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PLC/MS/MS를 이용한 혈장에서의 fluconazole 정량법 개발

        임보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Fluconazole is an orally active bis-triazole antifungal agent, which is used in the treatment of superfical and systemic candidiasis and in the trearment of crytococcal infection in patients with the acquired immuno deficiency syndrome (AIDS). A rapid and specific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UPLC/MS/MS) method was develop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fluconazole in human plasma. The method was validated for the determination of fluconazole with respect to specificity, linearity, detection limit, precision and accuracy. This UPLC method was required 200 μl of plasma for simultaneous quantification within 2 min of fluconazole and letrozole (IS). First of all, a liquid-liquid extraction was performed with a 1.7um, 2.1×100mm column for fluconazole assay. The mobile phase consisted of methanol-0.1% formic acid in DW (55:45 v/v). Mass spectrometer interfaced with UPLC via electrospray ionization (ESI) was used for the mass analysis and detection by selected reaction monitoring detection using the positive mode. Good precision and accuracy were obtained for concentrations over the standard curve range (20 to 5000ng/㎖). Above analysis method supported very fast sample processing and running time give more help to clinical research area.

      • 긍정심리학 기반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보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blem behavior. Emotional intelligence testing and Caregiver-Teacher Report Form(C-TRF) were used, and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conducted with 28 children in classes for three years old at a daycare center located in Mapo-gu Seoul and one time for 10 sessions. A pre-test was conducted with the C-TRF to classify the subjects into a problem behavior group of 13 children and a normal behavior group of 15 children. A horticulture program was implemented by randomly choosing six key virtue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10 items that could be applied to children at a daycare center out of 23 character strengths. Also, each session was structured so that the children could talk about their own character strengths and express their positive emotions. In the result of the tes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all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e program,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improved in four sub-domains, including self-awareness, self-control, awareness of others, and control over others (P<0.001). In the meantime,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d in children in the problem behavior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horticulture program, and especially, their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behavior group in all domains except for the self-awareness domain. Thus, it was found out that the horticultural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problem behavior.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C-TRF for the children with which the horticultural program was implemente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ir problem behavior, it turned out that the reduction ratio of problem behavior was higher in children in the problem behavior group than in those in the normal behavior group. As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implemented, the children who had shown problem behaviors could express their positive emotions with horticultural activities showed active behaviors, e.g. They were interested more in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asked questions. Through this,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lso reduced the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horticultural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ctively, since its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reduction of their problem behavior have been recognized. Key words: Positive psychology, Horticultural activities, Emotional intelligence, Problem behavior 이 연구는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정서지능검사와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이 사용되었으며 원예 활동은 서울시 마포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만 3세반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 1회 총 10회기로 실시하였다.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으로 사전검사를 진행하여 문제행동 그룹 13명과 정상범주에 속하는 그룹 15명으로 구분하였다. 원예프로그램은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하여 6가지 핵심 덕목과 24개 성격 강점 중에서 어린이집 재원 유아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10개의 항목을 임의 선발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유아가 자신의 성격 강점에 대해 이야기하고 긍정정서를 표현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원예프로그램에 참여한 전체 유아의 정서지능 검사 결과에서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의 4개 하위영역에서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다(P<0.001). 한편 문제행동 그룹 유아들의 경우 원예 프로그램 실시 후 정서지능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자기인식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정상 그룹의 유아보다 평균점수가 높아 이 연구에서 실시한 원예프로그램이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원예프로그램 실시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TRF)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그룹 유아들이 정상집단의 유아들보다 문제 행동 감소률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문제행동을 보였던 유아들이 자신의 긍정정서를 원예활동으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에 저 관심을 보이고 질문하는 적극적인 행동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들의 문제행동 또한 감소시켰다. 따라서 긍정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원예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과 문제행동 감소 효과가 인정되어 긍정심리학 기반 원예프로그램의 적극 활용이 요구된다. 주요어 : 긍정심리학, 원예활동, 유아, 정서지능, 문제행동

      • 부모와 교사의 정서표현과 교사-유아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

        임보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의 정서표현, 교사-유아와의 관계,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와 교사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부모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2. 교사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교사와 유아의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부모와 교사의 정서표현, 교사-유아의 관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만 3-5세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16명과 유아 216명과 이들의 부모 216명이다. 연구도구로는 첫째, 부모의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와 Fox(1995)가 개발한 SEFQ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의 간편형 척도를 여은진(2009)이 번안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둘째, 교사의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Halberstadt(1986)의 검사도구를 최기영과 우수영(2001)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번안한 것을 수정한 이한애(2008)의 연구도구를 신용은(201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교사-유아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Pianta(1992)가 개발한 교사-유아관계척도(STRS: Student-Teacher Realationship Scale)를 이진숙(2001)이 번안하고 수정·보안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넷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주희,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다섯째, 또래수용 및 또래거부를 측정하기 위해서 Moreno(1934)에 의해 개발된 또래 지명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교사-유아와의 관계,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또래거부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의 정서표현 및 교사의 정서표현, 교사-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또래거부,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 교사의 부정적 정서표현, 교사-유아 관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부정정서표현과 교사-유아 관계 중 갈등, 의존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수용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관계 중 친밀은 갈등, 의존, 또래수용, 또래거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유아 관계 중 갈등은 또래거부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들 간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표현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정서표현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 및 거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사의 긍정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사교성, 친사회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부정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사교성, 친사회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교사의 정서표현이 유아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정서표현이 주도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또래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증가할수록 또래수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이 또래거부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관계 중 친밀은 유아의 또래유능성를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갈등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의존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사-유아관계 중 친밀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을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갈등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을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의존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의 부정 정서표현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을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친밀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수용을 정적으로 예측한다. 교사-유아관계 중 갈등은 유아의 또래유능성, 또래거부를 정적으로 예측한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또래수용 및 또래거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정서표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부모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 교사가 정서표현 및 유아에 대한 친밀도와 관련된 자기 이해와 반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교사교육에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rents‘ and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influence, teacher-child relationship,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between them. For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1-1: What is the effect of parental expression on the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1-2: What is the effect of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eacher- children relationship on the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of young childre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v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teacher-infant relationship on the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teachers, 216 children, and 216 parent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 aged 3-5 years ol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First, as a tool to measure the emotional expression of parents, Eunjin Yeo (2009) developed a simple scale of SEFQ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developed by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and Fox (1995). The researcher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ool to fit the study. Secondly, a tool for measuring emotional expression of teachers, Lee Han-ae (2008), was a research done by Halberstadt (1986), which has been revised and modified by Choi Ki-young and Woo-young (2001) to match the situations in Korea. This revised and complementary research was used. Third, to measure the teacher-infant relationship, Lee Jin-sook (2001) revised, modified and secu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Pianta (1992) and the Student-Teacher Realationship Scale (STRS). Fourth, the social ability scale developed by Park Ju-hee and Lee Eun-hae (2001)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Fifth, the peer nomenclature developed by Moreno (1934) was used to measur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First of all,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peer competence with peers,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children relations o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emotional expression did not affect their children's peer competence. Peer rejection decreased as the positive expression of parents increased, but the negative expression of paren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er rejection. Second, the more positive expressions the teachers have, the more social and pro social the children are. It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children’s prosociality. Peer acceptance decreased as teac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creased. Third, the more intimate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are, the more social, pro social, and initiative the children are, and the more conflict there is, the less sociability, prosociality, and initiative of the infant. Conflict between teacher and infa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er rej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emotional expression that affects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peer acceptance and peer rejec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arent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teachers who work with very young children with opportunities for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related to emotional expression and intimacy with young childre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each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