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 연구

        이훈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도자조형디자인 이 훈 기 지도교수: 김 혁 수 본 논문은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연구자의 창작 욕구와 더불어‘숭고미를 발현하는 조형물의 특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무언가를 끊임없이 만드는 창작 행위는 고대부터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어 왔으며 수직적 형태나 대형 기하 형태의 조형물 중에서 숭고미를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숭고미는 기존의 미와 대립하기도 하지만 상호 보족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현대미술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현대미술에서 ‘대형도자’의 시작은 1950년대 오티스 그룹을 기점으로 볼 수 있다. 이 그룹의 작가들은 기존 도자의 작품제작방식과 기법을 확장하였고, 비실용성과 표현의 자유로움을 추구하였다. 이 시기 이후 그들의 도자에서는 작품의 크기가 점차 확대되었고, 이렇게 대형화된 도자에서 숭고미를 발현하는 작품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의 유형과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혔다. Ⅱ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작품의 외적 측면인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째, 고대 기하 형태의 탄생을 고찰하고, 기하 형태가 적용된 구조물인 오벨리스크, 피라미드 등의 조형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구조물, 건축물은 동시대까지도 변용되어 제작되고 있다. 즉, 인간이 만든 기하학적 조형성은 시대를 관통하며 여전히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니멀리즘과 미메시스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60년대 등장한 미니멀리스트들은 자신 작품의 특성을‘사물성’에 둠으로써 재현의 대상을 폐기하고 최소한의‘환영성’마저 몰아냈다. 그리고 그들의 작품에서는 재료가 그대로 드러나는 ‘물질성’이 강조되었다. 한편, 작품관람의 방식에서도 기존의 미술과 다른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기존의 미술은‘재현’이며 그것을 ‘관조’하는 것이었던데 반해, 미니멀리스트들은 작품을 ‘제시’하고 관람자는 ‘체험’하는 현상학적 관점을 적용하였다. 대표적 예로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을 들 수 있다. 더불어 연구작품의 형태는‘미메시스’ 개념 중 ‘표현’이 포함된다. 미메시스는 일반적으로 자연의 모방과 재현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를 넘어서 은유와 상징을 넘어 표현까지 포괄하는 상위범주의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작품에 구현되는 자연의 재현적 요소는 작가의 정신을 지시하는 것으로 미메시스 개념 중 표현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은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에 관하여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미적 범주론에서 숭고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둘째, 미의 범주에 속하는 숭고미를 고찰하였고 셋째, 숭고미가 발현되는 작품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숭고미는 기존에 인식되어온 일반적 관점의 미인 우아미와는 발생방식과 관람자에게 전달되는 감정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체적으로 숭고미를 발현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미와 결이 다른 공포를 동반한 미, 종교적 성격, 초월성 등과 관계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은 연구 작가의 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와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작가들 작품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외적 측면인 형태의 특성은 수직성, 반복구조, 적(積)이고, 내적 측면인 주제는 신화, 생명력, 원초성 등인데,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숭고미를 발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 작가 중 일인인 이훈기의 작품<Pillar>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특성과 발현되는 숭고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하 입방체의 반복과 구축 시기를 지나 단일 기하 형태로 변화한 작품은 크기가 커지고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인체의 유기적 형상이 더해졌다. 따라서 작품은 거대한 인간의 형상을 떠올리게 함으로써 숭고미와 관계된 장중, 장엄미를 드러내며 공포를 동반한 역학적 숭고미 등을 작동시킨다고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작품<Pillar>에서 형성된 단위 개체의 반복과 적(積)층 구조를 분석하여 수직적 조형성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작품에서 물성의 드러남과 내재된 작가의 정신을 연구 작가인 박석원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관람방식을 서구 미니멀리즘의 공감각적 지각과 체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이훈기가 작품에서 추구하는 관람방식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논문의 연구방법을 작품의 외적 형태와 내적 정서, 물질과 정신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분할적 방법이 미술작품을 연구하는데 합리적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 이유는 예술 중에 특히 미술은 물질과 정신을 동시에 다루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인간 육체에 정신이 공존하여 분리해 낼 수 없듯이 작가의 정신을 물질적으로 구현한 미술작품은 외적 형태와 내적 정서를 결합하는 통합적 관점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를 연구하여 발현되는 숭고미의 특성과 종류를 분석함으로써 기본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더불어 숭고미를 발현하는 대형도자의 연구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대 대형도자에서 필요한 연구이기를 기대한다. Keyword: 조형물, 건축, 대형도자, 조형, 수직, 반복, 적(積), 기하 형태, 숭고미, 미, 미메시스, 미니멀리즘 (Abstract) A Study on the Large-scale Ceramic Artworks of Vertical Geometric Shape Revealing the Sublime Beauty Lee, Hun-Kee Major in Ceramic Formative Arts Design Department of Ceramic Arts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 Kim, Hyeog-soo This paper is a study on large-scale ceramic works in vertical geometric form expressing the sublime beauty.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 that expresses the artist's desire for creation and sublime beauty?’ The creative act of making things has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to contemporaries and often reveals sublime in vertical or large geometric forms. The sublime beauty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to modern art by expanding into a concept that conflicts with existing beauty but is mutually complementary. The beginning of ‘Large-Scale Ceramics’ in modern art can be seen as the origin of Otis Group in the 1950s. The artists of this group expanded the craft and techniques of the existing ceramics, seeking non-practicality and freedom of expression. After this period, the size of their works gradually expanded in their ceramics, and works expressing sublime beauty began to appear in such large-scale pott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blime, which are expressed in large-scale ceramic works of vertical geometry. Chapter I reveal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xternal aspects of the work,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have examined the birth of ancient geometric forms, and explored the formation of obelisk, pyramid, etc, a structure applied with geometric forms. These types of structures and sculptures are still being adapted and constructed today. That is, man-made geometrical formulations penetrate the times and are still appreciated for their value. Second, this study looked at minimalism and the concept of mimesis. Minimalists who appeared in the 1960s abandoned the subject of reproduction by put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in ‘the nature of things’ and drove out even the least of the ‘hallucinations.’ And in their work, ‘ateriality’ was emphasized, with the ingredients showing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viewing artworks also suggested a different method from the existing art. Whereas the existing art was ‘e-existing’ and ‘regulating’ it, minimalists applied a phenomenological view of ‘uggesting’ the work and of letting the viewer ‘experience' it. An example is the work of Robert Morris. In addition, the form of research works includes expressions during the concept of mimesis. Mimesis is a high-category concept that tends to be perceived as imitation and reproduction of nature, but that goes beyond that to include expression, metaphor, and even symbols. The reproducible elements of nature implemented in the work studied in this paper are indicative of the artist's spirit, confirming that they belong to the expression among the mimesis concepts. Chapter III analyz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e sublime represented in large-scale works of vertical geometry. First, I identified the position of the sublime beauty in aesthetic category theory. Secondly, the sublime,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of beauty, is examined. Thirdly,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works in which the sublime beauty is expressed. The sublime beauty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elegant beauty is different from the way it occurs and the emotion it conveys to the viewer. And after analyzing the works of modern artists who express the sublime in substa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sublime is related to a beauty accompanied by fear,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ly recognized beauty, religious character, transcendence and etc. Chapter IV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lime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own artwork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form, which is the external aspect commonly seen in the works of artists subject to study, is verticality, recurrent structure and stacking. The subject matter which is inner aspect is myth, vitality and primordiality, ultimately it can be seen that these external and inner elements combine to express sublime.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ublime represented in ‘Pillar’, the artwork of Lee Hun-Kee, one of the artists subject to study. First, the work, which changed into a single geometric form after the repetition and construction of geometric cubes, grew in size, increased in volume and weight, and added to the organic shape of the human body.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work shows it majesty which is related to sublime and operates "dynamic sublime” accompanied by fear, by reminding the image of a huge human being.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composition were then examined by analyzing the repetition of unit objects and the structure of stacked layers in the work ‘Pillar’, and the spirit of the artist embedded in the work was compared with Park Seok-won, another artist to subject. After analyzing the viewing style of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nesthetic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Western minimalism, it was revealed that his viewing style was the same as Lee Hun-Kee’s. This study divid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into external forms, internal emotions, materials, and spirits of the work. However, it has l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method of partitioning is reasonable in studying artwork. The reason is that art, especially fine art. is an area that deals with matter and spiri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orks of art that materially embody the author's spirit, just as the mind cannot be separated by the coexistence of the human body, need to be studi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ombines external forms and internal sentiments. In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basic purpose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ublime that are expressed by studying large-scale ceramics in vertical geometry.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of the large-scale ceramic artworks expressing the sublime beauty will be expanded.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necessary in modern large-scale ceramics. Keyword: Formative work, Architecture, Large-scale Ceramic, Form, Vertical, Recurrency, Stacking, Geometrical Form, Sublime beauty, Beauty, Mimesis, Minimalism

      • RFID 기술을 적용한 군 출입통제 시스템 구축 방안

        이훈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네트워크 컴퓨팅 기술인 유비쿼터스는 빠른 속도로 현대 사회에 적용되고 있다. 이중 핵심기술인 RFID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아주 작은 전자태그를 사물에 부착하고 RF(Radio Frequency)를 통하여 정보를 감지하는 기술로서 기존 바코드의 거리, 인식률, 인식시간 등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물의 위치나 정보 내용을 자동으로 인식 하거나 사물간에 통신을 지원한다. 이러한 RFID 기술은 반도체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의한 컴퓨팅 능력의 급성장과 통신망 인프라의 융합화를 기반으로 이제까지의 사람 중심 정보화에서 사물중심으로 정보화의 지평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10m 이내의 사물정보화를 위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으로 발전될 전망이다. 이러한 사물의 네트워크화는 기존의 정보영역을 물류관리, 환경관리, 축산관리등 사물 영역까지 확산시켜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전망이다. 서울시에서는 RFID를 이용해 승용차 휴무를 자동으로 감지하기 위한 ‘승용차 요일제 RFID 시스템’을 2006년 1월부터 운행하고 있으며 2006년 3월부터 경상북도에서 생산된 농산물에 제품정보가 입력된 RFID칩을 부착하여 농산물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농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이 서울 롯데 백화점과 대구 백화점에서 운용하고 있다. 또한 국립중앙도서관등 전국적으로 19개의 도서관이 RFID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중에 있다. 이처럼 RFID는 이미 우리들의 생활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며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는 유비쿼터스 시대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군에서도 탄약관리와 비문관리에 RFID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분야는 점차 확대되어 전장환경까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언제 어디를 얼마큼의 자산으로 타격할 것인가는 작전의 승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이며 RFID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군에 적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RFID가 부착된 장비는 현제의 가동상태를 전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전송함으로서 그 무엇보다도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지휘관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올바른 판단과 지휘결심을 위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차후 RFID를 통한 USN정착시 환경정보센서와 태그간 통신으로 표적탐지로부터 타격수단에 이르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전장 환경에 대한 완벽한 정보공유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목적 및 필요성 본 연구는 RFID의 기술과 군 출입통제 체계를 분석하여 군 출입통제 체계의 RFID 적용 필요성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평시 군은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는 능력배양을 위해 교육훈련에 중점을 두고 부대를 운영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부대관리와 자원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를 줄이기 위해 2006년 현제 대대급까지 국방정보통신망을 구축하였으며 국방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국방전자결제, 국방탄약관리 시스템, 군수자원관리 시스템, 국방물자 시스템, 정보화 자원관리등을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화체계로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수작업 업무의 자동화체계로 전환은 교육훈련 중심의 부대운용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RFID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군 적용은 출입통제를 위한 인력 및 시간 절감과 더 나아가서는 전·평시 군의 모든 분야에 RFID 적용을 위한 기반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군 출입 통제체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범위는 군 출입 통제 체계 분석과 RFID 기술 분석, 제안된 RFID 출입통제 시스템 적용방안으로서 제 2장 ‘군 출입 통제 체계 분석’ 에서는 일반적인 군 출입에 관련된 출입통제 대상 시설물과 대상 구역별 출입 절차, 그리고 현체계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 3장 'RFID 기술 분석’ 에서는 구성 및 동작원리, 특징 및 장단점, RFID 표준화 동향, 활용사례 및 응용분야로서 RFID를 군 출입통제체계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제 4장 ‘제안된 RFID 출입통제 시스템’에서는 군 출입통제 체계의 RFID 기술 적용을 위한 구성 시스템과 업무 흐름, S/W 구성 요건, 운영방법/평가를 통하여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RFID 관련 서적 숙독, 인터넷 관련 자료 및 연구 자료를 통하여 기본적인 원리 및 기술에 대하여 정리 하였고, 군 출입통제 체계 분석은 육군 규정 및 보안 내규, 정보화 정책/정보체계 개발계획 등을 참고하였다. RFID technique in already from the society goods circulation, entrance and exit control, the animal civil official, the agricultural products civil official and the sports application back is applied many field and also the market size is increasing yearly a lot. From the army 2004 ammunition civil official system with start application lung the research for actively is in the process of propelling in many portion. RFID technical introduction effect from the army time of peace will be had the ability it will can prepare in modernization and future warfare of the army which leads all epoch-making effect from the volunteer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time of war battlefield management system with the fact that. From this dissertation time of peace it applies a radio recognition technique as time of peace there is a place objective which improves the efficient characteristic of incidental use to the entrance and exit control system which is an unit management system. Time of peace the army, importance it lets in hazard training and it operates when it goes out, the unit and the ability cultivation it will be able to win a victory from battle. But many it invests an hour and effort in unit management and the resources civil official hazard 2006 it reduces like this element until the present my battalion class uses the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network to construct the national defense information network the national defense electronic settlement which, a national defense ammunition civil official system, a logistics resources civil official system, a defense article system and information anger resources civil official back with the automation system which uses the computer and the network it uses. The conversion with like this automation system is contributing in unit use in the training center and the army appli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RFID with the manpower for an entrance and exit control and hour curtailment compared to further believes firmly the fact that becomes the foundation for a RFID application in all fields before - time of peace army from like this side.

      • 도시의 창조계급의 변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 7대 대도시를 중심으로

        이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창조도시 이론은 최근에 가장 주목받는 도시이론이다. 창조도시 이론은 창조적 환경의 조성이 창조계급(창조적 인재)을 유입시키고 도시를 발전시킨다는 이론이다. 창조도시이론에서 창조계급이 창조도시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창조계급에 대한 의미도 학자마다 다르게 쓰여 명확하지 않는 것이 실정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창조계급이 어떻게 변화해왔으며 그 특성을 분석하고, 또한 서울을 비롯한 6대 광역시의 창조계급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간략한 정책적 제언을 할 것이다. 연구는 창조계급의 개념을 정의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창조계급의 시초는 플로리다의 이론에 따른 직업에 의한 정의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에 맞추어 특정 산업종사자를 창조계급으로 정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을 분석한다. 분석은 창조적 인재가 장소를 선택하는 가치인‘경제적 기회(임금), 자유로운 라이프스타일(노동시간)’을 기준으로 비교한다. 그 후 우리나라의 창조계급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학력, 노동시간, 임금, 안정성등 노동경제학적 요인들을 확인한다. 또한 창조계급이 도시의 경쟁력(도시의 인구, 생산, 고용, 재정, 도시민의 소득)의 어떠한 부분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상관분석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서울과 6대 광역시의 창조계급의 현황을 분석한다. 분석 대상이 되는 창조계급은 플로리다의 분류를 세분화 하여 기술직 종사자, 예술관련 종사자, 교육관련 종사자, 창조적 전문가로 나뉘어 실시한다.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한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직업코드를 이용하여 창조계급을 분규하고, 패널자료에 담긴 노동경제학적 데이터를 통계분석하여 창조계급의 특성을 분석한다. 따라서 연구는 11년간의 변화를 포함하게 된다. 연구의 결과 창조계급의 특성은 다른 계층에 비해 고학력, 고소득이며 노동시간이 적고, 안정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창조계급을 세부적으로 분류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창조계급의 성장은 기술과 교육관련 직종에서 두드러졌으며, 소득은 기술관련 직종과 창조적 전문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의 경쟁력과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창조계급이 특히 고용(대졸직장인의수, 일자리의수), 인구(주민등록인구, 외국인인구), 재정(일인당 지방세액), 생산(총실질 GRDP)과 높은 상관관계를 이루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2005년을 기점으로 대체로 상관관계는 약해졌다. 창조계급 중에서 창조적 전문가 계층과 예술직 종사자들은 창조계급과 유사한 부분에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특히 예술관련 종사자들은 전체 창조계급과는 반대로 2003년 이후 상관관계가 크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리나라의 대도시의 창조계급의 특성을 보면 서울은 창조계급의 비율과 질적인 측면에서 세계도시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냈다. 부산과 대구는 예술가와 교육종사자의 비율이 특히 낮았고 그 질도 낮았다. 반면에 광주는 창조계급의 성장이 가장 빨랐으며 서울에 이어 두 번째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최고 수준의 문화예술 인력과 교육관련 인력을 보유한 반면 기술관련 창조적 전문가 부분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져 상대적으로 산업구조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창조계급의 비율만으로는 서울에 이어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나, 그 질적인 측면에서는 광역시중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나, 서울의 창조계급의 아웃소싱을 담당하는 창조계급으로 판단할 만 했다. 대전은 연구도시답게 많은 부분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나, 창조계급 중 교육직 종사자의 수준이 낮은 부분이 있었다. 반면 울산은 창조계급비율이 낮았지만, 양질의 교육자와 창조적 전문가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술 인력의 경우 최고수준을 나타냈으나, 예술관련 종사자가 거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연구는, 창조계급의 정의에 있어서 산업에 의한 임의적인 분류를 하는 것은 오류에 빠질 수 있다는 것과 각 대도시별 창조계급의 비율과 특성이 다르므로 정책수립 시 그러한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theory of creative city recently gets a major spotlight amongst other city theories. The theory specifies the role of creativity environment that facilitates the influx of creative talents which is referred to as Creative Class that could boost the city up to highly developed one. The current status hols that the definition of Creative Class is still vague in the nation and differs by scholars despite its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creative city. The present literature analyzes how the Creative Class in Korean peninsular has evolved. Along with their particular characteristics in growth, the main objective includes detailed observation into the class dispersed in 6 major cities along with Seoul. The suggested research starts from the defining of concepts regarding creative class in Korea. The beginning of creative class stems from R. Florida's theory based on occupatio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tandard, it would be unwise that certain workers in certain industries do not deserve to be solely named creative class. The analysis delicately verifies and specifies the values that are to be considered by creative talents when choosing places by economic opportunity(wages) and free life style and so on. After the values have been drawn out, the Creative Class w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of businesses from service and labor sector based on factors-schooling, labor hours, wages and stability. Their particular nature was confirmed through the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is to be implemented in regards to the link between Creative Class and the related city competitiveness(of population, production, employment, finance and incomes). Lastly, the current status of creative class in Seoul and other 6 major cities will be analyzed. By segmenting the Florida's classification, creative class was defined by 4 groups of people from technology, art, education and creative-professional. The database can be referred to the labor panel information from KLI(Korea Labor Institute). By using job code from 1998-2008 labor panel information surveys, the Creative Class was segment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n labor-economic data from the panel in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reative class has a tendency to possess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and more stable jobs with less labour hours in comparison with other classed. The Korean creative class saw conspicuous growths especially in technology and education related sectors. In terms of incomes, creative professionals and people from technology. enjoyed the highest benefits.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city competitiveness, it was realized that Creative Class bears a high correlation with employment (university graduates, the number of job openings), population(local residence and foreigners), finance(regional tax per individual), and production(GRDP). But the correlation has gotten generally weaker its peak in 2005. Among other sectors, creative-professionals and art workers share correlation with similar point of the entire Creative Class. It was discovered that art workers, on the contrary to the entire creative class, started to show high correlation since 2003 and even got higher in 2008.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Class in big cities of Korea, Seoul was most likely to level with other major world cities in terms of ratio and qualities of the class. Both Pusan and Deagu have less artists and educational workers ratio together with low qualities. While Gwangju has the fastest creative class growth and possesses excellent workforce from culture, art and education which shows the highest ratio next to Seoul, it suffered the lack of technology professional class which led to its relatively fragile industrial structure. By solely comparing the ratio of creative class, Incheon shows the highest next to Seoul. However, its quality was proved to be the lowest which could be translated as a signal that its creative class engages in outsourcing from that of Seoul. Deajeon kept its reputation as the so-called R&D city, by showing generally high scores from various sectors. However its education sectors received low scores in some parts. Although Ulsa showed a slight ratio, it has boasted well-educated workers and creative-professionals. It has the highest technology workforce and in turn, little related to art. In the view of creative class definition, the present research warns of the fallacy from the indiscriminate use of discretion in the works of segmentation by industries. Class and certain factors of creative class ratio and characteristic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olicies are to be formulated.

      • Sublimation travelling ampoule method(STAM)을 이용한 p-type ZnSe단결정의 성장과 그 특성 연구

        이훈 全北大學校 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Zinc selenide is one of the promising materials for blue color emitting divices because its direct energy band gap is 2.68 eV at room temperature. But because of the self-compensation effect or the residual impurity effec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grow a conventional p-type conducting material. There have already been reported unconventional techniques such as ion-implantation and thermal diffusion for preparing p-type bulk crystals of ZnSe, as well as epitaxial techniques for p-type epitaxial layers of ZnSe. However, our interest is to prepare a conventional p-type bulk. It was found that an undoped conventional p-type bulk ZnSe by the sublimation travelling ampoule method (STAM) has been grown. In this work,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undoped conventional p-type bulk ZnSe grown are studied by means of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In order to analyze the p-type bulk ZnSe material, a mass spectrographic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secondary-ion microprobe mass spectroscopy (SIMS). In addition an X-ray microanalysis was obtained using the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S) to investigate the so-called self-compensation effect and the residual impurity effect.

      • 李朝中期兩班社會の形成

        이훈 筑波大學 1989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논문은 15세기에서 17세기에 이르는 조선사회에서 兩班家의 지방정착이 지 역사회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또 그것이 조선의 정치·제도사안에서 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본논문은 과거 중앙중심의 역사에서 지방중심의 역사로 시각을 전환시켜 농촌이라는 현실생활의 장에서 양반의 모습을 복원해 봄으로써, 전근대 조선사회가 발전·쇠퇴해가는 과정 속에서 그들에 의한 향촌 운영의 역사적 위치가 어떤 것이었나를 살펴본 것이 다. 분석 방법으로는 양반 일가가 가지고 있는 15세기에서 17세기 까지의 분 재물서 및 소송문서를 사회·경제학적 분석을 비롯하여 1980년대 후반까지 한국에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가족사적·여성사적 분석방법을 동원하여 다양하게 접근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경상도 월성군의 손백돈가·예안현의 김 효원가·영해부의 이애가·전라도 해남현의 윤선도가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 며, 조선사회에 있어서 양반가의 재지화를 3가지 관점에서 검토해 보았다. 첫째는 재지화의 주체를 사회구성의 기초인 `가족'에 바탕을 두어 그것이 갖는 사회·경제적 위미를 검토하였다. 둘째는 양반 일가의 재지화 현상이 거주지 주변에 있는 土地·노비의 집적과 집적적 소농경영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임을 추적하였다. 그리고 셋째는 양반가 재지화의 결과, 지역사회가 어떻게 재편되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잠정적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16·17세기 에는 양반가의 지방정착을 통해 그들의 재산(토지·노비)축적과 관리 및 수전 중심 작물체계의 확립과도 관련하여 부계남성위주의 사회로 편성해 갔다. 둘째는 16·17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에서 자율적인 향촌운영은 양반가의 지방정착에 의해서 가능했다는 것이다. 세째는 양반가가 `향회'를 통해 국가의 수취체계의 지방정착에 따른 촌락의 발달이 배경이 되었다. 네째 조선정부의 양반가를 매개로한 촌락지배는 양반가의 농업경영에 따른 촌락 의 발달 및 촌락 구성원으로서 노비호의 성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조선의 16·17세기는 `중기'로 구별해서 보아야 하며, 남은 문제는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삼으려 한다.

      • 瓦窯의 構造形式 變遷

        이훈 공주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reatise, I tried to classify the styles of the structure on Kiln for Firling Roof-tiles and seek to the changes of Kiln based on twenty twoplaces of kiln from now. Though the places of the kiln can be measured chronolgy by the magnetometer of accient ground and can be measured history by the investigation of found kiln, there is not any comparison and any exmination in the comparison of attribute and changes of character of kiln. Therefore, I would like to make clear the process of the chandes of Kiln for Firing Rof-Tiles in our country through the examination for analysid of the structures and changes of the styles in Kiln for Riring Roof-tiles. First of all, With the basic structure of Kiln, I tried to seek for an attribute which seems to be changeable and then making a formal classification. The Kiln is calssified the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structures. The condition of kiln is classified into Sub terranean-type, semi-subterranean and terrestrial-type. The Structure of kiln is classified into a fire place, burning chamber, burning accomplishment and Somkeway as basic forms. I divided hte Kiln tnto two forms based on the caracters fo Kiln structures calssified into formal classification ; Pyeung-yo, Deungyo. Deungyo is classified into the forms again ; Deughyo- 가;1, 가;2, 나;1, 나;2, 다;1, 다;2. And then, Imade clear the gistory of Kiln according to avove classifications. First, in the times of the three Kingdoms(고구려, 백제, 신라), pyeungyo and Deungyo-가 type were co-existed, and these three forms kept on being constructed by the earlier time of the Ynification Shin-la, but they they were vanished later. Second, Deungyo-나 type appeared in Unification-Koryo and Kepton being constructed by the end of Koryo. The third, In Cho-sun dynasty, Ieungyo 다;1 type kept on being built over the whole time and Deung yo 다;2 type appeared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has been co-existing. Among the changes of Kiln, we can see the changes of conditions of location make the structure of Kiln. That is, the condition of Kiln shows the following changes ; Basement(the three kingdoms)-Half Basement.;the ground(unification Shin-la;hte late of Koryo)-Basement(the late of Koryo;cho-sun). These changes brought about changeable attribute. The stucture of Kiln, as a whole, became big in Scale and became long-JangBang type in style, as time past. The reason of changes of the strcture is, first, the production of good quality foof-tile burnt accomplishment by high fire degree. Second is easy method of construction. The third is a lot of production. In classifying the type of Kiln and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Kiln, it include a lot of limit of study the Kiln throughout the whole time of our country. It means the shortage of information and the shortage of my study. If I collect a plenty of imformation, I can classify the forms in even each time and really examine again the primaryfactor of changes and the type of changes in history.

      • WTO 체제하의 한국과 중국의 농산물무역의 현황과 증대방안

        이훈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na which was placed to the center of international economy at the time of globalization has executed economic reform and opening policy since 1978 under the leadership of Deng Xiaoping from the impoverished and backward economic reconstruction due to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 During the period, there was up and down in economy in executing its economic reform and opening, but at present China becomes the first economic country un the growing rate of economy by accomplishing economic growth of more than 7~8% a year. Since China put its high target to the economic construction, it has reformed economic structure domestically and has kept open-door policy externally. China's reorganization of economic structure is that all the economy systems are changed to the most suitabl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 is the invitation of market economy. In view of this, this thesis aims at presenting a way of successful entry into China and offering the good information for the Korean enterprises in China and expecting companies. Under the circumstance, the way of trade strategy and promotion ar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Korean enterprises should set up systems to cope with the market environment, the level of technology and market prices in China. Second, Korea enterprises should expand R&D and use intellectual property. And further, they should strength the competitive power of intangible property and should center on the joint trade with those of China. With this, it is necessary for Korean enterprises to consider M&A for the invitation of foreign trade. Third, with the pace of sudden trade circumstance and uncertainty, Korean enterprises should make thoroughly prior preparation and adaptability research to China for their successful trade, and securing good labor forces. Above all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use of 'GuanXi' for the broad understanding of Chinese culture and formation of human relations. Forth, Korean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the economic relations with China for the new formation of the two countries, and also make countermeasures. On the other side, Korean government should promote corelations with China through the better understanding and the expansion of tour exchange. Besides, it is important for Chinese to understand Korea through the Korean Wave. Since the China's entry into the WTO system, the foreign trade have increased and it is expected to make severe competition in China. Accordingly, it is also expected to make large trade of Korean enterprises to China. And so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 way to enter into China for the Win-Win relations rather than competitive relations.

      • 해상교량의 신뢰성 있는 세굴심 산정을 위한 다방법적 연구

        이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영종대교 및 서해대교 등 해상구간을 통과하는 대규모 교량의 건설이 많아지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교량들은 건설기술의 발달과 함께 단순교량 형식을 벗어나 점차 복잡한 형식으로 건설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교량의 안정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교량 안정성은 교각 상부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교각을 지지하고 있는 기초지반에 건설된 말뚝에 관한 부분도 매우 중요하다. 교각을 지지하고 있는 말뚝의 붕괴원인은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이 아닌 교각주변에 발생하는 유수의 작용으로 인한 세굴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교각 말뚝의 지지력 상실은 구조물의 제 기능 상실로 이어져 엄청난 인명 및 재산피해와 직결된다. 이러한 세굴현상에 대한 그 간의 연구들은 주로 연구에 대한 접근방법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 대부분이며 연구범위 또한 비교적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해상교량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자연하천에 대한 연구와 비교하면 질적, 양적으로 미미한 수준이고 연구의 결과 또한 연구 방법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고 상대적으로 많은 불확실성을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해상조건에 대한 세굴심 산정이 일반하천에 대한 것보다 어려운 까닭은 크게 조석류 발생, 점착성 하상, 파랑의 작용 등 하천에 포함되지 않는 요인들이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하루 평균 6시간의 주기로 조석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조석류에 의한 흐름방향의 변화는 되메움 현상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통상 일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천의 경우보다 연구에 있어 세굴심 산정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점착성 지반은 매우 미세한 세립질로 이루어져 있고 입자간의 점착성에 의하여 입자의 거동예측이 매우 어렵고 최대세굴심에 도달하는 시간이 비점착성 하상에 비하여 매우 긴 특징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파랑의 작용은 유수에 의한 전단응력의 증가뿐만 아니라 파랑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바닥에 전단응력을 가중시키므로 세굴발생에 대한 추가적인 외부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석류, 점착성 하상, 파랑의 작용이 동시에 발생하고 있어 신뢰성 있는 세굴심 산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량에서 발생하는 세굴현상에 대하여 수리모형실험, 수치모형실험, 세굴률실험, 세굴심 산정공식 및 현장측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세굴심을 각각 산정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세굴심을 산정하였다. 연구대상 교량은 인천 송도 신도시와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인천대교이다. 연구대상 교량주변의 관측자료를 분석하여 100년 빈도의 수심 및 유속을 수치모의를 통하여 산정하였고 이를 각각 수리모형 실험, 세굴률실험의 원형조건으로 설정하였다. 수리모형 실험의 경우 Froude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1:36~1:80 축척으로 하였고, 세굴심 산정공식은 CSU공식을 사용하였으며, 현장측정은 인천대교 건설구간에 타설되어 있는 실제 말뚝에 계측기기를 설치하여 조류속 및 세굴심을 측정하였다.

      • 三重保溫 溫水配管의 斷熱材 缺陷에 따른 腐蝕疲勞龜裂特性에 關한 硏究

        이훈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rrosion fatigue properties of thermally insulated pipeline were investigated in synthetic groundwater by electiociiemicai test, corrosion fatigue test and SEM analysis. Sinc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weldment and the base metal was small, the pipeline steel did not susceptible to galvanic corrosion. No fatigue limit was apparent for corrosion fatigue testing with remarkable reduction of fatigue lifetime. The effects of insulation and stress on the corrosion fatigue resistance of pipeline steel were studied through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LPR) and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during corrosion fatigue testing. The result of LPR measurement indicated that the corrosion rate was determined by not the water content of PUR foam but the magnitude of applied stress. The better corrosion fatigue property of the insulated steel was attributable to the formation of a protective rust layer under the insulation, which reduced the acceleration of corrosion process and the propagation of fatigue crack. This was confirmed by the results of EIS measurements and SEM ob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