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사회인지 특성 연구 : 마음이론과 정서처리를 중심으로

        임상열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사회인지 특성을 마음이론과 정서처리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정상노인 32명, 경도인지장애 집단 30명,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 27명, 혈관성치매 집단 8명, 루이체 치매 집단 7명, 전두측두 치매 집단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마음이론을 알아보기 위한 사회적 실수 검사와 정서 처리를 알아보기 위한 얼굴정서 재인 검사를 활용하여 알츠하이머병 집단을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인지장애 집단과의 비교 분석하였으며, 알츠하이머병 집단을 다른 치매 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값을 도출하기 위해 일변량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한 후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이론은 모든 집단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통제질문에서는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이 정상노인 집단과 경도인지장애 집단과 비교해 유의한 저하를 보였다. 정서처리능력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을 정상노인집단과 비교해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반면, 치매집단 중 혈관성 치매 집단만 정서처리에서 유의한 저하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은 사회인지 기능을 보존하고 있었다.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사회적실수검사의 통제질문에서 유의한 저하를 보인 것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겠다. 먼저, 사회적 실수 검사 구성의 특성상 마지막에 제시되는 순서 때문에,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특징인 단기 기억 손상과의 관련성을 추측해볼 수 있다. 둘째로,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의 48.1%가 예시문제의 지시사항을 이해하지 못하여 평가를 시행하지 못한 점을 고려할 때, 통제질문에서의 유의한 저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특성인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한 복잡성에 대한 혼란(Confusion)과의 관련성으로 추측해볼 수 있겠다. 알츠하이머병 치매 집단의 사회인지특성에 대해 알아본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행동증상을 이해하고 치매간 감별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여겨진다.

      • 히로뽕의 歷史와 犯罪에 關한 硏究

        임상열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의 히로뽕 범죄도 어언 30년이라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마약은 중세 조선시대부터 시작되어 일제시대의 아편, 헤로인에 이어 해방이후 대마초 그리고 히로뽕 시대라는 역사적인 과정을 겪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히로뽕(메스암페타민)이라는 향정신 물질이 언제 우리 나라에 들어왔는지 그리고 이러한 히로뽕이 우리 국민들에게 확산되어 어떠한 위험성과 폐해를 주었는지 그리고 메스암페타민 오?남용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나라가 1970년대부터 2004년까지 이르면서 범죄의 발생 추세와 범죄의 계층에 대해 시대적으로 비교해 보았다. 이러한 변화와 범죄추세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히로뽕 범죄에 대해 과거를 알고 새로운 방향을 찾는데 역사적인 기록을 남기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모두 6개장으로 이루어 졌으며, 내용은 다음과같이 정리하였다. 제1장은 서론 부분이며, 제2장은 약리적 특성과 정신적특성을 중심으로하는 히로뽕의 이론적 배경으로 논의 하였다. 제3장은 히로뽕의 역사에서 메스암페타민 성분의발견 과 제2차세계대전 이후의 히로뽕 오?남용시대등을 배경으로하여 분석하였으며 제4장은 히로뽕과 그로 인해 발생한 범죄에 관하여 연구해 보았고 제5장은 히보뽕에 대한 역사적 시사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범위에 대해 역사적 시각에서 조사한 결과 마약범죄에 대해서는 진압보다 사건 예방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히로뽕 범죄에 관해 검찰?경찰등 관계기관에서 끊임없이 제도정비등 수사력 향상을 위해 노력한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히로뽕 중독자는 계속하여 증가하고 이에 대한 수사력은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고 전염병처럼 끊임없이 확산될 수 밖에 없는 결과를 남겼다. 본 연구는 히로뽕이라는 성분이 과학자에 의해 발명된 이후 세계제2차대전과 더불어 인류에게 남용되어 제1차, 제2차 남용기를 거쳐 우리나라에 30년전에 상륙하여 해를 거듭하면서 끊임없이 확산되어 2000년이후에는 1만명 이상 검거되어 인구 10만명당 2명이라는 두자리 숫자로 남게 된것은 사전에 계몽 등 시민의식이 부족한 것은 물론 초창기 정부에서 대응하는 정책이 미흡했다고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결과는 히로뽕에 대한 역사적인 관념을 통하여 특히 히로뽕 범죄의 문제는 사후 처방보다는 사전에 예방이 최선이라는 것을 분석할 수 있었고 히로뽕 밀매 범죄자 등 범죄의 근원에 대해서는 수사관 등이 일할 수 있는 제도적인 체제가 제대로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민?관이 연대하여 지속적인 계몽활동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히로뽕 범죄는 피해자 없는 범죄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신고가 없는 암수범죄이기 때문이다.

      • 디지털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언어학습 프로그램이 초등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상열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디지털 동화 활용 총체적언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읽기 학습장애아동의 낱말 재인 능력과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은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군 ??초등학교 3∼4학년 전체 학생 중에서 연구대상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 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여 디지털 동화와 총체적언어학습의 이론적 근거가 타당함을 알 수 있었으며, 2009.개정교육과정 국어과 3∼4학년군 교과서에 나오는 낱말이나 문장, 이야기 수준을 학년에 맞게 충분히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디지털 동화를 활용한 총체적언어학습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특수교육을 전공한 동료교사 1인과 3∼4학년 담임 4명이 함께 재수정, 보완하는 단계를 거쳐서 문항지를 완성하였다. 실험은 ??초등학교의 도움반에서 실시하였고 매회 30∼40분, 일주일에 4회기씩, 학생 마다 3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학생들의 낱말 재인 능력과 독해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매 회기마다 프로그램 속에서 평가의 내용들을 표현해 볼 수 있도록 제공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5명의 학생 모두 낱말 재인 능력 검사지 2가지 영역의 결과, 실험이 끝난 사후-유지 검사에서 점수가 점진적으로 향상 유지 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 학생 모두 독해력 검사지 2가지 영역의 결과, 실험이 끝난 사후-유지 검사에서 점수가 점진적으로 향상 유지되었다. 특히 아동 C, 아동 D는 낱말 재인 능력에서 높은 향상을 보였고, 아동 A, 아동 B, 아동 C, 아동 D, 아동 E 모두 독해력에서 향상된 수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특히 아동 D의 독해력 결과치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과정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동화 활용 총체적언어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장애아동의 낱말 재인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5명의 연구대상 모두 낱말 재인 능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하위 요소인 낱말의 뜻 이해와 낱말의 적절한 쓰임으로 나누어 본 결과치 또한 높게 향상되었다. 둘째, 디지털 동화 활용 총체적언어학습 프로그램은 학습장애아동의 독해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5명의 연구대상 모두 독해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하위 요소인 내용 이해하기와 중심낱말과 문장알기로 나누어 본 결과치 또한 높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독해력의 하위 영역인 중심낱말과 문장 알기에서 향상도가 크게 나타났음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 전계강도 직접 측정법을 이용한 유효복사전력 측정의 오차개선 방법

        임상열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전계강도 직접법을 이용하여 무선기기의 유효복사전력을 측정하였을 때 발생하는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보정값 적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산출한 보정값이 측정오차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측정오차 보정수준을 통하여 현재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측정법인 안테나치환법의 대안으로 사용 가능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무선기기의 유효복사전력 측정은 인접셀간 또는 다른 무선망과의 간섭문제를 보다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법으로 이에 대한 측정방법은 효율적이며 간단해야 한다. 현재 안테나 치환법은 시험장에 따라 측정오차 분포가 균일하여 대표적인 측정법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추가적인 장비소요와 더불어 측정시 마다 안테나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다수의 무선기기를 측정시 잦은 장비셋업으로 측정오차를 발생하기 쉽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계강도 직접법을 사용하여 유효복사전력을 측정하였으며 이 방법의 단점인 측정오차 발생은 보정값 적용 방법을 통하여 개선하였다.산출한 보정값의 유효성 검증을 위하여 이동통신용 중계기를 대상으로 실험 하였으며 측정 결과에 보정값을 적용한 결과, 최대 3.28 dB의 측정오차 개선이 있었으며 주파수 대역별 오차분포에 있어서도 ±0.72 dB이내의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측정오차는 ETSI에서 제시한 최대측정오차 ±4 dB와 CISPR에서 제시한 ±3 dB를 만족시키며 단순 비교는 힘들지만 국내의 안테나치환법을 사용한 측정사례와 비교할 때 동등하거나 보다 나은 측정결과로서 안테나 치환법의 대안으로 사용하여도 무방함을 확인하였다. 반무반사실의 경우 전무반사실과 달리 ±2.1 dB의 상대적으로 큰 측정오차범위를 나타내었고 이는 바닥면 반사파에 의한 간섭이 측정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유효복사전력 측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전무반사실에서 측정되어져야 할 것이다.마지막으로 EUT의 송신출력과 송신안테나 형상이 다른 경우의 보정값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환경을 각기 달리하여 측정하였으며 보정값 적용 결과 처음 실험결과에서와 같이 유효하게 측정오차를 보정함을 확인 하였다.본 논문에서 산출한 보정값은 모든 시험장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은 있으나 측정의 편리성 및 측정소요시간 단축과 함께 신호발생기와 외부 증폭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신통신방식 기기와 중출력 기기 측정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향후 보정값 유효성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통한 유지여부와 특정 시험장에서 산출한 보정값을 다른 시험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보완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유효복사전력 측정방법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 GIS를 활용한 수몰 전 토지이용과 하상 변화량과의 관계 연구: 의암호를 사례로

        임상열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Dams have constructed for water supplying, flood controlling and Electricity generation. Dams have an artificial lake of the area of an upper stream, because of slowing flow velocity. As a result of constructed Dams. it might have a problem with environmental troubles, such as algal bloom, eutrophication etc. To approach for solving the environmental situations, many studies have been researched on bed elevation changes relation about a submerged land use, have trie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ut there is no case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submerged with water and the consequent changes of bed elevation. Recently constructed Dams have relatively lots of materials associated with a upstream topographical maps, DEMs and still pictures, whereas mid 60’s constructed Dams, such as Uiam Dam, have hard to find out any relative materials, which figured out the area submerged area with water. Our study has focused on analysis of land use before an area submerged with water and bed elevation changes, because it is really difficult to find out any relative materials. Our study has researched on an established land use from available past topographical map of 1:50,000, before the area submerged with water, being with the purpose of river and sands etc. There is still parts of non-exposure the purpose of land with past topographical map. To approach the situation of such a topographical map, it may apply non-exposure land use and current registration land use of cadastral book. Our study has researched the details in the purpose of land use from past topographical map. The results accurately show the shapes of river different between past cadastral map and past topographical map, especially the past agricultural purpose land of an area submerged with water It has been carefully compared to current bed elevation and land use of an area submerged with water, and the purpose of land use past topographical map and its past cadastral map, respectively 1963 and 2013. The results have said that deep bed elevation may be compared to the purpose of land use below mean elevation. The analyzed result shows that lower elevation of downstream interval may be compared among downstream, midstream, upstream and soyang interval over Lake Uiam. Downstream is distinct from lower bed elevation consequently on the river purpose of land use why it is impact of water gate of the dam. Midstream makes no difference bed elevation over upper and lower joong islands, especially lower bed elevation has in accordance with the river purpose of land use of past cadastral map. The current bed elevation of upstream and soyong interval is similar to past land use and has no a big difference in elevation We compare the purpose of land use on past topographical map and its past cadastral map, respectively 2006 and 2013. The erosion of river before submerged with water and sands has distinct and has compared the river purpose of land use of past cadastral map to its agricultural. It shall indicate clearly that the result i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of bed elevation and land use before submerged with water. Our study has analyzed the relation with land use before submerged and bed elevation after submerged with water and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policy to reduction in sewage sludge because of the large scale dam reservoir. 댐은 용수공급과 홍수조절, 전력생산 등의 목적을 위하여 건설되었다. 댐 건설에 의하여 댐 상류지역에는 인공호수가 생성되는데 이곳에서는 유속이 정체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확산이 원활히 되지 않아 녹조 현상, 부영양화 현상 등 환경관련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 분야에서는 수몰지역의 하상변화와 관련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수몰 후의 시계열적인 하상변화 자료만을 이용하여 하상변화를 분석하고 예측한 경우는 있으나 수몰 전 토지이용과 하상변화를 비교한 사례는 없었다. 또한 최근에 건설된 댐의 경우 상류지역의 수몰 전 지형을 추출 할 수 있는 지형도, DEM, 영상 등 공간자료가 있으나 의암댐과 같이 60년대에 건설된 댐에 의하여 생성된 인공호수에 포함된 지역의 수몰 전 표고를 확인 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과거에 건설된 댐은 상류 지역의 수몰 전 표고 자료를 확보 할 수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수몰 전 토지이용과 현재 하상 및 하상 변화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의암호가 수몰되기 전의 지형도 중 현재 확보 할 수 있는 가장 축척이 큰 1:50,000 과거 지형도에서 하천, 사지, 기타 용도로 구분하여 토지이용 자료를 구축하였다. 하지만 과거 지형도는 토지 이용을 확인 할 수 없는 지역이 다수 있었다. 이러한 지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적공부의 정보 중 토지이용 현황을 등록한 정보인 지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몰 전 지목을 조사하여 구축한 과거 지적도를 이용하여 수몰 전 토지이용 현황을 자세하게 구축 할 수 있었다. 과거 지적도에서 구축한 수몰 전 하천의 형태와 과거 지형도에서 구축한 하천 관련 토지이용과 비교한 결과 과거 지적도가 과거 지형도에 비해 더 정확한 하천 형태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수몰지의 과거 농경지이었던 지역의 경작 형태를 확인 할 수 있는 자료인 것을 확인 하였다. 현재 하상과 수몰 전 토지이용과의 관계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3년 하상과 1963년 지형도, 과거 지적도에서 구축한 토지이용을 비교하였다. 평균 표고 이하인 지역의 토지이용을 비교한 결과 하상이 깊은 지역은 수몰 전 토지이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의암호를 하류, 중류, 상류, 소양강 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하류 구간은 의암댐 수문개방의 영향으로 과거 토지이용 상 하천이었던 지역 일수록 다른 지역보다 하상이 눈에 띠게 낮은 형태로 되어 있었고, 중류 구간은 상?하중도가 위치한 지역으로 하류 구간과 같이 하상이 높은 곳과 낮은 곳의 표고차가 크지는 않지만 과거 토지이용 상 하천이었던 지역일수록 다른 지역보다는 하상이 낮게 되어 있다. 상류 구간과 소양강 구간은 현재 하상이 과거 토지이용과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으나 하상이 낮은 곳과 높은 곳의 표고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의암호의 2006년과 2013년의 하상 변화량 자료와 수몰 전 지형도와 과거 지적도에서 구축한 토지이용을 비교하였다. 수몰 전 지형도에서 하천과 사지인 지역이 기타 용도로 이용되었던 지역보다 침식된 지역이 많았고 과거 지적도의 지목이 하천인 지역이 농경지인 지역보다 침식된 지역이 많게 분석되었다. 이 분석 결과에서 수몰 전 토지이용이 인공호수의 수몰 후 하상 변화량과 연관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수몰 전 토지이용과 수몰 후의 하상 변화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댐 건설로 생성 된 인공호수 내에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퇴적물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장애인 시설 봉사·체험활동 유무에 따른 일반 중학생의 장애 수용 태도 비교

        임상열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Comparison of non-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disability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at the facility for disabled people SANG RYOL, LIM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effect by gender in non-disable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at the facility for disabled people and thus to suggest basic data that would be instrumental in directing the plans to realize the welfare of a desirable society. According to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questions are made: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of effec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at the facility for disabled people?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of effect by gender in the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As a basic instrument for this study, Siller's Disability Factor Scales was used for measuremen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7 items, including 1) generalized rejection, 2) distressed identification, 3) inferred emotional consequences, 4) imputed functional limitation, 5) authoritarian virtuousness, 6) rejection of intimacy, and 7) interaction strain. The items are divided into 42 questions in total, including the personal, intellectual, and social factors of disabled people. Among th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Kkottongnae or Flower Village in Eumseong, North Chungcheong province, South Korea, was selected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at Geumcheon Middle School in the city of Cheongju in the same province.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2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voluntary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at the facility for the disabled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of 200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test was applied to verify the difference by gender in the attitude toward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ttitude toward disability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of voluntary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the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rejection of disable people in the social factors of generalized rejection and inferred emotional consequences, and the personal factor of rejection of intimacy with disabled people, and also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rejection. But i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for authoritarian virtuousness, the non-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authoritarian virtuousness, and also overall, the non-participants showed a higher level of authoritarian virtuousness. This finding that there didn't make any difference in their attitude between the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ill be important data for improving and establishing educational programs for non-disabled people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disabled people. Therefore, rather than periodic activities planned one-sidedly by the school authorities and led by teachers, more spontaneous and continuous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at the facilities for disabled people should be conceived . Second, According to a study surveying the difference by gender in the attitudes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regardless of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level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than female students. The socialization of gender roles, as a continuous, lifelong process that lasts from birth to death, functions to establish self-identity or status in society, or relationship with others depending on the gender.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akers and implementors of volunteer service or experience programs to come up with different roles and activities depending on the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