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재활용 체계를 반영한 자체처분 콘크리트의 규제 적합성 평가

        임근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7년 고리 1 호기의 영구 폐쇄로 시작하는 국내 원자력 발전소 해체 일정은 호기당 약 18만 ton의 자체처분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대량의 콘크리트 폐기물을 무제한으로 자체처분이 승인될 시, 국내 자체처분 폐기물 규제체계가 이를 충족하는지 확인하여 그 기초가 되는 IAEA SRS No. 44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국내 실정에 맞게 각 원자력발전소가 소속한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자체처분 콘크리트 폐기물이 관리된다고 보고, 평가에서 고려하고자 하는 물량과 희석계수에 대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 연 최대 약 90,000 ton의 자체처분 콘크리트 폐기물이 발생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내에서 자체처분 콘크리트를 일반 폐콘크리트 재활용 현장에 혼합할 시 발생 가능한 희석계수의 최대값인 0.119를 적용하였다. 국내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용도와 건설현장의 관행 등을 반영한 입력값과 수학적 모델, RESRAD-ONSITE 코드를 이용하여 4가지 시나리오를 평가했다. 그 결과, 재활용 시나리오에 대한 최대 연간 피폭방사선량은 성토 시나리오 제외, 자체처분 허용선량(즉, 10 μSv/y) 보다 작을 것으로 평가된다. 성토 시나리오에 대한 예상 피폭방사선량은 희석계수에 따라 19 ∼ 161 μSv/y로 확인되었으며, 자체처분 허용선량 및 허용농도를 만족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른 대응책 모색을 위해 추가적인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부거주율과 희석계수가 주요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희석계수 0.2 이하가 되게 배합하는 방법, 체류시간이 800시간미만으로 예상되는 용도에만 성토를 제한하는 방법, 희석계수 0.119로 혼합한 후 일 18시간미만의 체류기간이 예상되는 용도에 이용하는 방법의 보완책을 적용을 하여 자체처분을 실시할 시, 현행 자체처분 규제체계를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행하였던 시나리오별 평가에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자체처분 대상 지역의 특성, 콘크리트 재활용에 따른 희석계수 등을 반영할 시 평가의 불확실성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금오공과대학교 건축물 및 외부공간 이미지평가에 관한 연구

        임근수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In this study, I performed the psychological analysis on campus facilities and open space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evaluation on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campus is related to the image evaluation of the campus users.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cognitive structure and the image evaluation structure of users, i.e., students, on the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of campus buildings and open space. The investigatio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gnitive structure of students on the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was different from building to building.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elements, the campus buildings were rated high, if they were designed with emphasis on symbolic elements, while the campus buildings with simple design were rated low. However, the morphological elements exhibited the opposite results. 2) I extracted six factors by performing the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students showed a different structure of image evaluation for each building. In addition, the image evaluation structures were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cognitive structures on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elements. 3) I also perform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mage evaluation structure and cognitive structure on architectural and morphological aspect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each building showed different correlation patterns. In addition, the overall image became better, as they appraised “clarity” and “uniformity” more highly. 4) In planning campus open space, it is necessary to ensure open view and simplicity, but it should be avoid to make open space too desolate or poor image, and open space should be designed to have bright and clean image. 5) Finally, outside area of a university gate should not become distracted street scene. It is necessary to improve street scene through the district unit planning.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planning of park and greenery, square that can accept a lot of activities of students at t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