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 연구

        이훈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79

        (국문초록)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도예학과 도자조형디자인 이 훈 기 지도교수: 김 혁 수 본 논문은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배경은 연구자의 창작 욕구와 더불어‘숭고미를 발현하는 조형물의 특성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무언가를 끊임없이 만드는 창작 행위는 고대부터 동시대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지속되어 왔으며 수직적 형태나 대형 기하 형태의 조형물 중에서 숭고미를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숭고미는 기존의 미와 대립하기도 하지만 상호 보족하는 개념으로 확장되어 현대미술에 적극적으로 도입되었다. 현대미술에서 ‘대형도자’의 시작은 1950년대 오티스 그룹을 기점으로 볼 수 있다. 이 그룹의 작가들은 기존 도자의 작품제작방식과 기법을 확장하였고, 비실용성과 표현의 자유로움을 추구하였다. 이 시기 이후 그들의 도자에서는 작품의 크기가 점차 확대되었고, 이렇게 대형화된 도자에서 숭고미를 발현하는 작품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의 유형과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밝혔다. Ⅱ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작품의 외적 측면인 형태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첫째, 고대 기하 형태의 탄생을 고찰하고, 기하 형태가 적용된 구조물인 오벨리스크, 피라미드 등의 조형성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구조물, 건축물은 동시대까지도 변용되어 제작되고 있다. 즉, 인간이 만든 기하학적 조형성은 시대를 관통하며 여전히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니멀리즘과 미메시스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960년대 등장한 미니멀리스트들은 자신 작품의 특성을‘사물성’에 둠으로써 재현의 대상을 폐기하고 최소한의‘환영성’마저 몰아냈다. 그리고 그들의 작품에서는 재료가 그대로 드러나는 ‘물질성’이 강조되었다. 한편, 작품관람의 방식에서도 기존의 미술과 다른 방식을 제시하였는데 기존의 미술은‘재현’이며 그것을 ‘관조’하는 것이었던데 반해, 미니멀리스트들은 작품을 ‘제시’하고 관람자는 ‘체험’하는 현상학적 관점을 적용하였다. 대표적 예로 로버트 모리스의 작품을 들 수 있다. 더불어 연구작품의 형태는‘미메시스’ 개념 중 ‘표현’이 포함된다. 미메시스는 일반적으로 자연의 모방과 재현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이를 넘어서 은유와 상징을 넘어 표현까지 포괄하는 상위범주의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되는 작품에 구현되는 자연의 재현적 요소는 작가의 정신을 지시하는 것으로 미메시스 개념 중 표현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은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에 관하여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미적 범주론에서 숭고미의 위치를 확인하고 둘째, 미의 범주에 속하는 숭고미를 고찰하였고 셋째, 숭고미가 발현되는 작품들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숭고미는 기존에 인식되어온 일반적 관점의 미인 우아미와는 발생방식과 관람자에게 전달되는 감정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실체적으로 숭고미를 발현하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미와 결이 다른 공포를 동반한 미, 종교적 성격, 초월성 등과 관계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은 연구 작가의 작품에서 발현되는 숭고미와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 작가들 작품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외적 측면인 형태의 특성은 수직성, 반복구조, 적(積)이고, 내적 측면인 주제는 신화, 생명력, 원초성 등인데,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숭고미를 발현시킴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 작가 중 일인인 이훈기의 작품<Pillar>에서 보여지는 형태적 특성과 발현되는 숭고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하 입방체의 반복과 구축 시기를 지나 단일 기하 형태로 변화한 작품은 크기가 커지고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였으며 인체의 유기적 형상이 더해졌다. 따라서 작품은 거대한 인간의 형상을 떠올리게 함으로써 숭고미와 관계된 장중, 장엄미를 드러내며 공포를 동반한 역학적 숭고미 등을 작동시킨다고 판단되었다. 다음으로 작품<Pillar>에서 형성된 단위 개체의 반복과 적(積)층 구조를 분석하여 수직적 조형성의 특성을 고찰하였고, 작품에서 물성의 드러남과 내재된 작가의 정신을 연구 작가인 박석원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작품의 관람방식을 서구 미니멀리즘의 공감각적 지각과 체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이훈기가 작품에서 추구하는 관람방식과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논문의 연구방법을 작품의 외적 형태와 내적 정서, 물질과 정신 등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분할적 방법이 미술작품을 연구하는데 합리적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되었다. 그 이유는 예술 중에 특히 미술은 물질과 정신을 동시에 다루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인간 육체에 정신이 공존하여 분리해 낼 수 없듯이 작가의 정신을 물질적으로 구현한 미술작품은 외적 형태와 내적 정서를 결합하는 통합적 관점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수직적 기하 형태의 대형도자를 연구하여 발현되는 숭고미의 특성과 종류를 분석함으로써 기본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더불어 숭고미를 발현하는 대형도자의 연구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현대 대형도자에서 필요한 연구이기를 기대한다. Keyword: 조형물, 건축, 대형도자, 조형, 수직, 반복, 적(積), 기하 형태, 숭고미, 미, 미메시스, 미니멀리즘 (Abstract) A Study on the Large-scale Ceramic Artworks of Vertical Geometric Shape Revealing the Sublime Beauty Lee, Hun-Kee Major in Ceramic Formative Arts Design Department of Ceramic Arts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ersity Advisor : Prof. Kim, Hyeog-soo This paper is a study on large-scale ceramic works in vertical geometric form expressing the sublime beauty.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art that expresses the artist's desire for creation and sublime beauty?’ The creative act of making things has continued from ancient times to contemporaries and often reveals sublime in vertical or large geometric forms. The sublime beauty has been actively introduced into modern art by expanding into a concept that conflicts with existing beauty but is mutually complementary. The beginning of ‘Large-Scale Ceramics’ in modern art can be seen as the origin of Otis Group in the 1950s. The artists of this group expanded the craft and techniques of the existing ceramics, seeking non-practicality and freedom of expression. After this period, the size of their works gradually expanded in their ceramics, and works expressing sublime beauty began to appear in such large-scale pott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blime, which are expressed in large-scale ceramic works of vertical geometry. Chapter I reveale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II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xternal aspects of the work,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have examined the birth of ancient geometric forms, and explored the formation of obelisk, pyramid, etc, a structure applied with geometric forms. These types of structures and sculptures are still being adapted and constructed today. That is, man-made geometrical formulations penetrate the times and are still appreciated for their value. Second, this study looked at minimalism and the concept of mimesis. Minimalists who appeared in the 1960s abandoned the subject of reproduction by put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 in ‘the nature of things’ and drove out even the least of the ‘hallucinations.’ And in their work, ‘ateriality’ was emphasized, with the ingredients showing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way of viewing artworks also suggested a different method from the existing art. Whereas the existing art was ‘e-existing’ and ‘regulating’ it, minimalists applied a phenomenological view of ‘uggesting’ the work and of letting the viewer ‘experience' it. An example is the work of Robert Morris. In addition, the form of research works includes expressions during the concept of mimesis. Mimesis is a high-category concept that tends to be perceived as imitation and reproduction of nature, but that goes beyond that to include expression, metaphor, and even symbols. The reproducible elements of nature implemented in the work studied in this paper are indicative of the artist's spirit, confirming that they belong to the expression among the mimesis concepts. Chapter III analyze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the sublime represented in large-scale works of vertical geometry. First, I identified the position of the sublime beauty in aesthetic category theory. Secondly, the sublime, which belongs to the category of beauty, is examined. Thirdly,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s of the works in which the sublime beauty is expressed. The sublime beauty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elegant beauty is different from the way it occurs and the emotion it conveys to the viewer. And after analyzing the works of modern artists who express the sublime in substance, this study found that the sublime is related to a beauty accompanied by fear,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ly recognized beauty, religious character, transcendence and etc. Chapter IV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lime and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own artwork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form, which is the external aspect commonly seen in the works of artists subject to study, is verticality, recurrent structure and stacking. The subject matter which is inner aspect is myth, vitality and primordiality, ultimately it can be seen that these external and inner elements combine to express sublime.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ublime represented in ‘Pillar’, the artwork of Lee Hun-Kee, one of the artists subject to study. First, the work, which changed into a single geometric form after the repetition and construction of geometric cubes, grew in size, increased in volume and weight, and added to the organic shape of the human body.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work shows it majesty which is related to sublime and operates "dynamic sublime” accompanied by fear, by reminding the image of a huge human being. The characteristics of vertical composition were then examined by analyzing the repetition of unit objects and the structure of stacked layers in the work ‘Pillar’, and the spirit of the artist embedded in the work was compared with Park Seok-won, another artist to subject. After analyzing the viewing style of his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ynesthetic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Western minimalism, it was revealed that his viewing style was the same as Lee Hun-Kee’s. This study divid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into external forms, internal emotions, materials, and spirits of the work. However, it has l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method of partitioning is reasonable in studying artwork. The reason is that art, especially fine art. is an area that deals with matter and spiri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works of art that materially embody the author's spirit, just as the mind cannot be separated by the coexistence of the human body, need to be studied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ombines external forms and internal sentiments. In this pap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basic purpose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ublime that are expressed by studying large-scale ceramics in vertical geometry.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of the large-scale ceramic artworks expressing the sublime beauty will be expanded.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be necessary in modern large-scale ceramics. Keyword: Formative work, Architecture, Large-scale Ceramic, Form, Vertical, Recurrency, Stacking, Geometrical Form, Sublime beauty, Beauty, Mimesis, Minimalism

      • 이중화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의 알고리즘 개발과 테스트 베드

        이훈기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ICT의 이슈와 이상기후로 인해 전력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력 사용량의 폭발적 증가는 에너지의 수요와 공급에 큰 영향을 미치며, 에너지 시장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기인하여 국내 발전 설비 용량은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여자 시스템은 발전기 및 동기전동기 등 모든 시스템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전력 시장을 이끌어가는 GE, ALSTOM, ABB, BASLER, TOSHIBA 등 선진 외국 기업들은 다양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여자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하지만 국내에서의 여자시스템의 대한 연구와 최적화를 위한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였기에, 본 논문에서는 이중화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을 설계하고,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보았다. 제한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발전소의 가스터빈 및 동기전동기에 실증 적용하여 각종 제어 기능 시험 및 결과를 수행하여 그 시스템의 성능을 4가지 단계를 거쳐 검증하였으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력 계통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였다. 둘째, 이중화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셋째, 37[kW]급 DC Motor 기동제어반에 여자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넷째, 동기전동기 기동특성 개선에 대해 여자시스템을 적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및 알고리즘의 적용에 따른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테스트 베드가 유연하게 동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이중화 디지털 여자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을 최적화함으로서 시스템의 안정성과 경제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explosive increase inn power due to problems of ICT and abnormal weather. The explosive increase in electricity consump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energy supply and demand, causing a sudden change in the energy market. Due th this, domestic power generation capacity is steadily increasing, and excitation system are installed in all systems such as generators and synchronous electric motors. Advanced foreign companies such as ABB, ALSTOM, BASLER, GE and TOSHIBA that lead these power markets have developed excitation systems based on various technologies. However, in Korea, research on algorithms for excitation systems and algorithms for optimization was weak, in this paper we designed a redundant digital excitation control system and implemented an algorithm. Demonstration of the gas turbine and the synchronous motor of the power plant based on the restricted algorithm, the various control function tests and results were appli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was verified.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est bed operates flexibly. First, we simulated using a power system analysis program, and secondly we developed an algorithm for optimization of the redundant digital excitation control system. Third, we applied a excitation system to a 37 kW class DC motor start control panel. Fourth, the excitation system was applied to improvement of synchronous motor start characteristics. As a result, when we tried to comprehensively simulate each algorithm and developed algorithms, we confirmed that the test bed could be flexibly operated.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redundant digital excitation system can improve the stability and economic effect of the system by optimizing the existing system.

      • 염원을 형상화한 도자 조형 연구

        이훈기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은 과거의 경험과 현실의 불안정성, 그리고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기대감으로 삶을 이어간다. 특히 과거에 개인이 지닌 불안이라는 요소는 각 개인이 공동체 속에 한 구성원이며 공동체의 안녕(安寧)이 곧 자신의 삶의 안녕과 직결되므로 인간 자신이 제어 불가능한 환경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한다면, 현대에 사는 인간은 인간이기에 지니고 있는 불안, 즉 내재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바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과거의 사람들이 담아왔던 기억들, 그 기억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들의 조형적 측면을 수평과 확장의 의미를 지닌 땅과 그 땅에 분포되어 실재하는 사람들, 그리고 수직과 상승의 의미를 지닌 둥구나무와 남근석으로 분류하여 연구함으로써, 예술작품이 아니었던, 단지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그래서 자연적으로 시간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그 형태들에서 그들이 담아 내었던 염원, 바램, 기다림의 소망들을 지금의 시각에서 지금의 시대에 다시금 담아내고자 함에 있다. 현대에 사는 사람들이 지닌 각기 다양한 내재적 불안을 해소하고 그들 각 개인의 안녕에 대한 염원을 기원하는 방법으로써 민간 신앙물의 상징성과 조형성을 지금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적 정서를 연구하여 현대적 조형성과 염원의 형상화를 통한 현대적 의미의 조형물으 만들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도자 작업을 통하여 내가 살아 나가고 있는 복잡다단(複雜多端)한 이세상의 환경적 요인과 인간 내면에서 기인하는 정신적 요인으로 인한 고의 문제를 개인적 창작 의지의 표출과 함께 도자 조형물의 다양한 조형 언어로써의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Regardless of all times and places, human beings live their lives with experiences of the past, instability of the present, and indescribable apprehension and expectations of the future. Particularly, in terms of uneasiness, it was most likely that in the past it wa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which humankind itself could not control because well-being of a community was linked directly with that of the life of each individual as well as he or she was a member of a community; while what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feel uneasy is possibly attributed to immanent factors, that is, they feel uneasy as human beings per se. The study makes an effort to reappear desire, wish, and hopes for waiting which people in former times revived in forms which were just made out of necessity-not works of art-and then made as time was accumulated naturally, by studying and classifying the formative aspect of shapes given with features and those of memories which people of the past had carried into the land having the meaning of the horizon and expansion and existing people ranging over the land, and a large old shade tree and a phallic stone having the meaning of verticality and upgrade. As a way that contemporary people settle respective various intrinsic uneasiness they have and each of them desires for there own well-being, formative works having modern meanings through the embodiment of contemporary formativeness and desire will be performed here, reinterpreting the symbolism and formative quality of works based on folk belief in the present vision and studying symbolical sentiments intrinsic to the interior of them. In conclusion, by a series of ceramic works as has been discussed above, this thesis is undertaken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ression of a matter of pain, which wa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of this complicated world where we are living and mental factors caused by the inside of human beings, as a variety of formative language of ceramic works accompanied by the presentation of individual will to create.

      • 가상환경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강화학습 기반 자율주행 차량 제어

        이훈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화되고 시스템이 개입하는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규칙 기반의 알고리즘으로는 도로 위의 복합적인 주행 상황과 위협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자율주행 차량의 센서 처리, 인지, 판단, 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 딥러닝과 AI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경로 추종, 정적 장애물 회피, 보행자 회피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강화학습은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 반복적인 실패를 통해 학습하는 특징이 있어 반복적인 주행 시뮬레이션을 위해 가상환경을 이용하여 강화학습 환경을 구축하였다. 경로 추종 제어, 정지 자동차 회피, 보행자 회피 시나리오를 각각 가상환경에서 구성하여 학습을 진행하고 결과를 검증하였다. 강화학습 제어기의 경로 추종 성능 평가를 위해 곡선도로 주행 시나리오에서 Pure-Pursuit, Stanley 제어기와 횡 제어 성능을 비교하였고, 강화학습 제어기로 주행하였을 때 횡 방향 경로 오차가 가장 작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정지 객체 및 동적 객체가 회피 제어 성능 평가를 위해 KNCAP 기술규정의 시험방법에 근거하여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정지 자동차 회피 시나리오와 보행자 정면 충돌 시나리오에서 긴급 제동 및 조향 제어를 통해 충돌 회피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복합적인 주행 시나리오에서 인간 운전자와 강화학습 제어기를 비교하기 위해 Driver-in-the-loop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목표 속도 준수, 차선 유지, 충돌 회피 측면에서 실험 운전자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가상환경에서 학습된 제어기로 실차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실차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s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advanced and the scope of system intervention has expanded, rule-based algorithms have limitations in responding to complex driving situations and threats on roads. Therefore, research was conducted to apply deep learning and AI to various fields, such as sensor processing, recognition,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autonomous vehicles.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hat can be applied to the situation of path following, static obstacle avoidance, and pedestrian avoidance of autonomous vehicl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learning through repeated failures in the early stages of learning, so a reinforcement learning environment was established using a virtual environment for repeated driving simulation. Path-following control, stationary vehicle avoidance, and pedestrian avoidance scenarios were configured in a virtual environment to conduct learning and verify the results. The lateral control performance of the reinforcement learning controller was compared with the Pure-Pursuit and Stanley controllers in the curved road driving scenario. The result of the reinforcement controller showed the slightest lateral path error. Scenarios were created based on the test method of the KNCAP technical regulation to evaluate the collision avoidance control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collision avoidance is possible through emergency braking and steering control in the stationary vehicle avoidance scenario and the pedestrian collision scenario. A driver-in-the-loop simulation environment was constructed to compare human drivers and reinforcement learning controllers in a complex driving scenario.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reinforcement learning controllers performed better than experimental drivers regarding target speed compliance, lane keeping, and collision avoidance.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real car application was confirmed by performing real vehicle tests with a controller learned in virtual environments.

      • 초음파 흡수를 위한 마이크로 스케일 디퓨저

        이훈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중소음 저감기술은 해군 무기체계 개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중 흡음재를 통한 수중소음 저감기술은 수중의 고압과 부식을 견딜 수 있는 재질의 선택, 제작 및 유지보수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질의 물성과는 관계없이 규칙적인 표면 구조를 통하여 흡음효과를 유발하는 수중소음 저감용 디퓨저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흡음용 디퓨저의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1 MHz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하는 마이크로 스케일 디퓨저를 설계/제작하여 이에 의한 흡음률을 측정한 후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잘 설계된 디퓨저는 수중환경에서 우수한 흡음 성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 集計型道路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に關する硏究

        이훈기 東京大學 大學院 1998 해외박사

        RANK : 247631

        交通澁滯や環境問題は樣樣な要因から發生するために, 交通政策も多樣化·廣域化されており, 多數の交通政策パッケ-ジから最も效果のよい代替案を, 時間と費用の制約下で選擇する必要が生じた. 戰略交通モデルは, 時間と費用の制約下で, 多樣な交通政策を分析し, 最も效果のよい代替案を選擇するため開發されたものであり, そのモデルの特徵は集計型道路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 (以下,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 の一種である集計Q-V式による道路ネットワ-クの大단な簡略化にある. 今後マクロレべルの政策評價分析の必要性は一層大きく,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に關する硏究が必要である. 本硏究の目的は, 理論的及ひ實證的分析によって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の性質を把握し, マクロレべルの政策評價分析への活用を圖ることである. 本硏究から得られた主要な硏究成果は, 信號交差点での遲れ時間を考慮した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の開發, 交通政策による環境インパクト分析モデルの開發,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を用いた戰略交通モデルの開發の3点で, 以下にそれぞれの內容を述ぺる. ① 信號交差点での遲れ時間を考慮した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の開發 マクロレべルの評價分析や戰略交通モデルに用いられる集計Q-V式は,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オ-マンス關數の代表的なものであり, 特定地域の道路ネットワ-ク供給量に對する台キロ交通量とネットワ-ク平均速度の關係を表す. しかし, 從來集計Q-V式の大きな欠点は, 信號交差点での交通流變數の特性に對する配慮がないことであり, 都心地域への適用には限界を持っている. そこで, 道路區間での集計交通流變數の特性, 信號交差点での集計交通流變數の特性を理論的に考察したうえ, 道路區間での交通サ-ビスと信號交差点での交通サ-ビスを同時に表現できる,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を提案し, その檢證を東京都の道路網を對象に道路交通センサスデ-タによって行った. 從未型の集計式と比較して, 實測速度の再現性から, 提案型の集計式の有用性を確認した. ② 交通政策による環境インパクト分析モデルの開發 排氣ガス, 騷音等自動車交通による環境問題は非常に深刻であり, 環境評價モデルとして樣樣なものが提案されている. そのモデルの大半は, 排氣ガスの排出量や燃料消費量の算定を, 平均旅行速度を基準に行っている. しかし, 自動車からの排氣ガスの排出量は走行·停止條件により變動するためより適切な手法が必要である. そこで, 道路ネットワ-クを移動する交通流を, 走行時間と停車時間に分類し, そこから排氣ガスの排出量と燃料消費量を算定する方法を提案した. 基本的な槪念は, 主に都心地域では, 道路區間を走行する場合と信號交差点で停車する場合だけが存在すると假定し, それぞれから排氣ガスの排出量と燃料消費量を算定することである. 具體的には, ①の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を用いて, 走行時間と停車時間とを計算し, マクロレべルの2流體モデルを適用することを提案した. 2流體モデルを用いると, 平均旅行時間を平均走行時間と平均停車時間に區別することができるため, 走行時の排出量と停車時の排出量をマクロレべルで算定できる. この環境インバクト分析モデルを用いれば, アイドリングについても環境評價分析が可能となる. ③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を用いた戰略交通モデルの開發 戰略交通モデルは,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を用いた代表的な例であり, ある程度の精度を維持しながら多數の政策分析に必要な時間や費用を大ぎく削減しうることにその意義を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 今後の交通政策は, 廣範圍な地域に對し, 最も效果のよい政策パッケ-ジを選擇することが必要であり, 戰略交通モデルの必要性はより高まると予想される. そこで, 東京大都市圈を對象に,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開數を用いた戰略交通モデルの開發を試みた. 基本的な考え方は, 配分計算の際, 首都高速道路はフルネットを用い, 一般道は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による簡略ネットワ-クを用いることでおる. その理由は, 一般道はリンク數が非常に多くて配分用のネットワ-ク構築に時間と費用がかかり, 多數の一般道から配分用リンクの選定基準が困難なためである. 台キロと台時間における實測値と推計値の比較結果は, 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を用いた戰略交通モデルの適用可能性を示している. 以上, 本硏究による主な硏究成果について說明したが, 殘された課題としては, 需要サイド要因による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の感度分析, また澁滯領域に對する集計ネットワ-クパフォ-マンス關數型の性質分析等がある.

      • 소형 발전소의 비용 효율적인 이중화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 개발

        이훈기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에너지 시장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면서 국내 에너지 수급 현황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력 수급의 어려움이 있어 발전소의 설비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형 발전소용 발전기 자동전압 시스템은 과도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속응성 있는 정지형 여자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대형 3중화 여자시스템은 1000MW급 원자력 발전소에서 실증 적용되어 상업 운전 중에 있다. 그러나 대형 여자 시스템은 대형 발전소를 대상으로 개발되어 매우 고가여서, 소형 발전소 적용 시 비용 측면에서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뢰성 있고 저가의 이중화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디지털 여자제어 시스템은 이중화 구성을 통해 전압 제어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화력 발전소의 가스터빈에 실증 적용하여 각종 제어 기능 시험 및 결과를 수행하여 그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韓半島 平和定着 方案에 관한 硏究 : 在來式 武器 減縮을 中心으로

        이훈기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can be expressed by the expression "monomulti polar structure" where the US wields great power over general world affairs as the sole military superpower after the breakup of the Soviet Union, yet where the European community, Russia, China and Japan also form spheres in which they can exert influence. Therefore, nations worldwide are seeking new national security strategies fit for the future course of the security environment about to unfold. In this fast-changing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security, each nation is taking political measures to reduce military spending,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t will serve mutual interests, establish security talks for multiple parti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cooperation. However, the increase of mutual dependence and the multiplicity of threats make it difficult for nations to ocercome international crises. In this thesis, questions are suggested for effective arms control to achieve study purpose in Korean peninsula 2000's as follows. First, what is general concept and practice of arms control? Second, what is the South and North Korea arms control, unification policy/arms control approach strategy of arms control and the factors of South and North Korea arms control so far? Third, what is considerations of arms control, negotiation standard and arms control models in Korean peninsula for answering the changing strategic environment after post cold war? The answers of these questions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or policy for getting national security are the method by military superiority and arms control, they are related with contrast and mutual supplementation each others. Therefore,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wo strategy and policy depend upon various national security environments, political or economical capabilities. Second, the lessons of the east and west arms control negotiations process are as follows: ① Effective arms control can afforded by political better relationship, ② Through the correspondent concept definition of mutual military quantities and weapon system, the negotiation of arms reduction are developed by the kinds and size of mutual reduction, ③ The necessity of mutual agreement in verification system, ④ Impartiality. Third, The primary facilitating factors in South and North Korea arms control are as follows: ① Stratigic situation of the countries in Korea neighborhood will rise the negotiation circumstances to Korea arms control, ② The influences of the East and West arms control, ③ The consciousness of same brotherhood and eagerness of the unification, ④ The fearness of 2nd Korean War, ⑤ The economical heavy burden. And the primary hampered factors are ① South and North Korea mutual political distrust, ② The lackness of mutual understanding to the arms control, ③ Military support from powerful countries, ④ The lackness of the arms control willingness with each other, ⑤ The lackness of verification. Fourth, The considerations of effective arms control are ① Guide to the participation in arms reduction agreemen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arms control, ② Active participation to the nuclear reduction·non-proliferation regime, ③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arms control planning. The primary factors of negotiations are the choice of reduction subject, method and level of reduction and ve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rms control can reach the agreement of mutual negotiation. ROK government focuses on the following principles of arms control policy. First, ROK-North Korea arms control shall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direct resolution, achieved through direct talks and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However, discussion with countries either involved in the four-pary talks or involved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always be welcomed. Second,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security environment of the peninsula, the ROK government will proceed with inter-Korean arms control gradually, but will negotiate with North Korea in a flexible manner. Third, the ROK government will implement ROK-North Korea arms control according to the measures already agreed upon in the Basic Agreement and the Protocol of North-South Nonaggression, and will continue to develop and negotiate new measures. Fourth, the ROK-North Korea arms control will be focused on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of WMDs which are emerging as the greatest threat to the security of the peninsula. In conclusion, for a fruitful implementation of North-South arms control, the ROK government will first seek out and vigorously develop detailed agenda starting with "negotiable issues,: to "issues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issues which have been already been agreed upon in the Basic Agreement," and "issues beneficial to bo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