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작품 「그 사이의 나」에 관한 연구

        임동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2021년 6월 17일 이화여자대학교 홀 Ⅰ에서 발표한 본 연구자의 무용 작품 「그 사이의 나」의 구상 단계에서부터 공연까지의 과정을 분석한 연구이다. 무용 작품 「그 사이의 나」는 본인의 이주를 통한 정체성의 변화와 혼란의 경험을 토대로 안무되었다. 이를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 안에서 주체적인 자신의 삶이 아닌 ‘타자화 되어가는 사회현상’에 투영하여 작품의 주제와 안무 의도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작품의 주제가 핵심 개념과 함께 어떻게 예술적으로 형상화되었는지 작품에 표현된 움직임을 중심으로 그와 연계된 예술적 표현 요소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작품의 안무 의도는 다음과 같다. 무용 작품「그 사이의 나」는 안무자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모호해진 경계를 살아가는 현대사회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품에 담고자 하였다. 지역적으로 모호해진 경계는 오히려 너와 나로 나눠지는 이분법적인 경계를 만들었다. 이러한 경계에서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가지 못하고 ‘타자화’되어가는 과정을 ‘변화하는 정체성’으로 작품의 주제로 발전시켰다. 또한 이를 통해 역설적으로 ‘서로의 다름을 인지하고 인정’하는 기회가 되며,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는 자기 성숙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미래지향적인 긍정의 메시지를 작품에서 전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의 핵심 개념인 호미바바의 『문화의 위치』(1994)에 소개된 ‘양가성’, ‘혼종성’, ‘제 3의 공간’은 문화 간의 ‘역동적인 교류’를 통한 ‘창조적 공간’인 제3의 공간을 제시함으로써 발전적인 시각으로 문화를 조망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화적 정체성을 긍정적인 측면에서 바라보고 이를 통해 ‘다양하고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생성’하는 ‘새로운 문화창조의 장’을 ‘변화되는 정체성의 끊임없는 성숙의 과정’으로 작품에서 총 3장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안무 작품「그 사이의 나」를 통해 다양해지는 현대사회의 삶 속에서 자신의 ‘주체적 정체성’을 갖고 그 안에 ‘다양함을 수용’한다면 그 과정은 힘들더라도 더 온전한 자신의 삶을 살 수 있음을 말하고자 했다. 또한 빠르게 변화되는 융복합시대에 자신의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안무자만의 답을 제시함으로써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소통의 작품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본인의 안무작품을 분석함으로 안무자의 예술적 가치관을 체계화시키고, 나아가 독창적인 표현 방식을 만들어나가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analyzed and researched the entire creative process from the initial planning to the final stage of dance performance regarding the author’s dance work titled「In-between Myself」that was presented in Hall I of Ewha Womans University on the 17th of June in 2021. The dance work of「In-between Myself」was choreographed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 of changes and confusion in the identity as a result of the emigration. The author attempted to express the main ideas of the dance work and the choreographic objectives by reflecting these experiences of the author’s on the ‘social phenomenon of otherization’ for those not being able to live independent lives of their own selves in this fast-changing modern era. The current thesis was based on the theory by Homi K. Bhabha on ‘ambivalence’, ‘hybridity’, and ‘the third space’ that was introduced in「The Location of Culture」(1994). By adopting these concepts, the aim of the current thesis was to analyze how these concepts were artistically materialized in the dance moves of the dance work to express the main themes. The choreographic objectives of the present dance work are following. The dance work composed of three chapters in total attempted to describe life stories of those living in ambiguous boundaries of the modern society based on the choreographer’s personal experiences. Geographically ambiguous boundaries ironically made binary boundaries of you versus me. Based on these, the author regarded the process of ‘otherization’ for those not being able to live lives of their own selves as ‘changing identities’, which is the main idea of the present dance work. Furthermore, the author also attempted to deliver the future-oriented positive messages that this process could ironically lead to a ‘self-retrospective self-maturing process’ after ‘acknowledging and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each other’. ‘Ambivalence’, ‘hybridity’, and ‘the third space’,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the present research work, view culture from the productive perspectives and suggest the third space as the ‘creative space’ developed from ‘dynamic interactions’ among various cultures. The author, also focusing on the positive aspects of the cultural identity, viewed a ’new field of cultural creation producing various and infinite potential possibilities’ as an ‘constantly maturing process of changing identities’. These ideas were symbolically choreographed and constructed in each of the chapters 1, 2, and 3 of the dance work to materialize the identity-changing process focused on the inside of a own self instead. In sum, in the dance work of「In-between Myself」, the present choreographer tried to argue that people could live their own lives more holistically in this ever-diversifying modern society when they ‘accepts diversity’ while holding ‘their own independent identities’ no matter how difficult the process might be. Moreover, the author hopes the current dance work to be the empathetic work of communication by raising the question of how to live a life as a own self in this fast-changing multidisciplinary era and suggesting some answers to it. Finally, this thesis has its meaning in attempting to organize the author’s artistic integrity and create original method of expression by analyzing the author-choreographed work.

      • 不動産仲介 共濟事業의 운영 合理化 방안 : 공제서비스 만족도를 중심으로

        임동진 목원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공인중개사는 권리(權利)와 의무(義務)가 상호 이전되는 부동산거래 계약과정에서 법률적 지식이 부족하거나 거래경험이 적은 시장참여자들의 합리적인 계약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장가격에 대한 거래정보의 전문성과 거래당사자간의 가격형성과정에 개입함으로써 합리적인 시장가격의 조율능력(調律能力) 및 윤리적으로 높은 도덕성이 요구된다. 이에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거래신고에 관한 법률 제1조에서는 부동산중개업을 건전하게 지도, 육성하고 투명한 부동산거래질서를 확립하여 국민 경제에 이바지할 것을 법률의 입법목적으로 정하고 있다. 동법 제30조에서는 공인중개사의 중개행위로 인해 거래당사자에게 재산상 손해가 발생하게 된 경우를 대비하여 부동산중개업 개설 등록 전 의무적으로 손해배상책임의 담보(擔保)를 위해 공제(共濟)나 보험(保險)에 가입하거나 법원에 공탁(供託)을 하는 방법으로의 업무보증 설정을 강행법규로 규정하고 있다. 업무보증 설정은 불측의 거래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공인중개사의 대부분은 한국공인중개사협회가 운영하는 공제에 가입하고 있어 공제사업의 건전성과 공제기금의 안정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대두되고 있는 문제로 비합리적인 공제금 지급 시스템, 보상심의위원회에 대한 불신 등 소비자 측면의 문제는 물론 비효율적인 공제요율 적용에 따른 공제가입자의 이탈, 지속되는 불황으로 인한 중개사고의 급증 등 부동산중개 공제의 건전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개설 등록한 공인중개사 중 업무보증 설정을 공제로 한 공인중개사, 즉 공제가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부동산중개제도의 일반적 사항에 대해 실태를 분석하고 부동산중개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사고 경험자와 무경험자의 두 집단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동산중개 공제서비스에 대한 가입자의 만족도(滿足度)와 신뢰성(信賴性)을 구조방정식모델로 분석하였다. 만족도(滿足度) 분석결과 공제가입자가 느끼는 비용적 측면에서의 만족에는 개인적 특성과 사고특성이, 절차적 측면에서의 만족에는 사고특성이, 협회 구성적 측면에서의 만족에는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제사업 만족도에는 주로 사고특성과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인 만족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사고 유무에 따른 항목별 만족도 차이 검정결과 공제금 청구와 지급절차를 제외한 모든 만족도에서 사고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고 경험자는 사고 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이 효과적이었다고 만족하는 반면 사고 무경험자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중개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소 10% 유의수준 하에서 중개사무소 종별, 영업기간, 중개건수가 사고 유무에 영향을 미치며 연령은 사고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부동산중개 공제는 중개사고에 대한 사후적(事後的) 장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공제의 건전성을 위해서는 사전(事前) 예방책 마련이 중요하며, 공인중개사에 대한 교육제도와 부동산중개업 (재)진입에 따른 여과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공제의 구조적인 문제로 발생하는 지급불균형, 즉 공제와 공탁간 보상한도의 차이나 비합리적 공제금 지급 시스템, 보상심의위원회에 대한 불신 등 소비자 측면에서 야기되고 있는 불만사항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공제요율 적용 형평성에 대한 개선작업이 필요하다. 즉 위험도를 세분화하여 비체계적으로 적용되는 공제요율을 개선해야 할 것이며, 공제사업자 측면의 경험요율과 공제가입자 측면의 탄력요율제를 도입해야 한다. 넷째, 공제사업자가 공제가입자에 대한 구상권(求償權)을 행사함에 있어 존재하는 불합리성이 공제기금의 안정성에 저해됨을 알 수 있으므로 구상권 및 대위권(代位權)에 대한 세부적 지침마련이 필요하다. 향후 부동산중개 공제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공제사업자인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물론 정부 역시 부동산중개 공제사업의 건전성과 안정성에 부합되는 측면에서 소비자와 공제가입자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MG63 및 MC3T3 세포와 세포외 기질과의 결합에서 Thrombospondins 역할 : Thrombospondin-antisense MG63과 MC3T3 세포주 확립을 통한 고찰

        임동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트롬보스폰딘(thrombospondins, TSPs)은 암세포의 침윤, 전이, 혈관형성 및 골형성에 관여하는 분비성 세포외 당단백으로, 다양한 세포에서 부착 기질로서의 역할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람의 골육종 세포주인 MG63과 생쥐 전골아세포주인 MC3T3에서 TSP-1 또는 TSP-2 단백 형성이 억제되도록 유전자 조작한 역전사(antisense) 세포주를 확립하고, 이러한 세포들의 부착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골 형성능을 지닌 세포 부착에 대한 TSP-1과 TSP-2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먼저 TSP-1과 TSP-2의 역전사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 역전사효소중합법을 이용하여 MG63 세포의 RNA로부터 번역 개시 부위를 포함하면서 Xoh I (5'말단)과 Kpn I (3'말단)이 연결된 TSP-1, TSP-2 cDNA 분절을 얻었다. 이 cDNA를 같은 효소로 처리된 에피솜 발현 벡터 pREP4와 결합시켜 TSP-1과 TSP-2의 역방향 핵산을 생성하도록 하는 구조체를 만들었고, 이들을 각각 리포솜과 함께 세포에 주입한 후 hygromycin B로 2주간 선택 배양하여 TSP-1, TSP-2 역전사 세포주를 확립하였다. 세포주에서의 TSPs 생성 억제는 다클론 TSP-1, TSP-2 항체를 이용한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세포 부착증 평가 실험에서, TSP-1, TSP-2가 결여된 MG63 세포는 폴리스티렌 세포 배양판에서 대조군 세포에 비해 각각 83%, 79%의 부착 감소가 나타났으며, MC3T3 세포에서도 각각 81%, 73%의 부착 감소가 초래되었다. 제1형 콜라젠이 도포된 세포 배양판에서 MC3T3 세포 부착은 TSP-1, TSP-2가 결여된 세포군에서 각각 73%, 34%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서 MG63, MC3T3 세포에서의 TSP-1, TSP-2 단백 형성 결여는 세포의 부착 능력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으며, 이는 TSP-1과 TSP-2 단백이 골형성 능력을 지닌 세포와 세포외 기질과의 부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rombospondins (TSP-1, TSP-2) are secretory extracellular glycoproteins that are involved in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cesses such as tumor cell adhesion, invasion, and metastasi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involvement of thrombospondins in the adhesion of osteoblast-like cells using the TSP-1 or TSP-2 antisense MG63 and MC3T3 cell lines. To make antisense constructs of TSP-1 and TSP-2, Xoh I(5')-and Kpn I(3')-linked TSP-1 and TSP-2 cDNA fragments including the translational initiation site, were obtained from total RNA of MG63 cell by RT-PCR reaction, and ligated with enzyme-restricted pREP4, an episomal mammalian expression vector, which produces the specific antisense oligonucleotide near the chromosome. For the stable TSP-1 and TSP-2 antisense cell lines, the ligated cDNAs were transfected into MG63 and MC3T3 cells with liposome, and then transfected cells were selected under hygromycin B (50 ㎍/ml) treatment for 2 weeks. Western blot analysis using TSP-1 and TSP-2 polyclonal antibodies revealed that expressions of the TSP proteins were blocked in the antisense cell lines. The cell adhesion assay showed that adhesive activities of TSP-1 and TSP-2 antisense MG63 cells on the polystyrene culture plate were reduced to 17% and 21% of the control cells, respectively, and that of the TSP-1 and TSP-2 antisense MC3T3 cells also decreased to 19% and 27% of control, respectively. Adhesion of TSP-1 and TSP-2 antisense MC3T3 cells on type I collagen-coated culture plate decreased to 27% and 76% of the contro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uppression of TSP-1 or TSP-2 expression elicits to adhesive defects of MG63 and MC3T3 cells to extracellular matrix, and it suggests that TSP-1 and TSP-2 proteins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adhesion of osteoblast-like cells.

      • HMR 편의점 도시락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가구유형과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동진 慶州大學校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study is first to identify the impa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CVS Dosirak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ype of household and brand image of CVS Dosirak.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from the previous literatures review to test proposed hypothes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516 customers at the Capital area from Dosirak internet community at the Capital area. Statistical method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while safety of CVS Dosirak gets comparatively high score among selection attributes, healthy gets the lowest score. Second, while tastes, economics and convenience among selection attributes of CVS Dosirak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ut safety and healthy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ird, type of household has a significant and nega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economics and healthy among selection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at means households living together than one-person household has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as economics or health of Dosirak increases. Forth, brand imag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moderating effect between taste and safety among selection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at means higher brand image group than lower brand image group has higher job satisfaction as taste or safety of CVS Dosirak increases.

      • 기록콘텐츠의 객관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아시아역사자료센터의 인터넷 특별전을 중심으로

        임동진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본 국립공문서관의 소속기관으로 편제되어 있는 아시아역사자료센터(이하, 센터)는 이웃해 있는 아시아 국가들과의 역사적 관계를 직시하기 위한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센터의 핵심 사업은 ‘아시아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다. 일본의 국가기관에서 제공받은 아시아역사자료를 전자 정보의 형태로 축적하여 인터넷 서비스망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기록관리 체계의 기조가 ‘보존’에서 ‘활용’으로 변화함에 따라 점차 다양화되는 이용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주목 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기록콘텐츠이다. 센터는 이용자층을 넓히기 위한 취지로써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된 기록콘텐츠를 ‘인터넷 특별전’이라는 명칭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센터의 인터넷 특별전은 역사 해석의 객관성 유지가 담보되지 않는다는 커다란 맹점을 지니고 있다. 즉, 일본 국가기관의 기록을 토대로 생성된 기록콘텐츠는 당시 자국 정부의 의지 위주로 해석되기 때문에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맥락으로 구성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역사기록의 공용(共用)을 통하여 전시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의 객관성 유지가 담보되지 않는 주된 원인이 기록군의 전체성에 입각하지 않은 콘텐츠 제작에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때 본고는 아시아역사자료센터의 인터넷 특별전을 사례로 선정하여 전시를 구성하고 있는 제반 배경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상생하는 아시아 역사기록 콘텐츠 체계 구축을 위한 방향을 거시적ㆍ미시적으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기록군의 전체성 확보를 위한 실천방안으로 역사와 관련된 아시아 각국의 기관과 시스템ㆍ데이터의 연계를 토대로 기록콘텐츠의 제작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때 아시아 역사와 관련된 자료가 전면적으로 공개되어 자유로운 기록의 공유를 위한 기초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기록콘텐츠의 주제 설정되기 위해서는 자국 내에 있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데이터를 연계하여 객관성을 담보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객관화된 기록콘텐츠 개발을 위해서 콘텐츠 전문 자문단이 운영되어야 한다. 다양한 국적의 전문인력이 콘텐츠 제작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주제의 선정부터 역사를 직시할 수 있는 자세를 견지해야 할 것이다. 낱개의 기록은 역사적 사실의 일부를 증거하지만, 역사의 모든 것을 알려주지 않는다. 기록의 파편은 기록군의 전체를 살펴봄으로써 사실로서의 증거가 명확해진다. 이에 입각하지 않은 역사관련 기록콘텐츠는 전시 주체의 기획 여하에 따라 객관성을 보증하기 어려워진다. 아시아 각국은 기록군의 전체성 확보를 위한 노력에 경주하여 역사기록의 공용화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The Japan Center for Asian Historical Reco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enter"), an affiliated organization under the National Archives of Japan, was established partly to face Japan's historical relationship with its Asian neighbors. The core project of the Center is "to establish a database of Asian historical materials." That is, the project tries to accumulate Asian historical materials kept at national agencies of Japan in the form of electronic information and establish a database of Asian historical materials, thereby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an Internet service network. Meanwhile, as the basis for the archival management system has turned from "preservation" into "utilization," archival contents have begun to attract attention in response to increasingly diversifying demands from users. In order to expand the user base, the Center operates archival contents which were made by gathering and organizing materials on a certain theme under the title of "Internet Exhibition." However, there is the weak point that keeping objectivity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not guaranteed in the internet exhibition by the Center. That is, as archival contents which were creat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in national agencies of Japan were interpret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 it is apparent they are composed in a way to represent the government's position.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at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exhibitions through sharing historical records. The study judged that keeping objectivity in the interpretation of history is not guaranteed mainly because the production of contents is not based on archival integrity. This study, therefore, selected the internet exhibition by the Center as an example to critically explore all the background that comprises such exhibition, Based on this, the following suggests were made after approaching macroscopically and microscopically th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archival contents system. First of all, as a way to secure archival integrity, the production base for archival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on of the history-related agencies, systems, and data of each Asian country. During this process, data related to Asian history should be fully publicized, forming the foundation for free sharing of records. That is, in order to set the theme for archival contents, objectivity should be guaranteed by combining data in Japan and international data. After this, in order to guarantee objectivity in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s, an advisory group specialized in contents should be operated. When people of various nationalities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ontents, people maintain attitudes to face history as it was from the stage of selecting the theme. Each record tells a part of historical truth, but does not tell entire history. Fragmented records become definite proofs for truth when the integrated archives are examined. History-related archival contents which are not based on this can hardly guarantee objectivity according to the plan of the exhibition organizer. Every Asian country should move towards to the sharing of historical records, competitively making efforts to secure archival integrity.

      • 통합체육교육에서 활용되는 협력교수 및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비교

        임동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eneral and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teaching and teaching modifications used in integrated physical. If the appropriate types of cooperative teaching are selec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teaching modifications suitable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are provided,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n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erception of the two groups that are the main players of edu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Both groups were well aware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ypes of cooperative teaching and the types of teaching modifications. The general teacher selected the ‘one teach, one assist’ type in health and safety, and ‘team teaching’ as the most appropriate type in challenging, competing, and expressing areas. Special teacher selected ‘one teach, one assist’ type in challenge area and ‘team teaching’ in health, competition, expression, and safety area as the most appropriate type. In addition, general teachers selected ‘Mod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s’ in health and safety areas, ‘Mod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in challenging areas, and ‘Modification of teaching groups’ in competition and expression areas as the most necessary types. Special teachers selected ‘modification of teaching environment’ in the competition area and ‘modification of assessment methods’ in the health, challenge, expression, and safety areas as the most necessary.

      • 메이지 전기 일본 료칸 연구 : 서양인의 기록을 중심으로

        임동진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roles of accommodation of Ryokan in the early Meiji period. Early Meiji period in Japan would be the period of revolution, attempting to various changes, such as correcting or repainting over previous conventions or customs following the adoption of western cultures in every sides. Therefore, it was the transition times that underwent the transform of the regulations of accommodation for visitors from the outside as gradually released by the Meiji new government. Today's Japanese Ryokan is commonly known as the general term of Japanese unique accommodation that was completely finished its styles and patterns and services after integrating into the Meiji period of various Japan accommodations through their continuously changes and developments in the effects of the modern civilizations. In the meantime, externally-developed transportation was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Japanese tourism to move Westerners during the early Meiji period so that Japanese domestic travel restrictions for Westerners to visit and stay in Japan had been more relaxed dramatically than before. Westerners who had traveled in Japan were used to stay in local accommodations naturally in the course of a trip around Japan, and some of them left their travel records with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raveling about local accommodations including Ryokan. This study has selected and explored records of Westerners to investigate various aspects of the Ryokan because Japanese citizens could not feel the characteristics of Ryokan as the daily scenery around them. At first, this study intensively illuminates valuable historical document, "Meiji Japan Tour -A Handbook for Travellers in Central and Northern Japan-" which was written by Ernest Mason Satow, is the special document that can be ob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a Westerner about the accommodation of Ryokan.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12 records of Westerners such as Basil Hall Chamberlain, Bird Isabella Lucy, Edward Sylvester Morse, Erwin von Bälz, Pierre Loti and so on who left their experiences of the accommodation of Ryokan during stayed in Japa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Westerners' records about the form of systems and functions of Ryokan, it was turned out that the accommodation in early Meiji period had borrowed functional advantages of the accommodation of Edo period,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In particular, Ryokan had introduced the new Western way of life including chairs, tables and so on in order to attract a large Western customers, as the result, which was meaned to Ryokan’s position into the rival with the Western Accommodation Hotel at his rise and expansion in Japan. Along with the history of the records Westerners’, we can find two different landscapes of descriptions have been superimposed about the scenery of Ryokan portrayed as generally being outdated and on the other hand clean, careful, beautiful, attentive. Staying in Ryokan today, a traditional space coming handed down of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art, lifestyle, is similar to feel Japan itself.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Ryokan serves as an image or a symbol to represent the state of the identity of Japan. Therefore, a variety of guests looking for a traditional Ryokan are conceptualized as links and symbolic places between the tradition and contemporary, and experience the atmosphere of old Japan, a non-routine space of the modern world. However, the form and style of the current Ryokan has not very long history when viewed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Japanese accommodations. The guests of today just can feel the old-fashioned elegance and tradition of Japan thorough the Ryokan in the result of the successful succession process and changing times due to the non-interruption of functional integr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Japanese people and Japanese accommodations owners had took the leading part of the process of succession and the integration of these traditions more than anything. However, its value would definitely existed until this day due to the reflected Westerners’ tastes. This study can be help to access the awareness of reality on Japan’s Ryokan culture to kick out the vague illusion about Japanese unique tradition that was originated from ancient times which nobody knows or very deep beyond historical description. 메이지 전기(前期)의 일본은 서양문물의 수용을 통하여 이전의 관습을 교정하거나 덧칠하는 등 다양한 변화를 시도한 혁명기였으며, 외부의 방문자를 위한 숙박시설에 대한 규제도 메이지 신정부에 의해 점진적으로 해제됨에 따라 기존의 숙박시설에 변화가 초래된 과도기였다. 오늘날 일본식의 고유한 숙박시설로 총칭되어 불리는 료칸(旅館)은 근대 문명의 보급과 함께 근세까지 발달해 온 여러 종류의 숙박시설이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면서 메이지 시대에 통합되어 비로소 완성된 일본의 독자적인 숙박시설이다. 한편 메이지 전기는 대외적으로 교통이 발달되어 서양인이 이동하는 관광여행의 범위에 일본이 포함되게 되었으며, 일본 내부에서도 서양인에 대한 국내여행의 제한이 사실상 해금됨에 따라 서양인이 일본을 방문하고 체류할 수 있는 여건이 이전 시대보다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일본에 체제하게 된 서양인은 일본을 여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현지의 숙박시설을 이용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자신의 숙박 경험과 인식을 여행기, 체류기 등의 기록으로 남겼다. 이 논문의 목적은 메이지 전기에 재정립되는 료칸 개념과 역할의 변화와 당시 숙박시설에 대한 인식과 평가의 특징적 추이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때 본고는 자국민은 일상화되어 느끼기 어려운 료칸의 다양한 면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당시 일본을 방문했던 서양인의 기록을 선정하여 탐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메이지 전기 일본 료칸의 변화를 서양인의 시각에서 관찰할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인 어니스트 사토(Ernest Mason Satow)의『메이지일본여행안내』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아울러 당시 일본에 체류하며 숙박시설에 대한 경험담을 기록으로 남긴 바질 홀 체임벌린(Basil Hall Chamberlain), 에드워드 모스(Edward Sylvester Morse), 에르빈 폰 벨츠(Erwin von Bälz), 이사벨라 버드(Isabella Bird Lucy), 피에르 로티(Pierre Loti) 등 서양인의 기록 12건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메이지 전기가 현대 일본의 고유한 문화로 손꼽히는 것 중 하나인 료칸 형성의 주춧돌 역할을 한 과도기라는 점을 논하고자 한다. 료칸 시스템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서양인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메이지 전기를 맞이한 숙박시설은 변화의 필요에 따라 에도 시대 숙박업의 기능상의 장점을 차용하고 있는 것이 드러났다. 특히 서양인의 이동이 많은 특정 지역의 료칸은 서양인 고객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자, 테이블 등 서구문물을 도입하는데, 이는 서양식 숙박시설인 호텔의 등장과 영역 확장에 따른 료칸과의 경쟁관계를 암시하는 변화였다. 이와 함께 숙박시설의 옥호(屋号) 분석을 통해 메이지 전기에는 료칸이라는 업태(業態)가 아직 등장하지 않았지만, 이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 시기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료칸이 형성되는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일본 숙박시설의 구분조차 어려웠던 서양인의 인식과 불합리한 숙박 요금체계에 대응하는 서양인의 자세, 그리고 영어 간판을 설치하여 서양인을 모객하는 료칸 경영자의 모습이 서양인의 자료에 기록된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라고 판단된다. 이와 함께 서양인의 기록에서는 메이지 전기 일본 료칸의 풍경이 전체적으로 낙후되어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깨끗하고, 정성스럽고, 아름다우며, 세심하여 흥미를 유발시키는 서로 다른 두 가지의 풍경이 포개져 중층적으로 퇴적되는 모습의 서술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일본의 전통적인 문화예술, 생활양식 등이 현대의 시점에 이르기까지 고스란히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전통적인 공간인 료칸에서 머무른다는 것은 일본 그 자체를 느끼는 것과 비등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료칸은 일본의 국가 이미지 혹은 일본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징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료칸을 찾는 다양한 숙박객들은 전통과 현재의 연결고리이자 상징적 장소로서 료칸을 개념화하고 있으며, 옛 일본의 정취를 현대의 비일상적 공간에서 체험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료칸의 형태는 일본 숙박시설의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다만 기능의 단절이 아닌 통합에 의한 계승 과정과 변화하는 시대에 따른 보완과정을 거친 료칸에서 숙박객들은 일본의 전통과 고풍스러운 품격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러한 전통의 계승과 통합의 과정들 속에서 일본ㆍ일본인이 주체가 된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지만, 분명히 서양인의 기호가 반영된 전통 역시 존재하기에 그 가치가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지금 이 시기에 우리가 체험하고 있는 일본의 고유문화를 일회적인 사건으로 치부하거나 고대로부터 연원한다는 식의 막연한 환상을 걷어내는 시대 인식에 접근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 생활체육 농구선수들의 운동 상해에 관한 연구

        임동진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research with respect to sports injury(type, cause, region, situation, season, prevention, treatment) of life-time sports basketball players. Sample (total 187 person) for this study were belonged to area life-time sports basketball players association. Self-administration method was used based on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chi-square) were done by using statistic program SPSS Windows 14.0. Sports injury(type, cause, region, situation, season, prevention, treatment) by age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001). Sports injury(type, cause, region, situation, season, prevention, treatment) by position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001). Sports injury(type, cause, region, situation, season, prevention, treatment) by exercise career differ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001). Systematic exercise programs and exercise trainers are urgently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sports injury of the life-time sports basketball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