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 IT 노동조합의 탄생과 IT 노동자들의 정체성 : 워싱턴테크노동조합(Washington Alliance of Technology Workers)을 중심으로

        이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8년 미국 워싱턴주의 IT 노동자들이 만든 노동조합인 ‘워싱턴테크노동조합’(이하 워시텍)은 미국 경제의 금융화와 노동의 불안정화라는 미국의 경제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탄생했다. IT 기업들은 나스닥을 통한 기업 상장과 미국 연기금의 투자를 바탕으로 단기간에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지만, IT 기업 내부에서는 임금 수준, 고용 형태, 기술 교육 등을 비롯한 다양한 차원의 차별이 점차 형성되었다. 고임금과 엄청난 액수의 스톡옵션을 보장받은 상위 IT 노동자들과는 다르게, 하위 IT 노동자들은 사설 의료보험 혜택조차도 받지 못했다. 고용 형태 측면에서는 다른 기업으로의 이직을 반복하면서 더 좋은 조건을 찾아 나간 IT 노동자들과 다르게 1980년대부터 독립 계약자, 파견 노동자, 임시직 노동자와 같이 처음부터 제도적 차원에서 형성된 불안정한 조건의 IT 노동자들이 나타났다. 기술 교육 측면에서는 IT 노동자들이 최첨단 기술을 지닌 전문가로서 인식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IT 기업 내에서 파견직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이류’, ‘무능력’, ‘배제 대상’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심지어 명찰 색깔, 이메일 주소, 회사 내 동호회 활동, 야유회 참석과 같은 부분에서도 IT 노동자들 내의 양극화가 나타났다. 1980년대 이후 워싱턴주에서 일한 IT 노동자들은 이상의 다양한 차별과 양극화를 겪으면서 집단적인 차원의 행동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1980년대에 불안정한 고용 형태에서 일하면서 차별을 받아온 마이크로소프트의 독립 계약자들이 마이크로소프트를 대상으로 한 집단소송을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IT 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은 파견 노동이라는 고용 형태를 통해 지속되었다. 또한 집단소송이 끝나기도 전인 1997년에 워싱턴주정부와 소프트웨어 기업 연합회의 유착을 통해서 ‘컴퓨터 노동자 초과근로수당 제외 행정 규칙’이 만들어졌고, 기업가들이 시간 당 27.63달러 이상을 받는 IT 노동자들에게는 초과근로수당 자체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었다. 워싱턴주정부에 대한 IT 노동자들의 분노는 700여 편이 넘는 주정부를 대상으로 한 집단항의서한 발송으로 나타났다. IT 기업들과 주정부, 정규직 기술직 노동조합에서 자신들의 이익이 대변되지 못하는 것을 보면서, IT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단체인 노동조합인 워시텍을 만들게 되었다. 본 논문은 IT 노동자들의 세 가지 특성을 분석할 것이다. 1998년 공개적으로 활동을 시작한 워시텍의 주요 활동을 살펴보면 당시 IT 노동자들이 형성한 정체성을 알 수 있다. 워시텍은 크게 초기업적 차원의 노조 활동, 노조 자체의 기술 교육 활동, 외국을 경계하고 미국 IT 노동자 우대를 요구한 국가주의적 활동을 보였다. 먼저 노동조합 초기 구성원들이 마이크로소프트라는 단일 기업에서 일했지만, 그들은 워싱턴주 차원에서의 IT 노동자들을 위한 활동을 중시했다. 워시텍의 초기업적 활동은 상술한 워싱턴주정부의 IT 노동자들의 이익에 반하는 입법과 집단적인 분노, 워시텍의 초기 형성을 지원한 미국통신노조의 조직화 방식 그리고 IT 노동자들에게 반강제적으로 요구된 고용 제도의 불안정성 속에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워시텍은 다른 노동조합들과 다르게 노조 내부에서 IT 기술 교육을 매 분기마다 시행하고자 했다. 이들을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요구받는 IT 노동자들의 조건과 함께 기술 교육에서 배제된 IT 노동자들의 분노라는 배경 아래, 자신들의 주요한 활동을 기술 교육으로 삼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2001년 ‘IT 거품’ 붕괴 이후 수많은 IT 기업들의 파산과 대량 실업은 워시텍의 활동의 방향을 기존과 다르게 주로 국가주의적 활동으로 전환시켰다. 워시텍은 IT 기업들의 해외 아웃소싱을 막는 활동과 H-1B 비자를 통한 외국인 IT 노동자들의 인력 축소에 집중했고, 점차 외국인 IT 노동자들을 경계하고 미국인 IT 노동자들에 대한 고용을 우선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워시텍의 활동과 그 과정에서 드러난 IT 노동자들의 정체성 분석을 통해 IT 노동자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이 시도의 핵심은 그동안 단면적으로만 비춰져 왔던 IT 노동자들의 모습을 다층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IT 노동자들에 대한 과도한 일반화를 지양하고 그들의 양극화된 모습 등을 분석한다면 불안정한 고용 형태로 인해서 불가피하게 지니게 된 초기업적인 정체성, 부족한 기술 교육에 목말라 하는 노동자로서의 정체성, 외국에서 온 IT 노동자들을 배척하는 국가주의적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IT 노동자들의 분화와 복잡한 정체성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이후 이어질 IT 노동자들과 새로운 기술 혁신 분야 노동자들의 노동조합 활동에도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In 1998, the Washington Alliance of Technology Workers, a labor union created by IT workers in Washington State, was created based on the U. S. economic changes - the financialization of the U. S. economy and the instability of labor. IT firms were able to grow explosively in a short period of time based on initial public offering through NASDAQ and investments by U. S. pension funds, but within IT firms, discrimination was gradually formed at various levels, including wage levels, employment patterns and technology training. Unlike top IT workers, who were guaranteed high wages and huge amounts of stock options, lower IT workers even do not receive private medical benefits. In terms of employment patterns, IT workers with unstable conditions formed from the beginning, such as independent contractors, contingent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emerged in the 1980s, unlike IT workers who repeatedly moved to other companies and sought better conditions. In terms of technology training, IT workers have begun to be called ‘second-rate’, ‘incompetence’ and ‘subjects for exclusion’, contrary to what was perceived as being experts with state-of-the-art skills. Even in areas such as name tag color, e-mail address, club activities in the company, and attendance at picnics, polarization within IT workers appeared. IT workers, who have worked in Washington state since the 1980s, have shown collective action as they undergo a variety of further discrimination and polarization. Representatively in the 1980s, Microsoft’s independent contractors, wh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while working in unstable forms of employment, launched class action suits against Microsoft. However, discrimination against IT workers still persisted through the form of employment called contingent labor. In addition, in 1997, even before the class action lawsuit was over, the “rule exempting computer professional overtime pay rate” was created through the collusion between the Washington State government and the Washington Software and Digital Media Alliance, and it made entrepreneurs not have to pay overtime pay themselves to IT workers who receive more than $27.63 per hour. IT workers’ anger toward the Washington state government turned out to be a collective protest mailing to more than 700 state governments. Seeing their interests not represented by IT companies, state and full-time technology unions, IT workers created Washtech, an organization that can speak for itself. This paper will analyze three characteristics of IT workers. A look at Washtech’s main activities, which began publicly in 1998, shows the identity formed by IT workers at the time. Washtech has largely shown beyond-company(industrial) union activities, its own technical education activities, and nationalistic activities that have been wary of foreign countries and demanded the preferential treatment of U. S. IT workers. First of all, early members of the labor union worked for a single company called Microsoft, but they valued activities for IT workers at the Washington State level. Washtech’s beyond-company activities have emerged amid the aforementioned legislative and collective anger against the interests of IT workers in Washington state, the way the Communication Workers of America organized supporting the early formation of Washtech and the instability of the employment system, which is demanded semi-forced by IT workers. Secondly, unlike other unions, Washtech wanted to implement IT technology training within the union every quarter. They wanted to use their main activities as technical training in the background of the anger of IT workers who were excluded from technical training, along with the conditions of IT workers who were constantly asked for new technology. Finally, the bankruptcy and mass unemployment of numerous IT companies since the collapse of the “IT bubble” in 2001 have shifted the direction of Washtech’s activities to largely nationalistic activities, unlike before. Washtech focused on activities preventing IT companies from outsourcing abroad and reducing the workforce of foreign IT workers through H-1B visas, gradually taking a stance of wary of foreign IT workers and prioritizing employment for American IT workers.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broaden understanding of IT workers through the activities of Washtech and th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IT workers revealed in the process. At the heart of this attempt is an effort to look at the image of IT workers in multiple layers, which has been seen only in cross-section. By avoiding excessive generalization of IT workers and analyzing their polarization, one can identify the beyond-company identity inevitably had due to unstable employment patterns, the identity of workers thirsty for poor technical training, and the nationalistic identity of rejecting IT workers from abroad. This exact recognition of the differentiation and complex identity of IT workers is also believed to help the labor union activities of IT workers and workers in new technological innovations that will follow.

      • 호텔 레스토랑 顧客의 業障 選擇屬性이 顧客 滿足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이현석 초당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호텔산업은 글로벌 무한경쟁체제 속에서 고도의 경제성장과 대중소비사회의 도래라는 시대적 변화와 함께 체인화, 국제화, 신규외식업체의 출현으로 지속적 성장을 위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적 환경 속에서 호텔 기업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전략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있다. 호텔산업 중에서도 레스토랑 부문에서 마케팅의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그 동안의 레스토랑 선택속성과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들은 각 레스토랑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전반적인 선택속성만을 묻고 분석하였다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이 호텔레스토랑을 선택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속성들의 차이를 파악하고 고객들에 대한 만족도 및 중요도를 실증 검증함으로써 호텔레스토랑이 외식 산업에서 차지하는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고 호텔레스토랑에 적용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레스토랑 이용 특성에 따라 레스토랑 선택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고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호텔 레스토랑 선택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호텔 레스토랑 선택 속성 요인이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호텔 레스토랑 이용만족이 재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의 특1급 호텔 레스토랑을 방문한 성인 남녀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235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기재되었거나 항목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나머지 223부를 통계처리에 활용하였다. 본조사 기간은 2009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표본은 SPSS 14.0을 사용하여 Scheffe 분석과 요인분석,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예상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호텔 레스토랑은 음식의 맛과 서비스는 기본이며, 한식, 일식, 커피숍 .부페. 불란서식당. 이태리식당. 중식. 등의 레스토랑의 종류별 특성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 및 메뉴를 개발하고, 고객의 이용목적(사업이나 업무목적, 메뉴 인지도, 연인과 기념일 식사, 친목 모임, 가족과 식사)과 개인적 특성(나이, 성별, 직업, 교육수준, 결혼여부, 소득, 이용 횟수 등)에 적합한 프로모션을 통해 고객의 만족과 재방문을 유도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고객만족과 재방문의사는 구전을 통한 신규 고객 창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보다 세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호텔 레스토랑 선택속성은 호텔이 고객에게 어필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자산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신중한 마케팅적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레스토랑의 고유속성과 고객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레스토랑의 세분화된 마케팅 전략에 매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표본 추출에 있어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의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향후에는 지역별, 등급별 등에 따른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 시내 특1급 호텔 레스토랑을 이용한 성인 남녀 내국인만을 표본으로 하였으나 향후에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핵심어: 호텔 레스토랑, 선택속성, 고객만족, 재방문의사

      • 2채널 바이폴라 뇌파센서 기반의 운동심상을 활용한 BCI 시스템 구현

        이현석 부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EEG is a measurement technology for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reaction activity of the brain and it had been used in many researches for study of the brain which is the most complex part in the human body. EEG signal can represent human’s thought and will, so the research in Brain-Computer Interface(BCI) which is the control interface of the new paradigm using EEG has gained attention recently. In this study, BCI system is constructed using 2 channel bipolar EEG sensor device developed by ourself. The EEG sensor device consists of analog circuit and digital circuit. Analog circuit is designed for noise removal and signal amplification of raw EEG signal which are measured through electrode, while digital circuit is designed for conversion of the analog data from analog circuit into digital data and construction of data packet for transmission purpose. Data packet is transmitted by using Bluetooth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windows-based application for classification of user’s intention. In this study, motor imagery(MI) which is one of the method among several analysis methods in BCI system is implemented for classification. In windows-based application, Fast Fourier Transform(FFT) is implemented to obtain a Power Spectral Density(PSD) value of EEG data. Support Vector Machine(SVM) performs MI classification by using PSD as the feature vector. EEG data group for feature extraction is collected by using training program which is designed for selection of clear MI sample data. Real time feedback application which consists of virtual control system and driving control system is developed to analyse user intention. The proposed BCI system not only provides an alternative control interface for disable people and patient, it also offers end user a convenient and fast user interface.

      • FPCB와 커넥터의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간헐고장

        이현석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용자에 의해 제품의 고장이 보고되었으나, 수리 과정에서는 고장이 나타나지 않거나 고장 원인을 알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NFF(No Fault Found)라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의 원인들 중 대표적인 예로 간헐고장이 있다. 간헐고장은 특정 환경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다가, 고장을 유발하는 환경조건이 사라지면 고장현상도 함께 사라져 정상 상태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 선박, 철도 등 특수 환경에서 사용되어 지는 것들은 사용 환경에서 벗어난 수리를 위한 장소로 이동 후 수리가 이루어지는데 이런 사용 환경과 수리 환경의 차이가 클수록 간헐고장의 검출 및 수리가 어려워진다. 그에 따라 제품의 가용도 및 불필요한 수리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 환경(공중)과 수리 환경(지상)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항공기의 간헐고장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례 분석을 통해 간헐고장의 유형을 분석하고, 수리가 이루어지는 곳에서 항공기의 사용 환경을 모사하여 간헐고장의 검출가능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간헐고장의 발생원인 및 고장 메커니즘을 정의하고 사용 환경을 고려한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검출의 정확도 및 용이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합적 환경요인을 적용한 검출방법을 제안하였다.

      • 넓은 load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가지는 Active Clamp Forward-Flyback converter에 관한 연구

        이현석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oposes a structure of a dc-dc active clamp forward-flyback converter for high efficiency in wide output power range. To achieve the zero-voltage-switching of power switches for the wide output power range, a leakage inductor (Llk), which is a parasitic inductor in the transformer primary side, is not used; instead, a small forward inductor (Lf), which also acts as an output filter inductor, is located between two secondary diodes in the transformer secondary side. Also, to solve the problem of ringing in the voltage of the secondary diodes caused by Llk, two capacitors are inserted to the transformer secondary side, which helps the voltage across secondary diodes to be clamped at the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s. The experimental results which are tested at an output power range of 20 W ~ 100 W and a switching frequency of 100 kHz show the efficiency measured as 94.1 % at an output power of 20 W, and 94.8 % at an output power of 100 W, so the efficiency variation was measured as 0.7% along a wide output power range of 20 W ~ 100 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