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NB용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 설계 및 구현

        이형규 광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발진기의 안정도를 높이고 Q값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직․병렬 궤환형 구조를 이용하여 기본주파수 9.85 GHz 발진기인 전압 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VCDRO:Voltage Controll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9.85GHz유전체공진발진기를 비선형 시뮬레이션 설계도구인 Agilent사의 ADS ver. 2001을 이용하여 library에서 지원하는 비선형 모델로 설계를 하여 9.85GHz 기본 주파수를 얻었다. 여기에 바랙터 다이오드(Varactor Diode)를 첨가하여 주파수를 동조할 수 있도록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제작하였다. 직․병렬 궤환형 전압제어 발진기는 일반적인 직렬 궤환형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기본으로 소오스 측을 출력 측으로 궤환 시킨 구조로 이루어 졌다. 이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112.2dBc/Hz@100KHz의 위상잡음 특성을 나타내었고 출력은 11.5dBm, -54.67 dBm의 2차 고주파 억압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Ka-band LNB의 LO(Local Oscillator)의 신호원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thesis, a VCDRO(Voltage Controll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with the series and parallel feedback structure at fundamental frequency of 9.85 GHz, which improves the stability and the value of Q, is presented. The oscillator is designed using ADS ver. 2001 by Agilent Co. which is a nonlinear design software. The VCDRO consists of a dielectric resonator and a varactor inserted into the oscillator. A series and parallel feedback VCO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source is connected to the output in the general structure of series feedback oscillator. The VCO shows the phase noise characteristic of -112.2 dBc/Hz at the offset frequency of 100 kHz, the output power of 11.5 dBm, and the second harmonic suppression of -54.67 dBm. The oscillator can be used as a signal source of LO in Ka-Band LNB if the frequency doubling technique is adopted in this structure.

      • 水平多空層에서 垂直貫通流가 自然對流 熱傳達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李炯揆 전남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평다공층의 下部에서 가열하고 上部에서 냉각하는 自然對流상태에서 下部경계면에서 上部경계면으로 균일한 貫通流가 있을 경우에 貫通流가 自然對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貫通流가 없을 경우의 임계 Rayleigh number(약 4π²)와 貫通流가 있을 경우의 임계 Rayleigh number를 비교하고, 각각의 Rayleigh number에서의 Nusselt number, 등온선의 형태, 유동현상을 고찰하였다. 수치해석적 연구에서는 2차원 비정상 유동으로 가정하고 유한차분법(FDM)을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는데, 방정식 풀이에서 가장 어려운 압력항 계산을 渦度(vorticity)와 流量함수(stream function)를 이용하여 배제하였다. 그리고, 上下경계면의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적용시켜 가장 적절한 조건을 찾고, Peclet number를 도입하여 초기 유입 속도를 결정하였다. 실험적 연구에서는 150mm × 150mm × 50mm의 시험체적(Test section)을 갖는 실험장치를 제작하고 그 안을 3mm 직경의 유리구슬로 가득 채웠다. 그리고, 上下경계면에서 균일한 유량을 出入시키기 위해 경계면을 분말야금으로 제작된 황동판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경계면으로 극히 적은 유량이 유입됨으로 정밀유량계인 Digital식 Flow meter를 사용하여 유입속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열전대(Thermocouple)를 이용해 上下경계면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Rayleigh number, 전열량 및 Nusselt number를 구하였고, Liquid Crystal을 시험체적 앞면에 부착하여 등온선의 형태를 파악하였다. 수치해석 대한 신뢰성 및 정확성을 얻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Nusselt number와 Liquid Crystal에 나타난 온도분포를 수치해석하여 얻은값과 비교하였다. 이런 결과값들은 경계면의 온도차, Rayleigh number, Nusselt number, Peclet number, 등온선의 형태, Stream line의 형태 등이 있다. We implement the throughflow effects on natural convection in horizontal porous layer with through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We use the Brinkman-Darcy equation for this study. It is found that in such a physical configuration both stabilizing and destabilizing factors due to vertical throughflow can be enhanced so that a more precise control of the buoyantly - driven instability in porous layer is possible. In numerical analyses, We assume that the flow(in control volume) is unsteady and two-dimensional. We take the vorticity-stream function equation for the reduction of pressure term. So, we easily evaluate the equation. and, Boundary conditions is adapted from the vorticity-stream function equation. In experimental analyses, the test section is 150mm × 150mm × 50mm and, is filled with glasses of 3mm diameter. and, above and below boundary is made of copper plate which is made by powder metallurgy technic. This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numerical results. Results are isothermal lines, stream lines, nusselt number, etc.

      • 커머셜 주얼리(Commercial Jewelry)의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 제품, 쇼핑몰 및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이형규 명지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owing to qualities of convenience, easy access and lower prices, e-commerce continues to grow at a remarkable rate. However, the percentage of e-commerce sales in total jewelry retail sales is still a meager 1.5%. Furthermore, despite the fact that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reached 20 million and that the number of hours spent on the Internet is increasing exponentially, on-line shoppers for buying jewelry are still rare and the transaction is limited to only a few items in the entire e-commerce market. And also the studies for jewelry sales in internet market were performed rarely. There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actors for jewelry in internet shopping malls.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of jewelry internet shopping malls into product-related and transaction-related factors: The former includes design, fashion, brand, quality, variety, and price of product, whereas the latter includes awareness, degree of interaction, transactional stability, and delivery stability. Second, I found that design, fashion, quality, and price of the characteristics of jewelry product positively affect customers' buying intention. I further found that awareness, and delivery stabilit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jewelry internet shopping mall positively affect customers' buying intention. Third, the study results suggest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 perceived-risk factors and shopping value between the product and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f the jewelry internet shopping and customers' buying intention. In other words, as consumer's perceived-risk increas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duct and shopping mall characteristics of the jewelry internet shopping and customers' buying intention become more negative. Furthermore, as consumer's hedonic shopping value increases, the design, fashion, and brand of jewelry products characteristics more positively affect customers' buying intention. However, as consumer's utilitarian shopping value increases, the quality, variety, and price of jewelry products characteristics more positively affect customers' buying intention. The study's findings provide the managers of internet shopping mall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for attracting new customers and maintaining their existing customers for jewelry sales. 국내 주얼리 시장의 현황 중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 중 하나는, 커머셜 주얼리 브랜드의 대중화이다. 주얼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고가의 원석이 들어간 주얼리만이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신세대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모조석이나 합성석이 들어간 중/저가의 주얼리가 인기를 얻고 있다. 젊은이들이 많이 모이는 쇼핑몰이나 대학가 및 지역 중심가에는 어김없이 주얼리 브랜드 체인점이 의류브랜드 상점처럼 즐비하게 늘어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인터넷이나 TV 홈쇼핑을 통해 손쉽게 주얼리 제품을 집에서 감상하며 구입할 수도 있어, 주얼리 제조 산업과 더불어 주얼리 유통업체가 점차 발전할 수밖에 없다(부정화, 2003). 특히 오랜 기간 동안 국내에서 자리를 잡아온 금은방은 쇠퇴하는 경향이 있지만 프랜차이즈 주얼리 점포나 백화점, 대형유통할인점, TV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주얼리 판매량은 점점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의 일등 공신은 신용카드로 현금이 당장 없어도 주얼리를 구입가능하게 되었고, 카드 실적을 통해 세금공제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이웅렬, 1999; 산업자원부, 2001; 한국귀금속가공협동조합 연합회, 2002).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 쇼핑몰이 급성장함에 따라 커머셜 주얼리의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판매실적도 급성장하고 있다. 현재 온라인상의 주얼리 전문몰은 약 1,000여 개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경우, 전체적인 인터넷 시장의 성장과는 다르게 주얼리 쇼핑몰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커머셜 주얼리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부정화, 200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제품특성(디자인, 유행성, 브랜드, 품질, 다양성, 가격), 쇼핑몰 특성(인지도, 상호작용성, 거래안정성, 및 배송안정성), 및 소비자 특성(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위험지각 정도)을 통합하여 과연 커머셜 주얼리 쇼핑몰에서 어떤 요인들이 얼마나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머셜 주얼리를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얼리 제품의 특성 즉, 주얼리의 디자인, 유행성, 품질, 및 가격 등이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주얼리의 디자인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커머셜 주얼리를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몰의 특성 즉, 쇼핑몰의 인지도 및 배송안정성이 소비자의 구매행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소규모 쇼핑몰에 비해 대규모의 종합쇼핑몰에서 주얼리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주얼리의 특성상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는 제품 특성이 쇼핑몰 특성보다 더욱 크다는 가설은 지지되지는 않았지만, 주얼리의 제품 특성과 쇼핑몰 특성 중에서는 제품 특성의 하나인 디자인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쇼핑몰 특성인 배송안정성이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커머셜 주얼리가 소비자들의 개성 창조와 자기표현의 수단인 감성적인 제품으로(이승희 & 부정화, 2005), 다른 어떤 제품보다 패션에 민감한 제품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주얼리가 얼마나 세련된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는지 등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얼리를 구입한 경우 제품을 산 즉시 착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을 기다려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이 언제 어디로 도착할지 우려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소비자 구매에 있어서 안전한 배송의 중요성이 제시된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대부분의 주얼리 거래가 대규모의 종합쇼핑몰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도 소비자들이 안전한 배송을 더욱 고려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커머셜 주얼리를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위험지각 정도가 제품 및 쇼핑몰 특성과 소비자의 구매행위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소비자가 쾌락주의적 쇼핑가치를 가질수록 제품의 디자인 및 유행성 등을 고려하게 되고, 실용주의적 쇼핑가치를 갖는 경우는 주얼리 제품의 가격을 더욱 고려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위험지각 정도가 클수록, 주얼리 제품 특성 중에서 품질 및 가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약화되었다.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위험지각 정도가 클수록, 쇼핑몰 특성 중에서 인지도와 배송안정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약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실무적으로는 기존의 다른 인터넷 쇼핑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마케팅 전략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커머셜 주얼리 쇼핑몰만의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학문적으로는 기존에 개별적으로 연구되었던 소비자 구매의 영향요인들, 즉 제품, 쇼핑몰, 소비자의 특성을 모두 통합함으로써 어떤 요인들이 얼마만큼 소비자들의 인터넷 구매행위를 이끄는지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던 커머셜 주얼리를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됨으로써 커머셜 주얼리 분야만의 특성을 제시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머셜 주얼리 분야에서 인터넷 쇼핑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마이크로 컨트롤러 80C196KC와 PC를 사용한 로봇암 구동에 관한 연구

        이형규 水原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one-link 로봇 시스템을 제작하고, 인텔사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80C196KC를 사용하여 위치제어 서보 시스템을 제작한 후, 이 서보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로봇을 제어한다. 우선, 로봇의 동역학 모델을 유도하고 중력과 정적마찰 토크 등 비선형 동역학을 보상한다. 그리고 보상된 동역학 모델에 루프형성기법(Loop Shaping Method)을 적용하여 고성능 서보 궤환제어 로직을 설계한다. 위에서 설계한 제어 로직은 80C196KC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구현한다. 80C196KC 제어 시스템에서는 타이머 인터럽트에 의하여 0.05 sec의 샘플링 시간을 설정하고, 또 하나의 80C196KC 타이머는 DC모터와 부착되어 있는 엔코더의 펄스를 측정하데 사용한다. 80C196KC 서보 제어기는 호스트 PC와 PCI 버스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기준 명령값을 호스트 PC에서 계산하여 80C196KC 서보 컨트롤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80C196KC 서보컨트롤 시스템에서는 인크리멘탈 엔코더로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제어 출력은 계산한 후, 80C196KC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PWM 출력을 통하여 H-브릿지가 내장된 L298에 입력하여 모터를 제어한다. 서보 컨트롤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계한 로봇 서보 제어 시스템이 안정성, 명령 추종성, 외란 억제, 센서 잡음 억제 등 제반 제어 성능면에서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In this study, a one link robot system has been built and controlled, where a position servo control system has been integrated based on an Intel microcontroller 80C196KC. First, the dynamic model of the robot was derived. Next, a precompensator was designed to compensate for the nonlinear dynamics of the gravitational force and static friction torque. Then the loop shap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precompensated dynamic model to design a high-performance position servo feedback control law. The designed servo control law has been implemented through the 80C196KC servo control system with 0.05 msec sampling rate, where timer interrupt is used to set the sampling rate. Another timer is used to count the pulses of the ineremental encoder attached to a DC motor. The 80C196KC servo control system is connected with a host PC through a PCI bus interface. Reference commands are computed in the host PC and are downloaded to the 80C196KC servo control system. Then the corresponding control outputs are computed in the 80C196KC servo control system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the incremental encoder and are inputted to the H bride circuit of L298 through PWM output ports of the 80C196KC microcontroller. Servo control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on the robot with the 80C196KC servo control system. The servo control performance is excellent in stability, command tracking, disturbance rejection, and sensor noise attenuation.

      • 창고내 저장위치 결정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응용

        이형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의 출현에 따라 유통센터는 짧은 사이클 시간(cycle time), 적은 재고, 적은 비용과 더 좋은 고객 서비스의 물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많은 회사들이 효과적인 물류관리에 집중을 하고 있다. 오더 픽킹(order picking)은 창고에서 매우 일상적인 일로 창고에서의 제품의 저장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창고의 비용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별히 오더 픽킹 프로세스를 향상시키는 것은 공급망 비용(Supply chain cost)과 창고 비용(warehousing cost)을 줄이는데 중요한 부분이다[4]. 본 논문은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창고에서 제품 저장위치를 할당하는 방법을 통하여 작업자의 이용거리를 줄임으로써 오더 픽킹(order picking)시간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Apriori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2항목 집합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최소지지도와 최소신뢰도, 향상도(lift)를 이용하여 클러스터링 할 항목들을 선정한다. 다음으로 클러스터링을 진행한 후 생성된 클러스터를 같은 통로에 배치하는 방법이다. 항목간의 연관 규칙을 찾을 때 최소지지도 이상의 빈발 항목집합만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신뢰도와 향상도(lift)를 사용함으로 최소 지지도 이하의 지지도를 가진 항목의 연관성을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입출고 빈도수에 따른 저장방법과 제안한 방법과의 비교 실험을 하였다. 위에서 언급된 각각의 방법에 따른 작업자의 이동거리를 실험을 통해 계산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좀 더 우수함을 보여 준다. With the advent of supply chain management, distribution centers have fulfilled a strategic role of achieving the objectives of shorter cycle times, lower inventories, lower costs, and better customer service. Many companies focus on efficient logistics management[11]. As a routine process in warehouse, improving the efficiency of order picking process is essential to reduce warehousing and supply chain costs. This paper proposes storage location assignment in warehouse to reduce order picking time for minimizing worker's tour distance. We can create 2-itemset by using Appriori algorithm. And the items should be clustered by using the minimum support, the minimum confidence, and the lift. Then we make the items clustered. We put clusters(the clustered items) in storage locations in the same aisle. To figure out the association rule between the items, a traditional association rule concerns the frequent itemset only. In this paper, however, we consider the items with a support less than minimum support by using the confidence and the lift. In this paper, we made a comparison the suggested method by computer simulation with the turnover based storage policy. The worker's tour distance by each method we mentioned is calculated through the simul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better performance in order picking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