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공립과 사립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 만족도 비교연구

        이혜경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level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as the basis of human developm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level of the self-efficacy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components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elf-efficacy? 3. What is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level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components between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 garten teachers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job satisfaction? 5. Is there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kindergarten teachers in Gang- weon province. 100 teachers each were selected from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the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fficacy was Gu Su-jin (2001)'s inventory that translated and modified Bandura(1997)'s Teacher Efficacy Scale(TES) to evaluate the self-efficacy of teachers in specific kindergarten situation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job satisfaction level was Jeong Hyang-rim(2005)'s inventory that modified Puala Jorde-Bloom(1988)'s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ECJSS) to suit Korean circumstances by adding an element of 'social approv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s, and t-test was carried out to track difference i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Besides,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of all the data were verifi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fficacy of the national/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as relatively at a high level.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st excellent in efficacy of creating a good climate, and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 the best in terms of disciplinary self-efficacy. All the teachers lagged behind most in terms of decision- making efficacy. Second,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ahead of their counterparts in self-efficacy. Among self-efficacy components, the former outdid the latter in all the decision-making efficacy, teaching self-efficacy, disciplinary self-efficacy, parent-involvement efficacy and efficacy of creating a good climat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By background variables,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significantly surpassed their counterparts in self-efficacy regardless of age, career, academic credential and class size. Third,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relatively high job satisfaction, but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eren't contented with their job a lot. Both groups found their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most satisfactory. Fourth,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significantly better job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mong job satisfaction components,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ere significantly better pleased than their counterparts with job itself, working environments, pay and promotion. In contrast, the latter was significantly better contented with social approval than the former. By background variables, the national/public kindergarten teachers expressed significantly better job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irrespective of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class size. Fifth,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both groups. Those who had a better self-efficacy had a tendency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ir job, but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positive correlation of the two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본 연구는 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인간 발달의 기간인 영·유아기를 담당하고 있는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사립 유치원 교사간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수준을 알아보고, 어떤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또한 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불만족 요인을 찾아 향상시킬 수 있는 합리적 방법을 모색하고 개선점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하위 구성요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의 수준은 어떠한가? 넷째.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하위 구성요소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에 소재한 국 ? 공립유치원과 사립 유치원교사 각각 100명을 표집하여 총 20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교사들에게 각 설문지를 직접 배부, 작성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본 연구 도구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Bandura(1997)의 Teacher Efficacy Scale(TES)를 번안하여 유치원이라는 특정 상황에서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정 ? 보완한 구수진(2001)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Puala Jorde-Bloom(1988)이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 측정도구(ECJSS : Early Childhood Job Satifaction Survery)를 우리나라 실정이 맞게 ‘사회적 인정’ 요인을 추가하여 수정?보완한 정향림(2005)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공립유치원 교사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그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은 모두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유치원 긍정적풍토 조성 효능감’, 사립유치원 교사의 경우 ‘훈육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연구 대상 모두 ‘의사결정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둘째.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 구성요인으로 살펴보면, 의사결정 효능감, 교수 자기효능감, 훈육 자기효능감, 부모참여 효능감, 유치원 긍적적 풍토조성 효능감 모두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으로 살펴보면, 연령, 교직경력, 학력, 담당학급 원아수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국·공립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대상 모두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 가장 큰 직무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넷째.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구성요인으로 살펴보면 국·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사립유치원교사들 보다 직무자체 만족도, 근무환경 만족도, 보수 승진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사회적 인정 만족도는 사립유치원 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배경변인으로 살펴보면, 연령, 교직경력, 학력, 담당학급 원아수 등 모든 배경변인 에서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국·공립과 사립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는 두 대상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두 대상 모두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국·공립 유치원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정적 상관관계와 사립유치원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정적 상관관계 간에는 다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동사와 부사의 사건구조에 관한 연구

        이혜경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복합동사와 부사를 중심으로 이들 표현이 나타내는 사건구조와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형식적으로 기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어의 복합동사는 두 개 이상의 동사가 병립하여 쓰인다는 점에서 이들이 나타내는 사건구조는 더욱 복잡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사가 사건구조에 간여하는 경우 이들 동사와 부사가 나타내는 사건구조는 더욱 복잡한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보다 명료하고 간결하게 기술하기 위해서 아원자 의미론을 의미 기술의 틀로 삼아 영어와 국어의 사건구조와 이들의 상호관계를 기술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동사가 나타내는 의미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사건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선결과제임을 감안할 때, 아원자 의미론의 기술방안을 따른다면 모든 동사는 적어도 두 개의 사건구조로 해체분석 된다고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사는 상위 VP와 하위 VP로 구분되며, 상위 VP는 사건의 과정을 나타내고 하위 VP는 핵심사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위VP와 하위VP는 영어에 있어서는 어휘에 따라 해체분석에 의하여 명료하게 구분되지만 국어에 있어서는 이른바 복합동사의 구조로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영어의 give와 같은 동사는 이들 동사가 수반하는 목적어에 따라 hold 또는 pick up으로 나타낼 수 있는 상위VP와 give something to someone과 같은 하위VP 즉 핵심사건으로 해체되며, 국어에서는 [집다 + 주다]의 결합표현인 [집어주다]로 실현된다. 이렇듯 영어의 동사는 어휘해체 과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상위VP와 하위VP 해석이 가능한 것은 이들 동사가 취하는 목적어나 부사에 따라 달라지지만, 국어에서는 이러한 어휘해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목적어에 따라 복합동사의 표층적 표현이 달라진다. 또한 부사가 사건구조에 간여하는 경우 가운데 향화자 부사, 화역부사, 반환부사, 태도부사, 측정부사 등의 사건구조는 이들의 의미적 특성에 따라 사건구조가 달라진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예컨대 영역부사의 사건구조는 CR(d, c*)로 기술할 수 있으며, 화역 d와 초건의 집합 c*라는 맥락에서 영역부사는 사건과 관련된 표현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부사가 중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문법성과 비문법성을 토대로 하여 이들 부사의 사건구조 사이의 충돌 및 상호 호혜관계를 밝힘으로써 부사의 사건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논의한 동사는 국어의 복합동사에 국한된 사건구조의 기술이었다. 특히 국어의 사슬동사의 경우는 사건구조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띌 것으로 생각되며, 부사 역시 더 많은 부사가 갖는 사건구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event Structures of complex verbs and adverbs in English and Korean and to represent their meanings by logical form. However, the event structures of Korean complex verbs are very complicate because they have a juxtapositional structure of verbs. In addition to this, the adverbs also take part in the event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verbs. so the whole event structures of the predicate are more complicate. In order to simplify the formal representation for those expressions we take the subatomic semantics as the descriptive device. The event structure of the verbs or the adverbs could be analysed as two subparts. The one is upper VP and the other is low VP by the lexical decomposition. The former represents the process of the event and the latter represents the core event. However, the subparts of the event in Korean verb could be represented as multiple structures because Korean has the serial or complex verb structure such as V1 + V2 in a simple VP. For instance, English verb "give" can be decomposed as "hold" and "pick up" with respect to the objects that the verb goes with. On the other hand, Korean complex verb such as [Gip-a-ju-da; pick it up and give it to someone] consists of two verbs such as "pick" and "give". It means that Korean complex verb structures represents the substructures of the decomposed the verb of English. We also argue that the Korean adverbs also represent the different ev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mantic characters of the adverbs such as speaker-oriented adverbs, domain adverbs, restitutive adverbs, manner adverbs, and measure adverbs. For instance the event structure of the domain adverb can be represented as CR(d, c*), where CR(d, c*) is a contextual restriction on conditions c*, in terms of the domain d. Finally when those adverbs appear together in a sentence sometimes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ose adverb. We also argue that those grammatical or ungrammatical expression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t event structures of the adverbs. However, we focused on the event structure of Korean complex verbs and some adverbs, but we have to expand the denotation for the serial verbs and the other adverbs in future.

      • 公共事業 葛藤의 管理方案 : 새만금 干拓事業을 中心으로

        이혜경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With advance of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since 1990s, public conflict has been increasing. Because it increases the social cost, it should be managed in the proper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anagerial plans of conflict on public projects. To do that, this study focuses on Saemankeum Project,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most typical cases of conflict among the public projects. This study looks at mainly structure of public conflict. Results of analysis find that the Project consists of two different categories, that is,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other words, conflict and cooperation have been appearing among various participants related to this project. In addition, dominant ideology, politicians and mass media have been influenced the project. Several problems were found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project. First, this project did not meet with the change of value. Second, unreasonable decision-making process causes conflict. third, a joint investigation committee which consists of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has failed to coordinate their conflict. Fourth, government compensated the target residents improperly for their dama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managerial plans of conflict. First, evaluation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should be redone to find positive and negative impact of the project more precisely. Second, new organization which takes charge of alleviation and coordination of conflict should be installed. Third, participation of all parties/persons concerned should be secured during the process of conflict management. Finally, the economic compensation for the damage should be done more carefully and elaborately.

      • 상경 계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교육 방안 연구 : 신문 텍스트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이혜경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상경 계열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해 ‘전공 기본 개념’ 교육을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여 학문적 목적을 달성케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그 방법으로 딱딱하고 추상적인 설명이 나열된 전공교재가 아닌 실제 사례를 통해 어려운 개념을 쉽게 이해하고 전공용어도 접할 수 있는 ‘신문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수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된 방법론이 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와 ‘신문을 활용한 경제 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한 점검으로 내용 중심 언어 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먼저 내용 중심 언어 교육의 정의와 유형을 파악하고 본 논의에서는 언어 강사 1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주제 중심 학습 방안’이 가장 적합함을 도출해 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내용 중심 언어 교육이 ‘경제학’ 과목의 선행 학습에 유리함을 밝히고 앞으로 상경계열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교수 시 어떤 내용을 다룰지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의 주된 아이디어는 ‘신문’을 활용한 언어 교수이니만큼 신문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신문 활용의 언어교육학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경제학 학습자료로서 신문자료가 가지는 유용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인하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52명을 대상으로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대학 기관이나 사설 어학원에서 중·고급에 해당하는 4〜5급까지 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대학 강의를 수강하기 어렵다고 나타나는 것은, 기존의 일반 목적의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교육이 대학에서의 학업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배양하기에 부족함을 시사한다. 학습자들은 특히 ‘전공’ 과목에서 이해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전문 용어에 대한 이해 부족과 전공 내용 자체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들은 언어 교육원의 한국어 수업에서 전공 내용을 쉽게 가르치는 방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 결과는 교사 1인에 의한 주제중심 언어교육의 타당성을 뒷받침해준다. 한편 조사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한국어 신문을 평소에 잘 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어 수업 시간에 신문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기대감을 보였다. 그 이유로 경제, 경영, 무역 관련 기사를 통해 전공 어휘를 많이 접할 수 있고 신문에 나온 구체적인 사건(상황)을 통해 어려운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음을 들었다. 4장에서는 신문 텍스트를 활용한 상경 계열 기본 개념 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문지방 개념의 학습을 통해 그 학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가 된다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경제원론의 기초 개념을 선정하여 한국어 수업에서 교육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원론에서 문지방 개념이 되는 기초적인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신문 텍스트를 제시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샘플 단원을 구성해 보았다. 본 연구는 비록 검증을 거치지 못하고 단지 상경 계열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수업에서 다룰 만한 신문 텍스트 주제 설정과 한 단원의 구성을 보여주는 데 그쳤지만 상경계열의 학습자를 위해 언어와 전공내용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조사

        이혜경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경 지도교수 : 황상심 언어치료청각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는 언어치료사가 제공하는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 특성에 관련된 8문항, 언어중재 특성에 관련된 3문항, 전문가 언어치료사가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관련된 1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련된 32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에 관련된 1문항, 언어치료 중재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에 관련된 1문항으로 총 4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의 타당도를 위해서 전문가 내용 타당도 검증을 하였으며, Cronbach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 병원 및 의원, 언어치료실, 교육기관, 기타 기관의 언어치료실에서 근무하는 202명의 언어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치료사가 전문가적인 소요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검증으로는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고, 언어치료사의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치료효과에 긍정적인 영향과 치료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연령)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중재 0.005,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학력)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34, 중재 0.006,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직책)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23,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치료사의 일반적 특성(경력)에 따라 전문가적으로 소요하는 시간의 순위에 대한 유의확률 분석 결과, 평가 0.031, 중재 0.001, 교육 0.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언어치료사의 중재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큰 영향” 대상자와의 교감, 대상자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긍정적인 언어치료 효과 기대가 가장 높았고, “작은 영향” 문헌지식, 언어치료사가 증거-기반 중재 원칙에 따르는 정도가 높았고, “매우 작은 영향” 언어치료사의 대상자 사용 언어의 유창한 정도가 높았다. 셋째, 언어치료사의 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긍정적 영향1에서 대상자 부모와 의사소통의 정도, 긍정적 영향2에서 대상자 부모와 의사소통의 정도, 긍정적 영향3에서 언어치료사가 언어장애를 이해하는 지식의 정도가 언어치료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높았다. 넷째, 언어치료사의 치료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3가지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부정적 영향1에서 세션을 준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부정적 영향2에서 세션을 준비하는데 걸리는 시간의 양, 부정적 영향3에서 언어치료사가 전문가로 보이는 정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볼 때, 언어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언어치료사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언어치료사들이 대상자 & 부모님과의 교감, 의사소통, 치료 효과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인 언어치료 효과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아동의 참여권에 관한 아동과 부모의 인식 연구

        이혜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아동 참여권에 대하여 참여권 보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모와 권리행사자인 아동의 인식이 어떠한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2곳씩을 선정하여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아동 총 495명과 그 부모 314명으로 하였다. 아동참여에 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총 4개의 하위영역, 즉 자신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 기회를 가질 권리, 의견 형성 및 결정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권리, 아동의 견해가 존중받을 권리, 참여를 통해 능력발달의 기회를 누릴 권리로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아동과 부모의 참여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참여권에 대하여 아동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하위영역은 자신의 견해가 존중받을 권리였으며, 문항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문항은 성인이 모든 아동의 의견을 진지하게 듣는 것과 아동의 자신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성인과 사회의 지지를 받는 것이었다. 반면, 아동이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하위영역은 참여를 통해 능력발달의 기회를 누릴 권리였으며, 문항 가운데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는 문항은 아동관련 기관의 종사자들이 아동의 권리와 참여에 대해서 알게 되는 것과 의사결정과정에서 어른과 똑같은 힘을 행사하는 것이었다. 아동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는, 초등학교 5학년 아동 보다 중학교 2학년 아동의 참여권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아보다 여아의 인식이 더 높았다. 둘째, 아동의 참여권에 대하여 부모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하위영역은 아동의 의견 형성 및 결정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였으며, 학교, 법원, 동사무소, 경찰서 등과 같이 아동과 관련된 모든 기관의 종사자들이 아동의 참여권에 대하여 알게 되는 것과 이 같은 기관에서 아동이 자신의 의사 표현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를 두어야 한다는 문항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부모가 가장 낮은 인식을 나타낸 하위영역은 아동이 참여를 통해 능력발달의 기회를 누릴 권리였으며, 모든 아동의 의견을 진지하게 듣고, 의사결정과정에서 아동에게 예측 가증한 결과를 미리 알려주어야 한다는 문항에 대해서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자녀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인식은 자녀가 중학생인 부모가 자녀가 초등학생인 부모보다 아동의 참여권에 관해 더 높은 식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참여권에 대한 아동과 부모의 인식을 비교해보면, 아동은 의견형성과 결정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권리 보다는 아동의(나의) 견해가 존중받을 권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부모는 의견형성과 결정에 관련된 정보를 얻을 아동의 권리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cognized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5 2nd-grade elementary school and 2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wo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314 of their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recognition on children's participation, the index composed of 20 questions was used for their following four sub-sections: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making decision related to themselves, the right to obtain information with regards to the formation of opinions and decision-making, the right of their opinions to be respected, and the right to enjoy the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abil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terms of data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find out the recognition on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o show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regard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the children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at they had to be fairly supported and respected by adults and society, their opinions needed to be treated seriously by adults and they could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related to themselv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age. On the contrary, it has been noted that the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s related to children had low recognition on the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participation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children's power equivalent to that of adults' power. In terms of children's gender and age, 2n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recognition on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than 5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had higher recognition than male counterparts. Second, the parent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o have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regarding children's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opinions with respect to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Namely, they recognized highly that the employees of all organizations related to children such as schools, courts, dong offices, police stations, etc. had to be aware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and there had to be some experts who could help children express their thought freely in the said organizations. However, they had lower recognition than the aforementioned question in terms of listening to children's opinions carefully and informing children of the predictable outcome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is regard, it has been recognized by them that it would be more necessary to establish formal procedures for secur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rather than their attitudes towards children. In terms of children's age, it has been found that the par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recognition on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than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when comparing the recognition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on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hildren recognized the right of their(my) opinions to be respected more than the right of ob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opinions. However, it has been noted that the parents had the highest recognition on children's right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formation and determination of opinions.

      • 교재의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안

        이혜경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재는 학습 현장에서 학생과 교사를 구체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매개물이면서 교육기관의 교육 이념을 궁극적으로 실현하는 수단이자 도구이다. 따라서 교재는 학생과 교사와 더불어 학습 현장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교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데서 출발하며 현재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의 구성 체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재 체제는 여러 가지 문제가 제기되었다. 한국어 교재가 기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개발되어, 한국어의 언어 교육적 측면의 이론 체계나 수준 등급 구분 등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결여되는 문제점이 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를 선정, 분석하여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해본다. 먼저 2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선정을 위해서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 이론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재를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과정의 위계화를 위하여 한국어 능력시험 기준을 분석하고, 어휘와 문법 및 문형에 대한 빈도수와 교재 중복도와 관련된 중요도를 근거로 주요 학습 내용을 배열한다. 3장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한국어 의사소통 기능 영역과 한국어 지식 영역, 문화 영역으로 체계화 하여 교수요목을 제안하였다. 의사소통기능, 한국어 지식, 문화의 요소를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 전체를 10등급으로 단선화 하고 각 등급별 내용 조직에 의사소통적 기능, 어휘, 문형(문법) 등을 단계적으로 등급화 하여 제시하였다. 한편, 한국어 능력시험에 응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1-4급은 한국어 능력시험의 초급, 5-8급은 중급, 9,10급은 고급의 입문 단계를 보여줄 수 있도록 하였다. 교수요목은 큰 윤곽으로 보면 교육과정 범주 안에 속하는 것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에 좀 더 구체화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가 많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4권에 한정하여 살펴보아 다양한 교재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지 못한 것이 이 연구의 부족한 부분이다. 또한 교육과정 선정의 위계화 과정에서 기준으로 삼은 것이 한국어 능력시험이라는 것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 미흡한 점으로 꼽을 수 있다. 교육과정이란 학습 목표에 따라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계획한 것이다. 학습 목표를 포괄하고 있으면서 그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교육과정은 학습 목표에 따라 교재 편성이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 살펴 본 한국어 교재들이 초급, 중급, 고급으로 수준별 학습을 지향하고 있으나, 그 기준점이 학습 목표에 정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교재의 내용 구성이 체계적이지 않음을 지적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등급별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 짓는다.

      • 비형식 공무원 교육 성과의 체제적 인과분석

        이혜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체제접근을 토대로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네 가지였다. 첫째, 국내외 관련 서적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비형식 교육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공무원 교육의 적합성을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문헌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정요인들을 도출하고, 성과요인과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셋째, 성과 영향요인 및 성과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 문항을 기반으로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설문도구를 재구성하였다. 넷째, 인사혁신처 인재개발 플랫폼의 비형식 교육 환경에서 학습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 소속 국가공무원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응답 결과를 기반으로 성과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인 학습만족도, 지각 현업적용도,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동기, 조직시스템, 대인관계성이 규명되었다. 반면, 자기효능감과 업무 다변성이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학습동기, 조직시스템, 대인관계성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조직시스템, 대인관계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와 지각 현업적용도,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비형식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호기심과 긍정적인 관심 그리고 실제 업무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은 교육에 대한 요구 부합이 성과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업무와 결부된 실질적인 교육 환경에서 비형식 교육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와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 조직시스템은 비형식 교육에 대한 조직 차원의 제도적인 지원과 보상체계가 학습자의 교육 의지와 결과에 대한 외재적 동기를 강화하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조직은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 제고를 위해 학습자의 교육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조직문화의 형성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보상과 지원체계를 확장할 필요가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대인관계성은 동료와 상사 등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비형식 교육의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신뢰도가 비형식 교육의 과정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둘째,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 영향요인들이 학습만족도와 지각 현업적용도,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학습동기, 조직시스템, 대인관계성 순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동기가 교육 성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이유는 학습자들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참여에 대한 의지가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목적 달성에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학습자는 교육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명확하고, 목적 달성을 위한 효율적인 방식을 선호하며, 교육의 결과로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였을 때 비형식 교육의 만족도 향상과 지속적인 참여의지, 현업적용에 대한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시스템이 학습동기 다음으로 영향력이 큰 이유는 비형식 교육 참여의 의무화, 성과 중심 보상체계 등 조직의 제도적 지원이 학습만족도와 교육의 지속적인 참여를 강화하여 성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인관계성은 조직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적극적인 상호작용 활동이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중앙행정기관 소속의 국가공무원 일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공무원 전체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지방공무원, 특정직 공무원 등 다양한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통해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설정한 학습자, 대인관계, 조직 특성 요인들이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와 관련된 모든 요인을 포함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다양한 잠정요인 고찰에 기반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비형식 공무원 교육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독립요인의 규명뿐만 아니라 성과와 독립요인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요인을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of public officials‘ learning outcome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a systems approach from an educational engineering perspective. The study aim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and “To what extent do these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were examined, and the suitability of this type of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for public officials was reviewed employing a systems approach. Second, tentativ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were deriv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ir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40 public officials who were learning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on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talent development platform.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s of the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d the extent of their influenc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motivation, formal organizational progra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job implementation, and persistence in learning.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self-efficacy and task divers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job implementation, and persistence in learning were in order of learning motivation, formal organizational program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 of this study led to two conclusions. First, Learning motivation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outcomes due to learners’ meeting their demands for high usability in the actual workplace as well as their curiosity and positive interest in informal learning. Formal organization programs were also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outcomes, as manifested by the strengthening of learners’ willingness to learn and extrinsic motivation toward outcomes. Additional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outcom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l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s with peers and superiors. Second, learning motiv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perceived job implementation, and persistence in learning. It is inferred that sustained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of public official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will be facilitated when learners have clear learning objectives, prefer efficient learning approaches to achieve those objectives, and can generate practical outcomes as result of their learning. A formal organizational programs meen that the level of support and willingness within the organization, such as institutional support for new learning approaches and performance-based reward systems, can enhance participation in informal learning and contribute to positive outcomes. Finally, the reason for the high influ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ems to be that learners’ participation and attitude towards building natural relationships with organizational members are believed to b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up studies conducted on various groups of public officials,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public officials in special services. Seco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various potential factors and their impacts on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Last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edi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comes of public officials i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independent factors that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