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球溫暖化에 關한 靑少年의 認知度 分析

        임만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지구온난화에 관한 인지도와 교육환경 등을 조사하여 이를 지구온난화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설문을 통해 직접 실시하였으며 2008년 8월에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주최로 실시된 생명환경과학캠프 참가자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851명이 그 대상이었다. 설문을 통해 (1)교육환경 (2)잘못된 인식 (3)편향된 인식 등의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도출된 주요한 결과와 그 분석은 다음과 같았다. 교육환경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TV 등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습득 기회 및 영향력을 받는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책이나 영화 그리고 인터넷도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학교교육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낮게 나타났으며 수련활동이나 캠프를 통한 정보습득의 기회는 매우 적었다. 다른 공부에 대한 부담 때문에 지구온난화 프로그램에 참여에 소극적인 학생이 다수 있었다. 잘못된 인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오존층파괴를 지구온난화의 원인으로 알고 있는 학생이 상당히 많았으며 대기오염 물질과 온실가스를 동일 시 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온실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많았으나 실제로 정확히 알고 있는 학생은 적었다. 원자력과 수소를 재생에너지라고 응답한 학생이 비교적 많았다. 편향된 인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실제로 경험하기 어려운 빙하감소, 해수면상승, 이상기후 등에 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서식지 변화, 생산량 감소, 생태계혼란 등에 관한 인지도는 낮았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개인이나 가정이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으나 국제적 협력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지구온난화로 경제가 어려워진다는 점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높았으나 친환경 산업이나 재생에너지 산업이 발달한다는 점 즉, 긍정적인 면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첫째, 학교에서의 지구온난화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교육자료, 전문성 등 여러 선행조건들이 해결되어야 하며 효율적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구온난화를 테마로 하는 수련활동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한다. 둘째, 성층권 오존과 대류권 오존의 서로 다른 역할을 정확하게 구별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환경문제의 역사성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 지구온난화 교육은 태양과 지구의 에너지 수지를 이해하는데서 출발해야 하며 실생활에서 접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나무, 토양, 물, 대기를 소재로 하는 지구온난화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모의 당사국총회 등 국제적 감각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새로운 산업과 기술의 미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영향은 강하고 다양하다. 청소년교육의 중요성을 인정한다면 지구온난화를 어떻게 교육해야하는가에 대하여 신중한 판단을 해야 한다. 지구온난화는 단순히 지구과학만을 가르치기 위한 수단이 아니며 에너지 절약만을 강조하기위한 도구도 아니다. 지구온난화는 자연과 인간의 교감과 상생을 대변하는 현상이며 사회의 새로운 질서를 요청하는 자연과학적이면서 철학적이며 정치경제적인 문제이며 사회적 합의와 국제적 협력의 문제이다. 따라서 지구온난화는 삶의 테마이며 청소년 전인교육을 위한 소재로서 심도 있게 재조명되어야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