education type has emerged in school education. It is the education through computer in the surroundings where students can access anytime to learn necessar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attitude delivered using the computer. E-learning is the education given in basis of computer and internet, digital and network is the main focuses of education. E-learning education can deliver proper contents of learning through voice lecture or dynamic gesture and expression of teachers, direct blackboard lecture video, or contents like flash animations and 3D skill, depending on the nature of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se e-learning sites belong to the assets of relev ant e-learning solution developer. Accordingly, their assets should not be disclosed or utilized outside, without authorization. While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protecting the contents, the assets of e-learning sites, this thesis will use the code protection solution to operate the contents of small and medium-sized e-learning sites more effectively and to protect the source by applying the security solution of effective costs, provided by security solution company for education contents security under special environment of small-medium sized e-learning sites.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of education contents developed and utilized at the small and medium-sized e-learning site, this thesis examined ‘jisic4u.com’, the small and medium-sized e-learning site, currently operated.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necessity of security design for the contents operated at these small and medium-sized e-learning sites and to present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model for utilization of cost effective security solution.

      • Water-soluble polymer dielectric toward high performance organic thin-film transistors

        임성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air-stable, water-soluble poly(acrylic acid) as a polymer dielectric material for OTFTs. A poly(acrylic acid) dielectric layer in OTFTs showed good stability in ambient air conditions by using a cross-linker. The device we fabricated with a PAA dielectric layer was found to have mobility of 0.53 cm2/V•s, a threshold voltage of -4.1 V, and an on/off ratio of 6.1x105 at -20 V. Moreover, the performance of an OTFT using cross-linked PAA is superior to that of other commonly used polymer dielectric materials. In expecially, because PAA is compatible with nanoparticles in aqueous solution, we applicated an OTFT using a dielectric layer with mixture cross-linked PAA and nanoparticles having high dielectric constant. This OTFT could be operated succesfully and stably at low voltage bias (source-drain bias, VD=-5 V). OTFT에서 절연체는 절연성과 유전율이 커야 하고, 표면이 평탄해야 하며, 유기반도체박막과 계면상태를 생성하지 않아야 한다.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절연체는 위와 같은 조건에 적합하며, 가격과 공정 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물질로 PVP, PMMA, PS, CYTOP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질들은 유기용매에만 녹기 때문에, Top gate OTFT를 제작할 수 없고, metal oxide nanoparticle을 첨가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 절연체인 PVA를 사용하지만, PVA는 누설전류가 매우 크기 때문에 성능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누설전류 값을 가지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poly(acrylic acid) (PAA)를 고분자 절연체로 이용하여 성능이 우수한 OTFT를 제작하였다. 절연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cross-linker를 이용하여 합성한 결과, 대기 중에서도 안정적인 절연체를 합성하였다. 이때 mobility 0.53 cm2/V·s, threshold voltage -4.1 V, on/off current ratio 6.1x105 가 나왔다. 또한 수용성 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고유전물질 Y2O3 nanoparticle을 PAA 용액에 분산시켜 절연체를 제작하였다. 이 절연체는 기존의 PAA만을 사용했을 때에 비해, 유전상수 값이 증가되어 -5 V의 저전압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자연이미지를 통한 공간표현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임성희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 작품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감각은 일상의 경험을 뛰어넘는 특 별한 것으로서 정식인 휴식과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예술 작품은 날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누구나 한번쯤 느껴보는 일탈의 욕구, 벗어날 수 없는 삶의 조건으로부터 느끼는 압박감과 절망, 회의 등의 인간적인 고뇌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킨다. 이는 예술이야말로 어떤 용도나 목적을 벗어나 있는 특수한 활동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인간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보고 느끼는 행위를 통해서 주 변 세계와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한다. 이렇게 외부 세계에 대해서 보고 느끼는 행위는 모든 인간활동에 있어서 가장 원초적인 행위일 수 있다. 같은 대상을 보더라도 개인의 기질이나 경험, 관심도에 따라 대상을 남다른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특별한 느낌이나 심리적인 울림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예술가의 내면세계와 감정을 자신이 경험하고 체험한 일상의 생활에서 소재를 찾고, 그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는 점에서 현실 세계를 반영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예술작품은 현실 세계를 내면화시켜 이루어진 예술가의 내면세계와 감정에 미적 형식을 부여한 것으로서 인간의 지각적 행위의 결과물이라 할 것이다. 본인은 평민회화에 있어 공간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본인의 작품 속에 담겨진 자연적 소재의 의미를 조형성에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끝으로 본인 작품을 제시 분석함으로 작품에 대한 반성과 함께 앞으로의 작품 활동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앞으로의 작업 과정에서 새로운 소재와 기법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인간 내면의 역동적인 감정들을 평면이라는 공간 안에 재구성함으로써 회화의 순수성을 추구하고자 노력하였다.

      • 알제리 음악과 문화정체성 연구

        임성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how Algeri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appropriated for the integration of various members and the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Algeria.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Arab music in Cairo in 1932 was the first historical event concerning Algerian music. Western and Eastern intellectuals have debated the preservation and renewal of traditional Arab music that has come into contact with Western music. Main arguments like musical instruments, music scale, mode, harmonization, orchestration, transmission and education, orality and transcription were common among Non-Western countries that encountered western music during the tide of early globalization. Here we find the beginnings of what will be the major themes of musical discourse, such as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and cultural diversity. This congress offered algerian musicians and intellectuals the opportunity to become aware of the specificity of their music and the problematic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particularism and the universalism of Algerian music. Algerian new government had to build the unity of the country from an ethnic, cultural and linguistic diversity, linking the past interrupted by colonization to the present. For this, "Andalusian" traditional noble music was promoted as a music model serving as a source for the Algerian cultural identity.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Andalusian music to justify its antiquity by proving the continuity. The Algerian State has only encouraged selected and "desirable" musical genres that have been legitimized by tradition. The state has not respected cultural minorities; he marginalized them and went so far as to forbid their cultural claims. The identity reaffirmation of Algerians has gone not only through a restoration of the cultural past destroyed by the colonial fact, but also through cultural resistance against the symbolic violence of Western cultural capital. In this historical context, discourses concerning cultural identity in Algeria have taken on the aspect of power discourses. As a result, cultural identity has become a fixed and homogeneous image, far from identity as a process embedded in social dynamics and articulated around practices. Identity discourses, characterized by a strong tendency to nationalism, prevented Algerians from forming a network of free speeches. In reading the Algerian musical discourse, we see an affirmation of the superiority of their music in relation to the Other, especially to the West. They build the chronology of their music often without historical foundations. They do not hesitate to mobilize any argument that would be useful to prove its influences on Western music. Algerian musical discourse shows us a strong attachment to the over-valorization of a glorious past, the golden age and an obsession with the trauma of the colonial era. The present and the future are somehow taken hostage in the past. This obsession with the past impedes, in fact, the effectiveness of discourses that could innovate and revitalize tradition. They wanted decolonization and empowerment, which was paradoxically possible only in reference to the West. One has the impression that they write their story to boast of their glorified past. Although they claim to voluntarily integrate the culture of the other to their identity, their description of the story unknowingly reveals an exclusive nationalism. However, the Andalusian music of Algeria did not become a music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the entire members of Algeria. Rather, the music that was subject to suppression or censorship by the government became a medium for conveying the voice of identity recognition demand. The Berber people, who occupy a fifth of the population of Algeria, used the Kabyle song to resist their own repression of their culture and language. The Kabyle song was the core of the cultural movement for identity like the ‘Berber Spring’. It was also the center of the production of the speeches of resistance. It has become a field of collective memory practice where no speech is forbidden. Algeria's young people, who were overwhelmed by the rigors of strict religious and traditional society and suffering from extreme unemployment and poverty, expressed their desire for freedom through Raï. The Raï, marginalized from its beginnings, becomes a "world music" and symbol of Algeria. In fact, raï did not originally fit the criteria of tradition. When the raï was a great success, the government, which needed to legitimize it, tried to give it some desirable attributes. Many studies of raï tried to go as far as possible in search of it’s origin and to link it with chaâbi, derived genre from Andalusian music. The raï phenomenon reveals that Algeria's unidimensional identity was based simply on an imaginary. The demand for recognition of identity through Kabyle Song and Raï show the cultural policy that does not share the fruits of modernization with its members would fail. It can also be seen that identity is not a purely fixed entity but a fluid and hybrid. Algerian musical discourses show us that the various aspects of discourses on tradition always relate to modernity and cultural ident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power,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nationalism, etc. They also show us that the marriage of tradition and the ideology of nationalism can lead to negative results, for example, exclusive nationalism, homogenized identity, inertial tradition, abandonment of reform, and so on. Algerian musical discourses also reveal to us that cultural policy can not produce positive results without political and social reforms, for example, the eradication of corruption,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ess, and so on. These analyzes of Algerian musical discourse w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problems concerning the modernity of music and cultural identity in post-colonial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