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처리 방식에 따른 폴리락타이드와 셀룰로오스 복합재료의 특성 연구

        이효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즈 (Mircrofibrillated cellulose)는 열가소성 고분자의 물성을 강화하고 결정화를 촉진해 성능이 향상된 친환경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폴리락타이드 (Polylactide)는 바이오매스 기반의 친환경 고분자로써, 다른 친환경 고분자보다 비교적 우수한 열 가공 특성, 기계적 물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상업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은 내 충격성, 느린 분해 속도, 소수성인 점 등 단점이 있으며 결정화 속도가 느리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락타이드에 셀룰로오즈를 첨가한 완전 자연 순환형 복합재료를 제조하고, 폴리락타이드의 기계적 물성 및 열적 특성 변화를 관찰했다.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즈는 섬유 간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서 섬유가 물에 현탁된 상태로 존재하는데, 폴리에스터 계열인 폴리락타이드와 복합화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즈를 두 가지 방법으로 전처리 하였다. 동결건조한 섬유는 Internal mixer에서 폴리락타이드와 복합화했고, 유기용매를 이용해서 용매 치환한 섬유는 유기용매에서 폴리 락타이드와 미리 혼합한 후 Internal mixer에서 혼련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10 wt% 셀룰로오즈 비율로 가공되었다. 또한, 상용화제를 사용한 복합체를 추가로 실험하여 셀룰로오즈와 폴리락타이드 사이에 형성된 가교 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피브릴화 셀룰로오즈를 함유한 폴리락타이드는 기계적 물성 향상을 보였고, 특히 유기 용매와 미리 혼합된 복합체는 더 높은 인장강도를 보였다. 셀룰로오즈는 폴리 락타이드의 결정화를 촉진시켰고, 확대된 결정성 영역은 기계적 물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상용화제 사용에 따른 결정화도 및 기계적 물성 변화는 상용화제가 고분자 매트릭스와 필러 사이의 계면 접착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결정화도 증가 및 상용화제 사용이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은 동역학적 열분석기를 사용한 분석에서 온도에 따른 저장 탄성률 거동으로 관찰하였다. 동결 건조 된 셀룰로오스와 유기용매로 치환된 셀룰로오스를 각각 사용하고 전처리 방식과 가공 기법이 복합소재에 주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Application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MFC) in polymer has attracted increasing applications with the concept of fully bioderived nanocomposites. Polymer composites from polylactide (PLA) and MFC were prepared using two different fiber preparations. Freeze-dried MFC was prepared and directly mixed with PLA in an internal mixer. The MFC premixed with PLA in an organic solvent was prepared, followed by an internal mixer for another composite. In addition, grafting cellulose on PLA using a compatibilizer was performed. In this research, composites containing 10 wt% MFC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The processing procedu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The tensile strength was increased with filler loading and showed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processing with and without premixing.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the storage modulus and tangent delta confirmed that the compatibilizer acted as the role of a bridge between filler and matrix an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pretreatment on the change of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by using freeze-dried cellulose and cellulose suspension substituted with an organic solvent.

      • 항암플러스의 독성에 관한 연구 : Toxicological Study on Hang-Am-Plus in Rats

        이효재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항암플러스의 독성반응을 관찰하고자 수컷 쥐 50마리를 각각 단일경구투여군과 반복경구투여군으로 나누어 단일경구투여군은 1주간, 반복경구투여군은 5주간 매일 경구 투여 후 전신적 독성변화와 무해용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일경구투여는 0, 0.2, 1, 5 및 25 g/kg/day의 농도로 실시하였으며, 반복경구투여는 0, 0.04, 0.2, 1 및 2 g/kg/day의 농도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기간 동안 모든 시험군에서 빈사 및 폐사 동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2. 본 실험결과 모든 시험군에서 시험물질 투여에 의한 어떠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고, 또 안과학적 검사에서 대조군 및 시험물질 투여군에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3. 시험기간 중 생존동물에 대한 체중변화에 있어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 있는 체중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전 군에서 4주 동안 일반적인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 4. 장기중량 측정 결과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중량변화를 보인 장기는 없었다. 5. 부검시 모든 실험군의 주요장기에 대한 육안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와 관련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6. 혈액생화학적 검사 결과 반복경구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성 있는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단일경구투여군에서는 0.2 및 1. 5. 25 g/kg/day 군에서 Creatinin과 Triglycerides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7. 혈액학적 검사에 있어서 반복경구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일경구투여군에서는 0.2 및 1, 5, 25 g/kg/day 군에서 RBC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5 및 25 g/kg/day 군에서 RBC, Hb, HCT, MCH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8. 모든 동물에 대해 시험 종료시에 뇨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시험물질 투여로 인한 변화로 판단되는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9.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조군과 처치군 사이에 의미 있는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암플러스를 0, 0.2, 1, 5 및 25 g/kg/day의 농도로 1주간 단일경구투여한 결과와 0, 0.04, 0.2, 1 및 2 g/kg/day의 농도로 5주간 반복경구투여한 결과 항암플러스의 무해용량(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은 2 g/kg/day 이상으로 판단된다.

      • 광학 교육에서 프라운호퍼 회절에 대한 실험 방안 : trapezoidal apertures, combined apertures of circle and rectangle, and combined apertures of circle and triangle

        이효재 慶尙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simple experimental scheme that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diffraction phenomena of light through the study on Fraunhofer diffraction. The Fraunhofer diffraction for the trapezoidal apertures, the combined apertures of circle and rectangle, and the combined apertures of circle and triangle was studied. The irradiance functions of the diffraction patterns were theoretically computed, and the diffraction patterns were predicted using computer program Mathematica. The predicted results were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btained in experiments with a He-Ne laser.

      • 지역문화축제를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함평나비대축제를 중심으로

        이효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지방정부는 문화자원을 통한 지역경쟁력 확보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처럼 고유문화의 고수가 최선의 길은 아니며, 그 지역에 가야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문화상품의 개발없이는 지역간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이에 본고는 지역이미지를 제고하여 지역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문화전략으로 장소마케팅 기법을 제시하고 지역문화축제를 핵심적 수단으로 간주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대상은 문화의 산업적 속성과 지역의 공간적 측면의 접목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고 있는 지역문화축제로 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문화축제에 장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하여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관점에서 재조명해 보고, 지역문화축제를 분석할 수 있는 틀을 도출해 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사례는 농촌의 자연자원과 생태자원을 통한 기존의 전통적인 자원과, 지역상정물로 '나비'라는 형성적 문화이미지를 결합시킴으로써 차별화 된 환경친화적 축제로 인정받고 있는 함평나비대축제를 선정하였다. 이에 본고의 목적은 장소마케팅에 입각해 함평나비대축제를 분석해보고,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지역문화축제가 장소마케팅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사례 연구의 결과, 함평나비대축제는 지역정체성을 확립하고 지역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장소마케팅 문화전략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함평나비대축제는 '나비'라는 지역의 상징물을 통해 지역을 상징하는 대표성과 역동성을 가장 잘 표현해 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함평나비대축제의 장소마케팅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나비대축제는 타지역의 축제가 갖는 모호성과는 달리 나비와 환경을 강조한 테마를 중심으로 이벤트를 구성하여 목표설정을 명확히 하였다. 둘째, 나비대축제는 나비상품 브랜드인 '나르다(Nareda)'를 통한 상품의 구성과 차별차로 성공적인 이미지마케팅을 거두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가시적인 성과이외에도 지역정체성 함양과 지역민의 자긍심 고취라는 사회·문화적 성과를 일궈냈다. 셋째, 나비대축제는 관과 민이 함께 주관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민의 참여를 활성화하였다. 이와 같이 함평나비대축제는 '장소의 상품화', '지역의 브랜드화'로 특징 지워지는 장소마케팅을 위해 지역의 개성이나 차별성을 강조함으로써 지역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함평나비대축제가 소비재가 아닌 생산적 산업으로 인정받으려면 지역의 문화 유산에 대한 장소상품화와 장소 마케팅의 중요성을 문화 산업의 차원에서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시장 조사와 표적마케팅 활동을 강화한 지속적인 평가과정을 수행하여 공간적 초점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즉, 축제의 장기적인 비전을 설정하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와 프로그램들을 세워 실행에 옮기는 전략적인 사고에 입각한 경영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뒷받침될 때 장소마케팅은 지역 자체를 문화상품으로 조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지역의 경제적인 목표뿐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목표들까지를 포괄하는 주체적이고 민주적인 지역발전 전략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특히 지역문화축제를 포함한 문화전략은 지역 고유의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지역의 문화를 상징적으로 이끄는 지역개발의 주요한 방식이 될 것이다. 따라서 지역문화축제가 장소 활성화라는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전략과정을 마케팅적으로 재구성해봄으로써 지역이미지를 제고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Local governments are currently showing a higher interest in securing competitiveness through using their cultural assets. They recognize, in this context, that the preservation of their traditional cultures alone is not the best option as before, then pursuing the developments of unique cultural products of their own to survive in the competition against one another. Against these backdrops,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place marketing techniques as one of the cultural strategies in terms of local cultural festivals in oder to promote image and competi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Thus, it limits study scope in local cultural festivals that try to combine the industrial propensity of culture with the locality of areas. This paper makes an effort to introduce concept of place marketing into a local cultural festival for analysis on the basis of new marketing strategies, thereby suggesting a new analysis framework of local cultural festivals. To that end, this study focused on the Hampyung Butterfly Festival that has many meaningful implications in itself. That is to say, the festival is known to be successful in combining traditional resources of natural and ecological assets in agricultural areas with local symbol 'butterfly,' which is a formative cultural image. Hampyung Butterfly Festival has been praised for its originality and environment-friendly initiative. Therefore,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Hampyung Butterfly Festival on the basis of place marketing concept so that we can know if local cultural festivals are taking advantage of place marketing. More effective alternatives for various uses are following. As a result, Hampyung Butterfly Festival fulfills the cultural strategies of place marketing that put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local identity and image. This derives from the fact that 'butterfly', as a local symbol, has articulated representation and dynamics of locality very well. The specific features of place marketing in the Hampyung Butterfly Festival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festival sets a clear goal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butterfly and environment as theme and entertainment objects. Secondly, it creates a successful image marketing through system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areda,' a butterfly brand name. Additionally, the festival achieves social and cultural successes, namely establishing local identity and pride among local residents. Thirdly, many residents took part in the festival programs, forming a civic-government partnership. To put it simply. Hampyung Butterfly Festival plays pivotal roles in strengthening local competitiveness with a place marketing mind-set that emphasizes locality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 festival also has many things to improve. Firstly, it has to make utmost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place marketing and customization of place in terms of cultural industry. Secondly, market testing and target marketing, in the long term, are needed further to use place marketing strategies. That is, more managerial techniques should be introduced. Considering these things above, place marketing is expected to bring out customization of locality, independent and democratic developments of areas, including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chievements. Especially, cultural strategies in local cultural festivals may be a main driving force behind culture-oriented developments of local areas with appreciation of local cultural identity. Ultimately, a series of the consecutive networks, or local cultural festivals, place activation, strategic processes will strengthen local image and developments of local areas down the road.

      • 단편소설을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전광용의 <꺼삐딴 리>를 중심으로

        이효재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제화, 세계화 등의 용어로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한국은 비약적인 경제 발전과 월드컵, 올림픽 등의 행사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위상이 상승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을 배우려는 학습자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요구도 점차 다양화, 전문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처럼 고급화된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언어 교육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다문화 시대를 맞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문화 교육은 목표 문화의 수용과 동화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문화 간의 소통을 경험하며 다양한 문화로 이루어진 세계 안에 존재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해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문학 작품을 활용한 교육은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문학 작품의 종류 중에서 단편 소설 텍스트가 언어 학습 활동에 있어서 좋은 교수의 제재가 될 수 있다는 것과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단편 소설의 기준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그 기준에 적합한 단편 소설을 실제 교안으로 제시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단편 소설 활용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제 2장에서는 언어가 사용되는 사회 및 문화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 제이론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한국의 여러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문학 작품의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고 발견된 문제점을 기초로 앞으로 한국어 문학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진단한다. 제 4장에서는 한국어 문학 교육에 필요한 문학 작품의 선정 기준과 소설 교육 대상, 문학 교육의 자료로서 현대 단편 소설이 유용한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 제시된 자료에 근거하여 전광용의 단편 소설 <꺼삐딴 리>를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작품분석을 하였다. 제 5장에서는 제 4장에서 선정한 단편 소설<꺼삐딴 리>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사용할 교안을 6차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단편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작품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된 한국 문화 및 역사를 이해할 수 있으며 어휘 및 관용어의 습득과 소설을 통한 내면적 성장과 가치관의 비교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문화 수업의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에 대한 수업은 한국 문화에 대한 단편적 소개나 체험이 대부분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소설의 내용에 기인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의 특정 부분에 대해 왜 그런 문화가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토론을 할 수 있는 수업 안을 제시한 것에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학습자들을 위한 문학 작품의 목록 및 선정기준이나 교재 개발, 또는 교수 방법의 확보 등 연구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이러한 이유에 근거하여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소설을 활용한 교육과 연구가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se days Korea is gaining attention and interest from other countries because of its marvelous economic development and hosting of international events like the World Cup and the Olympic Games. As Korean is developing its reputation, the number of people who want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s greatly increasing, along with requests for more various specialized forms of programs and tools.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use of language education tool that satisfy those demands are vital. The goal of cultural education is not only to teach students to accept and experience the culture, but also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it. It seeks to awaken a realization of various cultural elements and factors in situations in which an individual finds himself. For this goal, the education method using literature is very effectiv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at short novels can be a good source of language education, providing the proper standards in selecting short novels are used, and providing a practical specific example of an effective short novel can be used as a textbook. This study voices the need for short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pter 2 contains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society along with investigations of various theories that suggest and support the use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Chapter 3 contains research of the present state and weaknesses in some currently used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long with my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hapter 4 includes the standards for selecting literary works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such works with intended audiences, and reasons why modern short novels are useful sources of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o elaborate these points, I have selected and analyzed the novel Kapitan Lee (Captain Lee) by Chon, Kwang-Yong as a novel that can be quite efficient as a literature education textbook. In chapter 5, I have suggested a six-step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eaching Korean using Kapitan Lee by Chon, Kwang-Yong. In conclusion, through the use of short novels and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method, students can easily learn to understand not only the literary works but also the beauty of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Korean literature education, students can efficiently learn the vocabulary and idioms of the Korean language, experience internal growth, and gain the ability to compare Korean values with his own. Presently, especially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students are simply introduced to and invited to lightly experience Korean culture. The aim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ass that will not merely superficially introduce culture, but that will provide understanding of why Korean culture is the way it is today, and that will encourage discussion and interaction about the said subject during meetings. There is still much to be done in gathering and creating a catalog of good literary titles, developing set standards for choosing books, seeing the production and publication of specialized textbooks, and developing standardized teaching methods and plans for the subject. There is a lot of ground to be made in this strategic method of teaching Korean using literature, and efforts in the study of implementation of using Korean short novels in language education must advance and continue. 最近、国際化やグローバル化などの言葉が叫ばれるようになった現代社会において、韓国は飛躍的な経済発展を果たし、ワールドカップやオリンピックなどによって世界から注目されている。韓国の国家ステータスが上昇するにつれて、韓国語や韓国学を学ぼうとする人も増えており、その要求も徐々に多様化・専門化している。したがって、このように洗練された学習者の要求を満たす言語教育が最優先課題となっている。 特に、多文化時代を迎えた今日における現場での韓国語教育は、文化を受け入れたり、文化に同化したりする事に留まらず、学習者に異文化コミュニケーションを経験させ、多様な文化によって構成されている世界に存在している自分を発見させる必要がある。この場合、文学を活用した教育は大変有用である。よって、本研究では、多様な文学作品の中でも短篇小説のテキストが言語学習活動にとって良い教材になる事が可能である事を確認すると共に、韓国語教育に相応しい短編小説の基準を調べ、その基準を満たす小説を実際に教案で提示し、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教育における短編小説の活用の必要性を確認した。 第二章では、言語が使われている社会や文化との関連性を調べ、外国人学習者を対象とした韓国語教育における文学教育の必要性の理論を調べた。 第三章では、韓国語文学教育の現況と問題点を把握するために、現在、韓国の各大学で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教材に収録されている文学作品の現況について調べ、発見した問題点に基づいて、今後の韓国語文学教育の進むべき方向について調べた。 第四章では、韓国語文学教育に必要な文学作品の選定基準と教育対象、そして文学教育の資料として現代短篇小説が有用である理由を調べ、提示された資料に基づいてジョン・グァンヨンの短篇小説「カピタン・リ─」を教材として選び、作品分析した。 第五章では、第四章で選んだ短編小説「カピタン・リ─」を用いて、実際の授業に使用する教案を6回に分けて提示した。 この研究による結論は、短編小説を活用した韓国語教育を通じて、学習者は作品に対する理解だけではなく、作品に内在する韓国の文化や歴史の理解が可能であり、語彙や慣用句の習得、また内面的な成長や価値観の比較の可能性を見い出す事ができたのである。特に、授業面から見てみると、今まで小説を用いて行われた韓国文化に関する授業は、文化に対する短篇的な紹介や体験がほとんどであったが、本研究では小説の内容に基づき、韓国文化の特定の部分について、なぜそのような文化が形成されたのかについて、歴史的な理解や討論が可能となる授業案を提示した事に意味がある。 しかし、学習者のための文学作品の目録や選定基準、教材や教育方法の開発など、研究しなければならない課題が沢山残っている。したがって、外国人学習者を対象にした韓国語短編小説を用いた教育と研究が、より活用されるように、努力と作業が続けられる事が必要である。

      •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교원의 인식 : 강원도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효재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Forcing on secondary school in Kangwon Province - Hyo-jae Lee Majored in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oo-nam Jo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ome solutions to the problems in the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 development(hereafter TEPD). The main problem as cited in this paper is the difference in intention of government and actual application at the school. I achieved this result through surveying the opinion of teachers refarding the TEPD. What I want to do is giving some tips that cam reduce any problems according to application and trial of this TEPD. I set up some subjects of inquiry: Recognition of teachers for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EPD , organization and participant of TEPD's organization and evaluation and teacher's practical use of result of this TEPD. The subjects are 305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work in Kangwon province(9 middle schools, 14 high schools). The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and the SPSS statistics package was use to deal with these data. The conclusion is this : There are two different recognition about TEPD. One is teachers agree the introduction purpose of TEPD will give all of our people recovery of trust in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TEPD. But most teachers recognize that the ultimate object of TEPD is withdraw unacceptable teacher, grade payment for teacher's piecework system, and is linked to the teacher's promotion system. There are many worrying factors to teachers about the enforcement of the TEPD. The first is that the TEPD will facilitate the government to blames teachers for mistakes in policy. Teachers also believe that the TEPD will cause mistrust and hostility between teachers because of excessive competition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surveyed they believe that it will lead to a weakening of their leadership for their student because of the students' evaluation for their teachers. The negative elements for the evaluation between the fellow teachers are : the paternalism on the basis of school, area and acquaintance, evaluation according to sex, the teachers' union, hospitality for the elder teachers. Another negative aspect noted by the teachers is that the students' parents have a limitation with respect to getting some information about their children's teachers. This makes the evaluation for teachers different in appropriateness and objectivity. According to Teachers the TEPD is not appropriate as it focuses on the teaching activity. They think that there are more important factors such as belief and a sense of duty, teaching students' character, educational guidance. etc. Teachers show negative thought about the TEDP effec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tudents' school accomplishment, teachers' professional skill even if the TEDP is introduced. Teachers felt that the TEDP did have some positive factors. Among these factors was the self training aspect of the TEDP Teachers felt that this was good when is opened to only the person concerned. The assisting of teachers that need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also noted as being positive. The chance to retrain and improve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was noted. Finally, teachers felt that the result is used to find out excellent teachers and to reward them accordingly.

      • GIS를 이용한 보성지역 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예측

        이효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구조의 변화와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각종 용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표수자원의 개발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대체 수자원으로 지하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수자원에 대한 관리 및 보전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신중한 개발과 이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자원의 효과적인 관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공간 추정법을 검증하기 위해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한 농어촌 지역인 보성지역 지하수의 물리적 특성과 주요 양·음이온에 대한 공간 분포와 공간 추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은 수치표고모델(DEM; Digital Elevation Model)과 수계망의 분석을 통해 6개의 유역이 추출되었으며, 지하수의 유동방향은 대체로 유역과 일치하였다. Piper diagram에 의한 수질유형 분석 결과 섬진강 수계에 속하는 BS01, BS03, BS05 유역의 지하수는 Ca-HCO3 영역에 도시되고, 군소하천 유역에 속하는 BS02, BS04, BS06 유역의 지하수는 Ca-HCO3에서 Ca-Cl 영역에 걸쳐 도시된다. 통계분석결과 pH, 수온, SiO2를 제외한 대부분이 평균값보다 중앙값이 작은 양성왜도를 보이는데, 왜도가 큰 자료는 공간분석 과정에서 왜곡을 불러 올수 있으므로 대수변환을 통해 왜도와 첨도를 낮춰서 공간분석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경향분석결과 ORP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서에서 동쪽방향으로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크리깅에 의한 분포도에서도 경향분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이 확인되는데, 특히 Mg2+, Cl- 및 EC 등에서 보다 확실하게 확인된다. 정규크리깅에 의한 추정결과 pH의 분포는 다른 물리적 특성보다 비교적 복잡한 분포 양상을 보이며, DO는 해안과 내륙의 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이온 분포를 살펴보면, Mg2+, Na+, SO42-, Cl-의 분포양상은 비교적 그 변화가 단순한 반면 Ca2+, K+, HCO3-의 분포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경향을 보인다. 교차 검증 결과 DO와 ORP의 회귀선 기울기가 0.952와 0.745로 예측의 신뢰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TDS는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인다. F- 이온은 회귀선 기울기가 0.695로 이온분석자료 중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이며, SO42-이온의 경우 비교적 신뢰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정규크리깅과 공동크리깅의 비교를 위해 pH를 주변수로 하고 다른 인자들을 각각 2차변수로 하여 공동크리깅을 실시한 결과 공동크리깅에 의한 pH의 분포는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정규크리깅에의한 분포와 매우 근사하다. 교차검증결과 회귀선의 기울기 값이 대부분 정규크리깅의 0.540과 유사한 값을 보이나 SiO2나 F-이온을 2차 변수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회귀선의 기울기가 1에 훨씬 더 가까워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공동크리깅이 항상 정규크리깅보다 더 나은 결과가 도출되는 것은 아니며, 비교적 상관성이 높은 인자를 2차 변수로 사용할 경우 정규크리깅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한 PWM 부스트 컨버터형 역률 개선회로

        이효재 인제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전력 변환기가 가지는 문제점인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과, 최근에 제정된 교류 전력을 주 입력으로 사용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들이 가져야 하는 입력 전류 고조파제한 표준안(국제전기표준위원회 :IEC EN-61000-3-2)을 소개하고 이 표준안을 만족시키기 위한 역률 개선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첫 번째로 최근의 전력 변환기 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에서 주요 관심의 대상 중 하나인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루었다.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승압형(Step-up) 전력 변환기 중 하나인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의 전력단(Power stage)에 소프트 스위칭을 위하여 보조회로 및 소프트 스위칭 제어기가 추가로 설계되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두 번째는 역률 개선회로 부분으로 전통적인 부스트 컨버터형 역률 개선회로(PFC Boost converter)에 부가적으로 소프트 스위칭 방법을 적용하여 전통적인 방식의 장점은 유지하되 스위칭으로 인한 손실도 최소화되게 하였으며 역률 개선 제어기를 중심으로 각 부분의 동작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결과에서는 앞의 두 가지 회로를 접목한 “스위칭 손실을 최소화 한 부스트 컨버터형 역률 개선회로(Soft-switching PFC Boost converter)”의 소프트 스위칭을 검증하기 위하여 스위칭 순간에 스위치를 중심으로 각 주변 소자의 전압 및 전류 파형을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개선된 역률을 검증하기 위하여 입력 교류전압과 입력 교류전류의 파형 및 고조파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프트 스위칭 동작 조건에 대해서도 구간별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역률 개선 제어기와 소프트 스위칭 제어기가 교류전력을 주 입력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