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초·중등학교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이희란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and awareness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nutrition teacher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an effor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how to provide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in the area of school food service and on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nutrition education, as it's been seven years since nutrition teachers were supplied to schoo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elementary and secondary nutrition teachers or dietitian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in person and by e-mail, the answer sheets from 221 respondents(63%) were gather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2 respondents(91.5%)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incomplete one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state of nutrition education, every nutrition (dietitian)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Out of them, 26.7 percent offered nutrition education in a direct way, and 73.3 percent did that in an indirect way. As for the form of instruction, major teaching method and major content of education, the biggest group of the respondents who offered nutrition education in a direct way did that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and many(70.4%) of them gave lectures. They dealt with balanced diet and nutrition the most(48.1%), and time constraints for class preparation that resulted from heavy workload related to food management was cited as the biggest barrier to direct nutrition education(29.6%). In the case of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the most widely used method was sending printout such as home report(56.8%), and balanced diet and nutrition(43.9%) were most widely covered, followed by building up the right dietary habits(31.1%) and food hygiene and personal hygiene(20.3%). The most commonly used route for the colle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was the Internet(78.4%), and the great problem with indirect nutrition education was its ineffectiveness(45.3%). As to the total frequency of nutrition education, direct nutrition education was provided once or twice a week(44.4%), and indirect one was conducted once a month(90.5%). Second, their awareness of nutrition education was analyzed. Regarding the expected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the right knowledge of food was expected the most(3.81), followed by the acquisition of good table manners(3.79) and correction of unbalanced diet(3.63). The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regarded excessive intake of processed and instant food(4.17) as the biggest problem with children's nutrition, and having an unbalanced diet(3.96) was widely pointed out as well. Lack of appetite(2.75) and feeble health(2.86) weren't regarded as great problems. As a result of ask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nutrition education, building up good eating habits(4.30) was most stressed, followed by good table manners(4.24)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health(4.18). As a result of asking how to ensure the efficiency of nutrition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by grade(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most emphasized. The second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 a regular basis, not temporarily(4.26), and the third most important thing was extended on-the-job training for nutrition teacher (dietitian)(4.19), followed by combined guidance for existing subjects and health(3.99). They placed the least importance on the preparation of laboratory for cooking practice and related facilities(3.86). As to the general state of nutrition instruction, they replied that a nutrition teacher(dietitian) should be in charge of 500 students or less in case he or she would be responsible for both school food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76.7%). As a result of asking them when they wanted to provide nutrition education, the largest group answered it should depend on school circumstances(46.5%). 69.8 percent replied it would be advisable to use one or two class hours per week in case of providing nutrition education on a yearly basis, and 25.7 percent answered three or four school hours should be allocated. In the future, more intensive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that education. To ensure the efficiency of nutrition education, detailed standards should be laid out, and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the age and level of students should b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Unnecessary administrative duties should be eliminated, and documentation related to school food service should be streamlined. Thus, how to relieve the burden of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more diverse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their job analysis. Finally,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themselves should make a ceaseless effort to improve their qualifications to provide quality nutrition education with responsibility and a sense of mission, and more nutrition teachers should be secured to help every school to be equipped with a nutrition teacher.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가 학교에 배치된 후 7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여 앞으로 학교급식에서의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사항과 바람직한 영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남지역 초·중등학교 영양(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직접조사와 전자우편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221부(63%)를 회수하였고, 이 중 무응답이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02부(91.5%)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교육의 실태는 영양(교)사 모두가 100%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중 직접적인 영양교육 실시(26.7%), 간접적인 영양교육 실시(73.3%)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영양교육 시 사용하는 수업형태는 재량활동시간(68.5%)이 가장 많았고, 주된 교육방법은 강의식 수업이라는 응답이 70.4%로 높았으며, 가장 많이 다루는 교육내용은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48.1%)이라고 응답하였고, 직접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급식관리 업무의 과중으로 인한 수업 준비 시간의 부족(29.6%)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가정통신문 등 유인물 발송(56.8%)이며, 가장 많이 다루는 교육 내용은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43.9%), 올바른 식습관 형성(31.1%), 식품위생과 개인위생(20.3%) 순으로 나타났으며, 영양교육 자료의 수집 경로로는 인터넷 자료(78.4%)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가장 큰 문제점은 영양교육의 효과가 낮음(45.3%)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육의 총 실시빈도는 직접적인 영양교육 시 주1회~2회(44.4%)실시 되었으며, 간접적인 영양교육 시 월1회(90.5%)실시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영양교육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식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 습득(3.81)이 가장 높았으며, 바른 식사예절 확립(3.79), 편식교정(3.63)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아동들의 영양문제 대해 영양(교)사들은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의 과잉섭취(4.17)를 가장 큰 문제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편식(3.96) 또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식욕부진(2.75)과 허약아(2.86)에 대한 영양문제는 낮게 나타났다. 영양교육 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으로는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4.30)이 가장 높았고, 올바른 식사예절(4.24), 건강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고취(4.18) 순으로 나타났다. 효율적인 영양교육 방안에 대해서는 학년별(초등·중등·고등)학습 자료들의 개발(4.28)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일회성이 아닌 정기적인 수업으로 정착(4.26), 영양(교)사 전문 직무연수의 확대(4.19), 기존 교과목 및 보건과의 연계지도(3.99) 순이었으며, 조리실습 등을 위한 적합한 실습실 및 설비시설 구축 방안(3.86)은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영양수업의 실태를 살펴보면 급식업무와 영양수업 병행 시 영양(교)사 1인이 담당할 수 있는 적정 학생수는 500명 미만(76.7%)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영양수업을 실시하기를 원하는 시간은 학교실정에 맞게 해야 한다(46.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간 수업 실시 시 주당 할 수 있는 수업시간은 1~2시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69.8%였으며, 3~4시간이 25.7%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다 질 높은 영양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소극적인 영양교육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영양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교육방법을 모색하고, 정기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효율적인 영양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영양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학생의 연령 및 수준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교육부,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마련해야 하고, 불필요한 행정업무를 개선하고 급식 관련 형식적인 문서를 간소화하는 등 영양(교)사가 직무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 연구와 직무 분석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다각적인 노력과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영양(교)사들은 자질을 향상시키고 영양교육에 대한 책임과 사명을 가지고 영양교육 실시방안을 위해 끊임없는 연구를 해야 할 것이며, 1교 1인 영양교사의 배치가 정착 될 수 있도록 영양교사의 확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도와의 관계

        이희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한 교사 임파워먼트가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정 아래, 현장 교사들의 인식 조사를 바탕으로, 교사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도와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교사들은 그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학교에서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은 그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학교에서 조직헌신도를 지각하는데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가 지각하는 임파워먼트와 조직헌신도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계문헌을 통한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하고 질문지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교육청에 소재하고 있는 11개 교육청에서 1개교씩 초등학교 11개교의 교직원 4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부록>의 질문지의 배부하여 회수된 390부의 질문지 중 표기 내용이 누락되거나 신뢰성이 결여된 질문지 13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377부의 질문지를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로 판단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로 입력한 후 Window용 SPSS 12.0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순빈도분석(simple frequency analysis),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ANOVA, 사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통계처리에 의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별 지각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문성 신장, 지위, 자아효능감, 자율성은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영향력에 관한 지각은 ‘보통’ 수준, 의사결정에 관한 지각은 ‘보통’ 이하로 지각하고 있었다. 개인 배경 변인별로 성별을 기준으로 분석한 자료에 의하면 의사결정, 자율성, 영향력에 관하여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임파워먼트를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 신장, 지위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 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자아효능감은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분석한 결과 의사결정, 전문성 신장, 지위, 자아효능감, 영향력 영역에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에 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들이 소속된 학교의 학급수 규모에 따른 의사결정, 전문성 신장, 지위, 자아효능감, 자율성, 영향력에 관한 임파워먼트 지각은 ‘30~50학급 미만’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부장교사가 아니어도 전교사가 많은 업무를 분담하여 일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둘째, 교사들의 조직헌신도는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에 따라 살펴보면,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조직헌신도에 관해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분석한 결과, 조직헌신도에 관한 지각은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대체로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조직헌신도를 교사들은 더 높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 규모에 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가 지각한 임파워먼트는 6개 하위요인(의사결정, 전문성, 지위, 자아효능감, 자율성, 영향)에서 모두 조직헌신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은 자아효능감, 지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가 지각한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에서 조직헌신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순으로 나열하면 자아효능감, 지위, 영향력, 전문성이며,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종속변인의 전체 변량에 대한 예언 변인들의 설명 변량은 53.1%이다. 이러한 요인들과 조직헌신도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즉, 교사들이 자아효능감, 지위, 영향력, 전문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교사들의 조직헌신도는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교사가 지각한 임파워먼트의 6가지 하위요인과 조직헌신도간의 남녀별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남자의 경우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영향력, 자율성, 자아효능감이 조직헌신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여자의 경우에는 지위와 조직헌신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5년 이내의 경력자들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율성과 자아효능감이 조직헌신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6년~15년 사이의 경력자들은 지위와 자아효능감이, 16년~25년 사이의 경력자들은 자아효능감과 지위가, 26년 이상의 경력자들은 지위와 영향력이 조직헌신도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의 경력에 따라 조직헌신도와 상관관계를 이루는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이 다름을 알 수 있다. 학교 규모별 상관관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30학급 미만인 경우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아효능감과 영향력이 조직헌신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30~50학급인 경우에는 지위와 영향력이, 50학급 초과인 경우는 지위와 자아효능감이 조직헌신도와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소속된 학교의 크기에 따라 조직헌신도와 상관관계를 이루는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인이 다름을 볼 수 있다.

      • 유치원 장학실태 및 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희란 원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장학실태 및 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산하 14개 교육청에 소속된 공·사립 유치원 교사 266명이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장학실태는 어떠한가? 배경변인 *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장학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배경변인 *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어떠한가? 배경변인 *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관련변인 : 기관유형, 소재지역, 연령, 학력, 경력 본 연구에서 사응한 도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자와 전공교수 1인과 함께 작성한 총25문항의 질문지이다.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각 집단의 유의한 차를 보기위해 X^(2) 검증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장학 실태 현재 유치원 장학에 있어서 '방문 장학'이 가장 일반적이며 주된 장학의 형태이며, 장학사의 주된 역할은 '교수학습 활동 지도 및 협의'이다. 방문장학의 주된 공헌점은 '교수학습 방법 개선'이며 방문장학에 대한 대비는 '청소정리와 환경구성'이 우선이고 장학사에 대한 느낌은 '불만감'과 '거부감'이 지배적이다. 방문 장학의 효과에 대해 과반수 정도의 교사만이 인정하며, '문서관리 및 예산경영'측면에서 가장 효과가 있다. 방문 장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장학사의 전문적인 지식부족'이며, 방문 장학시 장학담당자는 수업을 담당한 교사보다 주로 원장과 의사 소통한다. 방문 장학의 횟수는 사립의 경우 년1회, 공립의 경우 년2회가 일반적이며, 장학담당자의 유형은 '지시 명령적'이다. 지구별 장학의 효과는 '유치원간 정보교환'과 '타 유치원 방문을 통한 배움'이며 지구별 장학의 주된 문제점은 '주관 유치원 부담'이다. 현행 장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장학 담당자의 전문적 지식 및 현장경험 부족'이다. 2. 장학의 개념, 목적에 대한 인식 장학의 개념에 대한 인식수준이 낮으며, 정확한 개념 이해가 부족하다. 단, 장학의 목적에 대해서는 바르게 이해하고 있다. 3. 장학에 대한 요구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바람직한 장학의 형태로 '지구별 장학'을 요구하며' 년 2회의 방문장학과 1회의 지구별 장학'을 원한다. 장학 담당자로는 유아교육과를 즐업한 현장경험 소지자를 요구한다. 방문장학의 중점사항으로 '수업 개선'과 '현안 문제 및 환경 개선'을 요구하며 특히 방문 장학시 수업기술 향상을 돕는 방법으로 '지도 조인 및 협의'를 요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supervision and teachers' recognition and requests on the supervision. 266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pondents who serve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of the 14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fices in chonbuk provi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supervision? What differences will be showed up by background variables (;type of organization, area of location, age, education, career)? 2) What is teachers' recognition on the kindergarten supervision? What differences will be showed up by background variables (;type of organization, area of location, age, education, career)? 3) What is the teachers' requests on the kindergarten supervision? What differences will be showed up by background variables (;type of organization, area of location, age, education, career)? A questionnaire composed of 25 items was developed based upon previous researches and comments of the academic advisor. Frequency and propotion of data calculated, x 2 analysis was applied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oup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supervision ; Presently, visit educational supervision is the most usual and main type, the major role of supervisory officer is the guidance of teaching activities and discussions. The main contribution of visit supervision is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and preperation for the visit supervision is cleaning, arrangement of environment. The dominant feeling for the supervisory officer is uneasiness and rejection. Less than half of the teachers agree to the effect of visit supervision, however, appear to be most effective in document handling and budget management side. The most critical problem of visit supervision is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supervisory officer, and he/she usually communicate with the Chief of the kindergarten rather than the teacher in charge of a class. The frequency of visit supervision is usually one time per a year in private kindergartens, but two times in public kindergartens, and the attitude of supervisory officer is directly imperative. The effects of district supervision are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kindergartens and learning from visit to other kindergartens. The main problem of district supervision is the overpay of the kindergarten in charge. Presently, the most critical problem of supervision is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field experience of supervisory officer. 2. The teachers' recognition on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supervision ; It was very low on the cognition of the concept of supervision, also poor at the understanding for the matter. But, the respondents clearly understand on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3. The teachers' requests on the kindergarten supervision ; Respondents ask the district supervision as a desirable type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They want at least two times of visit supervision and one time of district supervision per a year. A graduate of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ho rich in field experience is prefered as a supervisory officer. The respondents ask improvement of teaching and environment, resolution of issues unsettled. Especially, they request the guiding comments and discussio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technique in case of visit supervision

      • 메레디즈 몽크의 삼각연극에 나타난 총체극적 무대구성 방식과 연기양식 연구

        이희란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Post-modern theatre, which has been introduced since 1960s, caused a movement against existing modern arts form and then developed alternative one. The arts form of this period expands the field of arts, crossing the frontier of arts genres and combining with developed science technology. The form of theatre developes into the that of total theatre with various kinds of images including visual and acoustic elements. The total theatre is free from traditional form of western theatre, crossing the frontier between performance and reality, stage and seats and transcending the limit of performing space. Following the theory of gesamtkunstwerk by Wilhelm Richard Wagner, who stated to control and synthesize all kinds of performance elements, Antonin Artaud creates a new stage language instead of langage-centric lines. Total theatre, which was structured with the new language system, aimes to purify the conscious of audience polluted with modern civilization and to help them to find his of her own essence. Jerzy Grotowski states the total acting which was shown in poor theatre based on the principle of self-sufficiency, where actors removed every barrier of theatre and reached a new setting with audience. Various experimental performances since 1960s, such as 'Environmental Theatre' by Richard Schechner of 「Performance Group」, 'Image Theatre' using multi-media, 'collective creation' by 「Living Theatre」and「Open Theatre」, affects directly or indirectly Meredith Monk who founds 'Triangle Theatre'. Monk developes a new type of theatre called 'Triangle Theatre', which synthesizes theatre, dance and music. Beeing free from the traditional form of western theatre which focused on literary story, she creates a total image which combines all kinds of theatrical elements such as voice, gesture, props and visual media with the transformation of symbol and metaphor. Born in family of music, she establishes 「The House」in New york after majoring in performance arts. Most of her works are developed in 「The House as both of living and working space for performers. It is an active space which required democratic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all group members. Monk's works usually have an unique character in staging. She denies the traditional stage form like proscenium-arch stage which separates stage from spectator, instead developes a new form of staging which ignores the barrier between stage and audience. Therefore, every common place like church, gym, museum, lake and parking lot has been used as a performing stage. Sometimes the stage is reconstructed into a flexible space where roles of audience and actors are exchanged, and several events are play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stages are moved for audience to have the feeling of traveling or pilgrimage. In this kind of performance, actors, far from those of actor-centric traditional western theatre, have just equal status with other elements of stage. Acting of the actors is incorporated with other elements such as voice, gesture, mime, movement and light, and is materialized into the converged image of multilayer meaning. She invents archetypical characters instead of logical and psychological conventional characters. Movements of the actors become basic elements of the inventions of characters. Characters have a meaning of archetypical and non-literature, focusing on feeling and image rather than psychological basis. Monk expresses a feeling of gestures with her own voice sound. Her voice sound arouses visual images like light and colour as well as sound images. This is an revolutionary technique different from traditional western music style and also is an unique element far from other performance artists of postmodernism. A similarity between Korean traditional theatre and Triangle Theatre of Monk is found in the perspective of total theatre. In the beginning scene of 'Kwanno Mask Play' having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Korean religious ceremony, audiences participate into the ceremony and make the stage a playful ground where performers and audiences meet each other. Also another similarity is found in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Kwanno Mask Play are not interested in realistic psychology description of inner world of an character. That is frequently shown in Monk's archetypical characters. Meredith Monk develops a unique arts form through the synthesis of media and reconstruction of performance space. Also she tries to change the actor-centric acting into the synthetic acting.

      • 스페인어 공간 복합전치사의 하위유형과 의미 확장 연구

        이희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El objeto de este estudio es clasificar detalladament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del español en diferentes subtipos y subsubtipos según el significado y observar las características de su expansión semántica.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tán formadas por la unión de dos o más palabras entre las que se incluye una preposición simple, las cuales operan juntas como una preposición. Esta clase de preposición permite expresar significados más precisos que una preposición simple. El presente trabajo investiga 159 locuciones preposicionales con significados espaciales, entre unas 700 locuciones preposicionales en español. Aquellas que a priori no parecen poseer un significado de espacio pero que de hecho lo tienen o pueden tenerlo en el uso, como 'al amor de', se incluyen también entre ellas. En relación a la estructura del trabajo, en el capítulo 1, se presenta el motivo y método de estudio d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en español. En el capítulo 2, pasamos a examinar la metáfora y la metonimia como mecanismos utilizados cuando se extiende el significado de las palabras polisémicas, y también se aborda la definición y estructura d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l capítulo 3, por su parte, recoge investigaciones precedentes a nuestra clasificación d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del español. Se muestran, así, estudios que se ocupan de la clasificación de las preposiciones espaciales en inglés y de su significado. Al capítulo 4 corresponde, en cambio, la clasificación d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del español en cinco subtipos: ‘de posición bidimensional’, ‘de posición tridimensional’, ‘de dirección’, ‘de área’ y ‘con otros significados’, así como la clasificación de las de cada subtipo en subsubtipos. El capítulo 5 ofrece aquellos casos cuyos significados se extienden desde el significado espacial hasta otro. Por último, en el capítulo 6 se expresan las conclusiones. Dichas conclusiones, en síntesis, son las siguientes: en primer lugar,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expresan significados más precisos que las preposiciones simples y pueden ser clasificadas en diferentes subtipos. En segundo lugar, existen diferencias precisas de significado entre l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espaciales pertenecientes a un mismo subtipo. Y en tercer lugar, estas locuciones preposicionales no se utilizan solamente para expresar contenidos semánticos espaciales sino que sus significados se expanden a través de la metáfora y metonimia hasta alcanzar sentidos temporales y abstractos. Por ejemplo, ‘alrededor de’ puede utilizarse no solo en un sentido espacial (“alrededor de la mesa”) sino también en otro temporal (“alrededor de las diez de la noche”) o en un tercero abstracto (“alrededor del dinero”). Esperamos que el estudio resulte útil, también, tanto a los docentes como a los discentes del español en sus distintas vertientes.

      • 저밀도 패러티 검사 부호를 위한 정규화와 오프셋이 조합된 최소-합 알고리즘

        이희란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에서는 저밀도 패러티 검사(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부호의 복호 알고리즘 중 정규화와 오프셋이 조합된 최소-합 알고리즘(combined normalized and offset min-sum algorithm, NOMSA)에서 사용하기 위한 정규화와 오프셋의 조합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방법을 이용하면 몇 번의 시험 복호 만으로 적절한 정규화와 오프셋 조합을 도출할 수 있으며, 기존에는 구할 수 없었던 반복 복호 횟수 별 적정 보정 계수 조합도 도출할 수 있다. 차세대 방송통신 표준인 ATSC 3.0 표준에서의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도출한 계수가 기존의 타 연구 결과에 비해 월등한 성능을 가짐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o obtain a combination of normalization factor and offset value for combined normalized and offset min-sum algorithm for LDPC decoder. This method derives appropriate combination of coefficients for each iteration with few LDPC decoding simulations. Simulations on the next generation broadcasting standards, ATSC 3.0, LDPC codes shows that the combination of coefficients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shows superior BE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decoding algorithms.

      • 만 5세 누리교육과정 신체운동,건강생활 영역에 기초한 유리드믹스 교수법 연구

        이희란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음악의 3요소는 리듬, 선율, 화성으로 구분되는데 이 중 리듬은 음악의 기초와 토대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다. 달크로즈는 신체적 움직임을 통해 유리드믹스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음악적 개념의 습득과 다양한 리듬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은 몸 전체가 소리에 반응하기 떄문에 리듬에 특히 예민하다. 이러한 유아들의 특징은 유리드믹스 학습을 통해 집중력과 인지력, 창작 능력이 향상되고 자신의 신체 활동을 통해 운동 능력도 발달된다. 즉 달크로즈는 유리드믹스를 신체 활동을 통해 익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 유리드믹스 수업안의 목표는 첫째, 신체를 이용하여 음악의 빠르기를 익히고 둘째, 신체활동과 타악기를 이용해 리듬을 익히고 음표를 구별한다. 셋째, 신체 움직임을 통해 프레이즈를 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 5세 누리교육과정 신체운동 및 건강영역 범주에 기초하여 유리드믹스의 정신적, 감성적 측면과 신체적 측면, 음악적인 측면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음악에 반응하고 느끼고 이해하며, 음악을 상상하고 재현해 내고 즉흥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발달을 이해하고 신체의 움직임을 끌어냄으로써 음악과 몸의 일체감을 느끼고 신체를 표현하고 움직임을 갖는 창의적인 활동을 할수 있도록 유아기 리듬교육에 매우 중요성 가진 유리드믹스 교수법을 제안한다. 또한 만 5세 누리과정에서 제시한 활동계획안의 형태 및 활동목표, 활동자료, 활동음악, 활동방법 등을 참고하여 유리드믹스 활동 계획안으로 재구성하여 어린이집, 유치원 기관에 교사가 적용할 수 있는 활동계획안을 재구성해보아 실제 활용성을 높이고 음악교육의 질을 높일수 있는 유리드믹스의 스스로 원리를 찾아 다른활동에도 교사 스스로가 적용할 수 있도록 계획안을 개발한 내용을 제시한다. The 3 elements of music are rhythm, melody and harmony. Among them, rhythm is an important element which is the base and foundation of music. Dalcroze makes infants to experience Eurhythmics through physical movements to allow them to learn musical concepts and to feel various rhythms. Moreover, infants react to the sound with the whole body, so they are especially sensitive to rhythm. Such characteristics of infants improves concentration, recognition, and creativity through Eurhythmics and develops physical ability through bodily activities. That is, Dalcroze puts purpose on learning Eurhythmics through bodily activities, and the targets of Eurhythmics curriculum based on such are; first of all, learn the tempo of music by using bodies, second, learn rhythm and separate notes by using bodily activities and percussions. Third, expressing phrase with body movements. This study is written based on the mental and emotional aspects, physical aspects, and musical aspects of Eurhythmics as putting the base on the ranges of the body exercises and health area from the Nuri curriculum for age 5 infants. The study proposes the Eurhythmics teaching method with a high importance to the infant rhythm education to allow infants to have creative activities with expressing and moving bodies as sensing unity of music and body as understanding body development and deriving body movements to make infants to react, feel and understand music, imagine and recreate music, and change it impulsively. Moreover, the study restructured as the Eurhythmics activity plan by referring to the type and activity targets of the activity plan, activity materials, activity music and activity methods proposed from the age 5 Nuri curriculum to restructure activity plan which teachers could apply to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ith such, the study proposes the developed details to allow teachers to apply by themselves to other activities by searching the theory of Eurhythmics by themselves which could higher actual applicability and quality of music education.

      •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목표지향성과 진로성숙과의 관계

        이희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by gender for providing necessary data about harmonious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counseling of students.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st research question. Are there differences of self-efficacy, goal-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between man and woman? 2nd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3rd research question.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between man and woman? For solving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4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D-Gu, residential dense area, and from one elementary school in S-Gu, apartment dense area, in Seoul. By those subjects, the inspection of self-efficacy, goal-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was conducted. The inspection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fficacy was Han Hye Jin(2002)'s instrument which had reconstructed Kim Ah Young and Cha Jeong Eun(1996)'s one to suit elementary students. For assessing goal-orientation, the used inspection method was Park Sun Young(2005)'s questionnaire for a standard which had been validated by Kim Ah Young and Lee Joo Hwa(2005) based on the 2 by 2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ory.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career maturity was an attitude inventory among 'career maturity inventori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Gangwo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1993). Each assessment instruments consists of several sub variables. Self-efficacy consists of three sub variables, confidence, self-regulating efficacy and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Goal-orientation consists of four sub variables,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mastery-approach and mastery-avoidance. Four sub variables for assessing Career maturity are planning, inclination, compromise and decisiv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ATA program. For analyzing reliability of research instruments, Cronbach-α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tandard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also use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differences of self-efficacy, goal-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by gender through two-groups comparison test, thes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y gender,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oal-orientation between man and woman. Analysis of mean of each variables showed that self-efficacy of girl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boy students. It also showed that goal-orientation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 and girl students and average career maturity of boy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 students. Second, there wa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career maturity under 0.01 level of significance. In the power of influence to career maturity,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goal-orientation. In other words, self-efficacy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sub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planning, inclination, compromise and decisiveness, but goal-orientation represent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only three sub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except inclination. Third,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had the significant effect to whole career maturity of both boy and girl elementary students under 0.01 level of significance. Self-efficacy ha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sub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statistically for both man and woman. Goal-orientation showed the significant result that it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three sub variables of boys' career maturity except inclination, but in girl students' case,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only planning and decisiveness. The significant effect of self-efficacy and goal-orientation to four sub variables of career maturity was larger in order of planning, compromise, inclination and decisiveness for both boy and girl students.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등을 조사한 후 이러한 변인들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학생들의 원만한 진로발달과 진로 상담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성별에 따라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진로성숙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진로성숙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 문제 3.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D구 소재 주택가 밀집 지역인 1개 초등학교와 아파트 밀집 지역인 S구 소재 1개 초등학교 5~6학년 60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진로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아영, 차정은(1996)이 개발한 도구를 한혜진(2002)이 초등학생에게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목표지향성 측정을 위해서 2x2 성취 목표지향성 이론에 기초하여 김아영과 이주화(2005)에 의해 타당화된 척도로 박선영(2005)이 사용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진로성숙도 측정을 위해서는 강원도 교육연구원(1993)에서 개발한 ‘초 ․ 중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중 태도검사만을 사용하였다. 각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의 경우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가지 하위변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표지향성 검사는 수행접근과 수행회피, 숙달접근, 숙달회피의 네 가지 하위변인으로, 진로성숙도 검사를 위한 하위변인은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 네 가지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TAT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각 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분석할 수 있는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설명력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 진로성숙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나, 목표지향성은 성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변인들의 평균을 살펴볼 때 자기효능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목표지향성은 거의 차이가 없으며, 진로성숙도는 남학생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 진로성숙도는 유의수준 0.01에서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에 대한 영향력은 자기효능감이 목표지향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변인인 계획성, 성향, 타협성, 결정성에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으나, 목표지향성은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 중 성향을 뺀 나머지 변인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은 유의수준 0.01에서 남자와 여자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전체에 유의하였다. 자기효능감은 남녀 모두 진로성숙도의 모든 하위변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목표지향성은 진로성숙도의 성향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남자 초등학생에게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나 여학생의 경우 계획성과 결정성에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목표지향성이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설명력은 남녀 학생 모두 계획성, 타협성, 성향, 결정성의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 밀착의복의 피트성 향상을 위한 3D 레플리카 조합방법

        이희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When we develop 2D pattern from replicas of human body with small pieces, it is inevitable to have some replica pieces overlapped or departed. In this study, the optimized method of 2D pattern development from the 3D replica pieces was investigated using dress-form. Two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are the size of replicas and the distribution method of stress. The size of replicas are 1-unit(3cm×3cm) and N-unit which is composed of 2 or 3 units of 3cm×3cm. The distribution method of stress are 'the widen & overlap (w&o) method' and 'the widen method(w)'. The w&o method means that the stress between replicas is evenly distributed by widening and overlapping the interstice between replicas to make a 2D flat pattern from the curved 3D surface. In the w method, however, the interstice is only widened when two replica pieces are not matched to a straight line as in the case of the traditional replica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1-unit(3cm×3cm) arrangement method was verified to be better in case of the surface of large curvature. N-unit method was more efficient in case of the surface of small curvature. It is because that 1-unit is more accurate, however, it takes about three times more than N-unit to arrange the pieces of replicas into a complete 2D flat pattern. 2) Among six arrangement methods, anchoring two vertexes of a replica to neighboring vertexes of a next replica induces the optimized 2D pattern by evenly distributing stress across the 3D replica pieces. Anchoring neighboring vertexes resulted in automatic widening & overlapping(w&o) the interstice among replicas of dress-form, thereby stress was distributed more evenly than any other method. By examining the 3D space distribution images between body surface and twelve experimental garments, w&o arrangement method was verified to be the best. It is expected that this work would provide the optimized arrangement method for the fitted pattern of women's upper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